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0055b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경기순환 | |||
직행좌석 | 심야 | ||
일반 | |||
마을 | 7대일 7영상 [[성남 버스 602-1| 602-1A/B ]] | ||
|
1. 개요
성남시내버스에서 운행중인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사기막골과 분당서울대병원을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45.7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사기막골)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서울대병원) | ||
종점행 | 첫차 | 04:2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10 | 막차 | 23:15 | ||
평일배차 | 3~10분 | 주말배차 | 5~15분 | ||
운수업체 | 성남시내버스 | 인가대수 | 39대[1] | ||
노선 | 사기막골 - 남한산성입구 - 을지대학교 - 남한산성입구역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종합시장 - 수진역.성호시장 - 모란역·모란시장 - 성남시청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 - 이매역 - 새마을연수원입구 - 효자촌 - 한솔주공7단지앞 - 분당도서관.계원예술중고등학교 - 이마트 분당점 - 미금역 - 불곡중고등학교 - 분당서울대병원 |
3. 역사
2003년 1월 촬영된 51번.[2]
- 2000년 3월에 남한산성입구 - 미금역 노선으로 개통하였다.
- 2002년에 기점이 남한산성입구에서 사기막골로 변경, 연장되었다.
- 2003년 9월 15일에 종점이 미금역에서 분당서울대학교병원으로 변경, 연장되었다.
4. 특징
- 220번과 함께 양대산맥을 이루는 성남시내버스의 밥줄 노선이다.[3] 게다가 나름대로 구시가지의 터줏대감이자 주간선급 노선인 탓에 경쟁노선도 많다. 자사노선이자 판교신도시 신설노선인 340번의 경우 초반 인지도 향상을 위해 사기막골-야탑역 구간이 똑같다는 눈물겨운 홍보로 340번이 안착하는데 성공했으나, 그래도 이 노선이 자주 오니 승객이 많이 몰린다. 물론 현재 340번은 남한산성입구~사기막골 구간을 버리고 과거 340-1번[4]이 다니던 구간으로 가게 되었지만......
- 성남시내버스의 주력 노선이다보니 신차는 무조건 이 노선과 220번에 먼저 투입하며, 고참 기사들이 주로 운행한다.
- 분당구와 수정구, 중원구의 교통요지와 거주지를 이어주는 버스다. 은행동, 양지동에서는 모란역과 야탑역을 산성대로를 직통으로 타고가는 코스로 빠르게 이어주고, 효자촌, 시범단지 등에서는 미금역, 야탑역을 잇고 이마트 분당점과 중고등학교를 거친다. 이매촌성지아파트 - 단대오거리역 구간에서 운행경로가 완벽히 동일한 17번과 더불어 가장 자주 오는 버스다.[5]
- 성남시내버스 전 노선 통틀어서 51번이 운행대수가 가장 많다. 출퇴근 시간에는 엄청난 배차를 보여준다. 평일 기준 시간대와 구간을 안 가리고 어디서나 1~2신호당 1대씩 등장하고, 심지어 주말에도 5~10분 내외의 칼배차를 유지할 정도다. 다만 분당에서 돌아오는 차는 정체로 인해 배차가 벌어지면 적으면 2~3대가 많으면 5대까지도(!) 붙어서 연달아 오기도 한다.[6] 그런데 그렇게 몰려와도 15분 이상 벌어지는 일은 적다. 차가 3대 이상 붙는다 싶으면 여유 있는 뒷차들이 미어 터지는 앞차를 추월해서 승객을 쓸어담는 진풍경도 펼쳐진다.
- 모란역, 야탑역에서 은행동, 양지동을 최단코스에 짧은 배차간격으로 이어주는 노선이다 보니 모란역과 야탑역 정류소에서 이 노선 버스가 등장하면 최소 10명 이상의 사람들이 먼저 타겠다고 버스를 향해 벌떼같이 달려든다.
- 성남시내버스 노선 중 난폭운전이 가장 심하기로 유명하다. 대부분의 기사들이 과속을 일삼는다. 20분 이상 탑승하면 골이 흔들릴 정도. 전 차량이 전기버스로 바뀐 후론 더 날뛰는데, 미금역 ~ KT본사 구간을 70km/h 이상의 속력으로 질주하기 일쑤다. 가장 심한 구간은 모란역-성남시청 구간. 모란역과 야탑역에서 아슬아슬한 칼치기를 통해 정류소로 밀고 들어온다. 과속을 그나마 덜하는 구간을 꼽자면 효자촌 구간이다.[7] 또한 야탑역 이남으로는 신호위반도 자주 하는 편이며, 이 때문에 추돌사고가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그만큼 배터리 충전 시간마저 빡빡해서 쉬는 시간도 부족하다. 물론 대우 BS110 전기버스가 다니던 시절에 비하면 휠씬 나아진 것이다.지금은 킹롱 시티라이트 II과 뉴슈퍼 에어로시티 저상차량으로 운행한다.
- 서현역과 신구대학교는 가지 않으니 유의해야 한다. 서현역은 수인분당선을, 신구대는 단대오거리역에 내려서 3-1번, 17번, 33번, 57번, 87번, 340번, 382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한다.
평일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28,056 | |
2015년 | 27,241 | ▽ 815 |
2016년 | 27,515 | △ 274 |
2017년 | 26,806 | ▽ 709 |
2018년 | 27,657 | △ 851 |
2019년 | 30,334 | △ 2,677 |
2020년 | 8,817 | ▽ 21,517 |
2024년 | 28,646 | △ 19,829 |
※ 하차 인원 미포함 |
주말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22,335 | |
2015년 | 21,850 | ▽ 485 |
2016년 | 21,937 | △ 87 |
2017년 | 18,337 | ▽ 3,600 |
2018년 | 19,327 | △ 990 |
2019년 | 16,584 | ▽ 2,743 |
2020년 | 14,026 | ▽ 2,558 |
2024년 | 19,143 | △ 5,117 |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20년에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수요가 폭락했다. 특히 평일 승차량이 전년 대비 거의 3분의 1 수준으로 주저앉아 버렸다.[9] 그러나 2024년 기준으로 수요가 거의 회복되어 전성기 때의 명성을 다시금 누리는 중이다.
4.2. 노선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서울대병원 07152 | |||||
불곡고등학교 07137 | ↓ | ↑ | 불곡고등학교 07138 | |||
주공5단지 07117 | 주공5단지 07118 | |||||
선경아파트 07085 | ↓ | ↑ | 하얀마을 07086 | |||
금성백조아파트.구미도서관 07071 | 한솔빌딩.구미도서관 07068 | |||||
까치마을.건영빌라.2001아울렛 07332 | ↓ | ↑ | ||||
미금역 07079 | 미금역.농협.2001아울렛 07070 | |||||
대원사거리.까치마을 07103 | ↓ | ↑ | 청솔마을.주공9단지.동아아파트 07101 | |||
더샵분당파크리버.헬스케어혁신파크 07121 | 더샵분당파크리버.헬스케어혁신파크 07119 | |||||
↓ | ↑ | 이마트앞 07129 | ||||
분당도서관.계원예고.이마트 07116 | 분당도서관.계원예고.계원예술중학교 07106 | |||||
한진아파트 07094 | ↓ | ↑ | 한솔프라자 07091 |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 07093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 07090 | |||||
주공7단지.한솔종합사회복지관 07092 | ↓ | ↑ | 주공7단지앞 07088 | |||
파크타운.롯데아파트 07134 | 파크타운.양지마을 07135 | |||||
분당중앙공원 07323 | ↓ | ↑ | 분당중앙공원 07167 | |||
샛별마을.우방아파트 07192 | 중앙공원.샛별마을우방아파트 07325 | |||||
중앙공원.샛별마을.라이프아파트 07335 | ↓ | ↑ | 중앙공원.샛별마을라이프아파트 07324 | |||
효자촌 07219 | 동아우성아파트.효자촌.시범단지 07218 | |||||
서현중학교 07228 | ↓ | ↑ | 서현중학교 07225 | |||
양현보도육교 07436 | 양현보도육교 07321 | |||||
송림고등학교.이매촌청구아파트.동신아파트 07301 | ↓ | ↑ | ||||
돌마고교 07199 | 송림고교.이매촌성지아파트.청구아파트 07196 | |||||
이매역.농업기술센터.진흥아파트.동신아파트 07322 | ↓ | ↑ | 이매역 07197 | |||
성남아트센터.태원고교 07202 | 성남아트센터.태원고교 07198 |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후면) 07203 | ↓ | ↑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전면) 07201 | |||
동부.코오롱아파트 07367 | ||||||
성남시청전면 06004 | ↓ | ↑ | 성남시청전면 06229 | |||
성남대로(경유) 미정차 | ||||||
모란역2.3번출구 06160 | ↓ | ↑ | 모란역5번출구 06345 | |||
모란역.모란시장입구.풍생중고교 06164 | 풍생고등학교.풍생중학교 05324 | |||||
종합운동장입구 06013 | ↓ | ↑ | 수성교.소방서 05052 | |||
MD아파트 05059 | ||||||
수진역.성호시장.성일중고입구 06205 | ↓ | ↑ | 수진역.성호시장.성일중고입구 05070 | |||
신흥역.종합시장 06204 | 신흥역.종합시장 05241 | |||||
성남우체국 06206 | ↓ | ↑ | 성남우체국 05097 | |||
단대오거리역.(구)종점 06208 | 단대오거리역.세이브존 05109 | |||||
단대동행정복지센터.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 06210 | ↓ | ↑ | 단대동행정복지센터.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 05115 | |||
금광시장 06054 | 금광시장 05120 | |||||
남한산성입구역.법원검찰청 06059 | ↓ | ↑ | 남한산성입구역.법원검찰청 05121 | |||
상원초교.성남중앙병원.양지동청소년문화의집 06211 | 상원초등학교.양지동청소년문화의집 05125 | |||||
은행시장.남한산성시장.은행동청소년문화의집 06214 | ↓ | ↑ | 은행시장.남한산성시장.은행동청소년문화의집 05134 | |||
을지대학교 06212 | 을지대학교 05129 | |||||
을지대학교.생활관 06215 | ↓ | ↑ | 을지대학교.생활관 05135 | |||
남한산성입구.양지파출소 06213 | 남한산성입구 05131 | |||||
은행중학교 06113 | ↓ | ↑ | ||||
황송터널.은행1동 06118 | 황송터널.은행1동 06116 | |||||
↓ | ↑ | 사기막골(경유) 미정차 | ||||
자동차검사소.산성아파트 06134 | ||||||
↓ | ↑ | 영원무역 06135 | ||||
사기막골 06169 | 사기막골 06148 |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8호선: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신흥역, 수진역, 모란역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이매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모란역, 야탑역, 이매역, 미금역
신분당선: 미금역
[1] 주말 25~30대 운행.[2] 해당 차량은 성남시내버스가 자체출고한 차량이며, 2005년에 조기대차되고 다른 곳으로 팔려갔다.[3] 실제로 이 둘은 경기도 내에서도 나란히 승차량 TOP 5위 안에 든다. 특히 51번은 720-2번을 넘어서 2위에 오를 때도 자주 있다.[4] 현 341번[5] 현 시점에서는 17번 버스 배차간격이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20분 전후를 보여주므로 과연 맞는 말일지 의문이다.[6] 평일인데 앞차랑 10분정도 차이가 난다면 뒤에 최소 3대는 붙어있다![7] 여기는 지하도 옆길로 가는데다가 방지턱까지 설치되어 있어서 과속하면 큰일난다.[8] 다만 이마저도 "상대적으로" 밀린다 할 뿐이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빠져나온 51번 차 안에도 사람이 꽤 많다. 서울대병원 - 이매/야탑/모란역 간 중장거리 수요는 이 노선이 다 쓸어담기 때문.[9] 통학 + 학원가 + 병원 수요가 주축이었던 만큼, 온라인 수업 전환과 병원 이용객 급감이 51번 노선에 직격탄을 날렸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