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 ||
전투 | 크림 최고 라다 점령 |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
친러 미승인국 | 도네츠크 · 루간스크 · | ||
돈바스 전쟁 | |||
경과 |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 ||
전선 | 도네츠크 전선 [첨자1]아르테미우스크 전투 · 슬로뱐스크 포위전 · 마리우폴 전투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 · 일로바이스크 전투 · 데발체베 전투 · 아브데예프카 전투 | ||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개요 |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
경과 |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1월) |
전선 및 전투 |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동부 우크라이나 공세 (하르키우 전투 · 쿠퍈스크 전투 · 이지움 전투 · 스타로빌스크 전투 · 스바토베 전투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 · 크레민나 전투 · 루베즈노예 전투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 리시찬스크 전투 · 리만 전투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 슬로뱐스크 전투 · 시베르스크 전투 · 졸로테 전투 · 포파스나 전투 · 솔레다르 전투 · 바흐무트 전투 · 차시우야르 전투 · 토레츠크 전투 · 니우요크 전투 · 아브데예프카 전투 · 피스키 전투 · 오체레티네 전투 · 포크로우스크 전투 · 셀리도보 전투 · 우크라인스크 전투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 · 마린카 전투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 · 쿠라호베 전투 · 부흘레다르 전투 · 마리우폴 포위전)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 |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 (헤르손 전투 · 미콜라이우 전투 · 드니프로강 공방전 · 멜리토폴 전투 · 토크마크 전투· 베르댠스크 전투 · 에네르호다르 전투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 · 폴로히 전투 · 훌랴이폴레 전투 ) · 오데사 상륙전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 (오리히우 전투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 · 크린키 전투)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호스토멜 공항 전투) · 수미 전투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 · 쿠르스크 전투(2024년)) |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격 · 벨고로드 공습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 · 타간로크 공습 · 크림 대교 붕괴 사건 · 2023년 모스크바 공습 (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러시아 항공우주군 기지 공습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 크림 대교 USV 자폭 공격 |
전쟁범죄 |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ㆍ 흐로자 공습 ㆍ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ㆍ 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 |
경제제재와 영향 |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
동부 우크라이나 전역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 |
2022년 2월 24일 ~ 진행 중 | |
장소 | |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루한스크주 주, 하르키우주 등 우크라이나 동부 일대 | |
교전국 | |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지휘관 | |
발레리 잘루즈니[1] 올렉산드르 시르스키[2] | 알렉산드르 드보르니코프[3] 겐나디 지드코[4] 미하일 테플린스키[5] 안드레이 모르드비체프[6] |
병력 | |
우크라이나군 흐르트치야 작전전략집단 총 125,000명 이상 | 러시아 연방군 동부군집단 남부군집단 드네프르군집단 총 38,000명 이상 |
결과 | |
진행 중 | |
피해규모 | |
민간인 21,000명 이상 사망 |
[clearfix]
1. 개요
|
<rowcolor=#fff> 09.07부터 09.12까지의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전황 지도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돈바스라고 불리는 루한스크주와 도네츠크주, 그 외 하르키우주 등지)에서 진행 중인 작전 전역이다.
2. 경과
2.1. 개전 직후~3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돈바스 전쟁이 확전되면서 동부 지역에서는 하르키우 전투, 스타로빌스크 전투, 볼노바하 전투 등이 시작되었다.하르키우 시에서는 우크라이나군이 방어에 성공했지만 동부 쿠퍈스크 시가 시장이 러시아군에 붙어 점령을 도우면서 구멍이 생겼고, 3월까지 추후이우, 발라클리야, 이지움 등에서 전투가 벌어지며 대다수가 러시아군에 점령된다.
루간스크 방면에서는 러시아군이 북부에서 진격해 스타로벨스크를 전투 끝에 점령하고 노보프스코프, 스바토보 등을 점령하는 소득을 올렸다. 도네츠크 방면에서는 러시아군이 볼노바하를 점령하고 마리우폴을 포위했지만 마리우폴 내 우크라이나군은 결사항전으로 버텼다.
2.2. 북부 전선의 종료
러시아군이 4월 이후로 북부 전선에서 완전히 퇴각함에 따라 북부 전투에서는 러시아가 후퇴하였다. 대신 러시아는 동부에 병력을 집중시키는 전략을 세우게 되었으며 목표를 바꾸게 되었다. 그때의 러시아군의 목표는 5월 9일 전까지 모든 돈바스 지역들을 점령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남부와 연결하는 것이다. 특히나 동부 전선을 지탱하던 이지움이 4월 초 함락된 탓에 상황이 그리 좋지 않다. 또한 러시아군이 화력은 확실히 우크라이나군을 능가하며 기갑 물량도 여전히 많기 때문에 방심하긴 이르다. 러시아군이 일부 지역들을 점령하고 있다. 그렇게 러시아군이 병력을 재배치해서 공세를 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2.3. 러시아군의 대규모 공세 개시,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4월 이후로 러시아가 동부 전선에 지속적으로 대대적인 공세를 펼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군은 이지움을 탈환하려 보로바 지역에 반격을 개시했지만 실패하고 이지움 동쪽의 우크라이나군은 포위될 위기에 처했다. 이후 러시아군은 공세 직후 크레민나를 점령하고 세베로도네츠크와 루비즈네(4월 21일경 점령)로, 이지움을 기반으로 남하해 리만(5월 말 점령)과 슬로뱐스크 방면으로 공격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시베르스키도네츠강을 방어선으로 끼고 버티며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에서 도하하려는 러시아군을 기습하여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2.4. 세베로도네츠크와 리시찬스크의 함락, 슬로뱐스크 전투와 바흐무트 전투
러시아군은 루한스크주의 완전 점령을 우선 목표로 잡고 세베로도네츠크와 리시찬스크로 공격하는 한편, 우크라이나는 서방측에 얻는 무기와 장비들을 대량으로 확보한 다음 6월~7월쯤에 대대적으로 반격할 예정이다.#러시아군은 6월 초 세베로도네츠크에 정면으로 시가전을 시도했으나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으로 주춤한 뒤 도시를 포위하려 시도, 물량을 통해 차근차근 포위를 이루어냈다. 우크라이나군은 졸로테 등 주변 도시에서 포위를 막으려 노력했으나 결국 우크라이나군이 병력과 포병 화력의 열세 하 1달여의 전투 끝에 패퇴하고 세베로도네츠크에 이어 리시찬스크가 함락되었다. 결과적으로 하르키우주의 절반과 루한스크주 전역을 러시아군이 점령했다.
2.5.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
루한스크 주를 6월부로 점령한 후, 러시아는 7월 중순까지 재정비하다 공세를 재개해 시베르스크, 슬로뱐스크, 그리고 바흐무트를 공격한다. 한편 하르키우 방면에서는 5월 초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 전투에서 승리한 이후 이렇다할 전선 변화가 없었다. 이곳의 러시아군은 헤르손으로 병력을 옮긴 틈을 타 우크라이나 측은 이곳에 공세를 계획한다.계획대로 9월 6일부터 시작된 우크라이나의 대대적인 반격에 동부의 러시아군은 허를 찔렸다.# 우크라이나의 헤르손 공세를 막기 위해 러시아군이 헤르손에 병력을 집중시킨 틈을 타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 방면에서 대대적인 공세를 시작했고 러시아군은 후퇴하였다.
하리코프 군민정청의 중심지이자 철도 허브인 쿠퍈스크는 9월 10일 함락되었고, 이지움 역시 같은 날 함락되었다. 하리코프 군민정청은 국경 도시인 보우찬스크로 이전했지만 우크라이나군의 공세가 보우찬스크까지 이동하자 본부를 러시아의 벨고로드로 이전하였으며, 우크라이나군은 3천 제곱킬로미터를 탈환했고 러시아군은 하르키우 주에서 철수했으며 도네츠크 시 바로옆인 마키이우카에서도 철수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휴식기를 가진 뒤 13일경 오스킬 강을 넘어 다시 공세를 시작했다. 쿠퍈스크 동부에 교두보가 형성됐고 대규모의 우크라이나군이 도하해 강변에 있는 마을들을 탈환했다. 우크라이나군은 도시를 대규모로 공격하기보다는 도시를 우회해 포위하려 했다.
이 과정으로 우크라이나군은 이전에 동쪽에서 멀리 있는 빌로호리우카를 탈환하고 얌필에 압박을 가했다. 그 뒤 리만에서 서쪽으로 30km가량 떨어진 오스킬 강변에서 북쪽으로 쭉 진격한 뒤 25일경부터 동쪽으로 방향을 꺾었다. 9월이 끝날 무렵에는 리만 북쪽으로의 통로가 끊겼고, 서쪽의 노보셀리우카와 드로비셰베 등도 방어가 뚫렸다. 10월 1일, 리만이 탈환되었고 러시아군은 주변 지역에서 축출된다. 이어서 우크라이나군은 루한스크 주 스바토베 주변으로 진격하고 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은 리만 탈환 이후 진격이 돈좌되고 이후 수개월간 소강상태가 계속된다.
그리고 도네츠크쪽 전선도 우크라이나군의 진격은 지지부진하다. 2022년 10월 24일, 핀란드 육군에서 공여해 우크라이나군이 운용하던 XA-185가 러시아군에 의해 격파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지리 좌표는 48°04'45.5"N, 37°41'32.4"E로 도네츠크 국제공항의 북서쪽 평원지대다. 공항으로 접근해오던 장갑차들이 터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2.6. 전선 고착화, 바흐무트와 아우디이우카 전투의 격화
교착된 전선에 겨울이 찾아오고 양측은 긴 전선을 따라 참호와 방어 진지들을 설치하는 등 전선은 고착화되었다.러시아군은 12월에 시가지에 진입하기 시작해 정면 돌파와 우회를 시도하다가 다음해 1월, VDV 병력을 대거 투입해 바흐무트 북쪽, 솔레다르 전투에서 전황을 뒤집었고 솔레다르는 얼마 지나지 않아 함락됐다. 바흐무트 남쪽에 위치한 클리시치우카, 오피트네 등도 전투 끝에 러시아군이 점령하면서 바흐무트는 북, 동, 남쪽의 삼면에서 압박을 받게 된다.
2.7. 우글레다르 전투, 바흐무트의 함락
2023년 봄까지 바흐무트 외의 지역에서는 전선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러시아군은 2월 우글레다르에서 공세를 꾀했으나 근처 파블롭카를 점령하는 것 외의 큰 소득은 올리지 못했다. 한편 바흐무트에서는 치열한 시가전이 전개되면서 우크라이나군이 보급선에 압박을 받으며 밀려났고, 러시아군은 도시를 폐허에 가깝게 만들며 전진했다. 그 결과 러시아군은 5월이 되어서 50km²정도의 바흐무트 시가지 전역을 손에 넣을 수 있었다.2.8. 2023 우크라이나 대반격, 러시아군의 아우디우카 공세
2023년 6월, 우크라이나는 벨리카 노보실카 주변에 정찰 겸 공격을 개시했고, 이어 해당 지역에 대규모 공세를 개시했다. 우크라이나군은 근처의 작은 마을들을 점령하며 느리게 전진하나 싶더니 러시아군의 주방어선인 스트로마요르스케, 스타롬리니우카 주변에서 지난 11월경부터 러시아군이 준비한 견고한 방어선과 맞닥뜨리며 그 이후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바흐무트에서는 우크라이나군이 클리시치우카와 안드리우카를 탈환했지만 더 나아가지는 못했다.한편 러시아군도 자기들의 공세 목표로 다시 아우디이우카를 공격했다. 12월~다음해 1월 시가지에 진입해 북동부에서 돌파에 성공, 아우디이우카를 점령하게 된다.
2.9. 차시우 야르와 포크로우스크 전선
아우디이우카의 점령 전후 공군의 지원과 외국의 군사지원 둔화,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한 우크라이나군의 조직력 저하로 인해 러시아군은 수적 우위를 통해 지난 2022년 봄 시기와 비슷하게 다시 주도권을 쥐게 됐다. 이를 이용해 아우디우카 주변에서 2달 만에 북서쪽에 15km 정도 떨어진 오체르티네에서 방어선을 돌파해 진격했다. 한편 바흐무트 주변에서는 탈환된 외곽 지역을 재점령하고 차시우 야르 동쪽 고지대를 압박하고 있다.2.10. 하르키우 국경 전투
5월 10일, 러시아군이 대규모 포격과 보병을 주력으로 보우찬스크 등 하르키우 북부에 공세를 시작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예비대를 투입해 방어했다고 주장했으나 러시아군은 스트렐리차 등 국경 마을을 점령하고 국경을 넘어 진입에 성공했다.3. 문서가 있는 전투
- 하르키우 전투 (1차전 , 2차전 진행 중) - 우크라이나의 제2 도시이자 주요 거점중에 하나로 이 도시를 우크라이나가 유지하면 이지움 전선쪽을 견제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작전에 돌입해 하르키우주에서 러시아군을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 이후 2024년 5월 러시아가 북부 국경을 침범하며 2차전이 개시됐다.
- 이지움 전투 () - 러시아군이 돈바스 지역의 우크라이나군을 포위하려면 반드시 차지해야 하는 거점으로 한때 러시아가 점령했으나 9월 10일 해방되게 되었다.
- 리만 전투 () - 우크라이나가 세베로도네츠크를 공격하기 위해서는 차지해야 할 전략적 거점으로 5월 말 함락되었으나 10월 1일 우크라이나에 해방되었다.
- 스타로빌스크 전투 () - 개전 초기에는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을 격퇴했으나, 이후 러시아가 다시 공세를 가하여 승리한 전투다.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 () - 러시아군이 시베르스키도네츠 강 도하를 시도하면서 발생한 전투이다.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도하가 저지되었다.
- 마리우폴 전투 () - 마리우폴에서 벌어진 82일간의 시가전 끝에 러시아군이 마지막 저항 거점인 아조우스탈 제철소도 함락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다만 80일 넘게 포위+포격+폭격을 해서 겨우 이긴 점과 긴 기간 동안 러시아군을 묶어놓은 점을 생각하면 러시아의 완벽한 승리라고 보긴 어렵다.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 -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북동부 공세의 일부로, 제2의 마리우폴 전투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2주 넘게 치열한 시가전이 벌어졌다. 6월 들어 러시아군이 한때 시가지의 80%까지 장악했으나, 우크라이나군의 공성계에 말려들어 동부로 철수하며 현재는 양측이 시가지의 절반씩 점유한 채로 대치하고 있다. 6월 말엽 러시아군은 다시 시가지의 85%까지 장악했으나 요새화된 아조트 공단에 대한 직접 공격 대신 봉쇄 전술로 대응했다. 결국 지속되는 포격에 우크라이나군이 철수하며 러시아의 승리로 끝이 나게 된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이 리만을 탈환하고 리시찬스크 바로 앞까지 진격했기 때문에 다시 탈환될 가능성이 생겼다.
- 솔레다르 전투 () - 바흐무트의 북부에 위치한 솔레다르에 러시아군이 바흐무트 포위를 위해 공격을 가했고, 결국 2023년 1월 함락되었다.
- 바흐무트 전투 () - 바흐무트가 전방이 되어 러시아군의 포격을 받은 것은 5월부터였으나, 본격적인 전투는 7월(남부 방면)~8월 1일(도시 외곽)에 시작되었다. 피스키, 아우디우카, 솔레다르, 시베르스크, 마린카 등과 마찬가지로 참호전과 포격전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군은 9월 초까지 코데마 등의 교외 지역을 점령했다. 그때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 방면에서 실행한 대규모 반격으로 전선이 타격을 입었지만 러시아군은 공세를 계속했다. 10월 초에는 러시아군이 기어이 바흐무트 시 외곽인 오파트네와 이반흐라드까지 진격했다 후퇴하기도 했으며 12월 기준 도시 외곽까지 러시아군이 밀려오면서 치열한 시가전이 벌어지고 있다. 결국 2023년 5월 말, 러시아군에 함락된다.
그러나 우크라이나군이 6월 초에 도시 외곽으로 진격하며 2차전이 개시 되었다. 현재 우크라이나군은 클리시치우카 방면 등 외곽 지역을 공략하며 도시의 포위를 노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군이 공세로 탈환한 바흐무트 북서쪽 외각을 러시아군이 공세로 재점령하면서 우크라이나에게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결국 바흐무트 탈환은 커녕 차시우야르가 공략 받고 기껏 탈환한 클리시치우카 등의 외곽 지역도 재함락당하며 러시아군의 완전한 승리로 귀결되었다.
- 스바토베 전투(1차전 , 2차전 진행중),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진행 중) - 이곳은 러시아군이 3월에 점령한 곳이며, 10월 초에 리만이 탈환된 이후 우크라이나군의 다음 목표가 스바토베와 크레민나, 리시찬스크 주변이 되었다. 기상 환경과 헤르손에서 철수한 러시아군의 증원, 방어선 구축으로 스바토베 방면에서 우크라이나군의 진격은 대체로 지지부진해졌고, 도시 밖 20여 km의 거리까지 진격했지만 그 이후 일진일퇴가 반복되고 있다.
- 아우디이우카 전투 () - 이곳은 돈바스 전쟁 시기부터 최전선이었고, 아우디우카는 우크라이나군 전선의 돌출부이자 요충지로 이를 통해 우크라이나군은 도네츠크 시까지 영향력을 행사했다. 러시아군은 2월에 바흐무트와 아우디이우카를 동시에 공격하다가 바흐무트만으로 목표를 변경했고, 5월 바흐무트의 함락 이후 10월에 대규모 공세를 개시했다. 2024년 2월 17일 우크라이나군이 철수함으로써 러시아군이 승리했다.
- 마린카 전투 ()
- 포파스나 전투 ()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 ()
- 니우요크 전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