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 투수 | 12 힉스 · 38 레이 · 43 벡 · 45 해리슨 · 47 블랙 · 60 버드송 · 62 웹 · 64 젤리 · 65 루프 · 67 윈 · 68 밀러 · 71 로저스 · 72 맥도날드 · 73 로드리게스 · 74 워커 · 75 도발 · 76 비벤스 · # 랙스데일 · # 시모어 · # 벌랜더 | |
포수 | 14 베일리 · 19 머피 · # 허프 | ||
내야수 | 0 와이슬리 · 2 아다메스 · 10 슈미트 · 26 채프먼 · 31 웨이드 Jr. · 32 비야 · 37 루시아노 · 41 플로레스 · 49 피츠제럴드 | ||
외야수 | 5 야스트렘스키 · 17 라모스 · 29 마토스 · 51 이정후 · 53 메클러 · 58 맥크레이 · 59 엔카나시온 | ||
밥 멜빈 가빈 앨스턴 팻 버렐 라이언 크리스텐슨 오스카 버나드 · 데이먼 마이너 마크 할버그 J.P. 마르티네즈 맷 윌리엄스 우에마츠 타이라 알렉스 버그 | |||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산하 AA팀 로스터 보기 |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95번 | ||||
알렉스 버그 (2022~2023) | → | 팻 버렐 (2024~) | → | 현역 |
<colbgcolor=#000><colcolor=#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No.95 | |
팻 버렐 Pat Burrell | |
본명 | 패트릭 브라이언 버렐 Patrick Brian Burrell |
출생 | 1976년 10월 10일 ([age(1976-10-10)]세) |
아칸소 주 유레카 스프링스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벨라마인 칼리지 프리페러토리 - 마이애미 대학교 |
신체 | 193cm / 106kg |
포지션 | 좌익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98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번, PHI) |
소속팀 | 필라델피아 필리스 (2000~2008) 탬파베이 레이스 (2009~2010)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0~2011) |
지도자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타격코치 (2024~) |
SNS |
[clearfix]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활동한 외야수.2. 선수 경력
2.1. 필라델피아 필리스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그 유명한 J.D. 드류 사태에서 엮이면서 98년 전체 1순위로 지명되었다.
베이스볼 아메리카 유망주 순위 2위까지 올랐다. 비슷한 수준의 (역대) 톱급 유망주들의 성적은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를 참조.
2000년 데뷔했다. 본래 드루 못지 않은 강력한 선구안과 장타력을 자랑하는 OPS 히터 1루수로서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였다.
드래프트에서 $3.15m의 계약금으로 5년짜리 계약에 서명한 뒤 좌익수로 컨버젼하여 2000년부터 뛰었으며, 필리스에서 뛴 9년 동안 .257 .367 .485 비율스탯과 251홈런을 기록했다. 스캇 롤렌이 떠나고 남은 예산으로 필리스의 에드 웨이드 단장이 버렐에게 6년 $50m 계약을 안겨준 첫해인 2003년 삽을 들며 필리 극성팬들에게 쌍욕을 듣기도 했다만, 어쨌든 매년 출중한 선구안과 알아주는 장타력으로 필리스의 중심타자로 자리매김했던 선수였다. 특히 버렐의 필리스 소속 8년 연속 20홈런은 마이크 슈미트 외엔 그 누구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었다.
하지만 좌익수 수비가 너무 안 좋았다. 2002~11 10시즌 동안 UZR이 -43.9를 기록할 정도.[1] 게다가 필리스의 1루에는 짐 토미와 라이언 하워드가 있었기 때문에 1루로의 컨버젼은 꿈도 못 꿀 일이었다.
결국 나이가 들면서 부상까지 잦아지며 수비가 불안정해지자, 2008년 계약 마지막해 필리스는 우승반지를 챙겨주자마자 재계약 포기를 통보했고, 2009년 탬파베이 레이스와 지명타자로 2년 $16m 계약을 맺었다. 필리스의 우승반지 수여식에 나온 버렐은 그날 은퇴식을 한 팻 길릭 단장과 함께 우레와 같은 기립박수를 받았다.
2.2. 탬파베이 레이스
하지만 2009년 지명타자로서 버렐은 .221 .315 .367를 기록하며 제대로 망했고, 수비 못하는 선수를 무조건 DH로 돌리는게 능사가 아님을 증명하는 사례가 되었다. 결국 2010년 중 버렐은 행크 블레이락의 콜업에 맞춰 방출되었다.2.3.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그런 버렐을 주워갔는데 쏠쏠한 활약을 했다. 비록 96경기 341타석밖에 안뛰었지만 .266 .364 .509 18홈런을 기록하며 무시무시한 재기를 보여줬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우승에 큰 기여를 하며 통산 두번째 우승반지를 차지했다. 다만 체이스 어틀리가 NLCS 자이언츠전에서 실책을 하자 자이언츠 팬들에게 "어틀리 저지 사랔ㅋㅋㅋ"라는 최악의 개드립을 날렸고 필리스 팬들에게 주적으로 불렸다. 정규시즌 후반기 로이 오스왈트에게 홈런을 때려낼 때만 해도 박수갈채를 받았건만...2.4. 은퇴
이후 2011년 버렐은 오른발 부상에 시달리며 장타력까지 하락했고 결국 12년의 커리어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필라델피아 구단에서는 1일짜리 계약을 맺고 버렐의 은퇴식을 열어주었다.3. 지도자 경력
3.1.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4 시즌 샌프란시스코에 타격코치로 합류해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4. 여담
- 빌리 와그너가 2004~05년 필리스 소속이었을 당시 지나친 솔직함 탓에 동료들과 융화되지 못했던 그를 왕따시켰던 주범이었다. 심지어 동료들 앞에서 그를 '쥐새끼'라 모욕하기도 했다.
- 버렐은 그 부실한 좌익수 수비를 가지고 있음에도 어린이를 대상으로 야구의 이모저모를 가르쳐주는 프로그램에 나와서 직접 "좌익수 수비"에 대해 코칭을 해준 적이 있다.
이대형이 알려주는 홈런 잘 치는 법실제로 미국팬들에게 조롱을 받았고 이역만리 한국팬들도 보면서 어이없어 했다.
- 2017년 입후보한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는 단 한 표도 얻지 못하고 그대로 광탈했다.
- OOTP 22의 부컨텐츠인 퍼펙트 팀에서, 필리스의 프랜차이즈 히어로 1로서 SE카드가 출시되었다. 당장 필리스에 그보다 더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고 프랜차이즈로서 의미가 더 깊은 선수들이 많은데 하필 팻 버렐이 나온 것[2]에 대해 퍼펙트 팀을 하는 모든 사람들이 웃음을 참지 못했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 내셔널 리그 | |||||
<colcolor=#FFFFFF> 동부 | ||||||
팀 하이어스 | 페드로 게레로 | 제레미 반스 에릭 차베스 | 케빈 롱 | 다넬 콜스 | ||
중부 | ||||||
더스틴 켈리 | 크리스 발라이카 | 코너 도슨 에릭 세이센 | 맷 헤이그 | 브랜트 브라운 | ||
서부 | ||||||
조 매더 | 헨슬리 뮬렌 | 애런 베이츠 로버트 반 스코욕 | 빅터 로드리게스 | 팻 버렐 | ||
아메리칸 리그 | ||||||
동부 | ||||||
코디 애시 | 피터 팻츠 | 제임스 로슨 | 채드 모톨라 | 데이비드 팝킨스 | ||
중부 | ||||||
마커스 테임즈 | 그랜트 핑크 | 마이클 브르다 키스 뷰리가드 | 알렉 줌월트 | 맷 보그슐티 | ||
서부 | ||||||
알렉스 신트론 트로이 스니커 | 칠리 데이비스 조니 워싱턴 | 토미 에베리지 | 케빈 세이처 | 저스틴 비엘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184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릭 먼데이 (OF) | 스티븐 칠콧 (C) | 론 블롬버그 (1B) | 팀 폴리 (SS) | 제프 버로우스 (OF) |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마이크 아이비 (C) | (C) | 데이브 로버츠 (3B) | 데이비드 클라이드 (LHP) | 빌 알몬 (SS) |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대니 굿윈 (C) | 플로이드 배니스터 (LHP) | 해롤드 베인스 (1B) | 밥 호너 (3B) | 알 챔버스 (OF) |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대럴 스트로베리 (OF) | 마이크 무어 (RHP) | 숀 던스턴 (SS) | (RHP) | 숀 아브너 (OF) |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B.J. 서호프 (SS) | 제프 킹 (SS) | 켄 그리피 주니어 (OF) | 앤디 베네스 (RHP) | 벤 맥도널드 (RHP) |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치퍼 존스 (SS) | 브라이언 테일러 (LHP) | 필 네빈 (3B) | 알렉스 로드리게스 (SS) | 폴 윌슨 (RHP) |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대린 어스태드 (OF) | 크리스 벤슨 (RHP) | 맷 앤더슨 (RHP) | 팻 버렐 (3B) | 조시 해밀턴 (OF) |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아드리안 곤잘레스 (1B) | 조 마우어 (C) | 브라이언 벌링턴 (RHP) | 델몬 영 (OF) | 맷 부시 (SS) |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저스틴 업튼 (SS) | 루크 호체이버 (RHP) | 데이비드 프라이스 (LHP) | 팀 베컴 (SS)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RHP)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브라이스 하퍼 (OF) | 게릿 콜 (RHP) | 카를로스 코레아 (SS) | 마크 어펠 (RHP) | (LHP)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댄스비 스완슨 (SS) | 미키 모니악 (OF) | 로이스 루이스 (SS) | 케이시 마이즈 (RHP) | 애들리 러치맨 (C) |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스펜서 토켈슨 (3B) | 헨리 데이비스 (C) | 잭슨 홀리데이 (SS) | 폴 스킨스 (P) | 트래비스 바자나 (2B) | |
2025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81828> | 필라델피아 필리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 1965년 ~ | ||||
1965 투수 / 전체 18번 | 1966 마이클 비코 투수 / 전체 9번 | 1967 필 마이어 투수 / 전체 14번 | 1968 그렉 루진스키 1루수 / 전체 11번 | 1969 마이크 앤더슨 1루수 / 전체 6번 | |
1970 마이크 마틴 투수 / 전체 5번 | 1971 로이 토마스 투수 / 전체 6번 | 1972 래리 크리스텐슨 투수 / 전체 3번 | 1973 존 스턴스 포수 / 전체 2번 | 1974 로니 스미스 외야수 / 전체 3번 | |
1975 새미 웰본 투수 / 전체 12번 | 1976 제프 크라우스 유격수 / 전체 17번 | 1977 스캇 머닝호프 투수 / 전체 22번 | 1978 립 롤린스 1루수 / 전체 23번 | FA 피트 로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1980 헨리 포웰 포수 / 전체 13번 | 1981 자니 아브레고 투수 / 전체 20번 | 1982 존 러셀 포수 / 전체 13번 | 1983 리키 조던 1루수 / 전체 22번 | 1984 피트 스미스 투수 / 전체 21번 | |
1985 트레이 맥칼 포수 / 전체 16번 | 1986 브래드 브링크 투수 / 전체 7번 | FA 랜스 패리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88 팻 콤스 투수 / 전체 11번 | 1989 제프 잭슨 외야수 / 전체 4번 | |
1990 마이크 리버설 포수 / 전체 3번 | 1991 타일러 그린 투수 / 전체 10번 | 1992 채드 맥코넬 외야수 / 전체 13번 | 1993 웨인 고메스 투수 / 전체 4번 | 1994 칼튼 로워 투수 / 전체 23번 | |
1995 레지 테일러 외야수 / 전체 14번 | 1995[1] 데이브 코긴 투수 / 전체 30번 | 1996 애덤 이튼 투수 / 전체 11번 | 1997 외야수 / 전체 2번 | 1998 팻 버렐 3루수 / 전체 1번 | |
1998[2] 에릭 발렌트 외야수 / 전체 42번 | 1999 브렛 마이어스 투수 / 전체 12번 | 2000 체이스 어틀리 2루수 / 전체 15번 | 2001 개빈 플로이드 투수 / 전체 4번 | 2002 콜 해멀스 투수 / 전체 17번 | |
FA 짐 토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4 그렉 골슨 외야수 / 전체 21번 | FA 존 리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6[3] 카일 드라벡 투수 / 전체 18번 | 2006[3] 아드리안 카데나스 유격수 / 전체 37번 | |
FA 톰 고든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7 조 사베리 투수 / 전체 19번 | 2007[5] 트래비스 다노 포수 / 전체 37번 | 2008 앤서니 헤위트 유격수 / 전체 24번 | 2008[6] 잭 콜리어 외야수 / 전체 34번 | |
FA 라울 이바녜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0 제시 비들 투수 / 전체 27번 | 2011[7] 래리 그린 외야수 / 전체 39번 | FA 클리프 리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2[8] 셰인 왓슨 투수 / 전체 40번 | |
2012[9] 미치 귤러 투수 / 전체 54번 | FA 조나단 파펠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3 J.P. 크로포드 유격수 / 전체 16번 | 2014 애런 놀라 투수 / 전체 7번 | 2015 코넬리우스 랜돌프 유격수 / 전체 10번 | |
2016 미키 모니악 외야수 / 전체 1번 | 2017 애덤 해슬리 외야수 / 전체 8번 | 2018 알렉 봄 3루수 / 전체 3번 | 2019 브라이슨 스탓 유격수 / 전체 14번 | 2020 믹 아벨 투수 / 전체 15번 | |
2021 앤드류 페인터 투수 / 전체 13번 | 2022 저스틴 크로포드 외야수 / 전체 17번 | 2023 에이단 밀러 유격수 / 전체 27번 | 2024 단테 노리 외야수 / 전체 27번 |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e81828> | 필라델피아 야구 명예의 벽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1919,#ffffff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
코니 맥 | 지미 폭스 | 레프티 그로브 | 알 시몬스 | 미키 코크런 | |
지미 다익스 | 에디 플랭크 | 루브 워델 | 에디 콜린스 | 월리 모세스 | |
밥 존슨 | 엘머 발로 | 치프 벤더 | 잭 쿰스 | 홈런 베이커 | |
바비 샨츠 | 에디 주스트 | 에디 롬멜 | 페리스 페인 | 빙 밀러 | |
샘 채프먼 | 조지 언쇼 | 거스 저니얼 | 루브 월버그 | 루브 올드링 | |
필라델피아 필리스 | |||||
로빈 로버츠 | 리치 애시번 | 척 클라인 |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 | 델 에니스 | |
짐 버닝 | 에드 델라한티 | 사이 윌리엄스 | 그래니 햄너 | 폴 오웬스 | |
스티브 칼튼 | 마이크 슈미트 | 래리 보와 | 크리스 쇼트 | 커트 시몬스 | |
딕 앨런 | 윌리 존스 | 샘 톰슨 | 자니 캘리슨 | 그렉 루진스키 | |
터그 맥그로 | 개비 크러배스 | 게리 매덕스 | 토니 테일러 | 셰리 매기 | |
빌리 해밀턴 | 밥 분 | 댈러스 그린 | 존 부코비치 | 후안 새뮤얼 | |
해리 칼라스 | 대런 돌튼 | 존 크럭 | 마이크 리버설 | 커트 실링 | |
찰리 매뉴얼 | 팻 버렐 | 짐 토미 | 팻 길릭 | 로이 할러데이 | |
바비 아브레우 | 매니 트리요 | 베이크 맥브라이드 | 론 리드 | 룰리 카펜터 | |
존 퀸 | 스캇 롤렌 |
팻 버렐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
2008 | 2010 |
J.D. 드류 (플로리다 주립대 / OF) | → | 팻 버렐 (마이애미대 / 3B) | → | 제이슨 제닝스 (베일러대 / P) |
팻 버렐의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33번 | ||||
커크 벌린저 (2000) | → | <colcolor=#ffffff> 팻 버렐 (2000) | → | 릴 코리미어 (2001) | |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5번 | |||||
론 갠트 (1999~2000) | → | 팻 버렐 (2001~2008) | → | 마이크 스위니 (2010) | |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5번 | |||||
로코 발델리 (2003~2008) | → | 팻 버렐 (2009~2010) | → | 로코 발델리 (2010)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9번 | |||||
마크 스위니 (2006~2007) | → | <colbgcolor=#fd5a1e> 팻 버렐 (2010) | → | 브랜든 벨트 (2011~2022)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5번 | |||||
후안 유리베 (2009~2010) | → | 팻 버렐 (2011) | → | 라이언 테리엇 (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