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 2024-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006ab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ddd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font-size: 0.8em" | |
| | | | |
| | | | |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
FC Shakhtar Donetsk | |
<colbgcolor=#f27022><colcolor=#000> 정식 명칭 | Футбольний клуб Шахта́р[1] Доне́цьк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Шахтёр Донецк Football Club Shakhtar Donetsk |
별칭 | Гірники (광부), Kроти (두더지) |
창단 | 1936년 5월 24일 ([age(1936-05-24)]주년)[2] |
소속 리그 | |
연고지 | 도네츠크 (Донецьк/Донецк/Donetsk, 명목상) 키이우 (Київ/Kyiv, 사실상)[3] |
홈구장 |
|
라이벌 | FC 디나모 키이우 - 클라시첸 데르비 FC 메탈루르흐 도네츠크, FC 올림피크 도네츠크 - 도네츠크 더비 |
회장 | |
스포츠 디렉터 | |
감독 | |
주장 | 공석 |
UEFA 랭킹 | 42위 출처 |
공식 웹사이트 | |
우승 기록 | |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 (1부) (15회) | 2001–02, 2004–05, 2005–06, 2007–08,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2–23, 2023–24 |
우크라이나컵 (14회 / 최다 우승) | 1994–95, 1996–97, 2000–01, 2001–02, 2003–04, 2007–08, 2010–11, 2011–12, 2012–13,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23–24 |
우크라이나 슈퍼컵 (8회) | 2005, 2008, 2010, 2012, 2013, 2014, 2015, 2017 |
소비에트컵 (4회) | 1961, 1962, 1980, 1983 |
소비에트 슈퍼컵 (1회) | 1983 |
UEFA 유로파 리그 (1회) | 2008–09 |
클럽 기록 | |
영구결번 | 33 다리요 스르나 (Darijo Srna) |
최고 이적료 영입 | 베르나르드 (Bernard) (2013년, From 클루비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2500만 €) |
최고 이적료 방출 | 미하일로 무드리크 (Mykhaylo Mudryk) (2023년, To 첼시 FC, 7000만 €) |
최다 출장 | 다리요 스르나 (Darijo Srna) - 536경기 (2003-2018) |
최다 득점 | 루이스 아드리아누 (Luiz Adriano) - 128골 (2007-2015) |
[clearfix]
1. 개요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의 축구 클럽. UEFA컵 우승팀이자, 2000년대 후반 우크라이나 리그의 강자로 떠오르다가 현재 디나모 키이우와 리그를 이끌고 있다.팀 이름인 샤흐타르(Шахтар)는 우크라이나어로 광부라는 뜻이다.[10] 연고지인 도네츠크는 유명한 광산 도시로, 돈바스 지역에서 가장 큰 광공업 도시이다. 도네츠크 탄전(炭田)의 중심지인 탓에 석탄 산업이 크게 발달했다. 조금 과장섞어 말하면 도네츠크 자체가 광산 위에 세워진 도시라고 해도 될 정도다. 이는 소련 시절에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소련이 생산량 증대를 위해 벌인 스타하노프 운동과 연관되어 광산 개발이 진행되면서 광부들 숫자가 늘고, 그러면서 팀이 창단되었다.[11] 주축 팬들은 도네츠크의 광부들이며 팀의 창단명은 스타하노프의 이름과 당시 도네츠크의 이름이었던 스탈리노를 따서 만든 '스타하노베츠 스탈리노'. 그 후 변경을 거쳐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구단에 브라질 선수들이 굉장히 많다.
챔피언스리그에서 자주 모습을 보면서 5대 리그 상대로 전혀 밀리지 않고 있다보니 인상을 자주 남기는 대표적인 팀이다.
2. 역사
소련 시절에는 그저 그런 클럽이었다. 소련 리그 우승은 없었고, 컵 대회에서 4번 우승한 정도. 이는 우크라이나가 소련 해체 이후 새롭게 독립한 이후에도 마찬가지라 매번 FC 디나모 키이우에게 밀려서 준우승만 차지했다. 팀의 운명이 바뀐 것은 1995년, 철강 재벌인 리나트 아흐메토프[12]가 구단주로 취임하면서부터. 아흐메토프는 팀에 전폭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았고, 특히 브라질에서 재능 있는 유망주를 끌어와서 팀의 근간으로 삼아 전력을 강화시켰다.그 결실은 FC 디나모 키이우의 독주를 막고, 우크라이나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기에만 그치면 그냥저냥 동네 최강 클럽이 되었을 텐데... 2008-09 시즌 UEFA 컵을 우승하면서 유럽 무대에서도 이름을 떨친 것. 특히 4강에서 FC 디나모 키이우를 누르고 결승에 진출, 그리고 독일 분데스리가의 SV 베르더 브레멘을 제압하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완전히 신흥 명문으로 자리잡았다. 이는 1986년 FC 디나모 키이우가 UEFA 컵 위너스 컵에서 우승한 지 23년 만에 우크라이나 클럽이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순간이었다. 같은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서 FC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원정에서 이긴바 있으며, 2009년 UEFA 슈퍼컵에서도 당대 최강 FC 바르셀로나와 연장 승부까지 벌인 끝에 아쉽게 지기도 했다.
2.1. 2010-11 시즌
챔피언스 리그에선 조별 리그에서 아스날 FC을 제치고 조 1위(아스날과는 1승 1패를 주고받았다)로 16강에 올라 16강에서 AS 로마를 상대로 1,2차전 모두 승리, 합계 6:3으로 꺾고 8강까지 올라가 또 바르셀로나와 만났다. 최근에 연이은 바르셀로나전 우세로 이번에도 바르셀로나 킬러로 면모를 보이나 했더니 원정에서 1:5 대패를 당한 끝에 2패 1:6으로 덜미를 잡히며 탈락했다. 하지만 연이은 클럽 국제대회 선전으로 유럽 클럽 랭킹도 크게 상승했다.
2.2. 2011-1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기대와 달리 예상을 뒤엎고 조 꼴지로 허무하게 탈락했다.그것도 이전과 달리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와 FC 포르투, 아포엘 FC라는 팀들과 조편성이었기에 그 탈락이 충격이었다. 게다가 조 1위를 차지한 아포엘은 지금까지 듣보잡인 키프로스 클럽이었으며 샤흐타르는 아포엘에겐 1승 1무로 앞섰으나 다른 두 팀에겐 1무 3패를 당한 끝에 꼴지로 탈락하는 불명예를 겪어야 했다.
리그에서 28라운드까지 라이벌인 디나모 키이우와 23승 4무 1패로 같은 승점을 유지했으나[13] 29라운드에서 FC 메탈리스트 하르키우를 이기고 디나모 키이우가 루한스크와의 경기에서 비기면서 우승이 기정사실화되었다. 더군다나 마지막 경기인 30라운드 상대가 꼴찌 팀인 데다가 득실도 앞쓰고 있으니 지지만 않으면 된다.
이후 시즌 마지막 홈 경기를 2:0으로 이기면서 2년 연속 우승을 가져갔다. 2005-06 시즌 이후 2년 연속 우승 달성. 거기다가 우크라이나 컵 대회도 우승을 가져갔으니 2011년 우크라이나 축구 리그는 샤흐타르의 해였다.
2.3. 2012-13 시즌
챔피언스 리그 조 추첨식에서는 E 조의 첼시 FC, 유벤투스, 덴마크의 FC 노르셸란과 한 조다. 3파전이 될 가능성이 높다. 조별 리그 1차전 홈 경기에서 노르셸란에 2:0으로 승리했다. 2차전 원정 유벤투스와의 경기에서는 1:1무승부를 거뒀지만 압도했다. 3차전 지난 챔피언스 리그 챔피언인 첼시와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 이 승리로 조별 1위로 승극. 4차전 첼시원정에서는 2:3으로 패배했다. 5차전 노리셸란 원정에서는 5:2로 승리하면서 최소 2위로 16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여담으로 루이스 아드리아누의 비매너골이 화제다.여담으로 9월 29일 드니프로와의 홈 경기에서는 1:1 동점 상황에서 후반 35분에 골을 넣었는데 구장에 강남스타일이 울려퍼졌다.
리그 시작부터 13차전까지 리그 1위를 지키고 있다. 성적은 13전 전승. 리그 수준이 지난 시즌보다 상대적으로 내려갔기 때문이다.리그 우승은 물론 전승 우승이라는 설레발도 나오고 있다.[14] 챔스도 신경써야 하기 때문에 선수들 피로감이 있다지만 그나마 이 팀과 할 만한 팀은 디나모 키이우, 메탈리스트, 드니프로 뿐인데 이 세 팀 또한 챔스와 유로파를 나가기 때문에 동등한 조건이다. 게다가 10월 27일까지 1경기를 덜 치룬 이 3팀과 승점차가 15~18점이나 벌어져있기에 샤흐타르가 유리한 상황이다. 결국 26차전에 71점으로 남은 경기와 상관없이 우승을 확정지었다. 2위 디나모와 15점이나 승점차가 벌어졌기 때문. 참고로 시즌 최종 결과는 25승 4무 1패로 전승 우승은 좌절.
챔피언스 리그 6차전 유벤투스와의 홈 경기에서는 패배했다. 16강 진출이 확정되었기 때문에 실점했어도 여유 있게 마무리했다. 16강 상대는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다. 돌풍의 팀끼리의 격돌이라 이 경기 역시 주목받고 있다. 2013년 2월 14일(한국시각) 안방에서 열린 16강 1차전에서 일단은 2:2로 비겼다. 그러나 2차전 원정에선 0:3 완패를 당하면서 16강에서 일찌감치 물러나야 했다.
시즌 중반 윌리안이 거액의 이적료에 FC 안지 마하치칼라로 이적했고, 시즌 종료 이후엔 페르난지뉴와 헨리크 미키타리안가 엄청난 가격으로 각각 맨체스터 시티 FC,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 팔려나갔다.
2.4. 2013-14 시즌
챔피언스 리그에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바이어 04 레버쿠젠, 레알 소시에다드와 조를 이뤄 험난한 여정이 이뤄질 전망이었는데 우선 원정 경기인 1차전 소시에다드 전에서 2-0으로 이겼다. 2차전 안방경기에서 맨유와 1:1로 비기면서 이변인가 했더니 3차전 레버쿠젠 원정은 0:4로 대패하고 4차전 레버쿠젠과의 안방경기는 무재배하면서 위기감을 보여줬다. 그러다가 5차전에서 레알 소시에다드를 4:0으로 이기고 극적으로 2위로 올랐다. 다만 마지막 6차전 맨유 원정을 이기거나 비길 경우엔 이미 탈락된 레알 소시에다드과 3위 레버쿠젠 경기 여부에 따라 16강이 결정난다.결국 맨유 원정에서 패하면서 3위로 추락하여 레버쿠젠에게 16강을 넘기고 유로파 리그에 진출하게 되었다. 유로파 리그 32강에서 빅토리아 플젠(체코)과 만나 2패(0:1, 1:2)로 일찌감치 탈락. 13-14 시즌 17차전까지 리그 1위를 지키고 있기에 리그에 전념하고자 유로파 리그는 포기한 모양. 1위이긴 하지만 아직 리그 절반이 남아있는데다가 디나모 키이우를 비롯한 경쟁 상대들이 5점 차로 추격 중이다. 그래도 꾹 1위를 지키면서 리그 4경기를 남겨두고 승점 59점으로 2위와 6점 차를 유지하고 있다.
2.5. 2014-15 시즌
리그에서는 초반에 1위를 달렸으나 8차전 안방경기에서 4위 조랴에게 0-1로 패하고 추격중이던 디나모 키이우 원정에서도 0-1로 패하고 11위 하위권이던 메탈루르흐 도네츠크 원정을 1-2로 패하며 12라운드까지 3패를 당하며 3위로 추락했다. 디나모 키이우가 9승 3무 무패로 1위이며 드니프로가 2위. 4위인 조랴와 승점 차가 7점이라 추격당할 걱정보다는 추격할 걱정이 먼저이긴 하다. 그러나 드니프로와 홈경기를 무재배를 기록하며 추격기회를 놓쳤다. 리그 20라운드에서 홈경기임에도 디나모 키이우와 무재배를 기록했고 23라운드까지 리그에서는 16승 4무 3패로 무패를 기록하며 1위인 디나모 키이우에게 7점차로 승점이 벌어졌다. 3위 드니프로랑 승점 차가 2점인 상황. 4위인 조랴는 12점으로 승점이 벌어졌다.FA컵인 우크라이나컵에서는 4강에 진출, 드니프로랑 경기를 치루게 된다. 승자는 1위 디나모 키이우와 10위 올림피크 도네츠크전 승자랑 결승을 치룬다.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포르투에 이어 조 2위로 16강행을 확정지었다. 바테 보리소프를 7-0으로 대파하며 순조로운 조예선을 달렸으나 아틀레틱 빌바오에게 조예선 5차전 안방경기를 0-1로 패한 게 아쉬웠다. 빌바오를 이겼더라면 2점차로 포르투로 추격하여 마지막 6차전 결과에 따라 조 1위를 차지할 가능성도 있었으나 패배로 5점이나 승점이 벌려지며 6차전과 상관없이 2위가 확정되었기 때문이다. 사실 전반전을 시작하자마자 수비수가 퇴장 당한터라 대패는 어쩔수 없었기는 했다.
16강에서 바이에른 뮌헨과 대진이 성사됐고 2월 18일 가진 16강전 1차전 경기에서 뮌헨과 무승부, 2차전 뮌헨 원정경기는 0:7로 크게 대패를 당하면서 탈락했다.
그리고 리그는 디나모 키이우에게 우승을 내줬다. 그래도 연고지에 돈바스 전쟁이 벌어져서 좋은 선수들이 다 팀 떠나겠다고 하는 판에 강제로 서부 생활을 하며 챔스 16강씩이나 한 걸 보면 아주 못한 시즌은 아니다.
2.6. 2015-16 시즌
챔피언스리그 2차 플레이오프에서 페네르바흐체 SK를 3-0으로 제압하며 3차 플레이오프로 진출했다. 오스트리아 SK 라피트 빈에게 홈에서 2-2로 비겼지만 원정 1-0 승리로 32강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하지만 조 상대가 레알 마드리드, 파리 생제르맹..그나마 가장 만만한 말뫼 FF를 이기고 유로파리그나 나갈 준비를 해야할 듯. 결국 1차전 레알 마드리드 원정은 0-4로 대패했으며 2차전 홈경기 생제르맹전도 0-3으로 패했기에 역시 두 팀을 이길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그런데 3차전 말뫼 원정에서 0-1로 패했다... 대신 홈경기에서 말뫼를 4-0으로 대파했지만 다른 경기는 모두 지면서 1승 4패로 말뫼랑 동률이지만 그나마 골득실로 3위를 지켰다. 남은 1경기 여부랑 상관없이 16강 진출은 좌절되었고 마지막 6차전 여부에 따라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다루게 되었다. 6차전 파리에게 0-2로 패배했으나 말뫼가 레알 원정에서 0-8 대패했고 조 3위로 유로파리그에 진출했다.
유로파리그 32강 상대는 독일의 샬케 04로 정해졌다. 2차전 원정경기 3-0 대승에 힘입어 1승 1무로 16강에 올라 안데를레흐트를 3-1,1-0으로 이겼으며 8강에서도 SC 브라가를 4-0, 2-1로 누르며 4강까지 쾌속으로 진출했다. 하지만 대회 우승팀인 세비야에게 1-3으로 패하며 2-2 홈경기 무승부와 상관없이 결승 진출은 탈락했다.
리그에서 16라운드까지 치뤄진 현재 14승 1무 1패, 50득점 11실점으로 디나모 키이우에 득실차로 앞선 1위를 기록하고 있다. 3위인 조랴와의 승점차는 9점. 그러나 이후 역전당하면서 결국 디나모 키이우가 리그 우승하고 7점차로 준우승했다.
그나마 FA컵인 우크라이나 컵에서 조랴를 2-0으로 이기며 10번째 우승에 성공, 11번 최다 우승인 디나모 키이우를 바싹 추격하게 되었다.
그리고 2015-16 시즌 종료 후, 12년 동안 샤흐타르의 감독을 맡아왔던 미르체아 루체스쿠가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나게 되었다.[15]
2.7. 2016-17 시즌
미르체아 루체스쿠의 후임으로 파울루 폰세카가 지휘봉을 잡았다.디나모 키이우를 누르고 리그와 컵대회 모두 가져가며 더블에 성공하였다.
2017년 시즌 중반부터 그동안 임시 홈구장으로 써오던 아레나 르비우대신 FC 메탈리스트 하르키우의 홈구장이던 하르키우 메탈리스트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치루게 되었다. 메탈리스트의 구단주이던 세르히 쿠르첸코가 2014년 2월 유로마이단 당시 우크라이나를 떠나 행방이 묘연해진 이후 구단주의 실종으로 재정 상태가 악화된 메탈리스트가 2016년 리그에서 추방, 팀이 해체당하면서 홈구장이 비게 된 것을 샤흐타르가 받아 쓰게 된 것이다.
2.8. 2017-18 시즌
메탈리스트 스타디온에서의 첫 시즌. 리그는 시즌 후반을 바라보는 상황에서 2위인 디나모 키이우와 승점 6점차 선두, 컵대회도 준결승에 진출하며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독주를 이어가고 있다.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맨체스터 시티에게 시즌 첫 패를 선물하며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지만, 16강에서 만난 로마에게 원정 다득점에서 밀리며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아쉽게 상위 라운드 진출에 실패한 챔스와는 달리 국내에선 리그와 우크라이나 컵 우승을 달성하며 시즌을 마쳤다.리그가 끝나고 감독 파울루 폰세카에 대한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러브콜이 있었으나 구단에서 거절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분간은 파울루 폰세카 체제로 지속하려는 듯 보인다.
그리고 이 시즌을 끝으로 15년 동안 샤흐타르를 위해 헌신한 주장 다리요 스르나가 칼리아리 칼초로 이적하게 되었다.
참고로 이 시즌에서는 FC 디나모 키이우와의 리그 경기에서 4전 1무 3패로 디나모 키이우를 한번도 이기지 못하는 굴욕을 맛봐야 했다.
2.9. 2018-19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맨시티, 올랭피크 리옹, TSG 1899 호펜하임과 한 조가 되었다. 조 꼴지로 탈락할 줄 알았으나 의외의 선전이 있었다. 리옹과의 홈 경기와 원정 경기 모두 무승부를 거뒀고 호펜하임 원정에서 승리를 거두는 등 유로파 리그에서의 희망을 맛보게 되었다. 다만 맨시티와의 경기에서 최다 득점차로 패배하는 골치아픈 수모를 겪어야 했다. 어쨋든 상대팀에 친정팀에서 뛰었던 올렉산드르 진첸코가 맨시티 소속으로 친정팀을 상대로 결전을 벌인 것은 우크라이나인들에게는 큰 관심거리 중 하나였다. 그리하여 유로파 리그 32강 상대는 아인트라흐트였는데 홈에서 비겼으나 원정가서 4대0으로 대패하였고 그 중간에 수비수의 핵심인 야로슬라우 라키츠키가 제니트로 이적하는 바람에 팬들 사이에서는 큰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16] 물론 그에 따른 대비책을 세워두고 있었고 브라질 선수들을 영입하면서 일단 리그 우승에 다시 전념하게 된다. 이는 경쟁구단이자 올해 샤흐타르와 똑같이 첼시에게 수모를 당한 디나모도 마찬가지이며 사실상 로테이션을 이상하게 쓰지만 않는다면 샤흐타르의 우승은 올해에도 확정이라고 볼 수 있다. 초반 디나모 키이우 원정에서 패배한 것을 제외하면 리그에선 무패를 이어가고 있다.일단 디나모 키이우와 SC 드니프로-1과의 우크라이나 컵경기에서 승리한 후 결승에서 2부리그 팀인 인굴레츠라는 팀과 결승을 치루게 되었다. 당시 인굴레츠는 역사적인 우승을 만들어내고자 했으나 역시나 스쿼드 차이로 인해 우승 컵을 내주고 말았고 샤흐타르는 또다시 컵 우승을 휘어잡게 되었다. 이후에도 샤흐타르는 리그에서 연승을 하였고 2경기를 남긴채 24승 4무 1패[17]라는 성적으로 리그 우승을 확정짓게 되었다. 이로써 또다시 더블을 달성한 셈이고 챔피언스 리그 본선 진출도 확정되었다.
2.10. 2019-20 시즌
시즌 시작 전 AS 로마로 가게된 파울루 폰세카의 후임으로 루이스 카스트루와 2년 계약을 맺었다.챔피언스 리그에선 맨체스터 시티,디나모 자그레브,아탈란타 BC와 한 조가 되었는데 2승 1무 3패로 C조 3위를 기록하며 UEFA 유로파 리그 32강에 직행하였다 32강에선 SL 벤피카를 합계스코어 5:4로 꺾고 16강에 진출하였다 16강에서 VfL 볼프스부르크마저 합계스코어 5:1로 꺾고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전에서 FC 바젤을 4:1로 대파하며 4강에 진출하였으나 4강에서 인터 밀란한테 0:5로 대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리그에서는 우승하면서 리그 4회 연속 우승 및 13번째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차지하면서 최다 우승을 기록 중인 라이벌 디나모 키이우의 15번 우승에 가까이 다가왔다. 하지만, FA컵인 우크라이나 컵은 디나모 키이우가 12번째 우승을 차지해 13번 최다 우승인 샤흐타르를 추격 중이다.
2.11. 2020-21 시즌
레알 마드리드,인테르,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같이 챔피언스리그 32강조를 이루게 되었는데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해 주전 13명이 빠진 상황에서 1차전 레알 마드리드 원정을 떠났는데 3:2로 이겼다! 홈경기에서도 레알 마드리드를 2-0으로 이기면서 레알 마드리드를 상대로 조별리그 2연승을 거뒀다. 하지만, 정작 조별리그 3위로 유로파리그 32강 진출로 만족해야 했다. 경쟁자였던 묀헨글라트바흐에게 홈, 원정 모두 대패한 것이 치명적 원인.32강에서 마카비 텔아비브 FC랑 맞붙게 되었다. 원정 1차전을 2-0으로 이겨 2차전 홈경기를 느긋하게 대비하게 되었다. 2차전 홈경기는 느긋하게 하여 1-0으로 이기고 16강에 올라갔다. 16강전 상대는 AS 로마. 1차전 원정에서 0-3으로 크게 져서 2차전 홈경기에서 4골차로 이겨야 한다. 결국 홈에서도 1-2로 지면서 탈락.
시즌 종료 후 샤흐타르는 2년 계약이 종료된 루이스 카스트루와 재계약을 포기하였고, 5월 25일 로베르토 데 제르비와 2년 계약을 맺었다.[18]
2.12. 2021-2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루트 예선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추첨을 통해 레알 마드리드, 인테르, 셰리프가 소속된 2021-22 UEFA 챔피언스 리그/조별리그에 배정되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절대 다수가 3위, 잘해봐야 인테르와 조 2위 경합을 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샤흐타르는 삽질을 거듭했고, 거기에 셰리프의 돌풍까지 가세되며 2무 4패, 예상보다도 훨씬 못한 최하위로 탈락했다.그 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리그가 전면 중단이 되었고 전쟁 중 유스팀 코치가 러시아군 공격에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도 생겼다. 자국민 지원 기금 마련을 위해 올림피아코스 FC와의 경기를 시작으로 레히아 그단스크에 이어 페네르바흐체 SK,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와 자선 경기를 치른다.#
4월 27일, 전쟁이 길어지면서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가 결국 우승팀 없이 조기 종료되었다.#
2.13. 2022-23 시즌
리그 사무국의 결정에 따라, 리그 1위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2022-23 시즌 플레이오프 챔피언스 패스 출전권을 획득했다.그리고 UEFA가 러시아 클럽의 유럽대항전 참가를 금지하면서, 샤흐타르는 플레이오프를 치르지 않고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로 직행하게 되었다.#
셀틱 FC, RB 라이프치히 그리고 3시즌 연속 레알 마드리드 CF와 같은 조가 되었고, 샤흐타르의 홈 경기는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서 하는것으로 결정되었다.
매치데이 1에서 라이프치히 상대로 원정에서 1:4 대승을 거두는 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더 이상의 승리를 얻지 못하고 1승 3무 2패로 3위 탈락했다. 그리고 유로파리그 16강 플레이오프 스타드 렌과의 대결에서 2차 승부차기에서 승리하고 나서야 16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
신성 미하일로 무드리크가 겨울 이적 시장에서 첼시 FC로 이적하였는데, 전력 약화는 뼈아프지만 1억 유로에 육박하는 너무나도 많은 이적료를 얻게 되어 연고지 없이 떠돌고 있는 팀 상황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샤흐타르는 이적료 수입 중 2500만 유로를 우크라이나 장병들과 그 가족들에게 기부하기로 하였다.
3월 6일 16R FC 메탈리스트-1925 하르키우전 7-0으로 대승을 거뒀다. 이후 최종적으로 리그에서 우승했다.
2.14. 2023-24 시즌
전 시즌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UEFA 챔피언스 리그/2023-24 시즌 본선 32강에 진출했다.[19] 홈 경기는 독일 함부르크에서 개최하는것으로 결정되었다.# H조에 선정되어 바르셀로나, 포르투, 로열 앤트워프와 겨루게 된다. 마지막 조별리그 경기 전까지 16강 가능성이 있었으나, FC 포르투에게 패배하면서 3위로 그치면서 유로파리그에 진출했다. 유로파리그 16강 플레이오프 마르세유 전에서 총 4:3으로 패배하면서 탈락했다.28라운드 클라시첸 데르비에서 승리하며 15번째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2.15. 2024-25 시즌
레알 마드리드가 2023-24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함에 따라, 예선을 거쳐야 할 유럽 각국 1부 리그 우승팀들 중 최고 클럽 점수를 기록한 샤흐타르 도네츠크가 플레이오프 예선을 면제 받고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로 직행했다.리그 페이즈에서 FC 바이에른 뮌헨, 아탈란타 BC, BSC 영 보이즈, 스타드 브레스투아와 홈 경기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아스날 FC, PSV 에인트호번, 볼로냐 FC와 원정 경기를 치른다.
3. 영구결번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영구결번 | |
No.33 | |
다리요 스르나 |
4. 유로마이단과 망명 구단 생활
유로마이단의 영향을 직격으로 받았다. 당장 러시아 편입을 원하고 분리 독립을 선언한 돈바스의 중심이 도네츠크다.[20] 따라서 러시아로 편입이 공식화되면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에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리그를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지만 구단 측이 우크라이나 실효 통치 지역으로 이동하기로 하면서 그런 일은 없게 되었다. 우크라이나 프리미어 리그에는 실향 구단이 하나 더 있는데 FC 조랴 루한스크이다.2014년 8월 23일, 본래 경기장인 돈바스 아레나가 포격당했으며, 10월 20일 다시 포격됨과 동시에 친러시아 반군이 돈바스 아레나를 완전 장악하여 자신들의 기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결국 브라질 및 여러 외국인 선수들이 내전 위험성을 들어 이대로 있다면 팀을 떠나겠다고 밝히자, 내전중인 연고지를 떠나 우크라이나 서쪽 리비우를 거쳐 하르키우로 홈 구장을 옮겼고, 본부와 훈련장은 키이우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UEFA 챔스 보도를 하는 스포츠 기자들은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의 아레나 르비우에서 열린 등의 문구를 써제꼈다.예시 우크라이나 어(르비우)와 러시아 어(도네츠크) 표기를 섞어쓰는거야 현지에서도 그러곤 하니 그렇다 쳐도, 애초에 도네츠크에 있지도 않은 아레나 르비우를 도네츠크에 있다고 쓰는 것부터 문제.
현재 이 구장은 주인이 없는 상태로 버려져 있지만, 이 지역을 장악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측에서 지붕과 잔디구장 수리를 끝냈다.
유로마이단 사태 이후에도 한동안 공식 트위터의 주계정을 러시아어로 운영하면서[21], 우크라이나어 계정을 부계정으로 운영했으나, 2022년 러시아와의 전쟁이 발발한 직후 은근슬쩍 주계정의 언어를 우크라이나어로 바꾸고, 러시아어 계정 링크를 삭제하였다.
만약 유로마이단과 이와 연관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우크라이나의 승리로 종결되어 우크라이나가 도네츠크를 탈환한다면 샤흐타르도 각종 복구 작업이 마무리되는대로 도네츠크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탈환하지 못한다면 남의 나라 땅 이름을 쓰는 모양새가 되니 그리스의 어느 구단처럼 영원한 실향민/망명 구단이 되고, 돈바스 아레나를 사용하는 러시아 국적의 도네츠크 지역 팀이 새로 생겨 연고지를 빼앗길 가능성이 높다.
FC 샤흐툐르 도네츠크의 엠블렘[22]
실제로 새로 결성된 러시아 측의 FC 샤흐툐르 도네츠크는 2024년부터 단결 연합 리그에 참가중인데, 선수들의 안전 문제상[23] 아직 돈바스 아레나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모든 경기가 크림 반도에서 치러지고 있다. 물론 원래 샤흐타르의 팬이었던 사람들 중 현재 러시아의 지배 아래 놓인 도네츠크에 남은 주민들조차 챔스에 진출하던 동유럽의 강호였던 자신들의 팀을 기억하기 때문에 이런 팀은 대부분 무시로 일관하고 있다.[24]
5. 선수
5.1. 명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000000> 번호 | 포지션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키릴문자 성명 | 비고 |
2 | FW | | 라시나 트라오레 | Lassina Traoré | Лассіна Траоре | ||
3 | DF | | 디에고 아로요 | Diego Arroyo | Діего Арройо | ||
5 | DF | | 발레리 본다르 | Valeriy Bondar | Валерій Бондар | ||
7 | MF | | 에기나우두 | Eguinaldo | Егіналду | ||
8 | MF | | 드미트로 크리스키우 | Dmytro Kryskiv | Дмитро Криськів | ||
9 | FW | | 마르얀 슈베드 | Maryan Shved | Мар’ян Швед | ||
10 | MF | | 헤오르히 수다코우 | Georgiy Sudakov | Георгій Судаков | ||
12 | GK | | 티무르 푸잔코우 | Tymur Puzankov | Тимур Пузанков | ||
13 | DF | | 페드루 엔히키 | Pedro Henrique | Педро Енріке | ||
16 | DF | | 이라클리 아자로비 | Irakli Azarovi | Іраклій Азаров | ||
17 | DF | | 비니시우스 토비아스 | Vinicius Tobias | Вінісіус Тобіас | ||
18 | DF | | 알라 그람 | Alaa Ghram | Алаа Грам | ||
19 | FW | | 카우앙 일리아스 | Kauã Elias | Кауан Еліас | ||
20 | MF | | 안톤 흘루시첸코 | Anton Hlushchenko | Антон Глущенко | ||
21 | MF | | 아르템 본다렌코 | Artem Bondarenko | Артем Бондаренко | ||
22 | DF | | 미콜라 마트비옌코 | Mykola Matviyenko | Микола Матвієнко | ||
24 | MF | | 빅토르 추카노우 | Viktor Tsukanov | Віктор Цуканов | ||
26 | DF | | 유힘 코노플랴 | Yukhym Konoplya | Юхим Конопля | ||
29 | MF | | 예호르 나자리나 | Yehor Nazaryna | Єгор Назарина | ||
30 | MF | | 마를롱 고미스 | Marlon Gomes | Марлон Гомес | ||
31 | GK | | 드미트로 리즈니크 | Dmytro Riznyk | Дмитро Різник | ||
37 | MF | | 케빙 | Kevin | Кевін | ||
38 | MF | | 페드리뉴 | Pedrinho | Педріньйо | ||
39 | MF | | 네웨르통 | Newerton | Невертон | ||
48 | GK | | 데니스 트바르도우스키 | Denis Tvardovskyi | Деніс Твардовський | ||
72 | GK | | 키릴 페슌 | Kiril Fesiun | Кіріл Фесюн | ||
74 | FW | | 마르얀 파리나 | Maryan Faryna | Мар'ян Фарина | ||
구단 정보 | |||||||
감독: 마리노 푸시치 / 홈 구장: 아레나 르비우 | |||||||
출처: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공식 홈페이지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6월 25일 |
5.2. 유명 선수
- UEFA
빅토르 오놉코: 1986-1988, 1990-1992
헨리크 미키타리안: 2010-2013
에두아르도 다 실바: 2010-2014
다리요 스르나: 2003-2018
스티페 플레티코사: 2003-2007
마노르 솔로몬: 2019~2023
- CONMEBOL
6.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27022><tablebgcolor=#f27022,#191919>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감독(1대~39대)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36년 ~ 2022년 | ||||
1대 그리고리예비치 | 2대 다닐로비치 | 3대 지노비예비치 | 4대 흐리스토포로비치 | 5대 스테파노비치 | |
6대 코스틸레프 | 7대 바실리예비치 | 8대 노비코프 | 9대 크바시닌 | 10대 포노마레프 | |
11대 알렉세비치 | 12대 흐리스토포로비치 | 13대 노비코프 | 14대 셰고츠키 | 15대 오센코프 | |
16대 보이노프 | 17대 팔얀 | 18대 모로조프 | 19대 바질레비치 | 20대 블라디미로비치 | |
21대 살코프 | 22대 노소프 | 23대 바질레비치 | 24대 콘코프 | 25대 야렘첸코 | |
26대 살코프 | 27대 루다코프 | 28대 야렘첸코 | 29대 비쇼베츠 | 30대 미트로파노비치 | |
31대 프로코펜코 | 31대(대행) 야렘첸코 | 32대 스칼라 | 33대 야렘첸코 | 34대 슈스터 | |
35대 프로포펜코 | 36대 루체스쿠 | 37대 폰세카 | 38대 카스트루 | 39대 데 제르비 | |
40대 이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27022><tablebgcolor=#f27022,#191919>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2022년 ~ 현재 | ||||
40대 요비체비치 | 41대 판 레위언 | 41대(대행) 스르나 | 42대 푸시치 | - | |
◀ 1대~39대 |
7. 같이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 | UEFA 유로파 리그 우승 클럽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순서 | 우승팀 | 국가 | 첫 우승연도 | 우승 횟수 | |
1 | | 토트넘 홋스퍼 FC | | 1972년 | ★★ 2회 | |
2 | | 리버풀 FC | | 1973년 | ★★★ 3회 | |
3 |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 | 1974년 | ★★ 2회 | |
4 |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 1975년 | ★★ 2회 | |
5 | | 유벤투스 FC | | 1977년 | ★★★ 3회 | |
6 | | PSV 에인트호번 | | 1978년 | ★ 1회 | |
7 |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 1980년 | ★★ 2회 | |
8 | | 입스위치 타운 FC | | 1981년 | ★ 1회 | |
9 | | IFK 예테보리 | | 1982년 | ★★ 2회 | |
10 | | RSC 안데를레흐트 | | 1983년 | ★ 1회 | |
11 | | 레알 마드리드 CF | | 1985년 | ★★ 2회 | |
12 | | 바이어 04 레버쿠젠 | | 1988년 | ★ 1회 | |
13 | | SSC 나폴리 | | 1989년 | ★ 1회 | |
14 |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 1991년 | ★★★ 3회 | |
15 | | AFC 아약스 | | 1992년 | ★ 1회 | |
16 | | 파르마 FC | | 1995년 | ★★ 2회 | |
17 | | FC 바이에른 뮌헨 | | 1996년 | ★ 1회 | |
18 | | FC 샬케 04 | | 1997년 | ★ 1회 | |
19 | | 갈라타사라이 SK | | 2000년 | ★ 1회 | |
20 | | FC 포르투 | | 2003년 | ★★ 2회 | |
21 | | 발렌시아 CF | | 2004년 | ★ 1회 | |
22 | | PFC CSKA 모스크바 | | 2005년 | ★ 1회 | |
23 | | 세비야 FC | | 2006년 | ★★★★★★★ 7회 | |
24 | |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 2008년 | ★ 1회 | |
25 |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 | 2009년 | ★ 1회 | |
26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2010년 | ★★★ 3회 | |
27 | | 첼시 FC | | 2013년 | ★★ 2회 | |
28 |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 2017년 | ★ 1회 | |
29 | | 비야레알 CF | | 2021년 | ★ 1회 | |
30 | | 아탈란타 BC | | 2024년 | ★ 1회 | |
※ 우승 횟수에 굵은 글씨로 되어 있는 클럽은 UEFA 배지 오브 오너 부착 가능 클럽 | }}}}}}}}} |
1991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 | | |
| | | | |
| | | | |
| | | |
[1] 당연히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정작 저거랑 비슷하게 생긴 로마자인 waxtap이라고 구글에 검색해도 알아서 이 팀이 검색결과에 나온다![2] #[3] 원 연고지인 도네츠크에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이 건국됨에 따라 구단은 도네츠크를 떠났다. 그러나 도네츠크가 러시아 땅이 된 현재도 구단은 명목상으로라도 연고지를 도네츠크로 여기고 있어 팀명에도 도네츠크가 남아있으며, 돈바스 아레나를 우선적으로 홈구장으로 설명하고 있다.[4] 2009년에 새로 지었으나, 돈바스 전쟁 때문에 경기장을 옮기게 되었다.[5] 2014년 러시아의 돈바스 전쟁으로 원래 쓰던 새 경기장을 어쩔 수 없이 뒤로 한 채, 르비우에 자리 잡게 되었다. 하르키우로 경기장을 옮겨가며 르비우와의 인연은 끝나는 듯 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키이우를 떠나 다시 르비우에 자리잡게 되었다. # 나름 전장에서 먼 르비우에 자리잡았음에도 경기 도중 공습경보로 경기가 중단되거나 킥오프가 미뤄지는 소동이 이어지고 있다. # #[6] 원래는 FC 메탈리스트 하르키우의 홈 구장이었으나 구단이 해체되어 주인이 없던 하르키우의 메탈리스트 스타디움을 사용하다, 2020년 5월부터 다시 키이우에서 경기를 치르고 있다. 그러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키이우의 상황이 나빠지자 르비우로 다시 옮겨 리그 경기를 진행 중이다.[7] 22-23시즌 자국 내의 상황이 좋지 않아 유럽대항전에 한정해 레기아 바르샤바의 경기장에서 유럽대항전 경기를 치렀다. 디나모 키이우도 같은 상황. #[8] 23-24시즌 자국 내의 상황이 좋지 않아 유럽대항전에 한정해 함부르크 SV의 경기장에서 유럽대항전 경기를 치렀다.[9] 24-25시즌 자국 내의 상황이 좋지 않아 유럽대항전에 한정해 FC 샬케 04의 경기장에서 유럽대항전 경기를 치를 것이다.[10] 러시아어로는 샤흐툐르(Шахтёр)[11] 스타하노프는 소련 시절 목표 생산량의 14배를 생산한 걸로 인해, 소련 공산당에서 그를 신화로 만들어 잘 써먹었다.[12] "아흐메"라는 이슬람풍 성씨를 봐도 알겠지만 타타르족 출신 무슬림 집안 태생으로 그도 무슬림이다. 2011년 포브스 지 추산으로 재산은 160억 달러(약 17조 원)에 이른다.[13] 그러나 득실로 인해 샤흐타르가 1위이다.[14] 물론 11전 전승까지 무난하게 이겨온 것은 아니다. 3라운드에서 키리바스를 만났을 때는 후반 추가시간 20초도 안남기고 극적인 헤딩골로 이겼으며 10라운드 때에는 새로운 신흥 강자인 드니프로를 만나 힘들게 이기기도 했다.[15] 4년 후, 우크라이나로 복귀하긴 한다.[16] 현재 우크라이나와 대립각을 서고 있는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의 소속 팀이기도 하고 안그래도 맨시티나 아인트라흐트에게 크게 대패한 상태에서 수비수까지 내다팔면 어찌하면 좋냐는 반응이 계속 터져 나왔었다.[17] 샤흐타르한테 1패를 안긴 팀은 라이벌인 FC 디나모 키이우이다.[18] 이탈리아 출신 감독 선임은 네비오 스칼라 이후 두번째이다.[19] 23-24시즌 시작 기준, UEFA 12위인 우크라이나는 리그 1위에게 UCL 본선 진출권을, 리그 2위에게 UCL 2차예선 진출권을, 컵대회 우승팀에게 UEL PO 진출권을, 리그 3위에게 UECL 3차예선 진출권을, 리그 4위에게 UECL 2차예선 진출권이 주어진다.[20] 또한 샤흐타르가 원체 압도적이라 잘 안 보이지만 우크라이나의 절반 가까운 1부리그 팀들이 이 동네에 연고지를 두고 있다.[21] 이는 조랴 루한스크, 초르노모레츠 오데사와 같은 남동부지역을 연고로 하는 구단들도 마찬가지였다. 현재도 우크라이나 스포츠신문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모두로 뉴스를 보도하는 곳이 많다.[22] 소련 시기에 쓰던 엠블렘을 복각한 것이다.[23] 러시아군이 2024년 초 아브데옙카를 점령하고 서진, 북진하면서 많이 나아졌지만, 잊을 만하면 도네츠크 시내에 우크라이나군의 포격이 떨어진다.[24] 팀의 브콘탁테 팔로워는 1만 명, 인스타그램 팔로워는 수백 명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