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아여행 차량 | 아성고속 차량 |
1. 노선 정보
시외버스 부산서부↔포항 | |||||
기점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도동(포항시외버스터미널) | ||
포항행 | 첫차 | 07:00 | 부산사상행 | 첫차 | 07:00 |
막차 | 20:00 | 막차 | 20:00 | ||
운수사명 | 금아여행, 아성고속, 천마고속 천일여객, 고려여객 | 배차간격 | 40분~1시간 | ||
상세 노선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 강변대로 ↔ 삼락IC ↔ 중앙고속도로 ↔ 대동JC ↔ 중앙고속도로지선 ↔ 양산JC ↔ 경부고속도로 ↔ 경주IC ↔ 서라벌대로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68번 지방도 ↔ 새천년대로 ↔ 포항시외버스터미널 |
2. 개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포항시외버스터미널을 이어주는 시외버스이다. 중간 경유지로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한다. 왕복 운행거리는 222km.3. 특징
- 중앙고속도로지선이 개통되어 서부산에서 경주, 포항으로 빨리 갈 수 있는 길이 열렸는데도 10년 넘게 노선이 개통되지 않아 부산사상발 울산, 경주, 포항방면 노선 개통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이 때 서부산에서 경주, 포항으로 가려면 양산으로 올라가서 시외버스 마산-포항, 시외버스 창원-포항을 이용하거나 김해로 가서 시외버스 김해-포항을 이용해야 했다.[1] 2014년 12월 19일 서부산-경주,포항과는 별개의 문제긴 하지만 중앙지선 양산-김해 구간 개통이후에도 개통하지 않다가 결국 중앙지선 개통 20여년이 지난 뒤인 2016년 4월 7일에 해당 노선이 개통되었다. 노포동발과 달리 부산서부-포항직통 및 부산서부-경주 노선이 나뉘어져 있는게 아닌 부산서부-경주-포항으로 운행한다.
- 개통 초기에는 노포동발과 다르게 모든 회사에서 최신형 특A급 차량이 투입되었으며, 특히 고려여객은 일반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USB 충전장치가 있었다.[2] 개통되자마자 이 노선은 과거에 들어왔던 민원양을 증명하듯 주말에는 매진이 연발하여 부산 ~ 경주/포항 노선 중 가장 잘나가는 노선이었다. 잘 나가는 이유는 노포동을 거칠 필요없이 서부산에서 중앙고속도로지선을 통해 경주, 포항으로 바로 질러주었기 때문이며, 서부산의 부산시내 접근성이 우월해 포항, 경주시민들도 서부산을 통해 부산시내로 많이 들어간다는 것과, 포항에서 영덕, 영해, 후포, 평해 등 노포동에서는 준무정차 노선을 운영하지 않는[3][4][5] 곳으로 가려는 연계수요도 생겼기 때문이다. 그 외 서부산에서 청송 도평,안덕으로 갈 때도 무리하게 영천으로 가는것보다 이 노선을 타고 포항으로 가서 포항-영주,예천 노선을 타는 것이 낫다. 단, 도평-안덕방면의 경우 서포항IC부터는 전 구간 국도를 경유하므로 요금이 아주 비싸지니 주의할 것.
- 이렇게 잘나가자 2018년 2월에 13회에서 20회로 증회하였으며, 같은 시기에 시외우등도 도입하였다. 시외우등 도입후 매진이 더욱 자주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이로 인해 편안함을 추구하는 사람도 늘었지만[6] 잦은 매진과[7] 비싸진 요금으로 불만도 많아졌다. 특히 우등에 불만을 느끼고 학을 뗀 사람은 일부가 다시 양산이나 김해선으로 이탈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20회 중 10회에 우등할증이 도입되었으며, 천일고려, 금아, 아성천마 배차 모두 우등할증이 도입되었다. 또한 어느순간 전회우등으로 바뀌었다.
- 시외우등이 도입된 후에도 특A급 아니면 A-급 차량이 투입되었는데, 금아여행은 새로 출고한 차량을 투입하였으며, 아성고속은 수도권 노선에서 격하한 차량을, 천일,고려여객은 부산사상 ~ 서울선에서 다니던 차량을 격하시켜 투입하였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아성고속과 천일,고려여객은 폐급이 투입되고 있는데, 천일과 고려의 경우 회사의 우등차량 투입 정책 변경과 관련이 있다.[8]
일반 등급은 여전히 A급 비중이 높지만,천일,고려의 경우 일반 등급은 창원 ~ 안산선 혹은 창원 ~ 고양선에서 격하된 파크웨이를, 우등 등급은 개조 파크웨이를 투입한다. 또한 금아여행의 경우 보유한 차량의 최대등급이 블루스카이이기 때문에 금아여행 배차는 상대적으로 차급이 낮으며 보통은 금아여행 배차의 경우 파크웨이가 투입된다. 그린필드는 해당 노선에 배차하지 않으며 금아여행 블루스카이도 의외로 배차확률이 낮다. 사실 금아여행의 블루스카이는 긴 전장을 이용한 닭장수송 목적으로 도입한 것이기 때문에 내부 서비스는 그린필드와 다름없다.
- 좌석제로 운영된다. 그런 이유 때문에 부산에서는 밀양행 등 중앙선 단거리 시외버스가 중간정차하는 구포역에 정차하지 않으며[9], 경주에서도 경주 시내를 둘러 산업로 쪽으로 가는 노포동발 노선과는 달리 경주터미널에 정차한 이후 경주경유 장거리 노선처럼[10] 68번 지방도를 타고 포항으로 바로 가기도 하며, 가끔 기사 재량에 따라 노포동발 등 단거리 노선과 똑같은 7번 국도 경로를 이용하기도 한다.
- 2020년 들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과거 개통 직후~2018년 2월 12일까지 보다 더 적은 10회로 감회되었다가 2020년 4월 부터 주말에만 정상운행 하고 서서히 증회되고 있으며 모든 배차가 정상적으로 운행을 하게 되었으나,[11] 이후 소리소문없이 전회 우등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 천일,고려여객은 최근 휴차 중인 서울남부선 및 공항선 유로5 및 유로6 선샤인 우등차량을 투입하고 있으며 아성천마는 공항선에서 뛰다가 휴차중인 FX212를 투입해 부산서부-포항에 굴리고 있다. 이로 인해 금아여행의 차급이 가장 낮아지게 되었다.
- 예매를 일찍 하지 못해 이 노선이 매진되었는데 서부산으로 가고자 한다면 김해공항, 양산 혹은 김해로 가는 노선을 대체노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 양산행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 경주에서 양산까지는 5회를 제외하고 직통이며, 5회는 언양을 경유한다. 양산 도착 후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이용하여 부산으로 들어갈 수 있다. 본인이 화명동 쪽에 거주한다면 양산 경유도 괜찮은 방법이다. 김해행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 중간에 언양을 경유하는데다 김해터미널에서 내린 뒤 부산김해경전철을 타고 부산으로 들어와야 하고 광역환승요금 500원을 내야하긴 하지만 노포동으로 가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양산 노선 또한 자리 구하기 힘들며, 김해 노선은 자리 구하기가 조금 더 쉽다. 김해공항 노선의 경우에는 요금이 부산서부까지의 요금과 동일하나, 1일 12회만 운행하고 막차 시간도 경주 기준 오후 6시 40분으로 부산서부행에 비하면 이르다는 것, 그리고 부산 시내로 이동할 때 부산김해경전철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역환승요금을 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 경주 ↔ 포항간 구간승차는 김해공항-포항 노선과 더불어[12] 다른 단거리 노선과 다르게 불가능하다. 과거에는 일부 가능했다는 이야기도 있었는데, 포항 → 경주 구간만 명목상으로 가능했으며, 이때도 경주 → 포항 방면에 한해 명목상으로는 가능했지만 실제로는 도로 변에다가 내려주었기 때문이다.[13] 정확히는 전회 우등 전환 이후 발권 및 구간승차 불가로 바뀐 듯 하다. 포항 ~ 경주 구간승차 불가가 이 노선을 장거리 노선에 준해 취급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 천일여객의 유일한 동해안 노선이다. 예전에는 마산/창원 ↔ 원주 ↔ 강릉 노선도 천일여객이 운행하였으나 철수하였다.[14]
- 2021년 2월 시외우등 할인이 폐지되어 부산-포항 노선과 요금차이가 많이 난다. 본인이 요금이 부담스럽다면 2호선을 타고 양산으로 가거나 서면 쪽이라면 1호선을 타고 노포동으로 가는 것을 추천한다. 노포동 우등은 경주 기준으로 사상에 비해서도 요금이 1600원 정도 차이가 나고 일반은 특히 3300원 씩이나 차이가 난다.
- 현재 부산-포항간 노선 중 수요가 제일 많음에도 수요가 그 다음으로 많은 시외버스 해운대-경주, 시외버스 해운대-포항, 시외버스 부산-포항과 달리 서부산-포항을 증회하려는 계획은 없으며 막차도 부산-포항 계통 중 제일 이르다. 사실 천일고려 측에서 부산서부-포항을 증회하려고 했다가 아성천마 측의 반대로 무산되었다고 한다. 대신 김해공항 노선이 15회로 증회한데다 한정면허에서 일반 시외버스로 전환했으므로[15] 사상 노선이 매진되었다면 김해공항으로 가면 된다. 사상 노선과 김해공항 노선을 합치면 35회 정도, 거기에 양산선까지 합치면 53 ~ 56회 정도 된다. 하지만 자전거의 탑승자는 꽤나 번거롭다. 우선 부산김해경전철은 자전거 탑승이 금지되기 때문에 김해공항으로는 갈 수 없으며, 김해로는 갈 수 있지만 구남역까지만 2호선을 타고 이후에는 1004번을 타고 김해까지 가야한다. 물론 김해공항에서 서부산낙동강교나 낙동강하굿둑을 건너 주례역이나 하단역까지, 혹은 강변 자전거길을 타고 강서구청역까지 타고 갈거라면 크게 중요한 건 아니다. 사실상 자전거의 대상자는 대체 노선이 양산 밖에 없는 상황이다.
- 매진이 극도로 심해 일각에서는 증회를 하거나 일반 시간대를 부활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특히 중앙선 및 동해선 이설로 인한 구 경주역 폐역이 2021년 12월 28일 부로 이루어지고 2022년 4월 사회적 거리두기 폐지 이후 공급량이 극도로 모자란 상황이다. 만약 일반 시간대가 부활할 경우 일반 등급에 한해 구포역에 정차[16], 우등과 차별화해야한다는 의견 또한 일부 있는 편이다. 실제로 부산서부발 09:20 버스와 10:00 버스는 출발 1주전에 창가석에 앉으려고 하면 늦다. 현재 이 노선은 금아여행의 캐시카우 노선 중 하나가 되었으며, 천일여객/고려여객 등도 부산서부-서울남부 노선에 비해 장사가 잘 된다. 그러나 사상터미널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증회가 되지 않고 있으며, 김해공항 노선을 대신 증회시키고 있으므로 사상 차를 못 탈 경우 김해공항으로 가는 노선으로 대신 이용할 수 있다. 2024년 7월 26일 부터 김해공항 노선은 12회에서 15회로 증회하였다.
- 강서낙동강교를 정식으로 건너는 노선들 중 운행횟수가 가장 많다. 사상출발 경부선 노선들 상당수의 운행 횟수가 적기 때문. 사실 대동 쪽으로 가는 노선들 중 가장 짧은 노선은 밀양행인데, 구포역 정차로 인해 구포대교 쪽으로 둘러서 간다.
4. 요금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rowcolor=#ffffff><-3> 시외버스 부산서부 ↔ 포항 운임 ||
부산서부 | ||
9,000(우등) | 경주 | |
14,200(우등) | - | 포항 |
5. 시간표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tablebordercolor=#0062bc><rowbgcolor=#0062bc><rowcolor=#ffffff><-3> 시외버스 부산서부 ↔ 포항 운행시간표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fff> 부산서부 | <colbgcolor=#0062bc> | 포항 | 경주 | |
07:40 | 07:00 | 07:40 | |||
08:40 | 08:00 | 08:40 | |||
09:20 | 08:40 | 09:20 | |||
10:00 | 09:20 | 10:00 | |||
10:40 | 10:00 | 10:40 | |||
11:20 | 10:40 | 11:20 | |||
12:00 | 11:20 | 12:00 | |||
12:40 | 12:00 | 12:40 | |||
13:20 | 12:40 | 13:20 | |||
14:00 | 13:20 | 14:00 | |||
14:40 | 14:00 | 14:40 | |||
15:20 | 14:40 | 15:20 | |||
16:00 | 15:20 | 16:00 | |||
16:40 | 16:00 | 16:40 | |||
17:20 | 16:40 | 17:20 | |||
18:00 | 17:20 | 18:00 | |||
18:40 | 18:00 | 18:40 | |||
19:20 | 18:40 | 19:20 | |||
20:00 | 19:20 | 20:00 | |||
20:40 | 20:00 | 20:40 | |||
<rowcolor=#ffffff> 날짜 미상 |
파란 글씨는 시외우등 시간이다.
6. 대안 경로
해당 방법은 포항으로 갈 때 기준이다. 경주가 목적지라면 노포동, 해운대를 제외하고는 아래의 방법을 따르면 된다.이용 경로 | 경유지 | 소요시간 (h:mm) | 운임 (₩) | 강점 | 약점 |
부산 - 포항 | 부산 - 경주 - 포항 | 1:30 | 9,700~12,600 | 일반 등급의 일부 존재 적은 소요시간 동래와의 접근성이 높음 무정차의 존재 빗자루질 급 배차 | 노포동과 시내의 너무 먼 거리 부실한 무정차의 횟수 |
부산 - 포항(직통) | 1:25 | ||||
해운대 - 포항 | 해운대 - 무정차 - 포항 | 1:30 | 13,300 | 모든 배차 무정차 해운대 및 마린시티, 벡스코와의 접근성이 높음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 | 해운대와 시내 역시 가까운건 아님 전회 우등 운행중 |
김해공항 - 포항 | 김해국제공항 - 경주 - 포항 | 1:45 | 14,200 | 김해공항과 사상의 얼마 안되는 거리 항공편과의 환승의 유리 상대적으로 좌석 구하기 쉬움 부산서부~포항과 요금이 동일 | 경주를 거쳐 상대적으로 오래 걸림 광역환승 500원 부과 전회 우등 운행중인 사실상의 공항우등 노선 부산김해경전철과의 쉬운 환승으로 인해 떨어지는 효율성 상대적으로 적은 배차 자전거 탑승자 이용불가[17] |
부산서부 - 양산 - 포항 | 부산서부 - 양산 - (언양) - 경주 - 포항 | 2:00 | 10,000 ~ 13,100 | 상대적으로 많은 배차 소수의 일반 존재 2호선의 존재로 인한 나쁘지 않은 시내 접근성 편리한 자전거 연계 | 잦은 매진 일부 배차 언양 경유 |
부산서부 - 김해 - 포항 | 부산서부 - 김해 - 언양 - 경주 - 포항 | 3:00 | 16,000 | 상대적으로 좌석 구하기 쉬움 | 돌아가는 경로 광역환승 500원 부과 오래 걸리는 소요시간 전회 우등 운행중 자전거 탑승자 이용 불편함 |
7. 연계 철도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
-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
- 일반 철도역: 사상역(무궁화호)
8. 둘러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부산광역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부산(노포)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
수도권 | ↔서울경부 | ↔동서울 | ↔인천 | ↔성남 | |
| ↔용인 | ||||
충청 | ↔청주 | ↔논산 | | | |
| |||||
호남 | ↔광주 | ↔순천,여수 | ↔전주 | ||
영남 | ↔동대구 | | |||
시외버스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
수도권 | ↔인천공항 | ↔오산,수원,안산 | ↔이천 | ||
강원 | ↔원주 | ↔횡성,홍천,춘천 | ↔호산,태백,고한 | ↔강릉,속초 | |
↔삼척,동해,강릉,속초,간성,거진 | |||||
충청 | ↔충주 | ↔제천 | |||
대구경북 | ↔울진,부구 | ↔안동,영주 | ↔경주(시외),포항 | ↔구미,상주,점촌 | |
↔영천 | |||||
울산경남 | ↔마산 | ↔마산남부 | ↔진주 | ||
↔창원,진해 | ↔언양 | ↔고현,통영 | |||
호남 | ↔광양 | ↔군산,익산 | |||
폐지 | | | |
- [ 부산서부(사상)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E5007F><colcolor=#fff><-6>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고속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
수도권 ↔서울경부 ↔동서울 ↔인천↔용인↔성남↔수원충청 ↔당진 ↔청주↔대전복합↔세종호남 ↔광주,나주 ↔여수 시외버스 및 전환고속 (시외버스 전산망 사용 노선) 수도권 ↔서울남부 호남 ↔전주 ↔남원 ↔장계 ↔목포,진도 ↔순천 ↔완도 대구경북 ↔경주,포항 ↔현풍,고령,거창 ↔창녕,대구서부 경남 ↔ 마산/창원 ↔함안,의령,합천 ↔밀양(직행) ↔밀양(완행) ↔진주 ↔삼천포 ↔함양 ↔통영(직행) ↔남마산,고성,통영 ↔고현,장승포 ↔용원 ↔진해(완행) ↔진교,남해 ↔율하 ↔진영 ↔장유
- [ 동래 ]
- [ 해운대 ]
- [ 김해공항 ]
문서가 존재하는 경주시 고속버스/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cbbe53><colcolor=#ffffff>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
운행노선 | ↔서울경부 | ↔광주, 목포 | ||
폐지 | ↔부산 | ↔동대구 | ↔대전복합 |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
대경 | ↔동대구 | ↔대구서부 | ↔대구북부 | |
↔하양, 대구대 | ↔경산 | ↔구미 | ||
↔안동, 영주 | ↔영천, 경북도청 | ↔모화 | ||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 ↔안산, 인천 | |
↔오산, 수원, 서수원 |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 인천 | ↔인천공항 | ||
부울경 | 부산(노포) | ↔부산(서부) | ↔부산(해운대) | |
↔김해공항 | ↔양산, 마산 | ↔양산, 창원 | ||
↔언양, 김해 | 울산(고속도로)(1) | ↔진주 | ||
↔거제(고현), 통영 | 울산(국도)(2) | |||
충청 | ↔충주 | ↔세종, 천안 | ↔제천 | |
강원 | ↔원주,횡성,홍천,춘천 | |||
호남 | ↔순천, 여수 | ↔동광양, 광양 | ||
운행중단 | ↔대구공항 | ↔김천 | ↔청주 | |
↔이천, 경기광주, 하남 | | |||
[윗첨자 1] 울산-경주 단일노선, 울산-경북도청 노선도 있음 [윗첨자 2] 경북도청발 노선도 존재. [윗첨자 3] 명목상 운행중단이나 사실상 폐선 |
문서가 존재하는 포항시 고속버스/시외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포항(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서울경부 | ↔광주 | |
- [ 포항(시외)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5000px><|3><colbgcolor=#00a4da><colcolor=#ffffff> 대구/경북 ||<width=25%> ↔동대구(직통) ||<width=25%> ↔대구서부(직통) ||<width=25%> ↔대구북부 ||
↔하양(1) ↔ 경산(경주경유) ↔ 구미(경주경유) ↔ 안동 / 영주 / 예천 ↔ 울진 수도권 ↔ 동서울 ↔ 성남 ↔안산, 인천 ↔오산, 수원, 서수원 ↔오산, 수원, 서수원, 안산, 인천 ↔ 인천공항 부산/울산/경남 ↔부산(노포)(경주경유) ↔ 부산(서부) ↔ 부산(해운대) ↔김해공항 ↔ 양산, 마산 ↔ 양산, 창원 ↔ 언양, 김해 ↔ 울산(직통 / 직행) ↔ 진주 ↔ 거제(고현), 통영 ↔ 부산노포(직통) 대전/세종/충청 ↔ 충주 ↔ 세종, 천안 강원(영서) ↔원주,횡성,홍천,춘천 강원(영동) 7번 국도 시외직행 노선(2) ↔ 태백, 고한사북 호남 ↔ 목포 ↔ 순천, 여수 ↔ 동광양, 광양 운행중단 ↔ 청주 ↔ 경주경유 동대구 ↔ 경주경유 대구서부 ↔ 경산(직통) ↔ 김천 ↔ 구미, 충주(직통) 7번 국도 완행 노선(울진 이북행) ↔ 이천, 경기광주, 하남 폐선 ↔ 대구북부(직통) ↔ 경산(완행) ↔ 성주 ↔ 밀양 ↔ 광양(양산경유) ↔ 동서울(직통 / 영동,옥천경유)
[1] 울산 방면의 경우 비싼 돈 주고 김해공항에서 태화공항버스를 이용하는 서부산 주민들도 있었으며 경주, 포항도 김해공항에서 포항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하는 주민도 있었다. 특히 김해공항-포항은 양산,김해-포항이 45인승인것과 달리 35인승 이기 때문에 일찍 타면 편안한 우등시트로 경주 및 포항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경주 및 포항 노선 개통 지연의 이유는 경주 및 포항의 박차 공간이 부족했기 때문이다.[2] 경남70아 7644호로 노선 개통 전에는 부산서부-창원 노선에서 운행했었고 가끔 마산에서도 볼 수 있었다. 우등으로 개조 후 대구서부 ~ 통영선으로 이동되었다가 현재 부산사상~대구서부에서 운행중이다.[3] 노포동에서 이들 지역으로는 완행 노선만 운영한다. 나루끝, 흥해, 청하, 송라, 장사, 강구, 도곡, 병원, 병곡 등 여러 곳에 정차한다. 준무정차로 영덕 ~ 평해 구간을 갔다는 이야기는 동대구발 준무정차로 환승했다는 이야기. 반대로 이야기하면 노포동발 동해안 북행무정차 중간정차지는 적다는 이야기이므로 울진 이북이 목적지라면 노포동에서 타는 게 낫다는 이야기다. 단, 노포동발 완행은 1일 1회 밖에 없으며, 이마저도 코로나19로 운행중단 되었다. 그리고 포항-영덕 준무정차도 1회(10:20)로 감회되었다.[4] 이 노선 개통과 더불어 시외버스 마산-포항, 김해공항-포항, 시외버스 창원-포항, 시외버스 포항-통영, 시외버스 김해-포항도 타격을 보게 되었다. 이후 2017년 3월 15일 포항-통영은 언양, 양산, 고성경유에서 거제(고현) 경유로 전환하여 양산-포항과 관련없는 노선으로 전환하였다.[5] 다만 굳이 부산동부로 가기 귀찮은 사람들은 부산서부에서 포항행 버스 타고 포항터미널에서 갈아타기도 하며, 특히 서부산에 있는데 부산동부발 강릉-속초행 막차가 20~40분 뒤 끊기는 경우 당연히 포항에서 갈아타야 한다. 집이 감전동, 괘법동 쪽이거나 삼락IC와 가까운 곳이라면 영덕 이북으로 가더라도 사상에서 버스를 타고 포항에서 갈아타는 것이 당연하다.[6] 서부산~포항은 1시간 40분이면 가는 거리이며 경주까지는 1시간이면 간다.[7] 얼핏보기엔 비싸진 요금으로 인해 수요가 줄겠니 싶었지만, 41/45인승에서 28인승으로 바뀐것과 비싸더라도 더 편안한 것을 추구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매진은 오히려 더욱 심화되었다. 게다가 서부산권은 노포동과 거리가 꽤 있는데다 삼락IC의 존재로 인해 다른 곳으로 갈 경우 아낄 수 있는 요금에 비해 우등할증으로 인해 비싸진 운임을 상쇄하지 못한 탓도 있다.[8] 특A급 차량을 수도권 장거리 노선에 넣고, 폐급을 경남 내 중/단거리 노선에 넣는 것. 같은 시기에 부산사상 ~ 거창 등의 노선에도 비슷한 등급의 차량이 투입되었다.[9] 과거 부산사상 ~ 동대구 1기 노선도 구포역에 정차했다. 지금의 2기 노선은 정차하지 않는다. 현재 구포역에 정차하는 노선은 시외버스 부산서부-밀양 노선 뿐이다.[10] 동서울, 성남, 부천, 인천(울진행 제외), 인천공항, 의정부, 하남, 서수원, 여수발 등...[11] 이후 시외버스 해운대-경주와 시외버스 해운대-포항도 정상적으로 운행하게 되어 부산-포항계통 중 감차운행을 실시중인 계통은 노포동발만 남게 되었다. 특히 해운대발은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많이 운행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노포동발도 경주에 한해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많이 운행중이다. 다만 실질적으로는 사상 노선도 일반 편성이 부활하지 못해 공급량 측면에서는 코로나 이전에 비해 적기 때문에 감차 운행중인 거나 마찬가지다.[12] 김해공항-포항 노선은 한정면허에 공항리무진이라는 특성 때문에 개통 당시부터 경주-포항간 구간승차가 불가능했으며 특히 2019년 11월 30일 까지는 경주에 들어가는 터미널이 경주시외터미널이 아닌 경주고속터미널 이었다.[13] 이후 기사 재량에 따라 7번 국도 혹은 68번 지방도를 따라갔다.[14] 해당 노선은 천일여객의 유일한 영동선 노선이었으며, 경상남도 업체들 중 유일하게 대관령을 넘었다. 2021년 현재 대관령 (영동고속도로) 혹은 미시령 (미시령터널 포함)을 넘거나 인제양양터널 (서울양양고속도로)을 넘는 경상남도 업체는 없다.[15] 다만 전회 우등이므로 사상행 노선과 요금이 같다. 사실 예전에는 한정면허라 요금이 꽤 비쌌는데 사상 노선의 과다수요 분산 및 우회적 증회를 위해 일반 시외버스로 전환한 거라는 이야기가 있다.[16] 이 경우 사상 T/O와 구포역 T/O를 정해야 할 것이다.[17] 공항버스는 이용이 가능하나 연계교통이 이용이 불가능하다. 굳이 이용한다면 해운대 방면 태영공항리무진을 타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해운대행 노선을 이용하면 될 일이다. 그나마 2021년 1월 까지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타고 개금역에 내려 개금역에서 공항리무진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었지만, 2021년 2월 이후 이 방법은 못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