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중국 | 일본 | ||||
유럽 |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몰도바 | 아르메니아 | 조지아 | ||||
아제르바이잔 | 트란스니스트리아 | 압하지야 | 남오세티야 | 가가우지아 |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네덜란드 | 벨기에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 슬로베니아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몬테네그로 | 알바니아 | 그리스 | ||||
튀르키예 | 키프로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덴마크 |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러시아 연방 내 공화국 | ||||||||
체첸·인구시 | 아디게야 | 북오세티야 | 카라차이·발카르 | 다게스탄 | ||||
아시아 | ||||||||
대만 | 몽골 | 위구르 | 티베트 | 미얀마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
아프가니스탄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시리아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
예멘 | 이스라엘 | 아랍에미리트 | 쿠르드 | 바레인 | ||||
이집트 | 알제리 | 튀니지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쿠바 | ||||
도미니카 공화국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페루 | 가이아나 |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소말리아 | 모잠비크 | 마다가스카르 | 기니 | ||||
말리 | 부르키나파소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앙골라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 독일·러시아·폴란드 | 러시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 | 유럽 연합 | 아프리카 | ||||
남북러 | 북중러 | 미중러 | 한중러 | 한러일 | ||||
과거의 대외관계 | ||||||||
조선 | 청나라 |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 일본 제국 | |||||
소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유럽 | ||||
우크라이나 | 러시아·인구시 |
러시아 | 체첸 공화국 | 인구셰티야 공화국 |
1. 개요
러시아와 러시아 북캅카스 지방 중동부 내륙 안의 체첸 공화국, 인구셰티야 공화국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2. 역사적 관계
2.1. 근대
체첸인과 인구셰티야의 인구시인들은 같은 민족으로서 "나흐인"이라고 불렸다. 1828년 제정 러시아가 캅카스의 대부분을 점령함으로써 이들은 러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점령과 지배를 받았음에도 체첸인과 인구시인은 체첸 지역에서는 다게스탄과 함께 러시아의 지배에 저항하는 주요 장소 중 하나였고, 러시아는 매번 이들을 진압했다. 체첸인들이 제일 강하게 저항했고, 인구시인은 저항지역에서 러시아의 침략을 막았다. 하지만 이들의 봉기는 러시아에 진압되었으며 1859년에도 다시 나타났다. 러시아 혁명, 러시아 내전 시기, 체첸과 인구시인은 독립하려 했을 때 종교를 탄압했던 사회주의 체제의 적군보다 백군을 지원했으나, 백군의 패배로 적군이 정권을 잡은 소련의 재배를 받았다.레닌은 처음에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만들어 체첸인과 인구시인을 위한 자치권도 보장했지만 스탈린이 집권한 이후 이들을 탄압했고, 계속되는 저항에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나치 독일과 동맹을 맺으려 했다는 사실을 안 이후 더욱 더 탄압시켰고, 대다수는 카스피 해 이동(以東)지역의 중앙아시아(소련 지배의 서투르키스탄 혹은 카자흐스탄)로 강제 이주시켜 험한 황무지 등에서 강제노동을 시켰다.
2.2. 20세기
스탈린 사후에는 1958년, 호르시쵸프에 의해 다시 대다수의 체첸인과 인구시인들이 체첸-인구셰티야로 돌아왔고, 이들을 위한 자치 공화국도 다시 만들 계획도 나오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여전히 체첸인과 인구시인들에 대한 차별 및 불신이 강했고 체첸인들과 인구시인들은 더 강한, 완전한 독립을 원했었다.1991년 12월, 소련 해체를 계기로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결심했으며, 이는 15개의 여러 공화국들, 특히 인근 캅카스 국가들이 독립된 것을 계기로 독립에 대한 열망은 더욱 커져갔다. 그러나 러시아는 체첸과 인구셰티야만큼은 지리적 요충이 중요하고, 자원이 많은 것, 구 소련의 15개의 국가들과는 달리 러시아의 영역이었다는 점으로 반대를 했고, 이러한 갈등은 무장 봉기로 인한 분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특히 체첸의 저항이 매우 컸으며, 인구시인들의 인구셰티아도 처음엔 체첸을 도와주었으나, 계속되는 내전 및 일부 과격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나타나면서 1992년 12월 10일, 러시아와의 관계를 완화하기로 하여 1993년에 체첸 공화국과 러시아의 자치를 받은 인구셰티야 공화국으로 나뉘었다. 인구시와는 달리 체첸은 끝까지 저항해서 러시아와의 전쟁이 길어졌고, 전쟁으로 수많은 인명피해와 사상자들이 나타났고, 여러 인프라 시설과 건물들, 도로가 파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