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정기 운용의 이탈 및 퇴역으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정기 운용의 이탈 및 퇴역으로 인하여, 더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혀기 11-13호 증기기관차 |
1. 개요
수인선, 수려선 등지에서 운행했던 협궤 전용 증기 기관차의 한 종류이다. 허기형의 오기로 착각하기 쉽지만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것으로, 이름은 협궤의 일본어 발음인 '쿄키'(きょうき)에서 나왔다.해방 이후에도 한동안 운행되었으나, 출력 부족과 노후화로 1977년에 전량 퇴역했다.
2. 제원
현재 남아있는 자료가 별로 없어서 제원은 알 수 없다.2.1. 혀기 1형(Hokeyi)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1형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road Hokeyi Class Steam Locomotive | }}} | |
차량 정보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 ||
용도 | - | ||
도입량 | - | ||
차륜배치 | 2-6-2T | ||
도입시기 | 1952년 | ||
운행기간 | 1950 ~ 1970년대 초반 | ||
제작사 | 미쓰비시 중공업 | ||
차량 제원 | |||
전장 | 19,730㎜ | ||
전폭 | -㎜ | ||
전고 | -㎜ | ||
중량 | - | ||
최고속도 | -㎞/h | ||
밸브장치 | - |
6.25전쟁 당시에 미 육군에서 전시에 충당할 기관차가 부족해지자 미쓰비시에 주문하여 도입한 것으로 종전 이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운행하였다.
2.2. 혀기 2형(Hokeye)
2.3. 혀기 3형(Hokeyu)
2.4. 혀기 4형(Hokeyo)
2.5. 혀기 5형(Hokeylo)
2.6. 혀기 6형(Hokeyro)
<nopad> | |
차륜배치 | 2-6-2T |
제작사 | 히타치 |
제작년도 | 1926년 |
2.7. 혀기 7형(Hokeyna)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철도청 혀기 7형 증기기관차 Korean National Railway Hokeyna Class Steam Locomotive | }}} | |
1927년 도입분 | |||
1952년 도입분 | |||
차량 정보 | |||
구분 | 탱크식 증기기관차 (1927년 도입분) 텐더식 증기기관차 (1952년 도입분) | ||
용도 | 전시용 증기기관차 | ||
도입량 | - | ||
차륜배치 | 0-8-0T (1927년 도입분) 2-8-2 (1952년 도입분) | ||
도입시기 | 1927 , 1952년 | ||
운행기간 | 1927 ~ 19??년 | ||
제작사 | 히타치 | ||
니혼사료[1] | |||
차량 제원 | |||
전장 | 14,600㎜ | ||
전폭 | 2,300㎜ | ||
전고 | 3,200㎜ | ||
중량 | 42.94t |
2.8. 혀기 8형(Hokeyha)
일제강점기 도입분 | 1952년 미 육군 도입분 |
차륜배치 | 2-8-2T |
제작사 | 히타치 |
니혼사료 | |
미쓰비시 | |
제작년도 | 1934 ~ 1936 , 1952년 |
일제강점기인 1934년부터 2년간 탱크식으로 도입하여 1952년에 미 육군에서 충당할 기관차가 부족해지자 미쓰비시에 주문 제작한 텐더식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2.9. 혀기 9형(Hokeyahn)
2.10. 혀기 10형(Hokey10)
차륜배치 | 2-8-0 |
제작사 | 기샤세이죠 |
도입년도 | 1936년 |
2.11. 혀기 11형(Hokey11)
자세한 내용은 900호대 증기기관차 문서 참고하십시오.3. 보존 현황
현재 6량이 보존 중이다.- 혀기 1형(1952년 도입분): 경춘선 화랑대역[2]
- 혀기 7형(1952년 도입분): 소래역사관 앞
혀기 8형(1952년 도입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3]- 혀기 8형 28호: 국립어린이과학관
- 혀기 11형 12호: 삼성화재교통박물관[4]
- 혀기 11형 13호: 철도박물관
- 혀기 11형 14호: 평창군 용평리조트 주차장 한 켠에 전시중[5]
[1] 1952년 도입분 제작사[2] 본래 서울어린이대공원에 전시되어 있었으나 2017년 경 같이 전시되었던 협궤 객차 2량과 미카 3형 56호 증기기관차와 함께 이전되었다.[3] 1978년에 박정희가 어린이날 선물로 기증한 증기 기관차 두 대중 하나로(나머지 한 대는 미카 3형 304호로 제주도 삼무공원에 전시중) 흑산도 예리항 인근에 협궤객차 한 대랑 같이 전시되었으나 1996년에 한진중공업에 매각된 이후로 행방불명된 상태이다. 매각당시 부식이 심했던 걸 보면 매각 직후에 폐차된 것으로 추정된다.[4] 차호불명의 비둘기호 객차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5] 현재 보존중인 혀기형 증기기관차 중에서 유일하게 디플렉터(제연판)가 달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