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국왕 Konge af Danmark King of Denmark | |
<colbgcolor=#d00c33> 현직 | <colbgcolor=#fff,#191919> 프레데리크 안드레 헨리크 크리스티안 |
즉위일 | 2024년 1월 14일 |
지위 | 덴마크 왕국의 국가원수 |
관저 | 코펜하겐 아말리엔보르 궁전 |
[clearfix]
1. 개요
덴마크의 국가원수.936년 즉위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름 가믈리부터 현재 재위 중인 프레데리크 10세까지 1000년 넘게 왕위를 계승해 온 덴마크 왕가는, 21세기 현재까지 남아있는 왕가 중 일본 황실에 이어 2번째로 역사가 긴 계보를 가지고 있다.[1] 물론 왕조가 바뀐 적은 많으나 덴마크의 왕조 교체는 방계 계승이나[2] 모계 계승으로[3] 인해 성씨만 바뀐 것일 뿐이기 때문에 왕가의 혈통은 유지되어 내려왔다.[4] 즉, 왕가의 혈통 자체는 1000년 넘게 계승되어 오고 있다. 덴마크 왕실 계보도 또 일본 황실처럼 신화상으로 신의 후손인 왕가이기도 하다. 시구르드 문서 참조.[5] 다만 일본 황실과 달리 기독교로 개종한 지 오래라 신화에 신경 쓸 이유가 없긴 하다.
역사적으로는 코펜하겐 대성당(Vor Frue Kirke)과 힐레뢰드의 프레데릭스보르 성(Frederiksborg Slot)의 예배당에서 대관식[6]을 치렀으나, 1840년 크리스티안 8세 이후로는 대관식을 하고있지 않다.
1523년 프레데리크 1세 이래 남성 국왕의 이름으로는 프레데리크와 크리스티안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관행이다.[7] 전임 국왕인 마르그레테 2세는 여왕이므로 해당 사항이 없었지만, 여왕의 장남이자 새로 즉위한 국왕은 프레데리크 10세, 왕세자는 크리스티안이므로 이러한 왕가의 전통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물론 여왕의 전대 군주가 프레데리크 9세 였으므로 프레데리크가 연속으로 이어지게 되긴 했다.
2. 역대 덴마크 국왕
2.1. 크누트 왕조
대수 | 이름 | 재위 |
- | 크누드 1세[8] | ?~934? |
1 | 고름 가믈리 | 934? ~ 958년 |
2 | 하랄 1세 블로탄 | 958년 ~ 986년 |
3 | 스벤 1세 | 986년 ~ 1014년 |
4 | 하랄 2세 | 1014년 ~ 1018년 |
5 | 크누드 2세 | 1018년 ~ 1035년 |
6 | 하레크누드[9] | 1035년 ~ 1042년 |
2.2. 호르파그레타 왕조
대수 | 이름 | 재위 |
7 | 망누스 1세[10] | 1042년 ~ 1047년 |
2.3. 에스트리드 왕조
대수 | 이름 | 재위 |
8 | 스벤 2세 에스트리드센 | 1047년 ~ 1074년 |
9 | 하랄 3세 | 1074년 ~ 1080년 |
10 | 크누드 4세 | 1080년 ~ 1086년 |
11 | 올루프 1세 | 1086년 ~ 1095년 |
12 | 에리크 1세 | 1095년 ~ 1103년 |
13 | 닐스 | 1103년 ~ 1134년 |
14 | 에리크 2세 | 1134년 ~ 1137년 |
15 | 에리크 3세 | 1137년 ~ 1146년 |
16 | 발데마르 1세[11] | 1146년 ~ 1182년 |
17 | 크누드 6세 | 1182년 ~ 1202년 |
18 | 발데마르 2세 | 1202년 ~ 1241년 |
19 | 에리크 4세 | 1241년 ~ 1250년 |
20 | 아벨 | 1250년 ~ 1252년 |
21 | 크리스토페르 1세 | 1252년 ~ 1259년 |
22 | 에리크 5세 | 1259년 ~ 1286년 |
23 | 에리크 6세 | 1286년 ~ 1319년 |
24 | 크리스토페르 2세 | 1319년 ~ 1326년 |
25 | 발데마르 3세 | 1326년 ~ 1330년 |
26 | 크리스토페르 2세 | 1330년 ~ 1332년 |
27 | 발데마르 4세 | 1332년 ~ 1375년 |
28 | 올루프 2세[12] | 1375년 ~ 1387년 |
2.4. 칼마르 연합
대수 | 이름 | 재위 |
29 | 마르그레테 1세 | 1387년 ~ 1412년 |
30 | 에리크 7세 | 1397년 ~ 1439년 |
31 | 크리스토페르 3세 | 1439년 ~ 1448년 |
2.5. 올덴부르크 왕조
2.5.1. 올덴부르크 왕조 본가
대수 | 이름 | 재위 |
32 | 크리스티안 1세 | 1448년 ~ 1481년 |
33 | 한스 | 1481년 ~ 1513년 |
34 | 크리스티안 2세 | 1513년 ~ 1523년 |
35 | 프레데리크 1세 | 1523년 ~ 1533년 |
36 | 크리스티안 3세 | 1533년 ~ 1559년 |
37 | 프레데리크 2세 | 1559년 ~ 1588년 |
38 | 크리스티안 4세 | 1588년 ~ 1648년 |
39 | 프레데리크 3세 | 1648년 ~ 1670년 |
40 | 크리스티안 5세 | 1670년 ~ 1699년 |
41 | 프레데리크 4세 | 1699년 ~ 1730년 |
42 | 크리스티안 6세 | 1730년 ~ 1746년 |
43 | 프레데리크 5세 | 1746년 ~ 1768년 |
44 | 크리스티안 7세 | 1768년 ~ 1808년 |
45 | 프레데리크 6세 | 1808년 ~ 1839년 |
46 | 크리스티안 8세 | 1839년 ~ 1848년 |
47 | 프레데리크 7세 | 1848년 ~ 1863년 |
2.5.2. 글뤽스부르크 왕조
대수 | 이름 | 재위 |
48 | 크리스티안 9세 | 1863년 ~ 1906년 |
49 | 프레데리크 8세 | 1906년 ~ 1912년 |
50 | 크리스티안 10세 | 1912년 ~ 1947년 |
51 | 프레데리크 9세 | 1947년 ~ 1972년 |
52 | 마르그레테 2세 | 1972년 ~ 2024년 |
53 | 프레데리크 10세 | 2024년 ~ |
3. 역대 표어
왕이 바뀔 때마다 표어를 새로 만든다. 이는 스웨덴 국왕도 마찬가지.[13]사용기간 | 국왕 | 표어 |
1448 ~ 1481 | 크리스티안 1세 | 덕은 길을 보여준다(Dyden viser vejen) |
1481 ~ 1513 | 한스 | 법과 사람을 위해(For lov og folk) |
1513 ~ 1523 | 크리스티안 2세 | 그럼 결정됐다(Så var det beskikket) |
1523 ~ 1533 | 프레데리크 1세 | 하나님 없인 아무것도 아니다(Intet uden Gud) |
1533 ~ 1559 | 크리스티안 3세 | 주님의 뜻대로 이루어지니라(Ske Herrens vilje) |
1559 ~ 1588 | 프레데리크 2세 | 나의 소망은 오직 하나님뿐(Mit håb er Gud alene) |
1588 ~ 1648 | 크리스티안 4세 | 경건의 영역을 강화하자(Fromhed styrker rigerne) |
1648 ~ 1670 | 프레데리크 3세 | 주님은 나의 인도자가 되실 것(Herren være mit forsyn) |
1670 ~ 1699 | 크리스티안 5세 | 경건함과 정의로(Med fromhed og retfærdighed) |
1699 ~ 1730 | 프레데리크 4세 | 주님은 나를 돕는 분이시니(Herren være min hjælper) |
1730 ~ 1746 | 크리스티안 6세 | 하나님과 사람을 위해(For Gud og folket) |
1746 ~ 1766 | 프레데리크 5세 | 신중함과 확고함으로(Med klogskab og Standhaftighed) |
1766 ~ 1808 | 크리스티안 7세 | 조국의 사랑은 나의 보상(Fædrelandets kærlighed er min berømmelse) |
1808 ~ 1839 | 프레데리크 6세 | 하나님과 정당한 이유(Gud og den retfærdige sag) |
1839 ~ 1848 | 크리스티안 8세 | 하나님과 조국(Gud og fædrelandet) |
1848 ~ 1863 | 프레데리크 7세 | 국민의 사랑, 나의 힘(Folkets kærlighed, min styrke) |
1863 ~ 1906 | 크리스티안 9세 | 명예와 정의를 위해 하나님과 함께(Med Gud for ære og ret) |
1906 ~ 1912 | 프레데리크 8세 | 주님은 나의 돕는 분(Herren er min hjælper) |
1912 ~ 1947 | 크리스티안 10세 | 나의 하나님, 나의 땅, 나의 명예(Min Gud, mit land, min ære) |
1947 ~ 1972 | 프레데리크 9세 | 덴마크를 위해 하나님과 함께(Med Gud for Danmark) |
1972 ~ 2024 | 마르그레테 2세 | 하나님의 도움, 시민의 사랑, 덴마크의 힘(Guds hjælp, folketskærlighed, Danmarks styrke) |
2024 ~ 현재 | 프레데리크 10세 | 덴마크 왕국을 위한 연합, 헌신(Forbundne, forpligtet, for Kongeriget Danmark) |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c7042c>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호 · 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바이킹 · 이교도 대군세 · 크누트 대왕 · 북해 제국 · 칼마르 동맹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 ·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 | |
지리 | 행정구역 · 북유럽 · 유틀란트반도 · 페로 제도 · 프리지아 제도 · 발트 해 · 그린란드 · 세상의 끝(지명) | |
정치 | 정치 전반 · 덴마크 국왕 · 글뤽스부르크 왕조 · 아말리엔보르 궁전 · 덴마크 총리 · 덴마크 의회 | |
외교 | 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 관계 · 스칸디나비아주의 · 북극이사회 · 유럽연합 · 여권 | |
경제 | 경제 전반 · 덴마크 크로네 · 머스크라인 | |
교통 | 철도 환경 | |
국방 | 덴마크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
문화 | 관광 · 북유럽 신화 · 루터교회(덴마크 교회·페로 제도 교회)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 레고(레고랜드) · 덴마크 영화 · 덴마크 드라마 · 덴마크 요리 · 크리스마스 씰 · DR ·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 덴마크 수페르리가 · 아쿠아(밴드) | |
언어 | 고대 노르드어 · 덴마크어 · 페로어 · 그린란드어 | |
기타 | 덴마크인(러시아계) · 노르드족 · 데인족 · 덴마크계 미국인 · 덴마크계 러시아인 · 덴마크계 아르헨티나인 · 덴마크계 캐나다인 · 덴마크계 멕시코인 · 덴마크/인구 · 크리스티아니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세이소 왕조 | ||||
빌럼알렉산더르 | 하랄 5세 | 프레데리크 10세 | 레치에 3세 | |
테멩공 가문 | ||||
앙리 | 한스아담 2세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알베르 2세 | |
모하메드 6세 |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 프란치스코 | 필리프 | |
볼키아 왕조 |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하사날 볼키아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 16세 구스타프 | |
펠리페 6세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 에마뉘엘 마크롱 | |
들라미니 왕조 | ||||
음스와티 3세 | 찰스 3세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
노로돔 왕조 | ||||
압둘라 2세 | 나루히토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노로돔 시아모니 | |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라마 10세 | 투포우 6세 | ||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 |
[1] 21세기 현재까지 남아 재위하고 있는 왕실 상당수는 근현대 들어서야 왕위에 오른 경우가 많고, 덴마크나 일본처럼 오래된 왕가가 지금까지 군주로서 재위하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사우드 왕조나 요르단의 하심 왕조 등도 가문 자체는 이전부터 있었지만 이들이 '왕'이 된 것은 20세기 이후이다. 즉 '왕실로서의 역사'는 상당히 짧은 것. 예를 들어 하심 가문은 아랍의 유서 깊은 명문가이긴 했으나 이들이 아랍 반란으로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을 선포하고 헤자즈 왕국을 수립하여 왕위에 오른 것은 1916년이고 그 이전의 하심 가문은 독립국의 군주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오스만 황제에게 메카의 태수로 임명받은 지방관일 뿐이었다. 역사가 오래된 유서 깊은 왕가들(합스부르크 왕조, 오스만 황실, 솔로몬 왕조 등)은 시민 혁명 등 격동의 역사 속에서 대부분 왕위를 상실했다. 심지어 카페 왕조조차 987년에 설립되었으므로 덴마크 고름 왕의 즉위보다 반 세기 늦다.[2] 올덴부르크-글뤽스부르크[3] 크누트-에스트리드 왕조-에리크 7세, 크리스토페르 3세는 에리크의 외조카로 모계계승이 아닌 유일한 경우이다. 에스트리드-올덴부르크도 크리스티안 1세가 에리크 5세의 딸 리키자 공주의 후손이어서 모계긴 하다.[4] 덴마크 이외에도 유럽의 왕조 교체는 대체로 이런 형태인데, 직계가 단절되어 기존 왕가의 분가로 왕위가 넘어가거나 여계 계승이 이루어지면서 왕조의 이름이 바뀌는 식이다. 가령 영국 왕실도 분가로 왕위가 넘어가거나 여계 계승이 이루어지면서 왕조의 이름은 여러 번 바뀌었지만, 왕통 자체는 1066년 노르망디 공작 윌리엄의 잉글랜드 정복 이래로 계속 이어져오고 있으며 모계로는 알프레드 대왕의 웨식스 왕조도 잇고 있다.[5] 어디까지나 신화이긴 하지만 고름 가믈리의 외가 쪽 고조할아버지가 시구르드이고, 시구르드의 고조할아버지가 오딘의 아들이다.[6] 코펜하겐이 수도가 되기 전 에스트리드 왕조는 현재 스웨덴 스코네의 룬드 대성당에서 주로 대관식을 치렀다.[7] 앞에 크리스티안 2세도 있긴 하나 크리스티안 2세는 프레데리크 1세의 조카이고, 자신의 아들 이름을 부왕 한스의 이름을 따 한스로 지었다.[8] 그는 고름의 아버지였다고는 하나 그 실체가 확실하지는 않다. 덴마크에서 실존이 확실한 최초의 왕은 그 아들인 고름이다.[9] 또는 크누드 3세.[10] 노르웨이 국왕으로는 1035~1047년[11] 스벤 3세, 크누드 5세 공동 즉위, 1146년 ~ 1157년.[12] 스웨덴 폴쿵왕조 출신. 발데마르 4세의 외손자로 마르그레테 1세의 외아들이었다. 아버지는 노르웨이 국왕 호콘 6세, 할아버지는 스웨덴 국왕 겸 노르웨이 국왕 망누스 4세.[13] 본래 노르웨이 국왕도 그랬지만, 호콘 7세 이래 군주가 바뀌어도 동일한 표어를 유지하는지라 의미없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