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반도체학과는 여러 제품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반도체를 개발하고 기능과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지식을 배우는 학과로서 전기전자공학과에서 파생된 학과이다. 반도체의 작동원리, 반도체 설계, 제조에 필요한 공정이나 과정 새로운 장비와 설비, 최신 기술에 대해 주로 배운다.한국에서 2010년대 이후로 반도체학과를 설립하는 대학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다른 공과대학의 학과들과 차별화되는 특징으로는[1], 바로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2] 등이 학과 설립에 관여해 계약학과 형태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도체 계약학과에 입학한 학생들은 입학과 동시에 해당 기업에서 제공하는 각종 장학금 및 인턴 프로그램의 수혜자가 되며, 졸업 후 채용 역시 보장되어 학교 내에서 의치한약수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입결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전문대학에서도 많이 설립되어 있는 학과이다.
국내에선 매년 700명 정도의 반도체학위를 가진 인력이 배출되는데 대만은 1만명, 중국은 20만명 정도가 배출된다.[3] 대만은 거의 모든 대학교에 반도체학과가 있고 거의 매년 학과정원이 늘어나고 있다. 인력수요가 높은 분야이기에 한국에서도 앞으로 반도체학과가 더 생겨날 가능성이 높다. 관련기사 실제로도 2024학년도에는 인공지능학과와 함께 첨단학과 증원대상으로 지목되어 타 학과 정원 감축 없이 순증원으로 이루어졌다.
2. 교과과정
- 반도체공학
- 반도체물리학
- 전자회로설계
- 반도체공정
- 반도체 공정실습
3. 관련 자격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전자기사, 정보통신기사, 무선설비기사, 방송통신기사4. 개설대학
4.1. 일반학과
- 가천대학교 반도체·전자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가톨릭대학교 반도체시스템공학전공
- 강남대학교 전자반도체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강원대학교 반도체물리학과
- 건양대학교 반도체장비공학과
- 경상국립대학교 반도체공학과
- 경기대학교 나노ㆍ반도체전공
- 경희대학교 반도체공학과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반도체물리학부, 지능형반도체공학과
- 광운대학교 반도체시스템공학부
- 국립군산대학교 첨단과학기술학부 반도체물리전공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전자공학부 반도체시스템전공
- 국립공주대학교 전기전자제어공학부 반도체정보공학전공
- 국립목포대학교 반도체공학과
- 국립부경대학교 전기공학부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전공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반도체신소재공학과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전자전기정보공학부 나노반도체공학과
- 극동대학교 반도체장비공학전공
- 단국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융합반도체공학전공
- 동국대학교 물리ㆍ반도체과학부 반도체과학전공
- 동아대학교 반도체학과[4]
- 명지대학교 반도체공학과
-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삼성전자공과대학교 반도체공학과[5]
- 삼육대학교 인공지능융합학부 지능형반도체전공
-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시스템반도체공학과
- 상지대학교 반도체ㆍ에너지공학과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지능형반도체공학과
- 선문대학교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과
- 성균관대학교 반도체융합공학과[6]
- 세종대학교 반도체시스템공학과
- 수원대학교 반도체공학과[7]
- 아주대학교 지능형반도체공학과
- 울산대학교 나노반도체공학과
- 인제대학교 반도체공학과[8]
- 인하대학교 반도체시스템공학과[9]
- 원광대학교 반도체ㆍ디스플레이학부
- 유원대학교 반도체디스플레이학과
- 전북대학교 반도체과학기술학과[10]
- 청주대학교 반도체공학과
- 충남대학교 반도체융합학과
- 평택대학교 지능형반도체학과
- 한국공학대학교 나노반도체공학과
- 한국외국어대학교 반도체전자공학부 반도체공학전공
- 한림대학교 반도체전공
- 한성대학교 기계전자공학부 시스템반도체트랙
- 한신대학교 AI시스템반도체학전공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차세대반도체융합공학부[11]
- 호서대학교 그린에너지반도체공학부
4.2. 계약학과
- 고려대학교 반도체공학과[12]
- 국립공주대학교 반도체기계공학과[13]
- 서강대학교 시스템반도체공학과[14]
-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인공지능반도체공학전공[15]
- 명지대학교 반도체장비공학과[16]
- 성균관대학교 반도체시스템공학과[17]
- 연세대학교 시스템반도체공학과[18]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AI반도체학부, 반도체시스템공학부[19]
- 중앙대학교 석.박사학위 과정[20]
- 포항공과대학교 반도체공학과[21]
-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시스템공학과[22]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반도체공학과[23]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반도체공학과 [24]
- 광주과학기술원 반도체공학과 [25]
- 울산과학기술원 반도체공학과 [26]
[1] 반도체 학과가 공과대학에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가령 IT대학, 정보대학에 묶여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2] 주로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3] 물론 이건 단순히 "반도체학과"로 한정지은 경우다. 좀더 넒은 분야인 전기전자공학과 졸업자들을 합치면 상당한 인원이 배출된다. 물론 전기전자공학 전공자 전부가 반도체 전문가는 아니긴 하지만.[4] 신소재물리학과에서 2021년 반도체학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자연대학 소속이다.[5] 이 대학은 삼성전자 직원의 재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고졸자는 모집하지 않는다.[6] 2024년 신설학과. 계약학과인 반도체시스템공학과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7] 현재의 전자재료공학과가 2024년부터 반도체공학과로 이름이 바뀔 예정이다.[8] 나노융합공학부가 2024년부터 반도체공학과로 이름이 바뀔 예정이다.[9] 교육부의 2024학년도 첨단분야 증원 신청에 따른 첨단분야 학과 신설. 2024년에 혁신바이오의약학과와 함께 신설 계획중에 있다.[10] 학과의 소속은 자연과학대학소속이지만 배우는 것은 공과대학에서 배우는 것과 거의 유사하거나 과목이 겹치기도 한다. 그리고 공과대학 소속의 신소재공학과 정보소재전공에서도 이 학과에서 배우는 것과 비슷한 것을 배운다.[11] 2025년 신설예정[12] 2021년 설치된 SK하이닉스 채용연계형 계약학과.[13] 2022년 기준 비수도권에서 운영되는 종합대학 반도체 계약학과는 국립공주대학교밖에 없다.#[14] 2023년 설치된 SK하이닉스 채용연계형 계약학과.[15]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가 주관하는 계약학과 형식의 연합전공이며, 따라서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을 제외하면 복수전공으로만 이수가 가능하다. 2020년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공동 지원을 통해 신설되었으며, 매년 80명을 선발한다.[16] 중소중견기업 재직자전형 계약학과. 선취업후진학 전용 학과이다.[17] 2006년 설치된 삼성전자 채용보장 계약학과. 사실상 국내 대기업 채용보장 계약학과의 원조.[18] 2021년 설치된 삼성전자 채용연계형 계약학과.[19] SK하이닉스 및 자회사 근무자만을 대상으로 신입생을 모집하는 직원 재교육형 계약학과. 전문학사 학위를 소지한 SK하이닉스 근무자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고졸자는 모집하지 않는다.[20] 2023년 설치된 SK하이닉스 채용연계형 계약학과.[21] 2023년 설치된 삼성전자 채용연계형 계약학과.[22] 2023년 설치된 삼성전자 채용연계형 계약학과.[23] 2023년 설치된 SK하이닉스 채용연계형 계약학과.[24] 2024년 설치된 삼성전자 채용연계형 계약학과.[25] 2024년 설치된 삼성전자 채용연계형 계약학과.[26] 2024년 설치된 삼성전자 채용연계형 계약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