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국방부장관 (1948~현재)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이범석 | 제2대 신성모 | 제3대 이기붕 | 제4대 신태영 | 제5대 손원일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제6대 김용우 | 제7대 김정렬 | 제8대 이종찬 | 제9대 현석호 | 제10대 권중돈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11대 현석호 | 제12대 장도영 | 제13대 송요찬 | 제14대 박병권 | 제15대 김성은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6대 최영희 | 제17대 임충식 | 제18대 정래혁 | 제19대 유재흥 | 제20대 서종철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21대 노재현 | 제22대 주영복 | 제23대 윤성민 | 제24대 이기백 | 제25대 정호용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26대 오자복 | 제27대 이상훈 | 제28대 이종구 | 제29대 최세창 | 제30대 권영해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31대 이병태 | 제32대 이양호 | 제33대 김동진 | 제34대 천용택 | 제35대 조성태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36대 김동신 | 제37대 이준 | 제38대 조영길 | 제39대 윤광웅 | 제40대 김장수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41대 이상희 | 제42대 김태영 | 제43대 김관진 | 제44대 한민구 | 제45대 송영무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46대 정경두 | 제47대 서욱 | 제48대 이종섭 | 제49대 신원식 | 제50대 김용현 | ||||||
대한제국 군부대신 · 임시정부 군무부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c51426><colcolor=#fff> 출생 | 1931년 10월 20일 | ||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면# (現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 |||
사망 | 2019년 12월 16일 (향년 88세) | ||
서울특별시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제1충혼당 3층-302실-172호 | ||
본관 | 고성 이씨[1] | ||
호 | 석관(石寬) | ||
재임기간 | 제19대 합동참모의장 | ||
1983년 6월 3일 ~ 1985년 6월 3일 | |||
제24대 국방부장관 | |||
1986년 1월 8일 ~ 1987년 7월 14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51426><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이형렬(생부)·이원렬(양부) 어머니 류창렬(생모) | |
형제자매 | 4남 6녀 중 차남 | ||
배우자 | 전경연 | ||
자녀 | 딸 이재영 | ||
학력 | 조치원공립보통학교 (졸업) 대전고등공업학교 (졸업) | ||
경력 |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제24대 국방부장관 민주정의당 국책평가위원 민주자유당 촉탁위원 신한국당 특임위원 한나라당 특임고문 자유민주연합 특임고문 | ||
군사 경력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11기)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55년 ~ 1985년 | |||
최종 계급 | 대장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 합동참모의장 | ||
주요 보직 | 제2야전군사령관 육군참모차장 제1군단장 제60훈련단장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2. 생애
1931년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면 (現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서 아버지 이형렬(李亨烈)[2]과 어머니 문화 류씨 류창렬(柳昌烈)의 딸 사이의 4남 6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자식이 없던 큰아버지 이원렬(李元烈)[3]에 입양되었다.육사 졸업당시 성적은 중간(59등)이었으며, 소령 시절에 물에 빠진 육사 동기 김복동을 살린 이력이 있다.[4]
하나회 출신은 아니었음에도, 육사 11기 동기인 전두환이 12.12 군사반란을 통해 실권을 잡자, '하나회 견제 및 육사 전체가 참여한다'는 상징을 곁들여, 3차 진급자인 이기백을 기용하여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운영위원장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에 임명했다.
이후 요직인 제1군단장과 육군참모차장을 거쳐, 4차로 대장 진급하였다.[5] 하지만 권력이 약했던 2군사령관과 당시 기준으로 실권이 없던 합동참모의장을 지낸 점을 보아, 하나회가 구색맞추기로 임명한 비하나회 장성 중 한 명임을 알 수 있다. 물론 이기백 대장이 어느 정도 능력이 있었으니, 진급할 수 있었던 것이지만.
2.1. 합동참모의장(합참의장)
1983년 6월, 1기수 선배인 김윤호의 뒤를 이어, 합동참모의장에 임명되었다.이후 1983년 10월 전두환 대통령과 함께 버마(現 미얀마)에 수행원으로 갔다가,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인해 생명에 지장이 갈 정도로 큰 부상을 당하였으나, 다행히 그가 입고 있던 장교 정복과 정복에 달린 약장과 훈장[6]이 방탄복 역할을 하여 살아남았다. 그의 뒤에 도열해 있던 최재욱 당시 공보비서관과 더불어 단 둘 뿐인 생존자.
그리고 수행했던 합참의장 전속부관 전인범 중위[7][8]에 의해 구조되었다. 귀국 후 그 정복을 육군사관학교에 기증하여, 육군사관학교 내 박물관(육군박물관)에 고스란히 전시되어 있다.
당시 입었던 정복. 정복 가슴팍을 가로지르는 찢겨진 흔적은 파편이 쓸고 간 것이 아닌, 전속부관 전인범이 직접 그의 상태 확인을 위해 소지하던 칼로 정복을 잘라 탈의시키면서 생겼다고 한다.
해당 정복을 소개하는 국방TV의 영상. 당시 전속부관이었던 전인범 중장이 게스트로 나와 뒷 이야기를 해주었다.
2.2. 국방부장관~말년
이후 1986년 1월부터 1987년 7월까지 국방장관을 지냈다. 이 때 국회 국방위원회 회식 난투극 사건이 벌어지자 남재희 의원에게 사과전화를 하고, 하나회 인사였던 정동호 육군참모차장을 강제 전역시켰다.[9]그리고 북한이 금강산댐을 건설하여 서울특별시가 물에 잠길 것이라고 과장하여서 평화의 댐 사건의 주역 중 한 명이 되었다.
노년의 모습 |
한동안 소식이 없었는데, 2006년에 전인범 대령이 한미연합군사령부에서 표창을 수여받자 수여식에 참석했으며, 2016년에 1983년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에서 목숨을 걸고 구해준, 당시 전속부관이었던 전인범 장군이 33년이란 긴 세월이 흘러 중장 전역식[10]을 할 때 찾아와서 직접 훈장을 달아주며, 그동안 구해준 거에 대한 고마움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평생 나는 내 생명을 구해 준 전인범 장군을 항상 고맙게 생각하고, 모든 내 성의를 다해서 아껴왔습니다."
2016년 7월 28일, 경기도 이천시 육군특수전사령부
전인범 장군 전역식에서 기자와 인터뷰 中
2016년 7월 28일, 경기도 이천시 육군특수전사령부
전인범 장군 전역식에서 기자와 인터뷰 中
2019년 12월 16일, 향년 8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c97; border-right: 10px solid #004c97;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bgcolor=#fff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4>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c97; border-right: 10px solid #004c97;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004c97> 신병현 → 김준성 → 서석준 → 신병현 → 김만제 → 정인용 | |||
국토통일원장관 | 이범석 → 손재식 → 이세기 → 박동진 → 허문도 | |||
외무부장관 | 노신영 → 이범석 → 이원경 → 최광수 | |||
내무부장관 | 서정화 → 노태우 → 주영복 → 정석모 → 김종호 → 정호용 → 고건 → 정관용 → 이상희 | |||
재무부장관 | 이승윤 → 나웅배 → 강경식 → 김만제 → 정인용 → 사공일 | |||
법무부장관 | 오탁근 → 이종원 → 정치근 → 배명인 → 김석휘 → 김성기 → 정해창 | |||
국방부장관 | 주영복 → 윤성민 → 이기백 → 정호용 | |||
문교부장관 | 이규호 → 권이혁 → 손제석 → 서명원 | |||
체육부장관 | 노태우 → 이원경 → 이영호 → 박세직 → 이세기 → 조상호 | |||
농림수산부장관 | 정종택 → 고건 → 박종문 → 황인성 → 김주호 | |||
상공부장관 | 서석준 → 김동휘 → 금진호 → 나웅배 | |||
동력자원부장관 | 박봉환 → 이선기 → 서상철 → 최동규 → 최창락 | |||
건설부장관 | 김주남 → 김종호 → 김성배 → 이규효 → 최동섭 | |||
보건사회부장관 | 천명기 → 김정례 → 이해원 | |||
노동부장관 | 권중동 → 정한주 → 조철권 → 이헌기 | |||
교통부장관 | 고건 → 윤자중 → 이희성 → 손수익 → 차규헌 | |||
체신부장관 | 김기철 → 최광수 → 최순달 → 김성진 → 이자헌 → 이대순 → 오명 | |||
문화공보부장관 | 이광표 → 이진희 → 이원홍 → 이웅희 | |||
총무처장관 | 김용휴 → 박찬긍 → 박세직 → 정관용 → 장기오 | |||
과학기술처장관 | 이정오 → 김성진 → 전학제 → 이태섭 → 박긍식 | |||
정무제1장관 | 최광수 → 정종택 → 오세응 → 이태섭 → 정재철 → 조기상 → 이종률 | |||
정무제2장관 | 노태우 | |||
정무제3장관 | 김기수 | }}} }}}}}}}}} |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08080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29166f> 정계 20명 | <colbgcolor=#fff,#191919> 고재청 | <colbgcolor=#fff,#191919> 권중돈 | <colbgcolor=#fff,#191919> 김윤환 | <colbgcolor=#fff,#191919> 김철 |
남재희 | 박명근 | 손세일 | 신상초 | ||
오세응 | 유옥우 | 유한열 | 이종률 | ||
이태구 | 장승태 | 정래혁 | 정석모 | ||
조종호 | 진의종 | 채문식 | 한영수 | ||
학계 13명 | 권이혁 | 김대환 | 김만제 | 김상협 | |
나창주 | 박봉식 | 박승재 | 박일경 | ||
서명원 | 안세희 | 윤근식 | 정의숙 | ||
한기춘 | |||||
국보위 대표 10명 | 김영균 | 노재원 | 박종문 | 서동열 | |
심유선 | 이광노 | 이기백 | 이우재 | ||
정태수 | 조영길 | ||||
문화·사회계 9명 | 권정달 | 김준 | 박윤종 | 박인각 | |
송지영 | 이정식 | 이종찬 | 이호 | ||
정범석 | |||||
법조계 8명 | 김사용 | 김태청 | 윤길중 | 이범렬 | |
이병호 | 이진우 | 임영득 | 정희택 | ||
종교계 8명 | 강신명 | 김봉학 | 서경보 | 이병주 | |
이영복 | 이종흥 | 전달출 | 조향록 | ||
여성계 4명 | 김정례 | 김행자 | 안목단 | 이경숙 | |
경제계 3명 | 박태준 | 유기정 | 정수창 | ||
언론계 3명 | 방우영 | 이원경 | 이진희 | ||
향군 대표 2명 | 이맹기 | 이형근 | |||
노동계 1명 | 정한주 | ||||
재적 81명 |
[1] 사암공파 30세 기(基) 항렬.[2] 이명 이풍열(李豊烈).[3] 이명 이명렬(李明烈).[4] 김성진: 1등,김복동: 13등, 권익현: 55등, 이기백: 59등, 노태우: 67등, 손영길: 81등, 정호용: 86등, 전두환: 126등[5] 1차 대장진급자는 당연히 셀프진급한 전두환이었고, 2차는 전두환이 군복을 벗긴 노태우였다. 3차 진급은 정호용, 4차 진급은 이기백, 5차 진급은 이상훈으로, 비하나회 11기 2명은 대장진급을 선두로 하지 못 했다.[6] 엄밀히 말하면, 30년 근속훈장[7] 이쪽도 훗날 중장으로 진급해, 특전사령관과 제1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지내고 전역한다.전설의 슬리퍼 짤의 그분 맞다.[8] 이기백 1군단장은 소대장을 마친 전인범 중위를 전속부관으로 발탁했으며(소장의 전속부관은 중위이다), 그가 육군참모차장, 2군 사령관, 합참의장 순으로 계속 승진하는 중에 계속 데리고 갔다. 전인범이 1984년에 대위로 진급하면서 새 전속부관이 소령으로 바뀌게 된다.[9] 하지만 정동호는 한국도로공사 사장으로 이동하면서 여전히 잘 나갔다. 애초에 정동호 중장은 이 사건만 없었더라면 대장 진급이 유력했던 인물인지라...[10] 관련 전역식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