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7 21:43:21

루프레히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500, #ffcc20 20%, #ffcc20 80%, #f0b500); color: #1e1e1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오토 1세 오토 2세 오토 3세 하인리히 2세 콘라트 2세
하인리히 3세 하인리히 4세
루돌프
헤르만
콘라트 하인리히 5세 로타르 3세
콘라트 3세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1세 하인리히 6세 프리드리히 2세 필리프
오토 4세(대립왕)
프리드리히 2세 하인리히 콘라트 4세
하인리히(대립왕)
빌헬름(대립왕)
리하르트
알폰스(대립왕)
루돌프 1세
아돌프 알브레히트 1세 하인리히 7세 루트비히 4세
프리드리히
카를 4세
귄터
벤첼 루프레히트 지기스문트
요프스트
알브레히트 2세 프리드리히 3세
막시밀리안 1세 카를 5세 페르디난트 1세 막시밀리안 2세 루돌프 2세
마티아스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3세 페르디난트 4세 레오폴트 1세
요제프 1세 카를 6세 카를 7세 프란츠 1세 요제프 2세
레오폴트 2세 프란츠 2세
}}}
프랑크 · 동프랑크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 라인 동맹 · 독일 연방
북독일 연방 · 독일 제국 · 바이마르 · 나치 독일 · 동독 · 독일

프랑크 · 동프랑크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 독일 연방
오스트리아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오스트리아

}}}}}} ||
루프레히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0000 0%, #000000 20%, #000000 80%, #000000); color: #FDE47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비텔스바흐 왕조
루프레히트 1세 루프레히트 2세 루프레히트 3세 루트비히 3세 루트비히 4세
프리드리히 1세 필리프 1세 루트비히 5세 프리드리히 2세 오토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3세 루트비히 6세 프리드리히 4세 프리드리히 5세 막시밀리안 1세
카를 1세 루트비히 카를 2세 필리프 빌헬름 요한 빌헬름 카를 3세 필리프
카를 4세 테오도어 막시밀리안 요제프
바이에른 국왕 }}}}}}}}}}}}
로마왕
루프레히트
Ruprecht
<nopad> 파일:루프레히트.jpg
1420년 묘사. 노이슈타트안데어바인슈트라세 협동교회 소재.
<colbgcolor=#ffcc20><colcolor=black> 출생 1352년 5월 5일
오버팔츠 암베르크
사망 1410년 5월 18일 (향년 58세)
팔츠 선제후국 오펜하임 란트스크론 성
재위기간 독일왕
1400년 8월 21일 ~ 1410년 5월 18일
팔츠 선제후국의 선제후
1398년 1월 6일 ~ 1410년 5월 18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cc20><colcolor=#000> 배우자 뉘른베르크의 엘리자베트[1] (1374년 결혼)
자녀 마르가레테, 루트비히 3세, 요한, 슈테판, 오토
아버지 팔츠 선제후 루프레히트 2세
어머니 아라곤의 베아트리체
형제 아나, 프리드리히, 요한, 메히틸트 }}}}}}}}}

1. 개요2. 생애

1. 개요

파일:external/53105cefff1f39033e3b77d0127ebd6b88f16a1aedadea6405c1d275110fa67f.jpg
아내 뉘른베르크의 엘리자베트와 함께. 17세기 하이델베르크 성의 프레스코화.

비텔스바흐 가문 출신 신성 로마 제국독일왕이자 팔츠 선제후.

2. 생애

팔츠 선제후 루프레히트 2세시칠리아 왕국 국왕 페트루 2세의 딸인 베아트리체의 3남으로 오버팔츠암베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할머니인 이름가르트 폰 외팅겐이 살던 리벤나우 수도원에서 자랐으며, 어렸을때 부터 팔츠의 통치에 참여했다. 1395년 형들이 모두 죽고, 1398년 부친이 사망하자 그가 팔츠 선제후로 즉위하였다. 1400년 8월, 벤첼을 독일 왕위에서 내쫓은 4명의 선제후 중 한 명으로 다음날 렌스에서 다시 열린 황제선거에서 독일왕으로 선출되었다.처음엔 아헨에서 즉위식을 거행하려했으나 입성이 거부되자 1401년, 쾰른에서 대관식을 치렀다.

제국 내에서 견고한 세력 기반이 없어, 그는 룩셈부르크 가문과 계속해서 경쟁을 벌였다. 다만 가주이자 왕위요구자인 바츨라프 4세 본인은 아무 행동도 취하지 않았다. 이후 남독일 지역에서 어느정도 왕위를 인정받았고, 밀라노 공국을 장악한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를 격파하고 교황에게 제관을 받고자해 남이탈리아 원정을 강행했으나, 1401년 가을 브레시아 전투에서 패배하고 1402년 4월 독일로 돌아와야했다. 이 패배후로 독일은 혼란에 휩싸일뻔했으나, 일단 사태를 진정시키는데 성공했다.

또 1402년 3월, 룩셈부르크 가문의 중심이였던 바츨라프 4세가 프라하 성에서 동생 지기스문트에 의해 체포되자 룩셈부르크 가문의 저항은 약화되었고, 비로소 교황이 그의 독일 왕위를 인정했다. 또한 루프레히트는 1402년 7월 6일 자신의 아들 루트비히와 영국 국왕 헨리 4세의 딸 블랑슈 오브 랭커스터의 혼인으로 잉글랜드의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루프레히트가 황실 영토를 늘리려 하자 마인츠 대주교와 뷔르템베르크의 에버하르트 3세 백작, 바덴의 베른하르트 1세 변경백 같은 귀족들, 그리고 여러 슈바벤 분할을의 반발에 직면했고 결국 1405년엔 그들에게 양보를 해야했다.

1410년에 사망했으며, 하이델베르크의 성령 교회에 매장되었다. 선제후의 영지 분할을 금지한 금인칙서를 무시하고 팔츠 선제후 자리는 3남[2] 루트비히에게, 4남 요한[3]에게는 오버팔츠의 노이마르크트를, 5남 슈테판에게는 지메른-츠바이브뤼켄[4], 6남 오토에게는 모스바흐를 물려주면서 팔츠 선제후국을 분할상속하였다.

[1] 호엔촐레른 가문의 초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1세의 누나.[2] 장남 루프레히트는 니코폴리스 전투에 참전해서 살아돌아왔으나 병을 얻어 병사했고, 차남 프리드리히는 1401년 사망했다.[3] 나중에 아들 크리스토프칼마르 연합의 왕으로 선출되었다.[4] 지메ㅡ른 분가는 팔츠 비텔스바흐 가문의 직계가 끊긴 후 팔츠 선제후 가계가 되었으며 츠바이브뤼켄 분가는 스웨덴 왕위를 배출하기도 했고, 나중에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바이에른 국왕으로 즉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