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4-15 20:28:07

프랭크 윌리엄스

프랭크 윌리엄스 경에서 넘어옴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리들리
스콧
(2024)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핼퍼드 매킨더
(1920)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나이젤 쇼트
(1999)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파일:프랭크 윌리엄스 경.jpg
이름 Sir. Francis Owen Garbett Williams CBE
생년월일 1942년 4월 16일
사망 2021년 11월 28일 (향년 79세)
국적 영국
활동 연도 1966년~ 2021년
작위 기사 (Knight Bachelor)

1. 개요2. 행적3. 모터스포츠에서4. 개인 및 가정사5. 여담

1. 개요

Sir Frank Williams.

윌리엄스 레이싱 팀의 공동 설립자. 1977년부터 2020년까지 약 43년 동안 자신의 이름을 딴 윌리엄스 그랑프리 엔지니어링 팀의 수장으로 지내며 포뮬러 1 내에서 을 배출해냈다. 2020년 9월에는 팀의 운영권을 도릴턴 캐피탈에게 넘겨주었다.

2. 행적

프랭크 윌리엄스는 1942년 4월 16일 사우스 실즈에서 태어났다. 당시 그의 아버지는 현역 공군 장교로 복무했었고, 그의 어머니는 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윌리엄스는 부모의 결혼 생활이 순탄치 못하게 되어버리자 재로우에서 숙모와 삼촌에게서 유년 시절을 보내게 되었으며 후에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스코틀랜드의 덤프리스 세인트조셉스 대학에서 보낸다. 1950년대 후반에는 프랭크의 친구가 그를 재규어 XK150에 태워주었는데, 이는 윌리엄스를 빠른 자동차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어 자동차에 빠지게 된다.

3. 모터스포츠에서

청년 시절을 드라이버와 정비공으로서 보내며 경력을 쌓자, 윌리엄스는 1966년에 여행용 식료품 판매원으로 일하면서 받은 자금으로 ‘프랭크 윌리엄스 레이싱 자동차’를 설립했다. 그는 포뮬러 2와 포뮬러 3에 있던 피어스 커리지(Piers Courage) 같은 드라이버들과 같이 활동했다. 윌리엄스는 1969년 F1에서 브라밤 섀시를 구입해 당시 피어스가 소속되어 당시 시즌에 2번이나 2위를 차지했다. 1970년에는 알레한드로 드 토마소와 짧은 파트너쉽을 가지기도 했지만 그 해 네덜란드 그랑프리에서 그의 친구인 피어스가 사망하자, 윌리엄스와 드 토마소와의 관계는 종료되기에 이른다. 1971년이 되자, 프랭크는 헨리 페스카롤로와 함께 마치 엔지니어링에서 구입한 섀시로 참가했고 1972년에는 폴리토이 FX3를 구입해 윌리엄스 팀에서 재작업하여 참가했지만 첫 경주에서 충돌하여 반파되었다. 이때 프랭크는 경기 참가 미납금때문에 지원이 끊기자, 공중전화박스에서 팀 업무에 관해 말보로와 이탈리아 자동차 회사인 이소 리볼타에게 후원을 요청했는데, 두 회사는 지원을 약속했지만 제때 해내지는 못했다. 1976년에는 캐나다의 석유 거물인 월터 울프를 만났다. 당시에도 팀은 계속 활동했지만, 더 이상 윌리엄스의 소유가 아니었고, 프랭크는 그 다음해인 77년에 그의 직원 중 한 명이자 엔지니어였던 패트릭 헤드와 함께 떠났다. 둘은 옥스포드셔 디드콧에 있는 빈 카펫 창고를 인수했고, 포뮬러 1에 참가하기 위해 윌리엄스 그랑프리 엔지니어링을 설립한다. 78년에는 클레이 레가조니를 영입하려 하였고, 79년 실버스톤에서 열린 영국 그랑프리에서 레가조니가 윌리엄스 FW07로 우승한다. 드라이버 챔피언십과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은 1년 후 1980년에 거머쥐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앨런 존스가 드라이버 타이틀을 획득하였고 81년부터 1997년까지 6번의 드라이버 챔피언과 8차례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 트로피를 획득했다. 도힙하여 114번의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윌리엄스 F1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1994년 5월, 윌리엄스는 이몰라에서 윌리엄스 FW16에 타고 있던 아일톤 세나가 사망한 후, 이탈리아에서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몇 년 후 무죄 판결을 받았다. 전설 그 자체였던 세나의 죽음 이후, 윌리엄스는 1995년 FW17부터 2021년 FW43B까지 모든 섀시의 노즈 레그 또는 그 주변에 작은 세나 로고를 부착함으로서 헌사를 하고 있다.[1] 2012년 3월, 윌리엄스는 윌리엄스 F1 이사회에서 사임하고 그의 딸 클레어 윌리엄스가 그 자리를 대신할 것이라 발표한 이후, 윌리엄스 팀에서 어떠한 직책도 맡지 않았다.

4. 개인 및 가정사

파일:4E17B15D-8592-4BDF-B4E3-297C7CA3608C.jpg

윌리엄스는 1967년에 아내인 버지니아 베리를 만났으며 이들은 1974년에 결혼했다. 그들은 두 아들인 조나단과 제이미를 두었고 딸은 클레어로, 훗날 그의 포뮬러 1 팀인 윌리엄스 그랑프리 엔지니어링의 부감독이 되었다. 1986년 3월 8일, 윌리엄스는 프랑스 남부에서 일어난 교통사고 때문에 보행이 불가능하여 휠체어 신세를 지게 된다. 사고 발발 직전에는 팀 스폰서 매니저인 피터 윈저와 함께 폴 리카르 서킷에서 니스 코트다쥐르 공항으로 가면서 렌트한 포드 시에라 1600 패밀리 살롱을 운전하고 있던 그였다. 윌리엄스는 팀의 새로운 레이스카인 윌리엄스 FW11의 테스트를 지켜보기 위해 서킷에 있었지만, 다음 날 런던에서 열리는 하프 마라톤에 출전하고 싶다는 생각에 장거리 달리기 선수로 참가하고 싶어 공항으로 돌아오고 있었다.

프랭크는 공항까지 다시 운전해서 돌아오던 중, 도로에서 약간 왼쪽으로 핸들을 튼 채로 렌터카를 통제하지 못해 낮은 돌담을 긁어 지나가면서 고속도로를 빠져나갔다. 당시엔 도로에서 들판까지 2.4m의 높이였는데 추락하면서 차가 운전석 쪽으로 굴러떨어졌다. 사고 직후 윌리엄스는 의식이 있었지만 즉시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을 알았고 연료 유출로 인한 화재를 두려워했다고 한다. 그는 좌석과 지붕 사이에 눌려 제4등뼈와 제5등뼈 사이의 척추 골절상을 입었다. 옆자리 조수석에 동승하고 있던 가벼운 부상만 입은 매니저, 윈저는 구조대를 기다리는 동안 차량에서 윌리엄스를 구출했다. 아내 버지니아는 패트릭 헤드와 함께 프랑스 병원으로 갔고 윌리엄스가 곧 죽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로얄 런던 병원으로 다시 후송되어 의사들이 그의 폐에서 액체를 빼내는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여 다행히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 윌리엄스는 사고의 결과로 지속적인 관리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신체적 의존을 필요로 했다. 버지니아는 1991년에 출판된 자서전인 "다른 종류의 삶"을 썼는데, 이 책에서 그녀는 포뮬러 1 팀의 형성 기간 동안의 경험과 남편 프랭크의 치명적인 사고를 기록했다. 윌리엄스는 생전에 그녀의 책을 읽지 않기로 결정했고 과거에 머무르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버지니아는 2010년에 암 진단을 받았고, 2013년 3월 7일, 6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이후 윌리엄스는 2021년 11월 26일 병원에 입원했고, 이틀 후인 11월 28일 아침 7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윌리엄스는 1986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고 1999년에 기사 작위를 받았다. 또한 프랑스 국적인 르노 F1의 엔진을 사용한 공로로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으며 모터스포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8년에는 위트크로프트(Wheatcroft) 트로피를 받았다. 2010년에는 역경 속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BBC 올해의 스포츠인상 시상식의 헬렌 롤라슨 어워드에서 수상했으며 윌리엄스는 2011년 모터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F1 추모 영상

5. 여담

2012년 옥스포드셔 디드콧에서 새로 착공된 도로는 프랭크 윌리엄스 애비뉴라 명명되었다.

프랭크 윌리엄스의 죽음을 추모하기 위해 모든 10개 팀들이 사우디 아라비아 GP에서 프랭크 윌리엄스의 추모 로고를 부착하였다.


[1] 2022년 FW44부터는 과거를 벗어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붙이지 않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