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1:07:57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완행 노선에 대한 내용은 시외버스 동대구-포항(국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문서가 존재하는 대구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동대구 ]
{{{#!wiki style="margin: -5px 0;"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코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colbgcolor=#368846><colcolor=#fff> 수도권 ↔ 서울경부 ↔ 동서울 ↔ 인천
↔ 성남 ↔ 구리, 의정부
강원도 ↔ 춘천 ↔ 원주
충북 ↔ 청주
호남권 ↔ 광주 ↔ 전주 ↔ 목포
↔ 순천
부산/경남 ↔ 부산 ↔ 진주 ↔ 마산, 진해
폐지 ↔ 경주(고속) ↔ 울산 ↔ 대전복합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는 노선)
수도권 ↔인천공항 ↔이천,여주 ↔신갈,용인
충청 ↔제천 ↔충주
대구/경북 ↔구미 ↔포항(직통) ↔포항(완행)
↔경주 ↔예천,경북도청 ↔상주,점촌
↔점촌(직행) ↔죽장 ↔청송
↔영덕,울진 ↔울진,영해,영덕(직행) ↔ 안동
↔ 영주
강원 ↔동해,삼척,강릉,속초(직행)
부산/울산/경남 ↔해운대 ↔양산 ↔김해공항
↔고현 ↔울산 ↔거창
운행중단 ↔ 언양 ↔ 울산(완행) ↔ 포항(경주경유)
↔ 부천,고양 ↔ 수원,안산
↔ 세종,평택 속초(포항미경유) ↔ 당진,서산
↔ 군위,의성
폐지 ↔ 대전청사,유성 ↔ 부산서부 ↔ 울진,강릉,속초(완행)
↔ 왜관,김천 ↔경기광주,하남 ↔ 천안
}}}}}}}}}
[ 서대구(고속)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2> 수도권 ||<width=25%> ↔ 서울경부 ||<width=25%> ↔ 동서울 ||<width=25%> ↔ 인천 ||
↔ 성남 ↔ 의정부
강원도 ↔ 춘천
충북 ↔ 청주
호남권 ↔ 광주 ↔ 전주 ↔ 순천
경남 ↔ 진주 ↔ 마산, 진해
폐지 ↔ 대전복합
[ 대구서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안산,수원,오산 ||<width=25%> ||<width=25%> ||
강원 ↔원주,횡성,홍천,춘천
충청 ↔청주
대구/경북 ↔포항 ↔구미 ↔경주
부산/경남 ↔부산서부 ↔마산,창원 ↔진주
↔창녕(직행)/(완행) ↔김해 ↔남마산,고성,통영
↔거창,함양 ↔해인사 ↔초계
↔울산 ↔삼천포
호남 ↔광양,순천,여수 ↔광주, 나주 ↔남원(완행)
↔익산,군산 ↔전주
[ 대구북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인천공항 ||<width=25%> ||<width=25%> ||
강원 ↔원주,횡성,홍천,춘천 ↔강릉,양양,속초 ↔태백,고한
↔태백(완행)
충청 ↔충주
대구/경북 ↔포항 ↔안동 ↔영주,춘양
↔진보,영양 ↔탑리,춘산
↔점촌,상주 ↔예천
↔군위,도리원,안계(완행) ↔풍양,지보(완행)
[ 현풍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서울남부 ||<width=25%> ↔동서울 ||<width=25%> ||
부산/경남 ↔부산서부 ↔거창(직통)/(완행) ↔마산,창원
↔창녕
대구/경북 ↔대구서부 (창녕발)
[ 군위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368846><colcolor=#fff><width=5000px> 수도권 ||<width=25%> ↔동서울 ||<width=25%> ↔인천,안산,수원 ||<width=25%> ||
대구/경북 ↔구미 ↔대구북부 ↔안동(완행)
(대구북부발)
(인천발)
↔안동(직행)
}}} ||



파일:포항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포항시 고속버스/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포항(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서울경부 ↔광주 ↔대전복합
}}}}}}}}}
[ 포항(시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3><colbgcolor=#00a4da><colcolor=#ffffff> 대구/경북 ||<width=25%> ↔동대구(직통) ||<width=25%> ↔대구서부(직통) ||<width=25%> ↔대구북부 ||
↔하양(1) ↔ 경산(경주경유) ↔ 구미(경주경유)
↔ 안동 / 영주 / 예천 ↔ 울진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안산, 인천
↔오산, 수원, 서수원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 인천 ↔ 인천공항
부산/울산/경남 ↔부산(노포)(경주경유) ↔ 부산(서부) ↔ 부산(해운대)
↔김해공항 ↔ 양산, 마산 ↔ 양산, 창원
↔ 언양, 김해 ↔ 울산(직통 / 직행) ↔ 진주
↔ 거제(고현), 통영 ↔ 부산노포(직통)
대전/세종/충청 ↔ 충주 ↔ 세종, 천안
강원(영서) ↔원주,횡성,홍천,춘천
강원(영동) 7번 국도 시외직행 노선(2) ↔ 태백, 고한사북
호남 ↔ 목포 ↔ 순천, 여수 ↔ 동광양, 광양
운행중단 ↔ 청주 ↔ 경주경유 동대구 ↔ 경주경유 대구서부
↔ 경산(직통) ↔ 김천 ↔ 구미, 충주(직통)
7번 국도 완행 노선(울진 이북행) ↔ 이천, 경기광주, 하남
폐선 ↔ 대구북부(직통) ↔ 경산(완행) ↔ 성주
↔ 밀양 ↔ 광양(양산경유) ↔ 동서울(직통 / 영동,옥천경유)
[윗첨자 1] 동대구까지 운행하지만 하양까지만 발권 가능
[윗첨자 2] 부산(노포), 울산, 동대구발 삼척-동해-강릉-속초-거진행 버스 해당.
}}} ||
파일:금아리무진 슈프.png
파일:천마고속-7314.png
금아리무진 차량 천마고속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특징4. 기타5. 요금표6. 연계 철도역

1.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4동 동대구터미널과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도동 포항터미널을 잇는 노선. 여기서는 무정차 직통으로 운행하는 노선을 다루며, 완행은 시외버스 동대구-포항(국도) 참조.

2. 노선 정보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
기점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동대구터미널) 종점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대동(포항터미널)
종점행 첫차 06:40 기점행 첫차 06:40
막차 22:00 막차 22:00
운수사명 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 운행횟수 15~20분(1일 60회)
노선 동대구터미널 - 용계고속시외버스정류소 - 동대구IC - 중앙고속도로 - 동대구JC - 경부고속도로 - 도동JC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포항TG - 포항IC - 포항터미널

3. 특징

금아리무진아성/천마고속의 주력/간판 노선으로, 대경권(TK)의 중심지인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최대의 도시인 포항시를 이어 주는 노선 + 대구 시내에서 접근성이 제일 좋은 노선 + 배차가 가장 짧아서 승객들이 매우 많으며, 대부분 포항에 버스로 가게 되면 이 노선을 타고 간다. 특히 저녁 시간대에는 좌석 매진이 빈번해서, 다음 차를 타야하는 상황이 오기도 한다.

북구 흥해읍 이인리로 옮긴 포항역의 접근성이 낮은[1][2] 포항시 남구에서나 포항역에 다니지 않는 SRT를 이용하려는 포항시민들의 고속철도 셔틀 역할도 겸한다.[3] 2010년부터 2015년까지는 신경주역 셔틀이 따로 다녔으나, 2015년에 포항역 개통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폐지된 후[4] 2016년 동부정류장이 대구고속버스터미널, 대구남부정류장과 함께 통합되어 동대구역 옆으로 이설하면서 이 노선이 신경주역포항터미널 간 셔틀버스의 폐지 이후 고속철도 셔틀 역할도 겸하게 되었다. 또한 2011년에 신경주역으로 방향을 바꾼 후 폐지된 동대구역지하도 ↔ 포항 간 셔틀버스의 대체 노선 역할까지 맡게 되었다.

과거에도 동대구~포항직통이 있었으나, 새만금포항고속도로가 없었던 시절이라 영천IC에서 나가서 28번 국도를 타고 갔다.

대부분 동대구에서 포항에 버스로 가면 이 직통을 타고 간다. 당연히 소요시간이 빠르기 때문에 직통을 탈 수밖에 없다.[5] 경주 경유는 2003년까지만 해도 보편적인 현상이었지만 지금은 진짜 새벽에 출발하지 않는 이상[6] 거의 타고 가지 않는다.

평일에 포항에서 배차가 제일 많은 노선이다.[7]

코로나19 이전에는 경주 중간 경유편도 있어서 배차가 5분까지 줄어들기도 했으나 코로나19 이후 경주 경유편이 경주에서 타절되어서 20~40분 간격으로 운행했었다가 지금은 15~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2018년 2월까지 양방향 비좌석제였지만 2018년 3월에 동대구→포항 방면에 한해 좌석제가 시행되었지만 2019년까지 포항→동대구 방면은 비좌석제여서 먼저 탄 사람이 임자였다.[8] 2020년부터는 포항→동대구 방면도 좌석제가 시행되어 지정된 좌석에 타야 한다.[9]

첫차는 06:40에 있고, 막차는 22:00에 있다. 막차가 빠른 편이며 막차를 놓쳤을 때 동대구 쪽에서는 포항행 KTX가 자정 너머까지 다니지만, 포항에서는 KTX도 끊겨 있어[10] 심야교통이 부족하다. 과거에는 24:00에 막차였으나 코로나19 이후 막차가 앞당겨졌다.

경주 노선이 우등할증을 하고 고속-시외 통합까지 한 현재는 사실상 동대구 ↔ 경주 노선과 포항 노선이 분리되었다고 보아야 맞다.

왕복 운행 거리는 175km이다.

4. 기타

  • 여담으로 대구국제공항을 경유하여 팔공산IC로 가면 더 빠르게 갈 수 있음에도, 용계역을 경유하여 동대구IC 쪽으로 둘러간다. 이는 용계정류소에서 동촌권, 안심지구의 수요를 확보하는 목적도 있지만 팔공산IC를 거쳐 대구국제공항을 거치면 아양교를 건너야 하는데 이 구간이 상습정체구간이기 때문에 이를 피하는 목적도 있다. 단, 대구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동대구를 거쳐 경주, 포항으로 가는 차도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운행이 중지되었다. 물론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때문에 대구국제공항 경유는 어차피 폐지될 운명이였다.
  • 포항에서 왜관, 구미, 김천 방면으로 가려는 사람도 이 노선을 이용하는게 좋다. 우선 구미는 일단 시외버스 포항-구미가 있긴 하지만 포항에서 구미가는 버스는 경주를 거치는데다가 현재 전회우등이어서 요금이 아주 비싸고 2시간 20분 씩이나 걸리나, 포항에서 동대구까지 이 노선을 타고 동대구로 와서 이후 무궁화호를 타고 구미역까지 가면 요금이 6,000원씩이나 싸진다. 왜관, 김천도 이 노선타고 동대구로 온 후 무궁화호를 이용하면 된다.[11]
  • 코로나19 이전에는 아성고속, 천마고속 배차에 한해 일부 시간대 28인승 서비스우등이 투입되었는데, 이는 동대구에서 포항까지 운행후 포항에서 성남, 동서울, 인천, 천안, 고양 등으로 가거나[12] 아니면 울산까지 운행후 울산에서 인천, 성남, 부천 등으로 올라갔기 때문이다. 지금도 동대구-포항직통에는 아성고속, 천마고속이 수도권 노선 운행 후 회송 목적으로도 차량이 다니지만, 옛날과 달리 우등할증을 받는다.
  • 일부 시간대에는 울진이나 강릉, 속초까지 연장 운행하기도 한다. 현재 울진까지만 연장운행 하는 시간대는 코로나19로 운행중지 되었다. 강릉, 속초까지 올라가는 버스는 어째서인지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 소요시간은 1시간 10분 정도 잡는 게 속 편하다. 단, 정체 등이 일어나면 1시간 20분 까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참고할 것. 심야 시간에는 버스가 빨라서 1시간 정도면 대구에서 포항까지 간다.[13]
  • 동대구-포항완행보다 정류장은 당연히 더 적고 소요시간도 40분 ~ 50분 정도 짧지만 정작 거리는 완행 노선보다 10km 이상 더 길다.
  • 코로나19가 종식된 2023년 2월 1일부터 54회로 증회되며 대부분 시간 시외우등이 투입된다. 2주간 서비스우등으로 운행 후 2023년 2월 15일부터 우등할증을 시행했다. 역시 코로나19가 종식된 뒤인 2023년 8월 21일부터 60회로 증회되었으며 우등 시간이 36회에서 47회로 증회되고[14] 일반 시간이 18회에서 13회로 감회되었다. 첫 막차는 동일하다. 그리고 날짜 미상 일반 1회가 우등으로 전환되었다.

5. 요금표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rowcolor=#ffffff><-3> 시외버스 동대구 ↔ 포항 운임 ||
동대구
- 용계
8,600(일반)
11,000(우등)
8,000
10,200(우등)
포항

6. 연계 철도역



[1] 상도동 시외터미널 출발 기준으로 현 포항역으로는 시내버스로 기본 40~50분 잡아야 하며,(개편 이전 210번은 그나마 25분~30분이면 갔으나 9회 밖에 없었고 폐지되었다.) 개편으로 107번이 폐지된 후 시외터미널에서 현 포항역에 가려면 좌석 5000번밖에 없다. 이래서 2021년 5월 31일까지 바로 가려면 비싼 좌석버스 요금을 내야 했으며, 그나마 2021년 6월 1일에 좌석버스 요금이 폐지되기 전까지 개편 후 시외터미널에서 일반버스로 포항역에 가려면 무조건 환승해야 했다.[2] 차라리 포항 남구에서 철도를 이용하려면 경주시 강동면 유금리의 부조역의 여객취급을 재개시키는 것이 더 낫다.[3] 비록 2023년 9월부터 포항행 동해선 SRT가 신설됐지만 1일 2회 왕복에 불과한 반면, 동대구역은 무려 40회 왕복으로 다니기 때문에 차라리 버스로 동대구까지 가서 바로 동대구역에서 타는 게 더 효율적이다. 거기에 동해선 SRT는 포항으로 가는 열차가 늘 그렇듯이 서대구역에 들어오지 않는다.[4] 이 때문에 포항 사람들의 신경주역 이용 비중도 감소하였다.[5] 출발지에 따라 대구서부-포항 노선을 이용하기도 한다.[6] 직통 첫차가 경주 경유에 비해서 1시간 이상 늦기 때문이다.[7] 주말에는 노포동행이 대거 증회를 해 노포동행에 비해서는 배차가 밀린다.[8] 그래서 여름휴가철에는 수시로 매진되는 경우가 빈번했으며 자리 경쟁도 매우 심했다.[9] 동시에 경주→동대구도 좌석제가 시행되었다.[10] 포항발 KTX 막차는 21시 36분에 포항역을 출발하는 KTX 산천 #254로 버스보다 더 일찍 끊긴다.[11] 특히 왜관, 구미의 경우 2024년 12월 이후에는 대경선이 개통되어 광역철도 타고 갈 수도 있으므로 본 노선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다.[12] 단, 당연히 연결은 안되었기에 포항에서 나눠 끊어야 했으며 거기다 동대구-포항 방면은 서비스우등이었지만 포항에서 수도권 방면은 우등요금 그대로 받는다.[13] 심야 시간에는 용계 승객이 없으면 1시간 이내로도 끊는다.[14] 6회 순수증차분+5회 우등전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