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18:17:32

김정수(육군)


}}} ||
대한민국 제44대 제2작전사령관
김정수
金政秀 | Kim Jeong-su
파일:김정수 대장.jpg
출생 1963년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의산리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86년 ~ 2022년
재임기간 제44대 제2작전사령관
2020년 9월 23일 ~ 2022년 5월 27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가족 배우자 김선희, 슬하 1남 1녀
종교 가톨릭
학력 목포고등학교 (졸업 / 30회)
임관 육군사관학교 (42기)
최종 계급 대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 제2작전사령관
주요 보직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수도방위사령관
제27보병사단
한미연합군사령부 기획참모차장
한미연합군사령부 지구사 작전처장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과장
제201특공여단 참모장
제31보병사단 제95보병연대
}}}}}}}}}
1. 개요2. 생애3. 주요 직위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 육군군인. 최종 계급은 대장이며, 제2작전사령관을 역임하였다.

2. 생애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의산리 출신으로 무안중, 목포고등학교(30회)[1][2]를 졸업했다. 1982년 육군사관학교 제42기로 입교하여, 1986년 졸업과 함께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다.

3. 주요 직위

3.1. 제2작전사령관

2020년 9월 21일, 대장 진급과 함께 제2작전사령관에 보직되었다.


2020년 9월 23일, 이.취임식을 갖고 업무를 시작하였다.

2022년 5월 27일 후임인 신희현 대장에게 제2작전사령관직을 이임하고 전역하였다.

4. 여담

  • 중장 시절이던 2020년 5월 즈음에 그와 동명이인인 중장이 두 명 더 있었는데, 하나는 육사 한 기수 후배인 김정수 장군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그 시기에 중장으로 진급했던 해사 41기 김정수 제독이었다. 이 후, 본인이 2020년 9월에 대장으로 진급하고, 후배 김정수 장군이 육군사관학교장 임기를 마치고 2021년 12월 16일에 중장으로 전역하였으며, 해군의 김정수 제독이 2021년 12월에 대장으로 진급하면서 동명이인 대장이 두 명이 되었다. 그리고 같이 전역하셨다[10]
  • 워낙 동명이인이 많다보니 어떤 신문기사의 표에서 알자회 회원이 아닌데도 회원으로 언급이 되었는데, 실제 알자회 회원 김정수는 5년차 전역한 다른 사람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표에서는 22사단장이라고 언급이 되어 있는데, 육사 42기 김정수 장군은 27사단장을 역임했지 22사단장을 역임한 적이 없으며, 22사단장을 역임한 김정수 장군은 육사 한 기수 후배로 역시 알자회 회원이 아니었다.

5. 관련 문서



[1] 목포고등학교육군사관학교, 모종화 前 병무청장(목고 25회, 육사 36기, 예비역 중장)이 고교-사관학교 선배이며, 직속부하였던 문병삼 제50보병사단장(목고 38회, 육사 49기)이 고교-사관학교 후배이다.[2]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당시 학생들을 구하고 순직한 김영재 교사도 목고 30회다.[3] 이 당시 서욱 국방부장관이 93연대장을 역임하고 있었다.[4] 재직중 직속상관 2군단김운용 장군의 대장 진급 및 제3야전군사령관 보임에 따라 군단장 직무대리 수행.[5] 전임자 김종태, 후임자 허강수[6] 소장에서 중장 진급 시 일반적으로 2개의 보직을 거치는데 소장 진급이 늦고 2년 이상 이임하지 않아 사단장 직위에서 중장으로 진급한 케이스다.[7] 전임자 구홍모, 후임자 김선호[8] 전임자 이정기, 후임자 최진규[9] 전임자 황인권, 후임자 신희현[10] 다만 김 장군은 2년 가까이 제2작전사령관을 지내면서 임기를 거의 채웠지만, 김 제독은 채 6개월을 근무하지 못하고 전역했다는 차이가 있다.[11] 2012년 제3야전군사령관에 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