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22:16:16

동부정류장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colbgcolor=#008837> {{{#!wiki style="margin: -12px 0;"<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colcolor=#fff> 터미널 동대구 · 서대구 · 북부 · 서부 · 군위
정류소 서대구역 · 용계역 · 현풍 · 효령 · 우보
기타 용산역(서부정류장행 하차 전용) · 태전역(북부정류장행 하차 전용) · 용계(가창) · 구효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폐쇄/운행중단 터미널 · 정류소 목록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8837><colcolor=#fff> 터미널 대구동부남부 · 현풍(시외)
정류소 대구혁신 · 시지 · 대구공항
}}}}}}}}} ||
{{{#!wiki style="margin: 0 -8px"
서울 · 부산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세종


1. 개요2. 소개
2.1. 후적지 개발
3. 폐장 전 당시 운행 버스 노선
3.1. 시외버스3.2.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4. 중간정류소
4.1. 경북아파트 정류소4.2. 용계역 정류소
5. 연계 시내버스 노선6. 폐쇄 및 통합7. 연계 지하철역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 효신로 11(신천동 481-1) 효신네거리에 있었던 시외버스 터미널. 1975년에 개장해 2016년 12월 12일에 폐장했다. 정식 명칭은 동부 시외버스 터미널이지만, 흔히 동부정류장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2. 소개

경북고속에서 운영했지만, 현실은 경주포항에 연고를 두고 있는 금아, 아성, 천마의 사실상 전용 버스 터미널이자 두 회사들의 성지와 같은 곳이었다.[1] 실제로 동부정류장에서 출발했던 노선의 96%가 금아, 아성, 천마가 독점하거나 공배하고 있는 노선이며 신설된 거제행, 해운대행, 서산행, 운행 업체가 변경된 울산행 단 4개의 노선만이 금아버스그룹, 아성고속이 아닌 경원여객(경상남도 시외버스 업체)[2], 해운대고속, 충남고속, 금남고속, 한양고속에서 운행한 노선이다. 경원여객 단독 운행 중이다가 2015년 들어 경북고속이 참여를 시작한 고현 ↔︎ 대구 노선(계열사 진안고속에서 운행)[3]과 2015년 7월 15일에 개통된 해운대 ~ 동대구/용계역 ~ 북대구 , 최근 개통된 서산 ~ 당진/기지시 ~ 동대구 3개의 노선만이 경북고속 및 계열사인 진안고속에서 운행했다. 그리고 대구광역시 시내의 4개 시외버스 터미널 중 유일하게 구의 방위(동구)와 터미널의 방위(동부정류장)가 일치하는 시외버스 터미널이었다.[4]

주로 강원특별자치도 영동(동해안) 지방, 경상북도 동부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있는 대구광역시의 주요 관문 가운데 하나였다.[5] 다만 2016년 3월 17일 부로 충남 당진, 서산 등 서해안 지역 노선이 신설되었다.[6][7]

동대구역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있는 동부로를 달리다가 효신로를 따라 내려오면 있는 효신네거리에 자리잡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과는 조금 떨어져 있어서 시내버스로 환승해야 했으며, 동부정류장으로 들어오기 전에 신천4동 경북아파트 정류장에서 중간 하차해 주었다.

낙후된 데다가 가장 열악한 남부정류장 다음으로 승객 수가 적었지만, 2016년 12월 12일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의 완공에 따라 수성구 만촌2동 만촌네거리에 있는 남부정류장과 함께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에 통합됐다.

아성고속의 본사가 버스 출입구 왼쪽에 있었다.[8]

터미널의 폐쇄 후에는 아성, 천마 소속 일부 차량들의 차고지로 이용했었고, 차량 출입구 옆에 있는 HD현대오일뱅크 주유소에서 연료를 채우기도 했다.

동부정류장 구내는 과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종점 및 경유지 중 하나였으나 1998년 개편을 포함해 여러 번의 개편으로 구간이 연장된 결과 종점이 시지나 경산으로 이전되어 그냥 시외버스 터미널 기능만 남았고, 2006년 시내버스 개편 이후에는 터미널 구내로 들어오는 노선도 순환2번만 들어오게 되어 대폭 축소되었다. 순환2번처럼 신천동 경북아파트에서 동부정류장을 거쳐 동대구LPG충전소로 다니는 524번은 동부정류장 구내로 안 들어오고 곧바로 효신네거리에서 우회전하며, 동대구터미널 통합 이후에는 자연히 순환2번도 효신네거리로 들어간다.

시내버스/시외버스 차량 진출입로는 굉장히 지대가 높은 편이다. 그런데 순환2번에 운행 중인 저상버스는 잘 다녔다.

인터넷 예매는 버스연합회 홈페이지에서 가능하지만 거제, 해운대행만 예매가 가능했다. 나머지는 예매가 안 되고 운행 정보만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구내에 승차권 무인발매기가 없었다. 통합 동대구터미널에는 시외버스용 발매기를 엄청나게 깔아 놨다.

인근 효신네거리에 대순진리회 회관이 있어서 가끔 전도꾼들이 출몰한다.

영업 종료 후에는 차고지로 이용되어 오다가, 터미널 입구의 HD현대오일뱅크 주유소가 폐쇄된 후 2021년에 터미널 건물이 완전히 철거됐다.

2.1. 후적지 개발

철거된 후 이 터미널 부지에 466세대 규모의 이스트팰리스 데시앙 아파트 분양이 예정되어 있다. # 그리고 데시앙 자리 옆에 신천119안전센터도 신축할 예정이다.

3. 폐장 전 당시 운행 버스 노선

정보는 폐장 직전인 2016년 당시 기준이다.

3.1. 시외버스

3.2.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탑리: 2010년대 초까지 다녔으며, 하양에서 신녕 사이에 금호, 영천, 화산을 경유하는 형태와 와촌, 청통을 경유하는 형태로 나눠졌으며, 안동 혹은 청송(약수탕, 주왕산)까지 다녔다.

4. 중간정류소

4.1. 경북아파트 정류소

신천4동 경북아파트 앞에 있었던 중간 하차장으로, 경북아파트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중간 하차했다. 동대구역, 옛 대구고속버스터미널과 시내버스 한 정거장 정도 거리가 떨어져 있으며, 경북수협네거리에서 동부정류장 방면으로 좌회전해서 내려 준다. 다만 기사에 따라선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미리 말해 두는 것을 추천한다. 말해 두면 100% 내려 준다. 언덕을 따라 걸어서 내려가면 대구고속버스터미널동대구역으로 갈 수 있다. 이 정류소는 중간 하차만 가능했으며, 길 건너편에 통합 동대구터미널이 개장하면서 자연히 용도폐기됐다.

영천 55/555번이 이 정류장에서 잠시 대기하다가 출발했으며, 동대구터미널 개장 후에는 옛 대구중앙 터미널 근처에서 대기한 후 출발한다.

4.2. 용계역 정류소

용계동 강변동서마을아파트 근처에 있는 간이 매표소로, 2001년 7월에 신설됐다. 그림에서 보면 알겠지만 중간 하차용 정류소 옆의 파출소 쪽 골목으로 가면 바로 용계역이며, 시외버스고속버스가 여기서 중간 하차한다. 시외버스 용계동 매표소는 동대구IC 진입 직전의 삼거리 옆에 있으며, 2015년 6월 15일부터 부산행 한정으로 이 매표소에서 고속버스의 중간 승차도 받는다. 울산/경주행 시외버스 노선이 따로 있어서, 울산/경주방면 고속버스 노선이 있었을 당시에는 용계역에서 중간 하차만 가능하다. 승객이 별로 없는 경우 기사님이 하차하는지 물어보고, 하차하는 승객이 없는 경우 동대구IC를 찍은 후 바로 고가도로로 진입한다. 매표소는 아침 6시 30분부터 밤 9시까지 영업하니, 이 시간 이후의 출발편은 미리 승차권을 사 놓거나 고속버스모바일 앱을 이용해야 한다. 카드도 받아 준다.

시외버스는 대부분 노선이 중간 승차도 실시하나, 좌석제인 거제(고현)행은 중간 승차를 하지 않고 중간 하차만 한다. 해운대행도 중간 승차가 안 된다고 하였으나, 용계역에서 중간 승차를 받는 모습을 목격했다.

파일:attachment/daegu_dongbu1.png

파일:attachment/daegu_dongbu2.png

5. 연계 시내버스 노선

동대구역과 가깝다는 이점 때문인지 몰라도, 동부정류장으로는 시내버스가 많이 다니지 않았다. 북부정류장을 경유하는 18개 노선들[26], 서부정류장을 경유하는 14개 노선들[27],남부정류장을 경유하는 19개 노선들[28]에 비하면 동부정류장을 경유하는 노선이 12개로 다른 시외터미널들의 노선 갯수보다 제일 적다.

순환2번이 유일하게 동부정류장 바깥이 아닌 입구 정류장에도 정차했으나, 통합 동대구터미널 개장 후에는 순환2번도 자연히 효신네거리에서 우회전한다.[29] 156번도 동부정류장으로 다녔지만, 경북수협네거리에서 대구지법 등기국 및 효목2동 태왕메트로시티 아파트로 직선화되어 동부정류장으로 운행하지 않는다.

폐쇄 후 정류장명은 정문 측(00463[30], 02035)이 팔공정보문화센터[31]로, 동부정류장(남편)(05150)이 효신초등학교로 변경됐다. 05150의 맞은편에 있는 02034 정류장은 2021년 9월까지도 '구.동부정류장(메트로팔레스)'로 아직 남아있다.

예전부터 동부정류장 앞/건너편 시내버스 정류장(팔공정보문화센터)은 시내버스 기사들의 대표적인 승무교대 장소다. 현재 425번937번이 옛 동부정류장에서 기사 교대를 한다.

6. 폐쇄 및 통합

2016년 12월 12일 부로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의 개장에 따라 남부정류장, 동부정류장, 고속버스터미널이 동대구터미널로 통합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 운행되던 노선들은 일괄적으로 동대구터미널에서 이용 가능하다.

7. 연계 지하철역

가장 가까운 역이 동대구역이나 1.2km 정도 떨어져 있는 데다가, 언덕길을 지나가야 한다.[32] 대신 동부정류장 진입 직전에 중간 하차하는 신천동경북아파트 정류장에서는 동대구역이 상대적으로 가깝다.


[1] 포항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도 동부정류장 못지 않게 금아, 아성, 천마 소속 버스들이 대부분인 곳이지만 거기는 KD경북고속, 서울고속, 새서울고속 등 다른 회사 소속인 버스들도 비교적 많았다.[2] 정확히는 노선 인가 당시에는 해당 노선을 경원여객이랑 경북고속에서 공동으로 운행하기로 했다. 그런데 어찌 된 건지 2014년 말 ~ 2015년 초까지 경원여객만 해당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가 2015년 들어서야 경북고속이 운행을 시작했는데, 2015년 11월에 구미발 거제행 노선이 동부정류장을 경유하면서 경북고속 운행분을 계열사인 진안고속에 넘겼다.[3] 8월부터 10월까지 경북고속에서 운행하다가 11월에 계열사인 진안고속으로 양도했다.[4] 서부정류장서구에 있는게 아니라 남구 대명11동 성당네거리(서부정류장역 근처 관문시장 삼거리)에 있고, 정작 북부정류장서구 비산7동이며, 북구에서 멀지 않다.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북구 노원동3가 만평네거리에 있다. 추가적으로 남구에 없는 남부정류장수성구 만촌2동 만촌네거리에 있었다.[5] 동해안 지역을 주로 경유하기 때문에 여름 휴가철이면 이용객이 많았다. 다만 강릉 이북 강원특별자치도 영동 지방은 대부분 7번 국도 경유 완행이므로 북부정류장에서 타는 게 월등히 빠르다.[6] 보통 예전에는 충청권 노선은 북부정류장이 운행한다. 실제로 북대구-서산-홍성 노선이 운행되다가 폐지된 과거가 있다.[7] 현재는 대구북부정류장에서는 2018년 11월 23일 대구북부-충주완행대구북부-동서울 노선이 폐지된 이후에는 충주직통만 남았다.[8] 덕분에 아성고속 수도권선이나 북행조 우등형 차량들은 포항이나 경주에서 대구로 회송할 때가 많은데, 동대구 ↔ 경주(시외), 동대구 ↔ 포항(시외)에서 우등형 차량들이 종종 보이는 것도 이 때문.[9] 현재의 동대구터미널과 달리 동부정류장 시절에는 대구-강원영동권 심야버스 및 대구동부-속초 완행도 있었다. 동대구-속초 완행은 동대구터미널으로 이전 후에도 약 1년 넘게 운행하다가 2018년에 노선은 그대로 유지한 채 대구에서 발권가능한 행선지만 강릉으로 단축한 뒤 코로나19 이전까지 이어지다가 코로나19의 여파로 2020년 2월 26일에 운행이 중지되었다.[10] 하지만 동부정류장에서 이들 세 지역으로 향하는 노선은 위에서 서술했듯이 7번 국도를 경유하는 완통 노선이므로, 직통 노선이 있는 북부정류장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배차는 북부정류장보다 이쪽이 더 많지만 심야 타자고 이거 타다가는 피를 많이 볼 가능성이 많을 뿐더러, 북부정류장에서는 4시간 만에 강릉으로 가 주는 심야버스가 있다. 덤으로 심야차는 강릉 경유로 양양속초도 간다. 시외우등 요금이 생겼어도 여전히 북부 쪽 요금이 싸다.[11] 호산, 임원, 장호, 근덕은 경주까지 거치는 완행만 정차한다.[12] 북부정류장서부정류장에도 포항행 노선이 있지만, 동부의 배차간격이 겨우 5분~10분 간격으로 정말 환상적이다.(...) 서울 ↔︎ 광주 고속버스까지는 아니지만 그에 못지 않게 끝내주게 많다. 대구~포항 마을버스 반면 북부정류장은 배차가 겨우 1일 8회뿐이고, 서부정류장동대구만큼은 아니지만 25~30분 배차 간격으로 제법 많은 편이다. 하지만 위치가 위치인지라 동대구 쪽이 훨씬 싸고 소요시간도 짧을 뿐더러 무엇보다 배차가 압도적으로 많다. 게다가 동대구터미널 통합 후에는 흥해읍으로 이전한 포항역의 이용이 불편해진 남구 주민들에게 예전에 다녔던 동대구역 KTX 리무진버스의 대체 노선 역할을 겸한다.[13] 동부정류장 시절에는 양방향 비좌석제였으나 동대구터미널로 이전 후인 2018년에 포항 방면 한정으로 좌석제가 실시되었으며 2020년에 양방향 좌석제가 실시되었다.[14] 이 노선도 배차가 정말 더럽게 많다. 10분~30분 간격.[15] 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경주고속금호고속 버스도 있었으나, 배차가 적었다.[16] 동부정류장 시절에는 상세 시간표 없이 그냥 30분 배차라고 해놨다. 이 노선은 동대구터미널로 이전 후인 2018년에 경주, 포항, 울진 방면 등과 함께 영천 방면만 좌석제를 실시한 후 2020년에 역방향도 좌석제를 실시한 경주, 포항, 영덕-울진 노선과 다르게 현재도 영천동대구는 비좌석제다.[17] 1일 17회 운행. 대구동부-포항완행의 중간경유지였다.[18] 영천 경유. 진보면으로 가려면 북부정류장에 가자. 2011년까지는 대구동부에서도 많았으나 그 이후로는 진보행은 1회로 줄었다. 북부정류장 출발은 안동 경유.[19] 1일 2회 운행[20] 배차가 적어 그 외 시간에는 청송에서 갈아타야 한다.[21] 하지만 대구동부에서 진보로 가는 버스는 새벽에 1회, 그것도 영천 까지만 고속도로를 타느라 요금도 비싸고 소요시간도 오래 걸리니 대구고속으로 가서 안동행 버스를 이용 후 진보행 버스를 이용하거나 대구북부로 가서 안동 경유 진보행 버스를 타는 것이 낫다.[22] 동대구-울진완행 노선 중에 1일 4회 정차했다.[23] 2011년 9월 개통, 원래 고속버스 면허였으나 구미 - 고현 노선과 통합되면서 시외면허로 전환되었다.[24] 2015년 7월 15일 개통. 1일 4회였으나 같은 해 12월 5일 부로 1일 8회로 증회했다. 경북고속해운대고속공동 배차 노선이다.[25] 2016년 3월 17일 신설, 1일 7회 운행한다. 서산 노선은 예전에 북부정류장에서 홍성 노선과 함께 운행한 적이 있었는데, 수요 감소로 폐선된 후 동부정류장에서 다시 노선이 부활했다.[26] 대구노선:서구1(-1)번,234번,309번,323(-1)번,356번,724번,726번,730번,순환3(-1),성서3번 팔달시장방면 / 성주.칠곡농어촌:0번,250번,250-1번,300번[27] 대구노선:급행6번,달성2번,남구1(-1)번,600번,609번,623번,649번,650번,706번,726번,750번,836번 / 고령농어촌:606번[28] 대구노선:수성2번,234번,309번,349번,425번,509번(영남대방면과 소라APT방면),609번,649번,724번,840번,849(-1)번,909번,937번,939번 / 경산노선:100(-1)번,399번,990번,991번 / 청도군 농어촌:0번[29] 옛날에는 동부정류장에서 동대구LPG충전소 방향으로 들어가는 시내버스에 한하여 구내에 많이 들어갔으나, 2006년 개편 후 2016년 12월에 폐쇄될 때까지 이 정류장은 순환2번 전용 정류장이 되었다. (신)524번은 구내로 진입하지 않았다.[30] 이하 5자리 숫자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용하는 정류장 번호.[31] 팔공정보문화센터는 구 동부정류장 맞은편에서 조금 북쪽에 있어서 앞/건너가 반대가 되었다. 동부정류장 앞이었던 00463이 팔공정보문화센터 건너, 동부정류장 건너였던 02035가 팔공정보문화센터 앞으로 바뀌었다.[32] 걸어가는 거리를 줄이고 싶다면 건너편 정류장에서 버스로 환승해서 가면 좀 더 편하게 갈 수 있다. 동부정류장으로 가는 버스는 꽤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