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8:52:10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창원 LG 세이커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한국프로농구
선수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부산 KCC
이지스
수원 kt
소닉붐
원주 DB
프로미
창원 LG
세이커스
서울 SK
나이츠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 흑색배경.svg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서울 삼성
썬더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50034>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창원 LG 세이커스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a50034><colcolor=#fff> 구단 기본 정보 LG스포츠 | 창원 LG 세이커스
구단 역사 정보 구단 역사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사건·사고
구단 세부 정보 선수단 | 유니폼
경기장 관련 정보 창원실내체육관 | LG 챔피언스 파크
기타 문서 전자 더비 | 특례시 더비 | 낙동강 더비 }}}}}}}}}

1. 2024-25 시즌 선수단
1.1. 감독 및 스태프1.2. 선수단
1.2.1. 가드1.2.2. 포워드1.2.3. 센터1.2.4. 군입대 선수
2. 역대주장3. 주요 은퇴 및 이적 선수
3.1. 프랜차이즈 스타3.2. 올드 멤버3.3. 흑역사
4. 역대 드래프트5. 역대 외국인 선수6. 역대 연도별 선수 로스터
6.1. 97-98시즌6.2. 98-99시즌6.3. 99-2000시즌6.4. 2000-2001시즌6.5. 2001-2002시즌6.6. 2002-2003시즌6.7. 2003-2004시즌

1. 2024-25 시즌 선수단

1.1. 감독 및 스태프

<rowcolor=#fff> 코칭스태프
직책 국적 이름 부임년도 선수활약
데뷔 LG 소속기간 은퇴 포지션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상현 2022 1999 (골드뱅크) 2006~2011 2013 (오리온스) 슈몰 포워드, 슈팅 가드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재현 2022 2000 (SK) 2016 (오리온)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유진 2022 2002 (삼성) 2008 (삼성) 파워 포워드, 센터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우 2022 2003 (모비스) 2015 (삼성) 스몰 포워드
컨디셔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찬훈 2022 비선수 출신
컨디셔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영재 2022 비선수 출신
<rowcolor=#fff> 지원스태프
직책 국적 이름 부임년도 선수활약
데뷔 LG 소속기간 은퇴 포지션
트레이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승찬 2022 비선수 출신
스카우터 겸 전력분석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병현 2022 2008 (전자랜드) 2018~2022 2022 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통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용국 2023 비선수 출신
매니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학 2022 비선수 출신

1.2. 선수단

1.2.1. 가드

<rowcolor=#fff> 배번 국적 이름 데뷔년도 이적년도 신장 / 체중 포지션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기상 2023 188cm / 85.5kg 슈팅 가드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상혁 2015 183cm / 78kg 포인트 가드
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준석 2022 180cm / 74.6kg 포인트 가드
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훈 2022 180.9cm / 81.4kg 슈팅 가드
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두경민 2013 (동부) 2024 183.3cm / 79kg 포인트 가드

1.2.2. 포워드

<rowcolor=#fff> 배번 국적 이름 데뷔년도 이적년도 신장 / 체중 포지션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준형 2022 194.1cm / 94.3kg 스몰 포워드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준형 2018 201.1cm / 78kg 스몰 포워드
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성현 2013 (KGC) 2024 188.6cm / 85kg 스몰 포워드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인덕 2016 196cm / 83kg 스몰 포워드
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일영 2009 (오리온스) 2024 196cm / 95kg 스몰 포워드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진수 2011 (오리온스) 2024 201.8cm / 93kg 파워 포워드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민국 2012 (KCC) 2024 200cm / 94kg 스몰 포워드
86 파일:미국 국기.svg 먼로 2009 (아리스 리우와든) 2024 197cm / 104kg 파워 포워드
33 파일:필리핀 국기.svg 타마요 2022 (류큐 골든킹스) 2024 203cm / 92kg 파워 포워드

1.2.3. 센터

<rowcolor=#fff> 배번 국적 이름 데뷔년도 이적년도 신장 / 체중 포지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인태 2016 200cm / 100kg 센터
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강현 2023 198.1cm / 92.2kg 센터
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현 2019 202.6cm / 114kg 센터
50 파일:이집트 국기.svg 마레이 2010 (자말렉 SC) 2021 206cm / 113kg 센터

1.2.4. 군입대 선수

입대년도 이름 데뷔년도 이적년도 신장 / 체중 상세 포지션 복무 부대 복귀 시즌
2023 이광진 2020 193.8cm / 87kg 스몰 포워드, 파워 포워드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2024-25 시즌
김종호 2021 184.4cm / 80kg 가드 2025-26 시즌
2024 양홍석 2017 (kt) 2023 195cm / 94kg 스몰 포워드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2025-26 시즌
윤원상 2020 181cm / 74.5kg 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2025-26 시즌

2. 역대주장

등번호 이름 기간 비고
33 박재헌 1997~1999 창단멤버
4 박규현 1999~2000 창단멤버
1 오성식 2000~2002 창단멤버
11 김영만 2004~2006
4 박규현 2006~2009 사상 첫 2회 연속 주장
24 강대협 2009~2010
11 조상현 2010~2011
3 김현중 2011~2011.12
7 전형수 2011.12~2012.4 트레이드로 인한 임시직 주장 대행
9 김영환 2012~2017.1 구단 역대 주장 최장수
31 기승호 2017.1~2017.4 트레이드로 인한 임시직 주장 대행
24 조성민 2017~2018
7 양우섭 2018~2019
11 강병현 2019~2022
1 이관희 2022~2024

3. 주요 은퇴 및 이적 선수

3.1. 프랜차이즈 스타

플레이오프 무관으로 인한 성적 조급증으로 인해 트레이드가 유독 많았던 팀으로 10년 이상 뛴 선수는 전무하다. 원클럽맨 슈퍼스타 역시 전무하며 원클럽맨들도 트레이드나 FA로 인해 팀을 나갔다.

역대 출장 순으로 박규현,기승호,양우섭 정도가 300경기 이상 출장했다.

그 중 고려대 농구부를 살리는 구단의 전통을 보면 박규현박재헌 정도가 8년 이상 프랜차이즈로 활약했다.

창단멤버를 포함해서 초창기 시절 역대 성적을 기준으로 보면 양희승박재헌오성식이 있었고 이후 조성원조우현 정도다.

기아 엔터프라이즈 출신이자 동부 프로미의 코칭스테프였던 강동희김영만도 거쳐갔지만 프랜차이즈는 아니다.

2013-2014 시즌 정규리그 우승의 주역으로 문태종을 시작으로 김영환김종규 그리고 김시래가 활약을 했고 이들은 LG 팬들에게는 영웅으로 불리운다.

창단멤버였던 오성식과 팀 MVP 출신인 조성원, FA로 팀에 이적했지만 2002 부산 아시안게임 금메달 멤버이자 팀을 정규 시즌 2위로 이끈 현주엽조상현, 2013-2014 시즌 정규리그 우승의 주역이자 2014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LG 소속으로 금메달을 함께한 문태종 5명은 이천 챔피언스파크 동상 내에 새겨져있었으며, 2020-21 시즌부터 창원체육관 지하로 옮겼다.

3.2. 올드 멤버

이름 데뷔년도 LG 소속년도 이적년도 은퇴년도
양희승 1997 1997~2000 2000 (현대) 2009 (KTF)
박재헌 1997 1997~2004 2004 (SK) 2006 (SK)
현주엽 1998 (SK) 2005~2009 2009
문태종 1998 (스트라스부르) 2013~2015 2015 (오리온) 2019 (현대모비스)
조우현 1999 (동양) 2000~2006 2006 (전자랜드) 2010 (KCC)
조상현 1999 (골드뱅크) 2006~2011 2011 (오리온스) 2013 (오리온스)
김현중 2004 (오리온스) 2005~2012[1] 2012 (kt) 2016 (동부)
송창무 2007 2007~2014 2014 (삼성) 2022 (SK)
김영환 2007 (전자랜드) 2012~2017 2017 (kt) 2023 (kt)
기승호 2008 2008~2018 2018 (KGC) 2021 (현대모비스)
문태영 ? (독일) 2009~2012 2012 (모비스) 2020 (삼성)
양우섭 2008 (kt) 2012~2020 2020 (SK) 2024 (SK)
정창영 2011 2011~2019 2019 (KCC)
이관희 2011 (삼성) 2021~2024 2024 (DB)
유병훈 2012 2012~2020 2020 (KCC)
김시래 2012 (모비스) 2013~2021 2021 (삼성)
김종규 2013 2013~2019 2019 (DB)
이재도 2013 (kt) 2021~2024 2024 (소노)
정성우 2015 2015~2021 2021 (kt)
  • 박훈근 (1997~2000, 2006~2007) : 창단멤버 및 기량발전상 수상
  • 박규현 (1997~2004, 2006~2009) : 창단멤버 겸 주장 및 수비 5걸상 수상
  • 오성식 (1997~2002) : 창단멤버 겸 주장 및 코치
  • 이상영 (1997~1998, 2000~2001) : 창단멤버
  • 김태진 (1997~2001) : 창단멤버
  • 조성원 (2000~2002) : 구단 창단 첫 3점슛왕 겸 구단 창단 최초 정규리그 MVP 수상 및 LG 선수 출신 감독
  • 송영진 (2001~2005) : 구단 창단 최초 드래프트 1순위
  • 임영훈 (2002~2003, 2005~2006)
  • 강동희 (2002~2004) : 구단 창단 선수 겸 코치
  • 김영만 (2002~2006) : 구단 창단 선수 겸 코치
  • 박광재 (2003~2009) : KBL 선수로서 첫 데뷔팀 및 현 연예인
  • 박지현 (2006~2009) : 수비 5걸상 수상
  • 이현민 (2006~2011) : 구단 창단 첫 신인상 수상
  • 김용우 (2010~2012)
  • 전형수 (2004, 2008~2011)
  • 강대협 (2001~2002, 2009~2011)
  • 이창수 (2009~2011)
  • 오용준 (2011~2012)
  • 한정훈 (2008)
  • 이지운 (2008~2016) : 구단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멤버
  • 백인선 (2009~2010, 2011~2015) : 구단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멤버
  • 김영환 (2012~2017) : 구단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 멤버 겸 주장 및 3점슛왕 수상
  • 박래훈 (2012~2018) : 구단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 멤버
  • 조상열 (2012~2018) : 구단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 멤버
  • 유병훈 (2012~2020) : 구단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 멤버 및 식스맨상 우상
  • 최승욱 (2014~2018)
  • 주지훈 (2014~2021)
  • 조성민 (2017~2021)
  • 이원대 (2018~2021)
  • 박병우 (2019~2021)
  • 박경상 (2020~2021)
  • 강병현 (2018~2022)
  • 최승욱 (2020~2023)
  • 김준일 (2021~2023)
  • 이관희 (2021~2024)

3.3. 흑역사

  • 양희승 : 1997~2000, 창단 멤버 중 스타 플레이어. 그러나, 구단과의 부상과 연봉문제의 불화로 인해 조성원과의 맞트레이드 이후 SBS 스타즈-KT&G 카이츠에서 전성기를 보냈다.
  • 버나드 블런트 : 1997~1999, 1998~1999 득점왕. 1999~2000 시즌을 앞두고 야반도주하면서 LG는 몰락했고, 이충희 초대 감독은 재계약에 실패하였다. 구단에서도 금지어로 소문이 자자하다.
  • 송영진 : 2001~2005, LG의 첫 전체 1순위 신인이자 고향 마산 출신으로 인기를 모았지만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하고 현주엽의 FA 보상 이적으로 부산 KTF 매직윙스으로 이적하게 된다. 그러나 KTF에서 기량이 오르며 그 해 기량발전상을 수상하면서 과거 모교 시절이었던 중앙대 재학 시절 이후 성장을 하게 된다. 2006-2007 시즌에는 정규리그 3위와 함께 4강 플레이오프에서 경쟁하면서 LG의 KBL 파이널 진출을 수비로 막아내면서 KTF의 창단 유일의 KBL 파이널 진출을 이끌면서 승리자가 된다. 추가로 2010-2011 시즌 KTF의 후신인 kt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의 주역이 되었고 이후 kt의 주장을 맡으면서도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구단이 현주엽을 영입하면서 포워드가 찬 바람에 내보냈으나 이건 완벽한 LG의 패배였다.
  • 퍼비스 파스코 : 2006~2007, 2006~2007 시즌 4강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심판 가격으로 영구제명. 이는 KBL 첫 영구제명이다.
  • 현주엽 : 2005~2009, 2002 부산 아시안 게임 농구 금메달 멤버. 2005 FA로 부산 KTF 매직윙스에서 이적으로 합류했으나 무릎 부상으로 인해 전성기에서 내리막이었고 좋은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갑작스런 은퇴 기자회견을 통해 선수 시절 챔피언의 한을 풀지 못했다. 신선우 감독이 재임할 때 출전시간 문제로 기싸움을 하면서 불화설이 나왔으며 실력이 부족했으나 사실 모교 1년 선배였던 박규현에게 연습과 경기에서 항상 혼이 나기도 했다. 그 동안 약팀의 에이스였는지 홀로하는 농구 속에 있었던 따가운 비판의 슈퍼스타였다. LG 이적 이전 단 1번도 4강 플레이오프 이상을 나가지 못했다. 결국 강을준 감독에 의해 문태영을 영입하면서 은퇴. 모교인 고려대 감독설까지 나왔으며 은퇴 이후 8년만에 LG 7대 감독으로 부임했지만 역대 최저성적인 9위를 두번 기록하며 팬들에게 흑역사로 불린다.
  • 전형수 : 2004, 2008~2011, 포인트 가드지만 전형적인 슈팅 가드. 믿고거의 대표. 체력과 슈팅이 좋았지만 느린발과 부족한 시야로 발목이 잡혔다. 여수 코리아텐더 프루미에서 데뷔를 했으나 모기업 매각으로 인해 울산 모비스 피버스로 이적 이후 부활을 했다. 하지만, 강을준 감독의 부름과 함께 2번 이적해서 뛰게 된 팀에서 데려갔으나 가드들과의 주전경쟁에서도 나은 점을 보여주지 못했다. KBL 프로농구 역사상 최악의 FA계약으로 좋은 모습과는 거리를 보여주었다. 이후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에서 활약한 뒤 은퇴를 하게 된다.
  • 기승호: 2008~2018, 원클럽맨. 하지만, 좋게 보면 디펜스 스페셜이고 나쁘게 보면 이관희와 동급. 상무 입대 전에는 강을준호의 황태자로서 문태영 다음으로 국내 에이스로써 버금가는 활약을 했었다. 수비와 궂은일을 바탕으로 심지어는 김동욱, 박상오처럼 가드진의 연결고리까지 도맡으면서 슈팅도 준수했다. 하지만, 상무 전역때 뛰어난 활약을 했음에도 부상이 잦아서 그 이후로 폼이 떨어져 버렸다. 거기에 발목 부상까지 당한데다가 활약도에 비해 터무니없는 고연봉(현재 3억이다!)으로 만인의 농구팬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여기에 13-14 KBL 파이널에서는 옛 동료였던 문태영과의 주먹다짐이 있었다. 이로인해 팬들에게 매너가 좋은 그 모습과는 다르게 이미지를 많이 말아먹었다. 이후 부상으로 큰 공헌을 하지 못했으며 LG 역대 출장기록만 남기고 10년만에 팀을 떠나게 되었다. 그 이후로 고향팀인 안양 KGC인삼공사로 쫓겨나듯이 트레이드 되었고 거기서는 어느 정도 폼을 되찾으면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로 이적하였으나 장재석이 포함된 회식 중 음주로 인한 폭행 사건으로 인해 KBL에서 영구제명되었다. 불명예 은퇴를 하면서 근황을 보기 어렵게 되었다.
  • 아이반 존슨 : 2008~2009, 기행의 대표. 강을준 감독이 한국형으로 장악하려고 했으나 부모를 여의게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경기에 집중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 데이본 제퍼슨 : 2013~2015, 2014~2015 득점왕. LG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에 기여했지만 그 다음 시즌 4강 플레이오프에서 애국가 몸풀기 및 SNS 문제로 인해 퇴출되었다. 창단 시절 버나드 블런트가 되었다.
  • 트로이 길렌워터 : 2015~2016, 1시즌동안 답이 없는 LG를 먹여살렸지만 각종 기행을 일삼으면서 벌금 1,400만원을 물었다. LG는 길렌워터와 재계약하기를 희망했지만 이런 행동으로 인해 트라이아웃 1년 참가제한 징계를 받고 재계약에 실패했다. 현재는 일본 도요타 엘버크에서 뛰기도 했으며 5년만에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에 돌아왔다.
  • 김영환 : 2012~2017, LG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 시절 3점슛왕 및 주장. 전 소속팀이었던 kt 전신인 KTF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면서 LG에서 김진 감독이 직접 공을 들여서 키운 선수다. 4년반을 주장으로 하면서 선수단의 단합과 팀의 승리와 함께한 영웅이었다. 그러나, 구단 최고위층 앞에서 3점슛 22개 연속 실패와 함께 원치 않은 트레이드를 당했다. 그것도 데뷔했던 KTF 매직윙스의 후신인 kt 소닉붐이었다. 2017년 02월 24일에는 kt 소닉붐의 주장으로 역대급 버저비터를 터트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LG 구단 프런트에 쌓였던 게 있었는데 평소 덩크를 하지 않던 그가 골대를 잡고 흔들면서 절정의 환호를 했다. 이 과정에서 LG 팬들은 그래도 정규리그 우승팀 시절 주장이었는데 큰 상처와 함께 배신자라는 비판도 있었다. 비판했던 kt 팬들도 성장한 주장인지 180도 다르게 지지한다. 하지만, 이 경기만 그랬을 뿐. LG에서 정들었던 후배들과는 친분이 여전하다. kt 소닉붐에서도 선후배 단합의 리더로 손색이 없다. 감독이 바뀐 이후 2019-2020 시즌부터 회춘하면서 농구인생의 어록까지 바뀌고 있다. 이건 뭐 바뀐 프런트가 3점슛만 보고 가치평가가 짠게 큼
  • 김종규 : 2013~2019, LG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 시절 신인왕. FA 협상 과정에서 LG에서 12억을 제시했으나 이를 거절함, 그러나 LG에서 사전 접촉 의혹이 제기되자, KBL 재정위원회에 회부 당했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FA 자격을 얻게되었다. LG는 김종규와의 협상 과정에서 현주엽 감독과의 통화 과정에서 불법 녹취를 해 팀의 이미지가 깎이게 되었다. 현주엽과 LG 구단 관계자의 꼼수 속에 신뢰가 무너지면서 6년간 응원했던 창원 LG 팬들에게 미안함과 고마움으로 이별을 하게 되었다. 전주 KCC 이지스원주 DB 프로미 두 팀이 영입 의사를 밝혔으나, 결국, 원주 DB 프로미가 단독으로 영입의향서를 제출하여, DB 소속으로 뛰게 되었다. 이적 이후 전 소속팀이었던 LG 구단 프런트에 쌓였던 게 많았는지 덩크 횟수가 늘어나고 한 때 정희재와도 피카츄 모드로 비판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LG 팬들과 DB 팬들의 다툼까지 나올 지경. 하지만, 그 경기만 그랬고 참된 두 팀의 팬들은 모두 김종규를 응원 중이다. 이 과정에서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이끈 단장은 바뀐 프런트에 아마추어라는 비난까지 했다.

4. 역대 드래프트

1998년
9순위 구병두 중앙대
12순위 최성우 한양대
1999년
6순위 이홍수 한양대
15순위 최훈석 명지대
2000년
7순위 이정래 고려대
2001년
1순위 송영진 중앙대
20순위 최정우 동국대
2002년
9순위 정선규 고려대
12순위 김경록 고려대
2004년
8순위 박광재 연세대
13순위 양동인 한양대
2004년
9순위 이정협 연세대
12순위 김상영 중앙대
2005년
6순위 김일두 [2] 고려대
15순위 김승민 한양대
2006년
3순위 이현민 경희대
21순위 박범재 동국대
2007년
4순위 정영삼 [3] 건국대
17순위 송창무 명지대
2008년
9순위 기승호 동국대
12순위 이지운 한양대
2009년
3순위 문태영 [4] 리차몬드대
18순위 박기문 명지대
2010년
5순위 박형철 연세대
15순위 방경수 고려대
2011년
8순위 정창영 고려대
13순위 안정환 명지대
2012년
5순위 박래훈 경희대
16순위 조상열 단국대
2012-2013년
3순위 유병훈 중앙대
16순위 배병준 경희대
2013년 (2군)
1라운드 7순위 박래윤 동국대
2라운드 4순위 이승배 경복고
2013년
1라운드 1순위 김종규 경희대
2라운드 9순위 이관기 고려대
2014년
1라운드 9순위 최승욱 연세대
2라운드 2순위 주지훈 연세대
2015년
1라운드 6순위 정성우 상명대
1라운드 8순위 한상혁 한양대
2016년
1라운드 2순위 박인태 연세대
2라운드 6순위 정인덕 중앙대
2017년
1라운드 2순위 양홍석 [5] 중앙대
3라운드 2순위 정해원 조선대
2018년
1라운드 4순위 김준형 고려대
2라운드 7순위 김성민 상명대
2019년
1라운드 1순위 박정현 고려대
2라운드 10순위 이동희 명지대
2020년
1라운드 6순위 윤원상 단국대
2라운드 5순위 이광진 동국대
3라운드 6순위 김영현 단국대
2021년
1라운드 5순위 이승우 한양대
2라운드 6순위 김종호 동국대
3라운드 5순위 김한영 연세대
2022년
1라운드 1순위 양준석 연세대
2라운드 10순위 이승훈 동국대
3라운드 1순위 박준형 연세대
2023년
1라운드 3순위 유기상 연세대
2라운드 8순위 이강현 중앙대

5. 역대 외국인 선수

  • 해당 시즌 외국인 선수 MVP는 ★로, 드래프트 전체 1순위는 ☆로 표시
  • 해당항목은 나무위키의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농구 항목을 참고하였습니다.
97-98 로버트 보이킨스 버나드 블런트
98-99 버나드 블런트 아미누 팀버레이크
99-00 버나드 블런트 쉔드릭 다운스
쉔드릭 다운스 마일로 브룩스
00-01 에릭 이버츠 알렉스 모블리
데릴 프루
01-02 에릭 이버츠 말릭 에반스
마이클 매덕스 칼 보이드
02-03 라이언 페리맨 테런스 블랙
03-04 라이언 페리맨 빅터 토마스
앤소니 에반스
04-05 온타리오 렛 제럴드 허니컷
데스몬드 페니가
05-06 헥터 로메로 드미트리우스 알렉산더
노먼 놀런
06-07 찰스 민렌드 퍼비스 파스코
07-08 오다티 블랭슨 캘빈 워너
08-09 아이반 존슨 브랜든 크럼프
09-10 크리스 알렉산더 크레이그 브래드쇼
제임스 피터스
레지 워렌
10-11 크리스 알렉산더 로버트 커밍스
자이 루이스
11-12 올루미데 오예데지
애런 헤인즈
12-13 로드 벤슨 아이라 클라크
커티스 위더스
13-14 데이본 제퍼슨 크리스 매시
14-15 데이본 제퍼슨 크리스 매시
마이클 헤인즈 퀸틴 알렉산더
15-16 트로이 길렌워터 맷 볼딘 [6]
브랜든 필즈 [7]
다비온 베리 [8]
조쉬 달라드 [9]
샤크 맥키식
16-17 마이클 이페브라 [10] 레이션 테리 [11]
마리오 리틀 [12] 제임스 메이스 [13]
17-18 조쉬 파월 [14] 저스틴 터브스 [15]
제임스 켈리 [16] 조나단 블락 [17]
에릭 와이즈 [18]
프랭크 로빈슨
18-19 제임스 메이스 조쉬 그레이
19-20 캐디 라렌 버논 맥클린 [19]
마이크 해리스 [20]
라킴 샌더스 [21]
20-21 캐디 라렌 리온 윌리엄스
테리코 화이트 [22]
케네디 믹스 [23]
21-22 아셈 마레이 압둘 말릭 아부 [24]
사마도 사무엘스
22-23 아셈 마레이 단테 커닝햄
레지 페리
23-24 아셈 마레이 단테 커닝햄 [25]
조슈아 이바라 후안 텔로

6. 역대 연도별 선수 로스터

  • 본 로스터는 프로농구 연감을 참조로 하였으며, 출전한 선수들만 기록이 되어있어 누락이 되는 선수도 있을 수 있음. 등번호 순대로 나열하였음

6.1. 97-98시즌

등번호 이름
4 박규현
5 윤호영[26]
6 김태진
7 김영구
9 이상영
10 허훈[27]
11 양희승
12 이상규
14 박훈근
22 한규현
33 박재헌
44 버나드 블런트
55 로버트 보이킨스
00 오성식

6.2. 98-99시즌

등번호 이름
0 오성식
4 박규현
5 윤호영
6 구병두
8 박수호
9 최성우
10 정구근
11 양희승
14 박훈근
15 김창수
19 아미누 팀버레이크
22 한규현
33 박재헌
44 버나드 블런트

6.3. 99-2000시즌

등번호 이름
1 오성식
2 이홍수
3 김창수
4 박규현
6 배길태
7 김영구
8 최훈석
9 최성우
10 마일로 브룩스
11 양희승
14 박훈근
15 쉔드릭 다운스
19 정구근
33 박재헌
99 구병두

6.4. 2000-2001시즌

등번호 이름
0 허남영
1 이정래
2 이홍수
4 이현주
5 배길태
6 김태진
7 알렉스 모블리
9 구병두
10 조성원
11 오성식
16 조우현
17 이상영
24 데릴 프루
34 에릭 이버츠
55 박도경

6.5. 2001-2002시즌

등번호 이름
3 이홍수
4 이현주
5 박규현
7 조우현
8 황진원
8 김병천
9 구병두
10 조성원
11 오성식
13 최정우
15 강대협
19 칼 보이드
21 정종선
23 송영진
32 김동환
33 말릭 에반스
34 에릭 이버츠
43 마이클 매덕스
55 박도경

6.6. 2002-2003시즌

등번호 이름
1 정선규
3 라이언 페리맨
4 박규현
5 강동희
7 조우현
8 테런스 블랙
9 정종선
10 김영만
11 김경록
19 최성우
23 송영진
33 표필상
91 임영훈

6.7. 2003-2004시즌

등번호 이름
1 정선규
2 양동인
3 라이언 페리맨
4 전형수
5 강동희
6 배길태
7 조우현
8 박재헌
10 김경록
11 김영만
13 길도익
15 김재훈
23 송영진
25 빅터 토마스
41 박광재


[1] 2008-09 시즌 모비스 임대[2] 트레이드로 인한 지명권 양수양도로 SK 이적[3] 트레이드로 인한 지명권 양수양도로 전자랜드 이적[4] 귀화혼혈선수 3순위[5] 조성민,김영환 트레이드로 인한 로 지명권 양도 및 kt 이적[6] 시즌 도중 방출[7] 시즌 도중 방출[8] 시즌 도중 방출[9] 시즌 도중 방출[10] 시즌 도중 방출[11] 시즌 도중 방출[12] 대체 외국인 선수 영입[13] 대체 외국인 선수 영입[14] 시즌 도중 방출[15] 계약 후 방출[16] 대체 외국인 선수 영입[17] 시즌 도중 방출[18] 시즌 도중 방출[19] 시즌 도중 방출[20] 시즌 도중 방출[21] 시즌 도중 방출[22] 시즌 중 부상 교체[23] 시즌 중 트레이드[24] 시즌 도중 방출[25] 시즌 도중 방출했으나 후안 텔로의 부상으로 재복귀[26] 현 KBL심판[27] 우리가 알고 있는 허훈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