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선 정보
1.1. 경주 경유
시외버스 부산-경주-포항 | |||||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 종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대동(포항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6:20(우등) 07:20(일반) | 기점행 | 첫차 | 06:20(일반) 06:50(우등) |
막차 | 21:30(일반) 22:00(우등) | 막차 | 21:30(일반) 22:00(우등) | ||
배차간격 | 15~30분(1일 50회)(평일) 10~30분(1일 60회)(토) 1일 61회(일) | ||||
운수사명 | 금아여행, 아성고속, 천마고속 | 인가대수 | |||
상세 노선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노포IC - 경부고속도로 - 경주IC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7번 국도 - 유강터널 - (-> 효자정류소/<-7번 국도) - 포항터미널 |
1.2. 무정차
태백, 거진, 속초, 고한, 강릉 방면 등은 따로 서술한다.시외버스 부산-포항(무정차) | |||||
기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 종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대동(포항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6:50 | 기점행 | 첫차 | 10:20 |
막차 | 평일:18:31 | 막차 | 02:40(평일) 03:40(주말) | ||
배차간격 | 평일 1일 3회, 주말 1일 4회(특정날짜 부산방면에 한해 1일 5회) | ||||
운수사명 | 금아여행,[1] 강원여객, 영암고속 | 인가대수 | |||
상세 노선 | 1번:부산종합버스터미널 - 노포IC - 경부고속도로 - 경주IC - 35번 국도 - 7번 국도 - 유강터널 - 포항터미널 2번:부산종합버스터미널 - 개곡교차로 - 통신사로 - 이예로 - 대복교차로 - 문수IC - 동해고속도로 - 남포항IC - 포항터미널 |
2. 개요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노포동 부산종합버스터미널과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대동 포항터미널을 잇는 노선. 경주 경유와 무정차로 나뉘며, 무정차는 현재 순수 포항에서 종착하는 노선은 운행이 중지되었으며 전부 속초나 고한사북까지 올라갔지만, 2023년 2월 1일부터 운행이 재개되었으나 2023년 4월 5일 부터 다시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 외 시간대에는 경주 경유를 타야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경주 경유는 196km. 무정차는 194.6km.3. 역사
- 초기에는 부산(명륜동)~경주~포항 노선은 경남버스,한일여객,강원여객 공동배차 운행해왔으며 1999년과 2000년 금아교통 에서도 부산에서 입성하여 4개 업체가 공동배차에 들어갔다 현재는 노포동으로 이전하였다.
- 유난히 굴곡진 역사을 가지고 있는데, 지금의 금아여행, 천마고속, 아성고속이 공동 배차하기 이전에는 버스 회사가 자주 바뀌었다. 초기에는 경남고속해당 영상, 경북고속, 아진고속, 한일여객, 성남여객이 배차했지만 한일여객이 막장화 되고 파산하면서 신한일여객이 세워졌지만 이 회사도 결국 부도 나고 금아버스그룹에 인수되어 금아여행으로 재편되었으며, 아진고속은 경북고속와 합병하였으며, 경북고속은 아진고속과 합병하고 난뒤 나중에 아성고속과 천마고속에 매각해 철수하고 경남고속은 IMF 시기에 금아에게 팔면서 철수했으며 성남여객은 금아리무진이 인수하고 철수한 뒤에 금아여행이 인수하면서 현재 형태로 되었다.
- 원래는 경주 경유와 포항 무정차로 나뉘어져 있어 포항 승객은 무정차를 타야했다. 포항 승차권을 가지고 경주경유 포항노선에 탑승을 시도하면 승무사원들이 탑승을 거부했었다. 이 원칙은 포항에서 더 올라가 울진, 강릉까지 완행으로 올라가는 시간에도 적용됐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시간표에 포항행과 경주행이 분리되어 적혀 있었던 이유다. 단, 포항 무정차 편이 없는 이른 시간에 출발했거나 포항 무정차 편의 막차가 떠나 경주 경유 밖에 없는 시간에는[2] 경주 경유 승차를 당연히 허용했다.
- 코로나19로 포항 무정차는 순수 포항 종착이 사라지고 전부 태백, 고한, 강릉, 속초, 거진 등에서 출발한다. 또한 경주 경유는 완행으로 더 올라가던 시간이 운행 중단 되었으며 포항 승객은 이제 경주 경유를 타야한다.[5]
- 2020년 5월 포항 무정차 부활을 검토했으나 취소되었다.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 해운대-포항[6] 노선이 개통되고, 두 노선이 전회 우등에 30% 할증을 칼같이 받음에도 불구하고 접근성으로 인해 매우 잘나가자 노포동 노선의 운영 여건이 예전만 못하기 때문이다.[7] 게다가 부산서부 노선은 천일여객과 고려여객이, 해운대 노선은 해운대고속이 공배하기 때문에 경쟁노선에 가깝다. 특히 포항선의 경우 시외버스 해운대-포항은 해운대부터 포항까지 고속도로를 타기 때문에 우등할증한 노포동 노선과 요금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 심지어 부산서부의 접근성이 좋아 주말에는 원하는 좌석에 앉으려면 사전예매가 필수다. 그것도 며칠전에는 사전예매를 해야 원하는 좌석에 앉을 수 있을 정도로 수요가 많았다. 현재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하루 전에 예매해도 어느 정도는 원하는 좌석이 남아있을 수 있었으나, 2022년 봄이 되면서 금요일 저녁 기준으로 토요일 정오 출발 배차까지는 모두 매진이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 부산에서 포항을 오가는 무정차는 강원여객, 영암고속 한정으로 구간 승차가 가능하다. 포항발 부산행은 심야 한정으로 금아여행도 구간 승차가 가능하다.
- 2022년 5월 14일 부터 주말 증차가 실시되면서 경주 종착이 운행이 재개되었다.
- 2023년 2월 1일 부터 순수 부산~포항 무정차가 재개하며 부산동부~경주간 버스도 증회된다. 또한 주말에는 부산동부~경주가 16회(경주종착 5회) 증회되며,[8] 부산동부~포항은 11회 증회된다. 그리고 일부 시간대 우등버스가 도입된다. 심야에는 통합 운행한다. 단, 이 과정에서 동해안 완행은 부활하지 못했으며 시외버스 포항-광양의 포항,경주-부산 구간 승차도 여전히 불가능하다.
- 2023년 4월 5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시간표도 경주 경유에 한해 예전으로 돌아왔다. 이로 인해 배차 간격도 개선되었다. 대신 우등 차량이 비중이 늘어 우등이 6회 증회 되고 일반이 1회 감차 되었다. 우등 5회는 순수 증차 분이며 1회는 45인승/41인승 일반에서 28인승 우등으로 전환한 것이다. 단, 이 과정에서 22:30, 23:00 심야차량이 폐지되어 다시 22:00 막차로 돌아왔고 노포동-경주 만을 오가는 계통은 다시 운행이 중지되어 전회 포항까지 간다.[9] 또한 다시 순수 포항 무정차가 운행이 중지되었다.
4. 특징
- 부산사상발과는 다르게 2019년까지는 양방향 비좌석제 선착순 탑승이었으며[10] 이로 인해 자리 전쟁이 엄청 심해서 다음 차를 타야 하는 경우도 빈번했으며 코로나19 이후로 포항발만 지정좌석제로 운영하다가 2021년부터 양방향 지정좌석제로 전환되었다. 게다가 사상 노선과는 달리 경주 ~ 포항 구간도 공식적으로 구간승차가 가능하다.[11]
- 포항→부산 무정차는 심야도 운행한다. 02:40과 03:40(토요일만)에 운행했다.
- 참고로 같이 빗자루질 했던 동대구행 과는 다르게[12] 이 노선은 경주IC에서 고속도로에 진입해서 경주경유와 시간 차이가 5~10분 밖에 안 났다.[13] 결국 이는 무정차가 운행중단 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현재는 7번국도 우회도로인 통신사로, 이예로가 개통하면서 경주 경유없이 포항으로 갈 수있게 되었다. 터미널-통신사로,이예로-문수IC-동해고속도로-남포항IC 경로를 이용하면 되는데 경주 경유에 비해 약 10~20분정도의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14] 물론 이미 무정차 노선이 없어진 뒤에 도로가 개통해 아무런 의미가 없어졌다. 참고로 무정차가 이 구간을 이용하면 거리 증가로 인해 요금이 약간 상승한다.
도로:아 조금만 빨리 개통했다면[15]
- 시외버스 경산-포항, 시외버스 울산-제천과 함께 금아여행 노선 중 45인승 일반차량이 들어가는 노선이다.
- 동대구-경주-포항 노선이 동대구-경주, 동대구-포항직통으로 분리된 뒤로 대부분의 포항-경주 승객은 이 노선을 탄다. 사상행은 단거리 노선이지만 운영 방식은 대놓고 장거리노선 취급이고[16], 창원, 마산, 김해노선은 세 노선 모두 합해도 운행횟수가 평일 27회, 주말 35회로 다소 적기 때문에 해당 노선으로 경주 ~ 포항 간 구간승차가 전담이 어렵고 특히 일반은 마산발 4회 밖에 없기 때문이다.
- 이 노선은 원래 비좌석제였다. 동대구-포항 노선, 동대구-경주 노선과 다르게 경주, 포항 방면도 비좌석제였으며, 2020년에 부산 방면에 한해 좌석제를 실시한 후 2021년에 경주, 포항 방면도 좌석제를 실시하게 되었다.
- 무정차 노선의 경우 기존처럼 경주로 나와 국도를 이용하거나, 자동차전용도로인 통신사로, 이예로를 이용해 문수IC로 가서 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경로가 있다. 과거에 한번씩 이용했던 북경주IC - 건포산업로 - 건천IC - 경부고속도로 경로는 워낙 우회를 많이 하기에 현재는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17]
- 1일 1회는 심야차량인데, 심야할증은 우등할증과 달리 경주 ~ 포항간 이동시에도 할증을 받으며 부산동부 - 경주간 이동 역시 동대구 - 경주간 이동과 다르게 심야할증을 수수한다.[18] 단, 경주 ~ 포항간 구간승차는 심야할증만 받고 우등할증은 받지 않는다.
5. 수요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 만큼은 아니지만 이 노선도 매진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노선이 사상(부산서부), 해운대 행이 없던 예전에 비해서 인기가 줄었다는 거지 완전히 죽었다는 것이 아니다. 당장 평균 배차 간격만 봐도 이 노선이 가장 짧다. 무지막지한 수요를 시내버스에 준하는 배차간격으로 커버하고 있어서 비교적 공급이 딸리는 부산서부 노선보다 매진이 안 뜰 뿐이다. 당장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늘어나면 포항 ~ 경주 ~ 부산 간 이동이 막장이 된다. [19]이는 이 노선이 부산 ~ 경주, 포항간 이동 축의 근본인데다가 경주-포항간 이동을 거의 전담하다시피 하고있는것에 그 이유가 있다. 과거 경주-포항간 시외버스들이 코로나의 여파로 감차나 노선단축크리를 당했기[20] 때문이다. 경주-포항간에는 수요가 제법 있어[21] 노선을 안 굴릴수가 없는데 그럴바에야 그냥 노포동터미널까지 운행하는 것이 버스회사 입장에서는 더 좋다.[22]
울산의 경우 도로망이 애매하고[23] 해운대[24], 사상[25]은 터미널공간이 협소해 버스를 마냥 투입하는게 어렵다. 반면 노포동터미널은 터미널 공간이 넓어 버스 배차가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게다가 해운대, 사상행 노선에 비해 거리가 짧고 무엇보다 경주에서 부산까지 다른 고속도로로 갈아타지 않고 경부고속도로만 이용해 소요시간이 포항-부산간 노선중에서는 제일 짧게 걸리는 탓도 있다[26]
과거에는 전 차량 일반버스로 운영해 요금적인 매리트까지 있었으나 2023년 2월 1일 부터 45회 중 30회에 우등할증이 적용되어 요금적으로 이점은 다소 반감되었다. 그래도 부산~경주 구간의 경우 해운대, 사상행보다 요금이 저렴하고 아직 일반이 살아있기 때문에[27] 부산대, 동래, 연산동, 서면, 남포동[28] 등 1호선 연선 지역이 목적지라면 충분히 메리트가 있다. 부산대나 동래의 경우 노포동이 훨씬 가깝기도 하고 사상행 이용시 1번 환승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서면으로의 접근성 역시 사상행 버스보다 노포행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낫다. 1호선 노포역에서 서면역이 27분 소요되고, 2호선 사상역에서 서면역이 14분 소요된다. 얼핏 도시철도 소요시간만 보면 사상행이 더 빠른것 같지만, 사상행은 경부고속도로에서 중앙고속도로지선을 타고 양산을 거쳐 사상까지 와야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이미 도시철도 사상역의 시간적 메리트가 상쇄되어 버린다. 거기에 중앙고속도로지선 양산 구간은 상습정체가 일어나는 구간이다. 덤으로 노포역은 착석이 보장되는데다가 아직 일반노선도 있고 우등이라도 사상행보다는 저렴하기에 요금적인 측면에서도 메리트가 있다. 공급이 많아 사상에 비해 매진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점도 있다.
즉 노포터미널의 접근성 문제에도 불구하고, 해운대, 사상터미널의 근원적인 문제들, 부산-경주, 포항을 가는 순방향에 위치하기에 배차간격이 짧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6. 요금표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rowcolor=#ffffff><-3> 시외버스 부산 ↔ 포항 운임 ||
부산 | ||
5,700 7,400(우등) | 경주 | |
9,700 12,600(우등) | 4,000 | 포항 |
7. 연계 철도역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부산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부산(노포)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
수도권 | ↔서울경부 | ↔동서울 | ↔인천 | ↔성남 | |
| ↔용인 | ||||
충청 | ↔청주 | ↔논산 | | | |
| |||||
호남 | ↔광주 | ↔순천,여수 | ↔전주 | ||
영남 | ↔동대구 | | |||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
수도권 | ↔인천공항 | ↔오산,수원,안산 | ↔이천 | ||
강원 | ↔원주 | ↔횡성,홍천,춘천 | ↔호산,태백,고한 | ↔강릉,속초 | |
↔삼척,동해,강릉,속초,간성,거진 | |||||
충청 | ↔충주 | ↔제천 | |||
대구경북 | ↔울진,부구 | ↔안동,영주 | ↔경주(시외),포항 | ↔구미,상주,점촌 | |
↔영천 | |||||
울산경남 | ↔마산 | ↔마산남부 | ↔진주 | ||
↔창원,진해 | ↔언양 | ↔고현,통영 | |||
호남 | ↔광양 | ↔군산,익산 | |||
폐지 | | | |
- [ 부산서부(사상)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6>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수도권 ↔서울경부 ↔동서울 ↔인천↔용인↔성남↔수원충청 ↔당진 ↔청주↔대전복합↔세종호남 ↔광주,나주 ↔여수 시외버스 및 전환고속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수도권 ↔서울남부 호남 ↔전주 ↔남원 ↔장계 ↔목포,진도 ↔순천 ↔완도 대구경북 ↔경주,포항 ↔현풍,고령,거창 ↔창녕,대구서부 경남 ↔ 마산/창원 ↔함안,의령,합천 ↔밀양(직행) ↔밀양(완행) ↔진주 ↔삼천포 ↔함양 ↔통영(직행) ↔남마산,고성,통영 ↔고현,장승포 ↔용원 ↔진해(완행) ↔진교,남해 ↔율하 ↔진영 ↔장유
- [ 동래 ]
- [ 해운대 ]
- [ 김해공항 ]
문서가 존재하는 경주시 고속버스/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cbbe53><colcolor=#ffffff>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
운행노선 | ↔서울경부 | ↔광주, 목포 | ||
폐지 | ↔부산 | ↔동대구 | ↔대전복합 |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
대경 | ↔동대구 | ↔대구서부 | ↔대구북부 | |
↔하양, 대구대 | ↔경산 | ↔구미 | ||
↔안동, 영주 | ↔영천, 경북도청 | ↔모화 | ||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 ↔안산, 인천 | |
↔오산, 수원, 서수원 |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 인천 | ↔인천공항 | ||
부울경 | 부산(노포) | ↔부산(서부) | ↔부산(해운대) | |
↔김해공항 | ↔양산, 마산 | ↔양산, 창원 | ||
↔언양, 김해 | 울산(고속도로)(1) | ↔진주 | ||
↔거제(고현), 통영 | 울산(국도)(2) | |||
충청 | ↔충주 | ↔세종, 천안 | ↔제천 | |
강원 | ↔원주,횡성,홍천,춘천 | |||
호남 | ↔순천, 여수 | ↔동광양, 광양 | ||
운행중단 | ↔대구공항 | ↔김천 | ↔청주 | |
↔이천, 경기광주, 하남 | | |||
[윗첨자 1] 울산-경주 단일노선, 울산-경북도청 노선도 있음 [윗첨자 2] 경북도청발 노선도 존재. [윗첨자 3] 명목상 운행중단이나 사실상 폐선 |
문서가 존재하는 포항시 고속버스/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포항(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서울경부 | ↔광주 | |
- [ 포항(시외)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3><colbgcolor=#00a4da><colcolor=#ffffff> 대구/경북 ||<width=25%> ↔동대구(직통) ||<width=25%> ↔대구서부(직통) ||<width=25%> ↔대구북부 ||
↔하양(1) ↔ 경산(경주경유) ↔ 구미(경주경유) ↔ 안동 / 영주 / 예천 ↔ 울진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안산, 인천 ↔오산, 수원, 서수원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 인천 ↔ 인천공항 부산/울산/경남 ↔부산(노포)(경주경유) ↔ 부산(서부) ↔ 부산(해운대) ↔김해공항 ↔ 양산, 마산 ↔ 양산, 창원 ↔ 언양, 김해 ↔ 울산(직통 / 직행) ↔ 진주 ↔ 거제(고현), 통영 ↔ 부산노포(직통) 대전/세종/충청 ↔ 충주 ↔ 세종, 천안 강원(영서) ↔원주,횡성,홍천,춘천 강원(영동) 7번 국도 시외직행 노선(2) ↔ 태백, 고한사북 호남 ↔ 목포 ↔ 순천, 여수 ↔ 동광양, 광양 운행중단 ↔ 청주 ↔ 경주경유 동대구 ↔ 경주경유 대구서부 ↔ 경산(직통) ↔ 김천 ↔ 구미, 충주(직통) 7번 국도 완행 노선(울진 이북행) ↔ 이천, 경기광주, 하남 폐선 ↔ 대구북부(직통) ↔ 경산(완행) ↔ 성주 ↔ 밀양 ↔ 광양(양산경유) ↔ 동서울(직통 / 영동,옥천경유)
[1] 부산방면에 한해 심야차량만 배차.[2] 포항 무정차는 06:40~20:20에 한해 운행했다.[3] 06:00(강릉행), 09:30, 10:45, 14:00에 출발. 울진 및 삼척~강릉간 발권불가.[4] 현재의 KTX 서는 경주역이 아닌 옛날 경주시내 한복판에 있었던 역을 의미한다.[5] 포항->부산은 여전히 무정차가 운행하고 있으나 운행 횟수가 적은 관계로 경주 경유의 발권을 허용한다.[6] 주로 해운대, 장산, 벡스코, 송정, 기장이 목적지일때 타는 노선이다.[7] 그러나 노포동 노선도 사상 노선에 비하면 인기가 적을 뿐이지 절대 수요가 적은 것은 아니다.[8] 참고로 코로나19 이전 부산동부~경주는 운행횟수가 50회 정도였다. 코로나19 이전보다 많아진셈.[9] 정확히는 경주행 차량 전회를 포항까지 연장한 것이다. 연장 분의 경우 포항으로 연장과 동시에 전회 우등할증이 실시되었다.[10] 비슷한 빗자루 노선인 동대구-포항 노선은 2018년 3월 이후로 포항방면에 한해 좌석제가 실시되었으며 동대구방면은 계속 비좌석제 이다가 2020년 8월 경에 좌석제가 시행되었다.[11] 사상발 노선은 전회 우등 전환 이후 구간승차가 불가능해졌다. 경주 ~ 포항 구간은 경주 경유 장거리 노선들이 주로 이용하는 형산로 (68번 지방도)를 따라 직통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예전에도 명목상으로는 구간승차가 가능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불가능했다.[12] 이 노선은 포항IC에서 바로 고속도로에 진입해서 경주경유와는 25분 정도의 시간 차이가 났다.[13] 경주시내에 차가 밀리면 북경주IC에서 건포산업로에 진입해 건천IC에서 고속도로에 진입하기도 했으나 둘러가는 루트였다.[14] 지도상의 이론적인 소요시간은 기존경로와 비슷하게 나오지만 기존경로의 경우 부산~경주구간 경부고속도로의 은근한 정체도있고 경주부터는 시내도로를 지나가야해서 지도상의 소요시간에서 플러스 해야되는 반면 저 경로의 경우 대부분이 자동차전용도로라 지도상의 소요시간 차이가 거의 없거나 오히려 더 빠르다.[15] 다만 시외버스는 운임을 신고하는 식으로 인가를 받는데다가 경쟁을 위해 규정 운임보다 저렴하게 받는 것도 허용하기 때문에 인가는 경부고속도로 경유로 유지하나 운행경로는 통신사로 쪽으로 변경한다던지, 아니면 인가를 바꾸는 대신 기존운임을 유지하는 합법적인 방법을 쓸 수도 있다. 부산교통의 예시처럼 규정운임보다 비싸게 받을 경우에만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16] 즉, 경주 경유 수도권방면 노선처럼 포항 ~ 경주 구간승차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의미이다.[17] 부산사상/김해/창원/마산발 포항행 무정차 또는 북행무정차 노선이 생긴다면 중앙고속도로지선을 이용해야하므로 이용할 여지가 있으나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다. 게다가 김해(장유)/창원/마산 지역에서 강릉 이북으로는 중앙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서울양양고속도로가 더 유리하므로 7번 국도로는 울진, 삼척, 동해까지가 한계다.[18] 포항의 경우 부산동부행과 동대구행 양측다 심야할증을 받는다.[19] 경주 ~ 부산은 그나마 열차라는 대안이라도 있지, 포항 ~ 부산은 동해선 개통전 까지는 답이 없다. 게다가 경주, 포항역 모두가 시내에서 다소 멀리있어 버스편을 대체하기는 여러모로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20] 동대구-경주-포항 노선 / 대구서부-경주-포항 노선. 특히 약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던 국도경유 동대구-경주-포항 노선의 경주~포항 구간 단축이 결정적이었다.[21] 포항과 경주는 같은 남동임해권으로 분류되어 있다.[22] 경주터미널 역시 박차공간이 넓지 않다.[23] 7번 국도를 이용하자니 동궁과 월지, 불국동, 모화리에서 차가 막히며 고속도로 이용시 돌아간다. 당장 동해고속도로 개통 이후에도 포항 ~ 울산 노선이 왜 경주시내를 계속 거치냐고 지적 기사가 올라온 적이 있다. 설령 동해고속도를 이용하더라도 남경주IC까지는 가야되는데 하필 울산시내권에서 남경주IC까지 가는 길목이 울산에서도 손 꼽히는 상습정체구역이다. 이 때문에 거리상으로는 더 먼 부산가는게 오히려 소요시간이 적게 걸리는 경우도 꽤 있다.[24] 여기는 아예 제대로된 터미널 시설도 없다. 현행 터미널 부지는 임시로 코레일쪽 부지를 임대한 것이다. 터미널 부지를 비워달라는 요구받았으며 결국 2024년 상반기에 매표소 건물이 폐쇄되었다. 그나마 주차장 부지는 아직 사용이 가능해 주차장에 임시 가건물을 세워놓고 거기서 승객을 받고 있다. 거기다가 해운대는 도로망 문제등으로 경주행과 포항행이 분리되어 있어 배차간격이 더 길다.[25] 사상터미널의 공간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원하던 경주, 포항행 시외버스가 2010년대 후반에야 겨우 신설되었고 울산행 노선 신설이 거의 무산된 근원적인 원인또한 터미널의 공간 문제이다. 문제는 터미널 일대가 부산의 대표적인 부도심격이 되면서 터미널 공간확장도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에 있다. 이와같은 문제로 대다수의 고속버스 회사들은 승객하차후 노포동까지 공차회송을 하는 실정이며, 그나마 고속사중에서 사상터미널 노선이 많은 금호고속 정도만 인근에 주차장을 따로 마련해놓고 있다[26] 평소 노포~포항까지 약 90여분 정도 걸리는데 포항역에서 호미곶까지 가는 9000번 버스의 편도 소요시간이 90여분 정도임을 감안하면 어지간한 시내버스 편도 운행시간과 거의 같은 셈이다.[27] 단 포항의 경우 해운대행 기준 요금차이가 거의 없다. 해운대~포항행 노선은 거의 전구간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때문이다.[28] 단 여기는 구덕터널을 넘어 사상터미널로 가는 경우도 많아서 수요가 분산된다. 과거부터 남포동은 노포동쪽과 교류가 거의 없었고 남포동 일대에서 버스 한번만 타면 사상터미널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사상쪽을 더 가깝게 여기는 경우도 많다.[29] 현재의 포항~울진완행은 옛날 동대구/부산동부~울진완행을 포항으로 단축시켜 만든 노선이다. 대신 동대구발 운행업체였던 금아리무진과 아성천마고속은 현재까지 잘 운행하고 있지만 부산동부발 운행업체였던 금아여행은 아예 동해안 완행에서 철수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