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 개요
람마순(Rammasun / รามสูร)은 태국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번개의 신을 의미한다. 2002년에는 '라마순'으로 쓰였다가 이후 '람마순'으로 정정되었다. 2014년에 슈퍼태풍으로 발달하면서, 필리핀, 베트남, 중국 남부에 엄청난 피해를 입히고 제명당했다. 이후 '부알로이'가 이름을 대체하게 되었다.역대 "람마순" 태풍들의 최전성기 세력 | ||||
연도/번호 | 중심기압(hPa) | 1분풍속(m/s) | 10분풍속(m/s) | 최대직경(km) |
2002년 제5호 | 945 | 57 | 44 | 1,600 |
2008년 제2호[1] | 915 | 67 | 54 | 850 |
2014년 제9호[2] | 935 | 72 | 46 | 590 |
2. 2002년 제5호 태풍
2002년 태풍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타파 | 미톡 | 하기비스 | 너구리 | 라마순* |
차타안 | 할롱 | 나크리* | 펑셴* | 갈매기 | |
퐁웡* | 간무리 | 판폰 | 봉퐁 | 루사* | |
신라쿠 | 엘레 | 하구핏 | 장미 | 멕클라 | |
히고스 | 바비 | 마이삭 | 허코 | 하이셴 | |
봉선화 | |||||
← 2001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03년 태풍 → |
2002년 태풍 |
제4호 너구리 → 제5호 라마순 → 제6호 차타안 |
2002년 제5호 태풍 라마순 | ||
위성사진 | ||
진로도 | ||
활동 기간 | 2002년 6월 29일 9시 ~ 2002년 7월 6일 21시 | |
영향 지역 | [[필리핀| ]][[틀:국기| ]][[틀:국기| ]] 루손섬 [[대만| ]][[틀:국기| ]][[틀:국기| ]] 전역 [[일본| ]][[틀:국기| ]][[틀:국기| ]] 난세이 제도, 본토[3] [[중국| ]][[틀:국기| ]][[틀:국기| ]] 화둥 전역[4]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전역 [[북한| ]][[틀:국기| ]][[틀:국기| ]]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 |
태풍 등급 | 3등급[JTWC] | |
10분 등급 | 매우 강한 태풍[JMA] | |
태풍 크기 | 초대형(직경 1,600km) | |
최저 기압 | 945hPa[7]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57m/s |
10분 평균 | 44m/s | |
피해 | 사망 | 97명 |
피해총액 | 1억 달러[8] |
한국에는 2002년 월드컵이 끝날 무렵에 발생해서[9] 2002년 7월 6일에 상륙했었으나[10] 바로 다음 달에 중부 지방 집중호우와 태풍 '루사'가 상륙해 역대급 재산피해를 입히고 강수량 신기록을 세우면서 결과적으로 묻힌 감이 있다.
===# 진로 경과 #===
<rowcolor=#fff>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 JMA |
6월 26일 21시 | 15kn | - | LPA | 미감시 |
6월 27일 3시 | ||||
6월 27일 9시 | ||||
6월 27일 15시 | 20kn | |||
6월 27일 21시 | ||||
6월 28일 3시 | 25kn | TD | ||
6월 28일 9시 | 30kn | TD | ||
6월 28일 15시 | ||||
6월 28일 21시 | ||||
6월 29일 3시 | 30kn | |||
6월 29일 9시 | 35kn | 열대폭풍 | ||
6월 29일 15시 | 35kn | 40kn | TS | |
6월 29일 21시 | 40kn | 45kn | ||
6월 30일 3시 | 50kn | 강한 열대폭풍 | ||
6월 30일 9시 | 45kn | |||
6월 30일 15시 | ||||
6월 30일 21시 | 50kn | |||
7월 1일 3시 | 55kn | |||
7월 1일 9시 | ||||
7월 1일 15시 | 55kn | 60kn | ||
7월 1일 21시 | 65kn | 65kn | 1등급 | 강한 태풍 |
7월 2일 3시 | 75kn | |||
7월 2일 9시 | 85kn | 2등급 | ||
7월 2일 15시 | 95kn | 70kn | ||
7월 2일 21시 | 105kn | 80kn | 3등급 | |
7월 3일 3시 | 85kn | 매우 강한 태풍 | ||
7월 3일 9시 | 110kn | |||
7월 3일 15시 | ||||
7월 3일 21시 | ||||
7월 4일 3시 | ||||
7월 4일 9시 | ||||
7월 4일 15시 | 105kn | 80kn | 강한 태풍 | |
7월 4일 21시 | 90kn | 75kn | 2등급 | |
7월 5일 3시 | 80kn | 70kn | 1등급 | |
7월 5일 9시 | 65kn | 65kn | ||
7월 5일 15시 | 55kn | 60kn | TS | 강한 열대폭풍 |
7월 5일 21시 | 45kn | 55kn | ||
7월 6일 3시 | 40kn | 45kn | 열대폭풍 | |
7월 6일 9시 | 35kn | 40kn | ||
7월 6일 15시 | 25kn | TD | ||
7월 6일 21시 | - | - | 소멸 | 온대저기압 |
7월 7일 3시 | ||||
7월 7일 9시 | ||||
7월 7일 15시 | ||||
7월 7일 21시 | ||||
7월 8일 3시 | ||||
7월 8일 9시 | 소멸 및 감시 종료 |
2.1. 기록
순간최대풍속(m/s) | |
제주 | 고산 29.9 성산 23.0 |
경상 | 남해 23.1 영덕 19.3 산청 19.0 |
전라 | 흑산도 31.0 장흥 24.0 해남 23.8 남원 17.7 |
3. 2008년 제2호 태풍
2008년 태풍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너구리 | 람마순 | 마트모 | 할롱 | 나크리 |
펑선 | 갈매기* | 풍웡 | 간무리 | 판폰 | |
봉퐁 | 누리 | 실라코 | 하구핏 | 장미* | |
메칼라 | 히고스 | 바비 | 마이삭 | 하이선 | |
노을 | 돌핀 | ||||
← 2007년 태풍 |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09년 태풍 → |
2008년 태풍 |
제1호 너구리 → 제2호 람마순 → 제3호 마트모 |
2008년 제2호 태풍 람마순 | ||
위성사진 | ||
진로도 | ||
활동 기간 | 2008년 5월 8일 3시 ~ 2008년 5월 13일 9시 | |
영향 지역 | 필리핀, 일본 | |
태풍 등급 | 4등급[JTWC] | |
10분 등급 | 맹렬한 태풍[JMA] | |
태풍 크기 | 중형(직경 850km) | |
최저 기압 | 915hPa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67m/s |
10분 평균 | 54m/s | |
피해 | 사망자 | 4명 |
부상자 | 40명 | |
피해총액 | 960만 달러[13] |
4. 2014년 제9호 태풍
제명된 태풍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1 와메이 | 2002 차타안 | 2002 루사K | 2002 봉선화N | 2003 야냔 |
2003 임부도 | 2003 매미KN | 2004 수달S | 2004 팅팅 | 2004 라나님 | |
2005 맛사K | 2005 나비KS | 2005 룽왕 | 2006 짠쯔K | 2006 빌리스 | |
2006 사오마이 | 2006 이오케H | 2006 상산 | 2006 두리안 | 2009 모라꼿K | |
2009 켓사나 | 2009 파마 | 2010 파나피 | 2011 와시 | 2012 비센티 | |
2012 보파 | 2013 소나무N | 2013 우토르 | 2013 피토 | 2013 하이옌 | |
2014 람마순 | 2015 사우델로르K | 2015 무지개N | 2015 곳푸 | 2015 멜로르 | |
2016 므란티K | 2016 사리카 | 2016 하이마 | 2016 녹텐 | 2017 하토 | |
2017 카이탁 | 2017 덴빈 | 2018 룸비아K | 2018 망쿳 | 2018 위투 | |
2019 레끼마K | 2019 파사이 | 2019 하기비스K | 2019 간무리 | 2019 판폰 | |
2020 봉퐁 | 2020 린파 | 2020 몰라베 | 2020 고니S | 2020 밤꼬 | |
2021 꼰선 | 2021 곤파스 | 2021 라이 | 2022 말라카스 | 2022 메기S | |
2022 망온 | 2022 힌남노K | 2022 노루S | 2022 날개N | 2023 독수리S | |
2023 도라H | 2023 사올라 | 2023 하이쿠이 | |||
K: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 H: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 때의 이름이 붙어 있으나 제명이 된 태풍 S: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 N: 북한에서 제출한 이름 | }}}}}}}}} | ||||
태풍 명칭 |
2014년 태풍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링링 | 가지키 | 파사이 | 페이파 | 타파 |
미탁 | 하기비스 | 너구리* | 람마순 | 마트모 | |
할롱* | 나크리* | 제너비브 | 펑선 | 갈매기 | |
풍웡* | 간무리 | 판폰 | 봉퐁* | 누리 | |
실라코 | 하구핏 | 장미 | |||
← 2013년 태풍 |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 2015년 태풍 → |
2014년 태풍 |
제8호 너구리 → 제9호 람마순 → 제10호 마트모 |
2014년 제9호 태풍 람마순 | ||
위성사진 | ||
진로도 | ||
활동 기간 | 2014년 7월 12일 15시 ~ 2014년 7월 20일 3시 | |
영향 지역 | 북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필리핀, 중국 하이난 성, 광시 좡족 자치구, 윈난 성, 홍콩, 마카오, 베트남 | |
태풍 등급 | 5등급[JTWC] | |
10분 등급 | 매우 강한 태풍[JMA] | |
태풍 크기 | 소형(직경 590km) | |
최저 기압 | 935hPa[KMA] | |
최대 풍속 | 1분 평균 | 72m/s |
10분 평균 | 46m/s | |
피해 | 사망자 | 225명 |
피해총액 | 80억 8,000만 달러 (2014 USD) 107억 달러 (2024 USD) |
막대한 피해를 입혀 제명되었다. 심지어 이 태풍은 중국 하이난성에 상륙하기 직전 최전성기에 도달했다.
필리핀에서 4등급까지 강해지며 약해지다가 하이난 섬에서 결국 5등급까지 찍은 매우 끈질긴 태풍이였다.
필리핀, 중국 남부지역, 베트남 북부 지역에서는 악몽과도 같은 태풍이였고 10년 뒤 '야기'가 람마순과 비슷한 경로로 위에 세 국가를 포함해 여러 동남아 국가까지 심각한 피해를 입히며 이 태풍의 악몽을 다시 상기시켰다.
[1] 중심기압, 10분풍속 부문[2] 1분풍속 부문[3] 규슈(가고시마, 미야자키, 나가사키, 돗토리)[4] 푸젠성, 장시성, 저장성, 상하이시, 안후이성, 장쑤성, 산둥성[JTWC] [JMA] [7] KMA 최저 기압 945hPa, 최대 풍속 44m/s[8] 2002 USD[9] FIFA 월드컵은 대체로 6월 10일경에 시작해서 7월 10일을 전후해서 끝났는데, 2002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의 장마철을 피하기 위해 개막일을 5월 31일로 앞당겼고, 이것이 신의 한 수가 되었다.[10] 참고로 비 태풍이었다.[JTWC] [JMA] [13] 2008 USD[JTWC] [JMA] [KMA] 중심기압 925hPa, 10분 평균 풍속 51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