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15:52:08

벅스 버니

벅스버니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f,#000> 이름 벅스 버니
BUGS BUNNY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 1985년 12월 21일
위치 7007 Hollywood Blvd. }}}}}}}}}

벅스 버니
Bugs Bunny
파일:Bugs Bunny.png
<colbgcolor=#808080><colcolor=#ffffff> 종족 토끼
성별 남성
성우
[[미국|]][[틀:국기|]][[틀:국기|]]
멜 블랭크(초기)
그레그 버슨(캐럿블랑카)
빌리 웨스트(스페이스 잼, 루니 툰 크리스마스)
조 알라스키(루니 툰 : 백 인 액션)
샘 빈센트(베이비 루니 툰)
제프 버그먼(타이니 툰,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 루니 툰: 래빗 런, 웨빗, 스페이스 잼: 새로운 시대)
에릭 바우자(루니 툰 카툰)[1]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배한성(TBC)
송도순, 우문희(MBC)
이선주(스페이스 잼 SBS판)
김환진(KBS 85년 판)
안지환(누가 로져 래빗을 모함했나)
박일(말괄량이 뱁스)
이인성(KBS 90년판)
김정경[2]
정선혜(재능TV)
강수진(스페이스 잼 비디오판, 루니 툰 : 백 인 액션, 투니버스, 카툰네트워크)[3][4]
정재헌(극장 개봉판/스페이스 잼 2, 카툰네트워크/루니 툰 카툰, 루니 툰: 래빗 런, 벅스 버니 빌더스)

[[일본|]][[틀:국기|]][[틀:국기|]]
타카하시 카즈에토미야마 케이야마구치 캇페이[5]
"뭔 일이셔, 선생?(What's up, doc?)"[6]

1. 개요2. 특징3. What's up, Doc?4. 에피소드5. 숙적들
5.1. 천적
6. 여장7. 출연8. 여담
8.1. Big Chungus
9. 수상 실적

[clearfix]

1. 개요

벅스 버니의 변천사(1938년 ~ 현재(2021))[7]

미국단편 애니메이션 루니 툰에 등장하는 캐릭터다.

2. 특징

루니 툰 시리즈를 대표하는 캐릭터이자, 워너 브라더스마스코트로 유명하다.[8] 더 나아가 긴 세월 동안 미키 마우스와 유일하게 라이벌이라 할수 있는 미국 애니메이션의 황금기를 상징하는 캐릭터 중 하나다. 탄생 날짜7월 27일이다.[9]

땅굴을 파고 사는 전형적인 회색 토끼이며 어떤 위급한 시츄에이션을 만나게 되면 그 특유의 낙천적인 성격과 침착함으로 전세를 역전시킨다. 단, 적어도 한 번은 당하거나 사고를 쳐야만 눈치가 빨라지고 행동이 잽싸질 수준으로 머리가 돌아간다. 몇몇 에피소드는 벅스 버니가 사고를 쳐놓고 피해자를 깔아뭉개는 패턴이다.

영어 위키백과에는 원작자로 프리즈 프레렝, 로버트 매킴슨, 밥 크렘펫, 척 존스가 표기되어 있으며 이들이 각각 연출한 단편마다 세부적으로 벅스 버니의 디자인이 조금씩 다른데, 실제론 첫 출연 에피소드를 연출한 벤 하더웨이와 캘 돌턴(Cal Dolton)이 초기 버전을 디자인했으며, 텍스 에이버리A Wild Hare에서 완성시킨 디자인을 모태로 전자의 애니메이터들이 각각 연출한 단편마다 디자인을 조정한 것으로 봐야 옳다. 또한 영어 위키피디아의 벅스 버니 문서를 참고하면 이름은 벅스 버니를 처음으로 디자인한 벤 '벅스' 하더웨이(Ben "Bugs" Hardaway)[10]의 별명인 벅스(Bugs)에서 따온 것이란 후문이 있다.

종종 엘머 퍼드나 요세미티 샘 같은 캐릭터와 충돌하거나 대립하는 상황이 되면 선전포고하는 의미로 Of course you realize, this means war![11][12]를 외치기도 하는데, 이는 그루초 막스가 1933년 영화 'Duck Soup'와 1935년 영화 'A Night at the Opera'에서 친 대사를 인용한 것이다. 이후로도 그루초 막스(Groucho Marx)를 인용하거나 흉내내는 등 오마주가 많이 등장하며, 2011년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에서는 가장 존경하는 사람으로 그루초 막스를 언급할 정도다. 루니 툰 시리즈 자체가 당대의 레전드 희극배우 그룹 막스 브라더스(Marx Brothers)의 영향을 많이 받기도 했다. 또한 벅스 버니가 서서 당근을 씹어먹는 장면도 1934년 영화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에서 클라크 게이블이 당근을 씹어먹던 장면을 모태로 따왔다고 한다.

이 외에도 유명하게 알려진 대사로는 이야기의 발단에서 땅굴을 파면서 여기저기 이동하다가 길을 잃어 엉뚱한 장소에 도달했을 때 말하는 앨버커키에서 왼쪽으로 꺾었어야 했는데!(I knew I shoulda taken that left turn at Albuquerque!)라는 대사가 있다. # 어디를 가든 무조건 앨버커키에서 왼쪽으로 꺾었어야 했다.

1945년작 루니 툰 단편 야구왕 벅스에서는 포키 피그를 대신해 엔딩에서 대사를 외친 에피소드도 있었는데, 이때 "And that's the end!"를 외친다. 벅스 버니 자신의 집이기도 한 토끼 굴 내부는 대개 1방 구조로 나오는 단편들이 많지만 Baby Buggy Bunny 편처럼 여러 개의 방들과 복도가 나오는 단편도 있다.

3. What's up, Doc?

벅스의 캐치 프레이즈인 "eh~~[13] What's up, Doc?"은 국내 카툰 네트워크 판에서는 "이~, 뭔 일이셔?", 재능TV판은 "에~, 안녕하신가?"로, 일본판에서는 "どったの[14]センセー?로, 중국판에서는 "出什么事了,伙计?"로 번역되었다. 1995년 5월 5일0083이 방영되기 직전에 MBC에서 방영된 버전에서는 "무슨 일이요, 무슨 일이요~ 선생?"이었다. 왜냐하면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벅스가 하오체를 썼기 때문에 묘할 것 같지만 들어보면 능청맞음의 끝을 보여준다.
요세미티 샘 : 이 허풍쟁이 토끼야, 내 명예를 걸고 널 떨어뜨리고 말겠어!
벅스 버니 : 떨어지는건 내가 아니오, 선생. 당신이지. 봐요!


해당 대사만 나오는 부분을 모아 편집한 영상. 참고로 이건 일부분에 불과하다.

영미권에서는 작중처럼 "뭔 일 있나?" 외에도, 글자 그대로 "'업(up)'이 뭐냐?" 혹은 "뭔 일 있나, 의사양반?"이라는 뜻에서 언어유희로 사용하기도 한다. 왓치맨에서 존 오스터맨 박사(Doctor)생방송 토크쇼에 나왔다가 당한 적이 있다.[15]

이것 때문인지 작중에서 벅스가 아무한테나 "Doc"이라는 호칭을 가끔씩 쓰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대사는 1940년 A Wild Hare 편(감독은 텍스 에이버리)에서부터 삽입된 것이다.

미국에서는 유명한 밈인 탓에 패러디물에서도 많이 쓰이는 데 악명 높은 Sonichu에서도 빌런의 도발 대사로 쓰였다. 하지만 디시인사이드 한국어 번역판에서는 안녕하시렵니까?으로 번역.

4. 에피소드

파일:attachment/A_2.jpg
Long-Haired Hare 에피소드의 한 장면.

1938년 'Porky's Hare Hunt' 작품에 조연으로 등장한 뒤 1940년 A Wild Hare에서 공식 데뷔했다. 데뷔한 카툰이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얻자 그 해에 아카데미 단편 애니메이션상 부문으로 지명되기도 했었지만, 수상받지는 못했다.

지금은 루니툰의 대표적인 선역 캐릭터지만 초창기엔 그렇지 않았다.[16][17] 데뷔작에서도 엘머를 괴롭히는 것이 '그냥'인 듯하고 1940년대 초에 발표된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를 바탕으로 한 루니 툰 단편에서도 꾀를 쓰다가 오히려 거북이 세실에게 단골로 당한다.

이 가운데 1943년작 에피소드 tortoise wins by a hare[18]에서는 거북이에게 달리기만 하면 지기에 다시 달리기 승부를 하곤 몰래 거북이를 찾아가 달리기를 왜 잘하냐고 질문한다. 거북이는 '그야... 내가 입는 이 거북이 등이 빠르게 하거든' 엉터리 답변을 하는데 다음 날, 벅스 버니가 거북이 옷차림과 등까지 매달고 달리기를 한다. 하지만 벅스 버니의 친구들인 토끼들은 이번에는 토끼의 자존심을 위하여 비열한 방법을 다 쓰는데, 죄다 거북이 차림을 한 벅스 버니가 폭탄에 맞고 함정에 걸리고 무진장 고생한다.

결국 나중에는 벅스 버니가 "내가 토끼야!" 외치지만 거북이가 토끼 옷차림을 하고 당근을 먹으면서 천천히 뒤따라오는 통에 토끼들에게 이 거북이가 누굴 속이려고? 라며 더 구타당한다. 결국 또 거북이가 승리하고 친구들 앞에서 거북이 옷차림[19]을 벗고 "내가 토끼 벅스라니까"라며 울분을 쏟듯 말하자 친구들은 "진작에 말을 해주지~"하면서 전원 자살해버린다. 그 이후 다시 한 번 승부를 해서 끝내 거북이를 이기지만 이번에는 경찰에 속도위반 죄목으로 붙잡혀 간다.

1944년에 제작한 프로파간다 선전 애니메이션 'Bugs Bunny Nips The Nips'[20]에서는 태평양 어딘가의 무인도로 표류한 벅스 버니를 섬에 홀로 남은 일본군 병사가 발견하고 앞뒤 안 가리고 죽이려 들지만 오히려 지못미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일본군 병사는 벅스 버니에게 호되게 당한다. 승리의 표시로 욱일기를 그리던 벅스 버니는 스모 선수에게 시비가 털리고, 여장을 하고 스모 선수를 홀려 혼내준 뒤에 일본군들이 무더기로 섬으로 와버리는데, 벅스 버니는 이를 보고 수류탄을 아이스크림에 넣어서 아이스크림 트럭을 타고 돌며 그들에게 나눠주고 일본군들은 알아서 자폭한다. 그 와중에 한 일본군 병사는 엉망이 된 채로 벅스 버니에게 오더니 한 개 더!가 나왔다고 웃으며 또 받아간다. 그렇게 모든 일본군을 퇴치한 벅스는 외로움에 나무에 킬마크를 그리면서 이 상황이 싫다고 하다가 암컷 토끼를 발견하고는 쫓아간다. 그 당시 미국이 일본군을 보는 시각이 잘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이 에피소드는 1990년대 초 미국에서 루니 툰 VHS가 발매될 당시, 일본계 미국인들이 모인 시민단체가 항의하던 사태도 있었다. 정말 바보천치로 나오는 일본군들이 당하는 모습이 폭력적이기도 했지만 인종차별적인 장면도 만만치 않게 나왔으니. 80년대 한국에서의 방영 당시 한국 꼬맹이들은 그저 벅스 버니가 바보같은 군인들을 골려먹는 것으로 이해한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어른들은 좀 고소해했을지도. 더불어 국내 방영 당시에는 스모 선수 등장신을 다 잘라버렸다.[21]

레전드 에피소드로 평가받는 'Duck Amuck'에서 애니메이터의 변덕에 따라 배경이 지워지고, 웬 지우개 달린 연필이 나타나 사물을 마음대로 지우고, 그리는대로 현실화 시킨다. 만화의 주인공일뿐인 대피 덕은 여기에 농락당하는데 알고봤더니 이 모든 게 화면 밖에서 벅스가 친 장난이라는 게 드러난다. 이로 인해 루니 툰 팬덤 내부의 최강 논쟁에서는 벅스 버니를 작품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존재쯤으로 여기며 사기 캐릭터로 보는 사람들도 많다.

다만 〈Rabbit Rampage〉에서는 반대로 자신이 애니메이터 때문에 한바탕 골탕을 먹었다.[22] 배경을 마음대로 바꾸질 않나 온갖 모자를 그려넣지 않나, 머리와 꼬리를 지우질 않나, 머리를 다시 그린 것까지는 좋은데 귀를 빼먹지 않나, 다른 동물의 꼬리를 그리질 않나 등등. 알고 보니 엘머 퍼드애니메이터였다. 벅스 버니가 나오는 에피소드는 대부분 기본 틀이 위와 같이 진행되는 단편들이 많다. 즉 퍼드나 샘, 아니면 기타 캐릭터들이 벅스 버니를 노리거나 버니가 1차 버로우탄 후 반격으로 슬랩스틱 개그들을 연출해내는 스타일이다.

그 후 1960년대에도 꾸준히 주연으로 등장하다가 1964년 상영된 'False Hare'라는 단편을 마지막으로 루니 툰 고전 단편에서는 하차한다.

초창기 에피소드는 지금 시각으로 보면 충격적인 전개나 소재들도 적지 않아서 어린 시절 추억만으로 찾아보았다가는 놀라기 쉽다. 어린아이에게는 도저히 보여줄 수 없는 내용도 꽤 있다.[23]

5. 숙적들

주적은 대머리 사냥꾼 엘머 퍼드, 요세미티 샘을 들 수 있다. 이 외에 와일 E. 코요테화성인 마빈, 태즈메이니아 데블 등도 벅스의 적으로 나오는 캐릭터이다.

자칭 라이벌로는 대피 덕이 있으며 벅스 버니와 같이 출연하는 경우에는 언제나 벅스 버니와 싸우지만 끝내는 벅스 버니에게 처절하게 당한다. 물론 같은 적인 사냥꾼과 함께 등장할 경우에는 같이 머리를 짜서 덤비기도 한다. 그렇다고 애증의 관계는 아니다.[24] 실제로도 버전에 따라서는 단순히 친구로 묘사되는 등, 숙적이라는 이미지가 다른 캐릭터에 비해 약한 편이다.

엘머 퍼드와는 의외로 애증의 관계. "The Big Snooze"에서는 하도 당하다 못한 엘머가 워너 브라더스와의 계약서를 꺼내 벅벅 찢으면서 그만두고 낚시하러 떠나기까지 하는데, 벅스 버니가 울며불며 가지말라고 다리에 매달리기까지 한다. 결국 엘머는 돌아오고, 예전처럼 둘은 여전히 바보들처럼 군다. 그래도 둘 다 즐거운 모양이니. What's Opera, Doc?에서는 아예 둘이서 고대 북유럽 신화를 소재로 리하르트 바그너가 작곡한 오페라를 찍으면서 비련의 연인 연기도 한다.

5.1. 천적

천적은 거북이 세실 터틀(Cecil Turtle)로, 원작자는 대피 덕과 동일한 텍스 에이버리.)

엘머 퍼드와는 애증, 대피덕은 라이벌인 반면, 벅스버니에겐 세실터틀은 그야말로 최대 숙적이자 원수

엘머 퍼드와 요세미티 샘 외에 록키와 먹시같은 2인조 강도나 다른 악당들을 머리만 잘쓰면 이기지만 유독 세실 터틀에게만 머리로도 패배한다.

유일하게 벅스 버니를 처음부터 끝까지 시종일관 갖고 놀다가 이겨버리는 캐릭터지만, 1940년대의 몇몇 단편 이후로는 등장이 거의 없다.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에서 간만에 얼굴을 비췄는데 여기서는 벅스가 일반인 포지션이기 때문에 역으로 거북이 쪽에서 어그로를 끌다가 벅스에게 응징을 당한다. 2015년 뉴루니툰쇼에서도 세실 터틀과 경쟁하다가 벅스가 피해를 많이보지만. 경쟁에서 스퀵스가 어부지리로 이겨서 같이 지기도 한다.

6. 여장

파일:external/static.deathandtaxesmag.com/BugsBunny_adp.jpg

여장하는 장면이 많다. 이 여장은 대부분 자신의 적을 속이기 위한 것인데, 그래도 벅스 버니의 경우는 너무 많기 때문에 동성애자 혹은 드래그 퀸 의혹을 받기도 한다. 물론 당대의 시대상이나 유머 코드를 생각하면 그저 여장이나 여성과 관련된 요소들을 그냥 웃음거리로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외 중간중간 벅스가 적들이나 라이벌에게 키스를 하고 곧바로 튀는 단편들도 있다. 이러한 모습들은 황금기 고전 미국 애니들에서 드물지 않은데 일종의 섹드립이다.[25][26] 벅스 버니의 여장 모음 12양덕이 선정한 톱 11여장

2011년에 나온 루니툰-벅스버니와 대피덕에서도 여장을 하는 에피소드들이 있지만 대체로 못생긴 여자같다며 까이는데, 시즌 1 2화에서는 롤라가 너무 심하게 자신에게 집착해서 자기 스스로 벅스 버니에게 차인 여자로 변장해서 롤라에게 자신의 험담을 한다. 그리고 원래 모습으로 다시 롤라를 만나자 롤라가 어떤 못생긴 여자를 만났다고 말한다.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eauty_School_%2841%29.png
1시즌 22화에서는 대피가 티나 대신에 미용학원 숙제를 해줘서 대피가 벅스에게 가발을 씌우고 여자 옷을 입게 한다. 그런데 스피디 곤잘레스의 댄스 레슨이 있다는 걸 떠올리고 그 모습 그대로 가는데, 포키는 여장한 벅스의 모습을 보고 못생긴 여자같다고 해서 벅스는 약간 화가나는데, 스피디 곤잘레스는 벅스를 알아보지 못하고 그 모습에 반해버린다. 벅스도 자신을 캐시라고 소개한다. 그런데 마침 롤라가 벅스가 여장한 모습을 보고 벅스가 다른 여자와 사귀는 것으로 오해했고, 끈질기게 접근해오는 스피디에 진저리가 난 벅스는 결국 자신의 정체를 밝혀버린다. 사실을 알게 된 스피디 곤잘레스는 여장한 벅스가 너무 못생겼길래 위로 차원에서 그랬던 거였다며 화를 내지만 사실 프로포즈하려고 보석반지까지 준비해뒀었고 캐시를 그리워하며 펑펑 운다. 시즌2에서도 이러한 여장은 간간히 나타난다.

7. 출연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1000px-OMG.jpg
    그렘린 2에서는 오프닝부터 스팟라인으로 출연하던 중... 갑자기 대피 덕이 등장한다. "뭔일이셔, 오리양반?[27]"라고 능청스럽게 물었는데, 대피 덕이 "뭔 일?! 내가 뭔 일인지 알려주마, 내가 앞으로 여기 담당할거야, 그게 뭔 일이다!", "50년째 스팟라인을 독차지하는 건 이제 이만하면 충분하다."라며 자리를 빼앗는다. 이후 오프닝을 하려다가 망쳐버리고 스팟라인 원에 박아 자동적으로 치마를 입은 대피를 스핀시켰다. 그리고 오프닝 시작.
  • 루니툰 시리즈의 시퀄이라고 할 수 있는 타이니 툰에서는 주인공 버스터 버니와 뱁스 버니가 다니는 학교의 교장선생으로 재직 중이다. 같은 혈통은 아니지만 그래도 같은 토끼라고 버스터와 뱁스를 챙겨주곤 한다.
  • AVGN에서는 마이크 마테이가 벅스 버니 분장을 하고 등장. 쿠소게를 리뷰하던 롤프에게 신나게 두드려맞고 똥세례까지 받다가 2년 뒤 두 배로 역관광을 먹여준다.[28] 루니 툰 관련 게임에서 벅스 버니가 주연인 NES 게임이 2개인데 그게 전부 AVGN의 리뷰대상이었던 쿠소게 벅스 버니의 생일 잔치, 벅스 버니의 크레이지 캐슬[29]이었기 때문이다. AVGN의 리뷰가 이전에는 리뷰를 하며 나레이션으로 비판하는게 주였던데 비해 벅스 버니의 생일잔치 리뷰에서 액션의 NERD를 선보인 게 반응이 좋아서인지, 배트맨 리뷰에서 마이크 마테이와 격투를 주고받고 기어이 후속편 크레이지 캐슬에서는 유혈 낭자한 난투극으로 집안 난투극의 새 장르를 개척했다.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Lola_sobbing.jpg
    2011년 방영된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30]에서는 여유로운 모습은 보기 힘들어졌다. 일단 룸메이트가 대피 덕이고 여기서 민폐도가 업그레이드 되어 고생한다. 게다가 모처럼 사귄 여자친구 롤라 버니사이코+얀데레 설정이라 이래저래 고생이 많다. 참고로 작중에서 나름대로 괜찮은 주택에서 사는 걸로 묘사되면서도 딱히 직업이 나온 적이 없는데, 시즌 1의 11번째 에피소드에 따르면 당근껍질깎이를 발명해서 그 특허로 버는 돈을 저축해서 산다고 한다. 정확히는 대피처럼 백수이기는 하지만 그나마 머리가 좋아서 안정적인 수입으로 앉아서 돈 버는 것이 위안거리. 기존 루니툰의 벅스 버니가 주로 웃고 있거나 밝은 표정을 짓고 있는 데 반해 루니툰쇼에서의 벅스 버니는 작중 사고뭉치 주변인물들에게 하도 시달려서인지 세상 다 산 표정을 지을 때가 많다. 여담으로 작중에서는 토요타 프리우스 2세대 모델을 타고 다니며, 차량번호는 TA72740이다.

  • 파일:attachment/wabbit.jpg
    2015년부터 카툰네트워크는 벅스와 그의 친구 다람쥐 스퀵스를 주인공으로 한 시리즈 "Wabbit"을 방영하고 있다.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이 다른 애니메이션에 밀려 시청률이 하락한 점도 있고, 또 벅스가 고생만 하는 모습으로만 나와서인지, 벅스 본연의 밝은 캐릭터를 살리려는 의도로 보인다. 태즈메이니아 데빌과 요세미티 샘도 출연하고 새로운 캐릭터로 2화에서 빅풋이 나왔다. 첫방영일은 2014년 말에서 2015년 가을로 미뤄졌다가 같은해 10월 5일로 결정되었고 2016년 3월 31일부터 부메랑 한국 채널에서도 방송 중이다.

8. 여담

  • 감독들이 연출한 작품마다 벅스의 성격이 세세하게 구분되는 경향이 있다. 텍스 에이버리, 밥 크렘펫이 연출한 단편들에선 민폐 기질이 높은 트릭스터의 면모가 강하지만(1), 프리즈 프레렝, 척 존스가 연출한 단편들에선 상황에 대처하는 현명한 히어로이자 선역의 면모가 강하며(2), 로버트 매킴슨이 연출한 단편들에선 히어로이면서도 심술궂은 장난꾸러기의 면모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3). 1960년에 방영된 TV판 프로그램 벅스 버니 쇼(The Bugs Bunny Show)를 기점으로 루니 툰 - 벅스 버니와 대피 덕까지의 벅스는 (2)와 (3)의 성향이 짙었지만, 2015년 방영된 뉴 루니툰 쇼에서부턴 (1)과 (3)의 성향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 척 존스는 벅스의 명대사 whats up? doc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했다. - "'What's up Doc?' 자체는 아주 단순한 대사죠. 하지만 말할 때의 상황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재밌는 겁니다. 그건 항상 벅스 버니의 대사였죠. 인간의 상황으로 바꾸어 보면 이렇습니다. 만약 당신이 일 때문에 집에 밤 늦게 들어왔다고 합시다. 마당을 지나 정문으로 갔는데 그 문이 살짝 열려있고 어떤 사람이 거실에서 총을 쏘고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단은 도망쳐야겠죠. 적어도 경찰을 부를 수 있다면 말이죠. 그런데 당신이 그 사람의 어깨를 치면서 'What's up Doc?'이라고 한다면 당신은 그 사람의 행동에 흥미가 있다는 것이 되어버립니다. 웃기는 일이죠. 그건 그런 상황에 나올 수가 없는 말입니다. 그래서 저는 그 대사가 재미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대사는 달리 말하면 논리적이지 않은 상황에 가장 적합한 대사입니다."[31]
  • 구글에 mammy meme으로 이미지 검색을 하면 수많은 짤들이 나오는데 2014 ~ 2017년 북미권 웹에서 종종 패러디되기도 했다.[32]
  • 워너 브라더스가 제작한 루니 툰 캐릭터이기 때문에 당연히지만 크로스오버가 아닌 이상 디즈니 작품에는 나오지도 않으며, 디즈니랜드에서도 볼 수 없다. 하지만 이를 헷갈리는 사람이 많은 모양이다. 미국의 어떤 기억심리학자들은 이를 이용하여 실험을 했는데, 성인들을 대상으로 디즈니랜드에서 벅스 버니를 볼 수 있다는 광고지를 보여주고, 어렸을 때 디즈니랜드에서 광고문을 보았는지 질문하였다. 그 결과 대상들은 통제 집단(10%)에 비해 디즈니랜드에서 벅스 버니를 보았다는 답변이 더 많았다.(30-40%, p=.002) 이 연구는 글을 통한 암시가 기억에 간섭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 연구로 교과서에도 실려있다.[33]
  • 에피소드마다 자주 남을 잔꾀로 괴롭히는 역할이지만 톰과 제리제리 마우스아기공룡 둘리둘리와는 달리 상대가 자기한테 먼저 공격하는 경우나, 나쁜 짓을 꾸미는 상대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커서 보면 나쁜 캐릭터에 해당되지 않는다.[34]
  • 미국 현지 시간으로 2020년 3월 20일에 애니메이터 미트 캐니언이 올린 패러디 영상인 와빗 시즌(Wabbit Season)이 워너 브라더스가 저작권 위반을 이유로 클레임을 걸자, 미트 캐니언은 'RIP 와빗 시즌'을 업로드하며 워너 브라더스의 조치에 항의했다.
  • NO 밈이 북미권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 자세히는 Big snooze의 한 장면을 뒤집은 사진.

8.1. Big Chungus

파일:공식 Big Chungus.jpg
Wabbit Twouble 편(감독은 밥 크렘펫)에서 2분 30초쯤에 엘머가 벅스의 굴을 막아놓으면서 "이제 막혔겠지? 우헤헤헤헤" 하고 웃은 뒤에 그냥 지나가버리고, 벅스가 굴을 막은 나무판을 아주 자연스럽게 연 뒤에 엘머를 흉내낸답시고 다소 기괴하게 부풀어오르고 뚱뚱해지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이것이 2018년 말 갑작스럽게 발굴되면서 "Big Chungus"라는 밈으로 발전한 상태이다.

심지어 워너브라더스도 이 밈이 유명한 걸 알았는지 19년 1월 초에 해당 에피소드를 유튜브에 업로드할 때 섬네일에다가 이 뚱뚱해진 벅스 버니를 사용했으며, 2분에 영상 오른쪽 위를 보면 "당신, 이것 때문에 온 거 맞죠?(Are you here for this?)"라는 질문까지 던진다! 게다가 이 밈이 무려 공식으로 인정되어 스페이스 잼: 새로운 시대에도 벅스가 엘머를 흉내내는 장면 그대로 등장하기도 한다! # 기원은 4chan /lit/ 게시판에서 누가 이 사진에다가 "bugs.. easy on the carrots"(벅스.. 당근 그만 먹어)라고 한 것이 흥한 것인데, 4chan이 원래 그렇듯 자기들 밈이 그만큼이나 퍼진 것에 대해서 안 좋게 여긴다.

9. 수상 실적

  • ⭐️는 에미상 수상 횟수
  • 🏆은 오스카상 수상 횟수
  • 2005년 기준이며 에미상과 오스카상 수상 횟수는 현재 진행형 기준
Channel 4 선정 가장 위대한 만화 영화 100선 中 상위 10위
1위 심슨 가족 ⭐️⭐️⭐️⭐️⭐️
⭐️⭐️⭐️⭐️⭐️
⭐️⭐️⭐️⭐️⭐️
⭐️⭐️⭐️⭐️⭐️
⭐️⭐️⭐️⭐️⭐️
⭐️⭐️⭐️⭐️⭐️
⭐️⭐️
2위 톰과 제리⭐️⭐️⭐️⭐️⭐️
⭐️⭐️
🏆🏆🏆🏆🏆
🏆🏆
3위 사우스 파크⭐️⭐️⭐️⭐️⭐️
⭐️
4위 토이 스토리 시리즈 ⭐️⭐️⭐️⭐️⭐️
⭐️⭐️⭐️
🏆🏆
5위 패밀리 가이 ⭐️⭐️⭐️⭐️⭐️
⭐️⭐️⭐️
6위 슈렉 🏆
7위 라이온 킹 ⭐️⭐️⭐️
🏆
8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
9위 인크레더블 ⭐️
🏆🏆
10위 벅스 버니 🏆🏆🏆🏆
이외 참조
이외의 다른 만화 영화들은 만화 및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참조.

<colbgcolor=#00CED1><colcolor=#000> Channel 4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만화 쇼 100선 中 상위 10위
1위 심슨 가족 ⭐️⭐️⭐️⭐️⭐️
⭐️⭐️⭐️⭐️⭐️
⭐️⭐️⭐️⭐️⭐️
⭐️⭐️⭐️⭐️⭐️
⭐️⭐️⭐️⭐️⭐️
⭐️⭐️⭐️⭐️⭐️
⭐️⭐️
2위 톰과 제리⭐️⭐️⭐️⭐️⭐️
⭐️⭐️
🏆🏆🏆🏆🏆
🏆🏆
3위 사우스 파크⭐️⭐️⭐️⭐️⭐️
⭐️
4위 패밀리 가이 ⭐️⭐️⭐️⭐️⭐️
⭐️⭐️⭐️
5위 벅스 버니 🏆🏆🏆🏆
6위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7위 드래곤볼
8위 알라딘 🏆🏆🏆
9위 렌과 스팀피
10위 루니 툰 🏆🏆🏆🏆🏆
이외 참조
※ ⭐️는 에미상 수상 횟수, 🏆은 오스카상 수상 횟수
※ 이외의 다른 만화 영화들은 만화 및 애니메이션 관련 정보 참조


[1] 참고로 제프 버그먼, 에릭 바우자의 경우에는 벅스의 라이벌격인 대피 덕중복이다.[2] 1991년 2월 15일 아침 9시 5분에 방영한 KBS2 새해 특선 스페셜 "데이비드와 마술진주"에서 맡았다.[3] 옆동네의 대표 마스코트인 미키 마우스도 맡고 있었으나, 현재는 남도형이 물려받았다.[4] 90년대 들어 강수진 성우가 워너 브라더스 측의 인정을 받으며 전담 성우로 자리 매김하였다. 강수진 성우가 이렇게 자리매김하여 스페이스 잼 2편에서도 강수진이 맡길 원하는 팬들이 많았지만 정재헌이 캐스팅되어 아쉽다는 평이 많다.[5] 참고로 강수진과 야마구치 캇페이 둘 다 란마, 이누야샤, 남도일을 맡고 있는 성우다.[6] 주요 인사말이며, 대부분 당근을 들고 아작아작 씹으면서 말한다. 옆동네미키 마우스에겐 "Oh Boy!"가 대표 대사라면, 이 쪽은 이게 대표 대사라 할 수 있다. 참고로 한국판 대사는 루니 툰 카툰 더빙판 기준으로 작성했다.[7] 영상이 2021년 7월 17일에 업로드되었기 때문에 2021년의 모습까지만 수록되어 있다.[8] 간혹 토머스 캣제리 마우스를 꼽기도 하나, 이쪽은 워너 브라더스가 직접 만든 게 아니라 다른 회사인수해서 그쪽 캐릭터가 된 것이기에 적절치 않다는 의견도 많다. 그리고 벅스 버니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다른 캐릭터(주로 포키 피그대피 덕)가 마스코트 역할을 맡았다.[9] 이 날짜는 1940년 공식 데뷔작인 A Wild Hare 편이 처음 상영되었던 날짜다.[10] 벅스 버니 이외에도 대피 덕의 디자인에도 관여했으며 월터 란츠 프로덕션으로 이적해서는 딱따구리 우디 우드페커도 디자인했다.[11] of course you know, this means war로 말하는 에피소드도 있다.[12] 카툰네트워크 더빙판은 "지금 나랑 한판 붙어보자는 거야?"이거나 "지금 나랑 한번 해보자는 거야?"이다[13] 들리기는 에가 아니라 니예~로 들린다. 물론 간혹 에라고 할 때도 있다.[14] '돗타노'. どうしたの?(무슨 일이야?)를 장난스럽게 부르는 말로, 발음하기에 따라서 닥터선생(독타노 센세)라는 말장난이 되기도 한다.[15] 물론 이 시절의 닥터 맨하탄은 인간성이 거의 없던 시절이라 '과학적으로 봤을 땐 별 의미 없다'라며 시큰둥하게 넘어갔다. 애초에 이 세계관 자체가 가면 히어로들을 멸시하는 상황인지라 이 방송도 조리돌림하려고 부른거지 진짜 웃고 떠들자고 부른 건 아니었다.[16] 아예 데뷔 이전의 카메오로 등장한 에피소드에서는 대놓고 상대 캐릭터를 괴롭히며 활약했을 정도로 '지금의 벅스 버니가 맞나?'싶은 모습들을 보인다.[17] 사실 선역이자 주인공 격으로 올라온 이후에도 벅스는 뺀질이 및 상대를 골탕먹이는 트릭스터 이미지가 강하다. 그의 라이벌격인 미키 마우스가 선역이 된 이후 어리버리하지만 순수하고 착한 이미지가 강한 것과 대조적. 전체적으로 루니 툰디즈니 캐릭터들보다 좀 더 장난기가 심하고 조금씩 더 독한 경향이 있다. 미키 마우스의 캐치프레이즈가 "Awe, Gee!(아이고 이런!)"이나 "Hot Dogs!"같은 것인데 반해 벅스는 비딱하게 "Eh... What's up, Doc?"인 것에서도 드러난다. 도날드 덕과 대비되는 대피 덕도 마찬가지로 도날드도 성질을 부리는 캐릭터이긴 하지만 대피는 미치광이에다가 더 냉소적이고 독설가의 면모가 더 강하다.[18] 3분 50초쯤에 신문을 볼 때 구석에 "아돌프 히틀러 자살하다"라는 기사가 나오는데 정말 현실이 되어버렸다.[19] 벗으려고 해도 워낙 단단하게 옷을 입어서 벗을 틈도 없거니와 벗으려고 하면 친구들이 훼방을 놓았다.[20] Japan을 줄여 일본인을 비하하는 말Jap이라는 단어처럼 여기서는 Nippon을 줄인 Nip이라는 단어를 만든 듯하다. 'Japs The Japs'는 너무 노골적이기도 하고. 한국 방영 당시에는 '멍청한 일본군'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21] 스모 선수에 기모노도 그렇고 당시사회적 분위기일본문화배격하는 성향이어서 그렇게 했다. 부산광역시 문서에도 나오지만 당시 일본방송을 볼 수 있는 지역이다 보니 일본 방송 시청 금지 운동이 있었을 정도였다. 다만, 이 애니에서 고증은 엉망이라 스모 선수라고 하고 그냥 팬티를 입고 나오는 뻐드렁니 떡대이다.[22] 뉴 루니툰 쇼에서도 애를 먹었다. 시대의 변화에 맞춰 연필과 붓이 아닌 컴퓨터 프로그램과 펜으로 표현된 것이 특징.[23] 마찬가지로 톰과 제리라든지 상당수 미국 애니들이 되려 30~60년대 제작된 걸 보면 요즘은 너무나도 폭력적이고 충격적인 내용이 많다.[24] 보통 대피 덕이 인기많은 벅스 버니에게 일방적으로 열폭하는 관계이다. 반대로 벅스 바니는 대피 덕에게 별로 관심이 없다. 어떤 에피소드에서는 벅스 버니는 타이니 툰의 인기 스타로 나오며 여기서는 벅스 버니가 말 한마디만 해도 팬들은 자지러지는 수준. 여기서는 주인공이 대피 덕이라 벅스에게 미친듯이 질투를 한다.[25] 톰과 제리같은 작품만 봐도 상당히 자주 볼 수 있다. 여장을 하거나, 남자끼리 키스를 하게 되거나, 여자를 꼬시려고 이런저런 일을 벌이는 등의 패턴은 엄청 많이 등장한다.[26] 루니 툰 : 백 인 액션에서는 벅스가 보통 자기가 여장을 한다고 하자 '예전에야 웃겼지만 지금은 불편하다'는 소리를 듣는 장면이 나온다. 이에 대한 벅스의 대답은 립스틱 바른 토끼가 안 웃기다는 사람과는 더 이상 할 얘기가 없군.[27] 북미 원판에선 What's up, duck?[28] 롤프는 이렇게 된 거 같이 죽자며 동귀어진을 하여 같이 지옥에 간다.[29] 근데 특이하게도 시리즈가 5편까지 나온 걸 보면 흥행은 꽤 했나 보다. 마지막 5편은 주인공이 다른데 딱따구리의 우디 우드페커가 나온다.[30] 북미판은 루니툰 쇼(The Looney tunes show)[31] "'What's up Doc?' is a very simple thing. It's only funny because it's in a situation. It was an all Bugs Bunny line. It wasn't funny. If you put it in human terms; you come home late one night from work, you walk up to the gate in the yard, you walk through the gate and up into the front room, the door is partly open and there's some guy shooting under your living room. So what do you do? You run if you have any sense, the least you can do is call the cops. But what if you come up and tap him on the shoulder and look over and say 'What's up Doc?' You're interested in what he's doing. That's ridiculous. That's not what you say at a time like that. So that's why it's funny, I think. In other words it's asking a perfectly legitimate question in a perfectly illogical situation."[32] 사실 원본 이미지는 1942년 개봉된 선전 애니메이션 'any bonds today'에 등장하는 인종주의 스테레오 타입 개그로 벅스 버니가 블랙페이스를 하는 장면이다.[33] 이상 Braun-LaTour, K. A., Grinley, M. J., & Loftus, E. F. (2006). Tourist memory distor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44(4), 360-367.[34] 사실 는 기본적으로 해수인 만큼 톰이 제리를 잡으려는 것은 정당하다. 둘리도 사실 고길동 댁의 군식구에 불과하다. 반면 벅스 바니는 자연에서 그냥 생존하고 있고 남을 괴롭히는 건 아니므로 어렸을 때든 커서든 나쁜 캐릭터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