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스페인 | 빅토리아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드보르자크 · 야나체크 · 에네스쿠 · 도흐나니 · 흐리스토프 · 블라디게로프 · 모니우슈코 · 비에니아프스키 · | |||
북유럽 | 닐센 · 그리그 · 시벨리우스 · 알벤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20세기음악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이탈리아 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에이나우디 | |||
한국 현대 음악 |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첸 · 도이처 | }}}}}}}}} |
<colbgcolor=#882A1F> 조반니 피에를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Gio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 |
익명의 화가가 그림 (1590 즈음) | |
<colcolor=#D3E2AC> 출생 | 1525년 12월 17일 목요일 |
교황령 팔레스트리나 | |
사망 | 1594년 2월 2일 수요일 (향년 68세) |
교황령 로마 | |
직업 | 작곡가, 오르가니스트 |
사조 | 르네상스 |
종교 | 가톨릭[1] |
서명 |
[clearfix]
1. 개요
6성 모테트 Tu es Petrus[2]: 바티칸에서 교황이 집전하는 미사에서 교황의 입당 성가로 자주 쓰인다. |
팔레스트리나는 이탈리아 출신으로, 르네상스 시대 로마 악파의 음악가이다. 종교 개혁으로 가톨릭교회가 흔들리던 시기 교회 음악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으며 그의 음악은 그 자체로 중세 시대 그레고리오 성가에 버금가는 일종의 규칙으로 여겨진다. 그의 음악은 종교적 내용을 담은 모테트와 미사가 중심이며, 그중에서도 마르첼로 2세에게 헌정한 <교황 마르첼로의 미사>가 가장 유명하다. 이 미사곡은 아직도 전 세계 합창단이 즐겨 부르는 명곡이다. 그가 죽은 뒤 그의 묘비에는 <음악의 1인자(Princeps Musicae)>라는 찬사가 바쳐졌다.
2. 생애
로마와 가까운 팔레스트리나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로마에서 음악 교육을 받았으며, 1537년에는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의 성가단원이 된다. 1544년부터는 팔레스트리나 성 아가피토 성당의 오르간 연주자로 임명된다.2.1. 중기
1551년에는 성 베드로 대성당의 줄리아 성가대(Capella Giulia)의 지휘자가 되었다. 1544년에는 자신의 첫 미사곡집을 출판하며, 1547년에 루크레치아 고리(Lucrezia Gori)와 결혼하고, 1551년 1월에는 성당의 공식 가수가 되었는데, 깐깐하고 보수적인 교황 바오로 4세가 9월 새롭게 선출되자, 팔레스트리나는 결혼한 사람은 성가대에서 일을 할 수 없다는 이유로 해고당하게 된다. 1555년에는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의, 1561년에는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의 음악 감독을 돌며 부임하며 모테트와 미사곡들을 출판한다.2.2. 말기
1571년에는 해고당했던 성 베드로 대성당의 성가대 지휘자로 다시 부임하게 된다. 그러나 1572년에는 로마에 유행한 흑사병으로 아내와 두 아들을 잃고 만다.1577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는 팔레스트리나와 안니발레 초일로에게 미사에 사용되는 음악을 모은 책인 『그라두알레』를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권고한 사항에 따라 다시 쓸 임무를 요청했고, 곧 그 작업에 착수하였으나 그의 생전에 완성되지는 못했고 1614년에 그라두알레 메디치판이 출판되었고 이 음악은 1908년까지 사용하게 된다.
가족을 잃은 비극을 겪은 팔레스트리나는 성직자가 되려고 했으나, 결국 1581년에 부유한 과부 비르지니아 도몰리(Virginia Dormoli)와 재혼하는데, 문제는 이미 그의 나이가 56세였다. 여자가 아닌 돈을 노리고 결혼한 것이니 아무래도.... 그러고는 새 아내의 모피 사업에 몰두하게 된다. 만토바 공작 굴리엘모 곤차가와 신성 로마 제국의 막시밀리안 2세가 팔레스트리나를 초청했으나 로마를 떠나지 않고 생의 마지막도 로마와 함께한다.
1594년 2월 2일 로마에서 흉막염으로 사망했다.
3. 작품 세계
팔레스트리나는 평생을 로마에서 거주하며 역대 교황들과 관계를 맺으며 살았다. 그의 음악에서도 그레고리오 성가처럼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분위기가 배어 나온다. 그의 종교 음악들은 종교 음악 양식의 '최고 완성품'이라 일컬어진다. 그의 합창곡들은 다성 종교 음악의 표본으로 요한 요제프 푹스 등 많은 이론가들은 대위법 저서에서 팔레스트리나를 분석하는데 상당 부분을 할애하였다.그의 음악은 모방 대위법적인 양식에 기초를 둔 것으로, 어떤 악장에는 가사의 각 구절마다 새로운 동기가 도입되고 다른 성부가 모방하는 기법이 사용되고, 다른 악장에서는 화성적, 모방적인 부분이 교차되기도 한다. 또한 반음계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 그의 음악의 특징. 그리하여 후대의 작곡가들에게 부드럽고 투명하다는 평을 들었다. 애초에 트리엔트 공의회가 음악을 샅샅히 검열하고, 세속적 기법, 기교나 과도한 악기 사용 금지 등 종교 음악에 크리를 먹였기 때문인 것도 있다.
팔레스트리나의 양식들은 다음 세대 작곡가들에게 <구(舊)양식>(stile antico)의 표본으로 많은 종교 음악 작곡가들의 모방 대상이 되었다. 몬테베르디는 자신이 말한 '1작법'의 완벽한 예로 팔레스트리나를 꼽았다.
작품들로는 104개의 미사곡, 400개 이상의 모테트, 송가등이 있으며, 140개의 마드리갈도 남겼다.[3]
3.1. 모테트
팔레스트리나의 모테트는 6할은 4성이나 5성부고 나머지는 8성에서 12성부의 곡들이다. 그의 모테트의 특징은 모방 대위법을 제외한 어떤 구조적 방법에 의해 곡을 쓰지 않았다는 것이다.3.2. 미사곡
팔레스트리나는 그의 미사의 대부분을 그레고리오 성가 선율을 인용하여 작곡하였지만, 추가로 당대의 작곡 기법들을 활용하여 엄청난 미사곡들을 남겼다. 또한 모테트나 세속적 음악을 변용한 미사들도 있다. 단순히 자유롭게 작곡한 미사들도 있는데, 이런 미사의 대표작이 《교황 마르첼로 미사》이다.4. 기타
이 시대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듯, 우리가 부르는 팔레스트리나는 그의 이름이 아니라 그가 팔레스트리나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한스 피츠너가 그를 주인공으로 하는 오페라 <팔레스트리나>를 작곡한 바 있다. 비슷한 시기에 에스파냐 출신의 토마스 루이스 데 빅토리아 또한 로마 악파의 음악가로 명성을 떨쳤다.[1] 그의 음악은 가톨릭 대항 종교 개혁의 필두로 가톨릭 교회 음악을 재정립하였다.[2] 가사의 내용은 마태오 복음서 16장 18-19절: 너는 베드로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저승의 세력도 그것을 이기지 못할 것이다. 또 나는 너에게 하늘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그러니 네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고, 네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릴 것이다. (라틴어 원문: Tu es Petrus, et super hanc petram aedificabo Ecclesiam meam, et portae inferi non praevalebunt adversus eam: Et tibi dabo claves regni coelorum. Quodcumque ligaveris super terram, erit ligatum et in coelis; et quodcumque solveris super terram erit solutum et in coelis.)[3] 본인은 말년에 이런 세속적인 음악을 쓴 것이 제일 후회된다고 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