펑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 상하이시의 시할구에 대한 내용은 펑셴구 문서 참고하십시오.태풍 명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나라 |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캄보디아 | 담레이 (Damrey) | 콩레이 (Kong-rey) | 나크리 (Nakri) | 크로반 (Krovanh) | 트라세 (Trases) | |
중국 | | 인싱 (Yinxing) | 펑선 (Fengshen) | 두쥐안 (Dujuan) | 무란 (Mulan) | |
북한 | 기러기 (Kirogi) | 도라지 (Toraji) | 갈매기 (Kalmaegi) | 수리개 (Surigae) | 메아리 (Meari) | |
홍콩 | 윈욍 (Yun-yeung) | 마니 (Man-yi) | 풍웡 (Fung-wong) | 초이완 (Choi-wan) | 칭마* (Tsingma) | |
일본 | 고이누 (Koinu) | 우사기 (Usagi) | 고토* (Koto) | 고구마 (Koguma) | 도카게 (Tokage) | |
라오스 | 볼라벤 (Bolaven) | 파북 (Pabuk) | 노카엔* (Nokaen) | 참피 (Champi) | 옹망* (Ongmang) | |
마카오 | 산바 (Sanba) | 우딥 (Wutip) | 페냐* (Penha) | 인파 (In-fa) | 무이파 (Muifa) | |
말레이시아 | 즐라왓 (Jelawat) | 스팟 (Sepat) | 누리 (Nuri) | 츰파카 (Cempaka) | 므르복 (Merbok) | |
미크로네시아 연방 | 에위니아 (Ewiniar) | 문 (Mun) | 실라코 (Sinlaku) | 네파탁 (Nepartak) | 난마돌 (Nanmadol) | |
필리핀 | 말릭시 (Maliksi) | 다나스 (Danas) | 하구핏 (Hagupit) | 루핏 (Lupit) | 탈라스 (Talas) | |
대한민국 | 개미 (Gaemi) | 나리 (Nari) | 장미 (Jangmi) | 미리내 (Mirinae) | 호두* (Hodu) | |
태국 | 프라피룬 (Prapiroon) | 위파 (Wipha) | 메칼라 (Mekkhala) | 니다 (Nida) | 꿀랍 (Kulap) | |
미국 | 마리아 (Maria) | 프란시스코 (Francisco) | 히고스 (Higos) | 오마이스 (Omais) | 로키 (Roke) | |
베트남 | 손띤 (Son-Tinh) | 꼬마이* (Co-May) | 바비 (Bavi) | 룩빈* (Lucbinh) | 선까 (Sonca) | |
캄보디아 | 암필 (Ampil) | 크로사 (Krosa) | 마이삭 (Maysak) | 찬투 (Chanthu) | 네삿 (Nesat) | |
중국 | 우쿵 (Wukong) | 바이루 (Bailu) | 하이선 (Haishen) | 뎬무 (Dianmu) | 하이탕 (Haitang) | |
북한 | 종다리 (Jongdari) | 버들 (Podul) | 노을 (Noul) | 민들레 (Mindulle) | 잠자리* (Jamjari) | |
홍콩 | 산산 (Shanshan) | 링링 (Lingling) | 돌핀 (Dolphin) | 라이언록 (Lionrock) | 바냔 (Banyan) | |
일본 | 야기 (Yagi) | 가지키 (Kajiki) | 구지라 (Kujira) | 도케이* (Tokei) | 야마네코 (Yamaneko) | |
라오스 | 리피 (Leepi) | 농파* (Nongfa) | 찬홈 (Chan-hom) | 남테운 (Namtheun) | 파카르 (Pakhar) | |
마카오 | 버빙카 (Bebinca) | 페이파 (Peipah) | 페이러우* (Peilou) | 말로 (Malou) | 상우 (Sanvu) | |
말레이시아 | 풀라산 (Pulasan) | 타파 (Tapah) | 낭카 (Nangka) | 냐토 (Nyatoh) | 마와르 (Mawar) | |
미크로네시아 연방 | 솔릭 (Soulik) | 미탁 (Mitag) | 사우델 (Saudel) | 사르불* (Sarbul) | 구촐 (Guchol) | |
필리핀 | 시마론 (Cimaron) | 라가사* (Ragasa) | 나라* (Narra) | 아무야오* (Amuyao) | 탈림 (Talim) | |
대한민국 | 제비 (Jebi) | 너구리 (Neoguri) | 개나리* (Gaenari) | 고사리* (Gosari) | | |
태국 | 끄라톤 (Krathon) | 부알로이 (Bualoi) | 앗사니 (Atsani) | 차바 (Chaba) | 카눈 (Khanun) | |
미국 | 바리자트 (Barijat) | 마트모 (Matmo) | 아타우 (Etau) | 에어리 (Aere) | 란 (Lan) | |
베트남 | 짜미 (Trami) | 할롱 (Halong) | 방랑* (Bang-lang) | 송다 (Songda) | | |
*: 사용 예정 / |
제명된 태풍 명칭 |
1. 개요
펑선(Fengshen)은 중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바람의 신(風神)을 뜻한다. 2002년에는 '펑셴'으로 쓰였으나 이후 '펑선'으로 정정되었다.역대 "펑선" 태풍들의 최전성기 세력 | ||||
연도/번호 | 중심기압(hPa) | 1분풍속(m/s) | 10분풍속(m/s) | 최대직경(km) |
2002년 제9호 | 920 | 75 | 51 | 1,050 |
2008년 제6호 | 945 | 57 | 46 | 520 |
2014년 제14호 | 975 | 33 | 31 | 800 |
2019년 제25호 | 965 | 59 | 44 | 460 |
2. 2002년 제9호 태풍
2002년 태풍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타파 | 미톡 | 하기비스 | 너구리 | 라마순* |
차타안 | 할롱 | 나크리* | 펑셴* | 갈매기 | |
퐁웡* | 간무리 | 판폰 | 봉퐁 | 루사* | |
신라쿠 | 엘레 | 하구핏 | 장미 | 멕클라 | |
히고스 | 바비 | 마이삭 | 허코 | 하이셴 | |
봉선화 | |||||
← 2001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03년 태풍 → |
2002년 태풍 |
제8호 나크리 → 제9호 펑셴 → 제10호 갈매기 |
2002년 제9호 태풍 펑셴 | ||
위성사진 | ||
진로도 | ||
활동 기간 | 2002년 7월 14일 9시 ~ 2002년 7월 27일 21시 | |
영향 지역 | 북마리아나 제도, 일본, 대한민국, 중국 산둥성 | |
태풍 등급 | 5등급[JTWC] | |
10분 등급 | 매우 강한 태풍[JMA] | |
태풍 크기 | 대형(직경 1,050km) | |
최저 기압 | 920hPa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75m/s |
10분 평균 | 51m/s | |
피해 | 사망자 | 5명 |
피해총액 | 400만 달러[3] |
날짜변경선 부근 해상에서 발생한 뒤 계속 서북서진하며 상당히 강력하게 발달했다가, 일본 규슈, 대한민국 제주도와 남해안에 직접 영향을 줬었다.
제주도에서는 경기장 지붕이 뜯겨져 나가는 등 일부 피해가 있었다. 남부 지방 한정으로 일시적으로나마 폭염을 식혀주기도 하였다.
2002년 당시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개정 전이라 펑셴으로 표기하였다.
2.1. 기록
순간최대풍속(m/s) | |
제주 | 고산 30.2 서귀포 28.7 |
전라 | 장흥 21.0 |
3. 2008년 제6호 태풍
2008년 태풍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너구리 | 람마순 | 마트모 | 할롱 | 나크리 |
펑선 | 갈매기* | 풍웡 | 간무리 | 판폰 | |
봉퐁 | 누리 | 실라코 | 하구핏 | 장미* | |
메칼라 | 히고스 | 바비 | 마이삭 | 하이선 | |
노을 | 돌핀 | ||||
← 2007년 태풍 |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09년 태풍 → |
2008년 태풍 |
제5호 나크리 → 제6호 펑선 → 제7호 갈매기 |
2008년 제6호 태풍 펑선 | ||
위성사진 | ||
진로도 | ||
활동 기간 | 2008년 6월 19일 9시 ~ 2008년 6월 25일 15시 | |
영향 지역 | 필리핀, 중국, 홍콩 | |
태풍 등급 | 3등급[JTWC] | |
10분 등급 | 매우 강한 태풍[JMA] | |
태풍 크기 | 소형(직경 520km) | |
최저 기압 | 945hPa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57m/s |
10분 평균 | 46m/s | |
피해 | 사망자 | 1,371명 |
실종자 | 87명 | |
피해총액 | 4억 3,000만 달러[6] |
특이하게 필리핀 중부 지방에서 최성기를 맞이했던 태풍이다.
필리핀 해상에서 MV 프린세스 오브 더 스타스 호가 침몰해 많은 수의 사망/실종자가 발생했다. 이 사고를 제외하고도 본토에서 사망자가 557명으로 집계되었다.
총 사망자 수는 1,371명, 실종자 수는 87명으로 매우 컸지만 제명되지는 않았다. 불과 2년 전에 태풍 두리안의 영향으로 필리핀에서 1,399명이 사망하여 제명 신청을 하였으나 펑선은 이례적으로 제명 신청을 하지 않았다. 다만 필리핀 기상청(PAGASA)에서 부여한 이름인 'Frank'는 제명되었다. 제명 신청 기준이 낮아진 2020년대에 이러한 인명피해를 내면 무조건 제명된다.[7]
4. 2014년 제14호 태풍
2014년 태풍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링링 | 가지키 | 파사이 | 페이파 | 타파 |
미탁 | 하기비스 | 너구리* | 람마순 | 마트모 | |
할롱* | 나크리* | 제너비브 | 펑선 | 갈매기 | |
풍웡* | 간무리 | 판폰 | 봉퐁* | 누리 | |
실라코 | 하구핏 | 장미 | |||
← 2013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15년 태풍 → |
2014년 태풍 |
제13호 제너비브 → 제14호 펑선 → 제15호 갈매기 |
2014년 제14호 태풍 펑선 | ||
위성사진 | ||
진로도 | ||
활동 기간 | 2014년 9월 7일 3시 ~ 2014년 9월 11일 3시 | |
영향 지역 | 일본 | |
태풍 등급 | 1등급[JTWC] | |
10분 등급 | 강한 열대폭풍[JMA] | |
태풍 크기 | 중형(직경 800km) | |
최저 기압 | 975hPa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33m/s |
10분 평균 | 31m/s |
5. 2019년 제25호 태풍
2019년 태풍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파북 | 우딥 | 스팟 | 문 | 다나스* |
나리 | 위파 | 프란시스코* | 레끼마* | 크로사* | |
바이루 | 버들 | 링링* | 가지키 | 파사이 | |
페이파 | 타파* | 미탁* | 하기비스* | 너구리 | |
부알로이 | 마트모 | 할롱 | 나크리 | 펑선 | |
갈매기 | 풍웡 | 간무리 | 판폰 | ||
← 2018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20년 태풍 → |
2019년 태풍 |
제24호 나크리 → 제25호 펑선 → 제26호 갈매기 |
2019년 제25호 태풍 펑선 | ||
위성사진 | ||
진로도 | ||
활동 기간 | 2019년 11월 12일 9시 ~ 2019년 11월 17일 21시 | |
영향 지역 | 일본 미나미토리 섬 | |
태풍 등급 | 4등급[JTWC] | |
10분 등급 | 매우 강한 태풍[JMA] | |
태풍 크기 | 소형(직경 460km) | |
최저 기압 | 965hPa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59m/s |
10분 평균 | 44m/s |
5.1. 태풍의 진행
2019년 제25호 태풍 펑선(FENGSHEN)은 11월 12일 9시에 중심기압 1000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20km, 크기 '소형'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괌 동쪽 약 1,7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발생 이후 서북서~북서진하며 급발달해서 11월 15일 15시에 미국 괌 북북서쪽 약 7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44m/s, 강풍 반경 220km의 세력 '매우 강', 크기 '소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동북동~동~동남동진하면서 상층 환경이 안 좋은 곳으로 가면서 서서히 약화되었고, 일본 기상청 베스트 트랙 기준으로 11월 17일 21시에 괌 북북서쪽 약 7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2019년 11월 19일에 열대저압부 상태로 일본 미나미토리시마 부근 해상에 접근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완전히 와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