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9:42:54

음식점

식당에서 넘어옴

🏪 상점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운영 방식별 분류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eee,#000> 도매상 도매 시장
소매상 공공 시장 - 지방 정부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점포가 입점
재래시장 · 수산시장 · 야시장 · 시전 · 벼룩시장
기업형 소매 시장 - 기업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브랜드가 입점
쇼핑몰 · 백화점 · 면세점 · 아울렛
소매점 단독
슈퍼마켓(슈퍼마트) · 할인점(울트라마트) · 편의점 · 대리점 · 체인점 · 플래그십 스토어 · 팝업스토어 · 노점 · 노포 · 구멍가게
}}}}}}}}}
[ 업종별 분류 ]
}}} ||
파일:서양 식당.jpg
양식 식당
파일:ㅎㅅㄷ.jpg
한식당
【언어별 명칭】
한국어 음식점, 식당[1]
중국어 饭馆[fànguǎn], 餐馆[cānguǎn][2][3]
餐厅[cāntīng][4]
일본어 飲食店(いんしょくてん), 食堂(しょくどう)
영어 Restaurant
스페인어 Restaurante
이탈리아어 Ristorante

1. 개요2. 선택 방법3. 대한민국의 분류 방식
3.1. 대한민국의 법적 분류3.2. 메뉴와 서비스 분류3.3. 이용 대상과 장소별 분류
4. 서구권의 분류 방식5. 운영 방식에 따른 분류6. 소비자의 이용 방식 분류7. 위생건강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음식을 파는 가게. 식사 시설을 갖춘 음식점의 경우, 식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를 경영하는 것은 요식업에 속한다.

2. 선택 방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음식점/선택 방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한민국의 분류 방식

3.1. 대한민국의 법적 분류

음식점은 식품위생법상 '식품접객업'으로 분류되며(식품위생법 제36조 제1항 제3호), 세부적 분류는 다음과 같다(같은 조 제2항, 같은 법 시행령 제21조 제8호).
  • 휴게음식점영업: 주로 다류(茶類), 아이스크림류 등을 조리·판매하거나 패스트푸드점, 분식점 형태의 영업 등 음식류를 조리·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음주 행위가 허용되지 아니하는 영업. 다만 편의점, 슈퍼마켓, 휴게소, 그 밖에 음식류를 판매하는 장소(만화가게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을 하는 영업소 등 음식류를 부수적으로 판매하는 장소를 포함한다)에서 컵라면, 일회용 다류 또는 그 밖의 음식류에 물을 부어주는 경우는 제외한다(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제8호 가목). 단서 조항의 경우를 제외하는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업소는 음식점으로 등록해야 하기 때문이다.[5]
  • 일반음식점영업: 음식류를 조리·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식사와 함께 부수적으로 음주행위가 허용되는 영업(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제8호 나목). 대부분의 음식점과 술집이 해당된다. 다만 술집을 일반음식점으로 영업 신고해 놓고 안주류이든 식사류이든 음식을 안 팔고 술만 파는 것은 무조건 불법이다. 또한 술집은 청소년 고용이 금지된다.
  • 단란주점영업: 주로 주류를 조리·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손님이 노래를 부르는 행위가 허용되는 영업(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제8호 다목). 청소년 출입 및 고용이 금지된다.
  • 유흥주점영업: 주로 주류를 조리·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유흥 종사자를 두거나 유흥 시설을 설치할 수 있고, 손님이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는 행위가 허용되는 영업(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제8호 라목). 청소년 출입 및 고용이 금지된다.
  • 위탁급식영업: 집단급식소를 설치·운영하는 자와의 계약에 따라 그 집단급식소에서 음식류를 조리하여 제공하는 영업(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제8호 마목).
  • 제과점영업: 주로 , , 과자 등을 제조·판매하는 영업으로서 음주 행위가 허용되지 아니하는 영업(식품위생법 시행령 제21조 제8호 바목).

3.2. 메뉴와 서비스 분류

  • 한식당: 대한민국 요리를 먹을 수 있는 음식점. 한식당이라고 하면 흔히 한정식집을 떠올리지만, 김치찌개비빔밥 같은 걸 팔아도 어쨌든 한식을 파니 한식당이다. 놀부, 본죽 등의 일반 한식 프랜차이즈 전문점도 있다. 고급 한식 전문점이 있는가 하면 그냥 일반 가정식 백반을 판매하는 곳도 있다. 번화가가 아닌 동네에서 작은 규모로 'XX식당'으로 간판을 내건 곳이 주로 여기에 속한다. 일반 가정식을 판매하는 곳은 간혹 공사장과 계약을 맺기도 한다.
  • 중국집: 짜장면, 짬뽕, 탕수육중화 요리를 먹을 수 있는 음식점. 동네에서는 배달을 시켜먹기 때문에 직접 가서 먹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번화가나 시내에 있는 중국집들 중 잘 되는 곳은 줄을 서서 입장하기도 한다. 고깃집과 함께 동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류 중 하나.
  • 뷔페: 뷔페라고 하면 주로 예식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꾸민 곳을 의미했다. 요즘에는 고기 뷔페, 해산물 뷔페, 한식 뷔페 등으로 세분화되었으며, 상당수의 기사식당이 뷔페식으로 운영 중이다. 장점은 다양한 음식을 취향껏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많은 레스토랑에서 샐러드바라고 뷔페와 비슷한 것을 운영하기도 한다. 보통 외식을 위한 곳으로 생각되지만, 평일 점심은 만원대의 가격으로 수준급(디저트, 음료 포함)으로 나오는 곳이 많아 근처 직장인들도 많이 찾는다.
  • 패스트푸드: 피자, 햄버거, 치킨 등의 패스트푸드를 파는 음식점이다. 햄버거집을 제외하고는[7] 거의 배달을 시켜 먹다 보니 직접 가서 먹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특히 피자가게치킨집은 대부분 배달 전문이라 작은 가게도 많고, 그 때문에 테이블이 없는 경우가 많다. 술을 마실 수 없는 휴게음식점이 많지만 KFC만 예외적으로 생맥주를 판매하고 좌석에서 먹을 수 있으며, 피자집이나 치킨집은 좌석이 있는 호프집이라면 술을 팔아도 문제 되지 않는다.
  • 푸드코트: 푸드코트는 조리 시설과 종류를 다양화하고, 좌석은 일원화한 형태를 말한다. 보통 위에서 언급된 메뉴를 2가지 이상 취급함에도 좌석뿐 아니라 주문과 결제도 일원화한 곳이 많기 때문에 식당 연합 또는 식당가라고 할 수 있다. 많은 메뉴를 취급하면서도 공간 낭비가 적다. 대형마트, 백화점, , 버스 터미널 등에서 주로 운영한다.
  • 제과점: 휴게음식점은 아니지만 제과점 역시 술을 마실 수 없다. 다만 와인, 샴페인 등을 파는 곳도 있다.
  • 술집: 음식을 팔면서 사실상 식당 역할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단, 꽃마차 같은 곳은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허가 받은 곳을 제외하면 불법이다.
  • 카페: 다류를 판매하는 곳은 휴게음식점이다.

3.3. 이용 대상과 장소별 분류

  • 구내식당: 회사 건물, 대학교 건물, 대형 병원, 공사장 내부에서 운영하는 식당이다. 도서관에서도 종종 들어와 있는 경우도 있다. 공사장 내부에서 운영하는 곳은 '함바집'이라고 부른다. 이건 과거 일제강점기 시절에 사용되었던 말로, 일본어로 함바는 '밥을 먹는 장소'라는 뜻이다. 물론 식당이라는 분위기보다는 식판을 가져다가 배급을 받는 것이기에 학교에서 급식을 받는 듯한 느낌을 준다. 업체의 환경에 따라 맛이 다르다. 구내식당 음식이 맛이 없다거나, 일을 다니거나 대학교에 다니면서 구내식당만 이용하다 질려서 몇 개월만 지나다 보면 근처에 있는 외부 식당에 나가서 사먹는 경우가 많다. 물론 돈을 아끼려는 사람들은 외부 식당보다는 값이 싸거나, 회사에서 그냥 주기 때문에 이용한다. 물론 어디까지나 공짜로 주는 것이니까 먹는 것이지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급여에 식비가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식비를 아끼기 위해 도시락을 싸오는 경우도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군대나 학교 급식처럼 강제성이 없다는 것이라고나 할까. 물론 주변에 아무것도 없고 외진 곳에 떨어져 있는 공장, 건설 현장 같은 곳이면 나가는 것도 불편하니 어쩔 수 없이 먹어야 한다.
    • 도청, 시청, 군청, 구청 등의 공공기관은 외부인에게 개방하기도 하는데, 저렴해서 이용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이게 불법일 수 있다는 식약처의 유권 해석이 나왔다. 아직은 개방을 중단하는 추세는 아니지만 앞으론 달라질 수도 있다. 그리고 공공기관 주변의 식당가들이 문을 닫게 될 위기에 처해져서, 공공기관 측에서는 상권 보호를 위해 외부인뿐 아니라 내부인까지도 1달에 몇 번은 주변 식당가들을 이용하게 한다.
    • 대학교 식당: 대부분의 대학교는 명시적으로 개방하지는 않지만 딱히 출입을 통제하진 않다 보니 외부인의 이용도 가능하고, 그래서 택시 기사들에게 인기가 많다는 보도도 있었다. 외부 방문객과 학교 구성원들 간의 갈등이 발생하면서 일부 대학은 학교 구성원(학생, 교직원)과 외부 방문객을 구분해서 가격에 차이를 둔다. 외부 방문객은 더 비싸게 식권을 구매해야 한다.
    • 도서관공부방: 도서관과 공부방 특성상 장시간 공부하거나 독서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식당을 입점시키기도 한다. 대형 도서관들은 번화가와 멀리 떨어져 땅값이 싼 외지에 건설되기에 내부에 작은 식당을 운영한다. 이용 대상이 주로 가난한 학생이기에 식당 메뉴는 가격이 저렴하고 양이 많은 분식, 백반, 샌드위치 위주다.
  • 회관: 주로 결혼식장 주변에 있으며, 이러한 경우 피로연 전문 업소일 가능성이 크다.

4. 서구권의 분류 방식

대한민국의 식당은 보통 장소와 메뉴로 구분된다. 가격대 역시 음식 메뉴에 따라 달라진다. 가령 파스타스테이크 전문점 등은 중간 가격대의 패밀리 레스토랑으로 분류시킨다. 동종 메뉴를 파는 더 높은 가격대의 파인 다이닝과 낮은 가격대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이 잘 활성화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 서구권은 가격대에 따라 음식점을 구분하며, 비슷한 메뉴가 모든 가격대에 분포해 있다.
  • 에스닉 레스토랑(Ethnic Restaurant) - 특정 민족 및 나라의 음식을 파는 음식점. 다시 말해 미국 음식점, 중국 음식점, 프랑스 음식점, 인도 음식점, 터키 음식점 등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물론 해외의 한식집도 당연히 여기 해당한다. 그리고 후술할 음식점의 형태로 또 다시 분류되는 편이다.
  • 패스트 푸드 레스토랑(Fast Food Restaurant) - 미리 조리된 음식을 빠르게 데워서 내놓는다. 메뉴는 사전에 조리하기 쉬운 튀김, 햄버거, 샌드위치, 샐러드 수준이다.
    • 패스트 캐주얼 레스토랑(Fast Casual Restaurant) - 일반적인 패스트푸드보다 더 고품질이다. 마찬가지로 메뉴는 튀김, 햄버거, 샌드위치, 샐러드 수준이다.
    • Brasserie: 간단한 메뉴를 조리해 판매하는 프랑스 식당.
    • 비스트로 (bistro): 간단한 프랑스 요리, 와인, 커피를 판매하는 작은 프랑스 술집 겸 카페.
    • Diner: 주로 미국 요리를 다룬다.
    • Food Truck
    • Greasy spoon: '기름에 절여진 숟가락'이라는 이름처럼 싸구려 튀김류를 주로 판매한다.
    • 카프(Caff) : 영국식 패스트 푸드 식당 겸 카페. 커피와 함께 간단한 식사류를 판매한다.
    • 커피하우스: 이탈리아식 패스트푸드 식당 겸 카페. 에스프레소와 함께 간단한 빵을 제공한다.
    • 델리(Delicatessen) - 바로 먹을 수 있게 미리 조리된 음식을 진열해 놓고 파는 곳을 말한다. 백화점 지하 식품 코너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주로 샌드위치패스트 푸드를 판매하며, 파스타 같은 면류를 1회용 식기에 담아서 판매하기도 한다.
    • 카페테리아 Cafeteria, 캔틴 Canteen: 구내식당. 카페테리아는 미국식 영어고 캔틴은 영국식이다.
  • 캐주얼 다이닝 레스토랑(Casual Dining Restaurant) - 음식을 공장에서 완성시키지 않고, 식당에서 주문을 받고 조리에 들어가 제대로된 식사를 제공한다.
  •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Fine Dining Restaurant) - 농사만 빼고 거의 처음부터 끝까지 요리한다. 메뉴도 애피타이저부터 디저트까지 코스 형태로 제공한다.

5. 운영 방식에 따른 분류

6. 소비자의 이용 방식 분류

7. 위생건강

  • 가급적 주방이 외부인이 볼 수 있게 개방되어 있는 곳으로 가는 것이 좋다. 영세한 식당일수록 주방을 가림막 등으로 철저하게 가리는데, 위생에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주방의 청결 관리가 잘 되지 않아 음식에 벌레 등 이물질이 나올 수 있으며, 재료비를 아끼려고 잔반 재사용을 하기도 한다. 포장,배달 전문업소가 그 표적이 되긴 하나, 포장하러 오기 위해 업소 내에서 대기하는 고객도 있기에, 포장해갈 수 있는 업소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 지나치게 저렴한 식당은 신선하지 않은 식재료와 건강에 나쁜 화학조미료를 많이 사용하니 자주 가지 않는 것이 좋다.
  • 이미지 관리가 중요한 대형 프랜차이즈 식당에서도 비위생적인 행위를 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실제로 양주시의 모 갈비집에서 상한 소고기를 빨래하듯 빨아서 누린내를 제거하고 신선한 고기로 둔갑하여 손님상에 올린 사례가 있다.

8.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1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 원 의미는 말 그대로 밥 먹는 곳이다. 정확히 말해서 불교 사찰에서 스님들이 음식을 먹으며 불도를 닦는 공간에서 유래된 말로 절이 갖추어야 할 7대 요소 중 하나이다. # 서양의 주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이닝 룸을 식당으로 번역하거나, 회사·공공기관·군부대 또는 학교 내에 있는 법적으로는 음식접객업으로 분류되는 급식실 등의 식사 시설을 식당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다.[2] 일반적인 식당[3] 중국어로 食堂은 구내식당이란 뜻으로 쓰인다.[4] 고급식당[5] PC방이 가장 문제가 된다.[6] 여담이지만 대한민국 외식업계가 서양과 다른 특징이기도 하다. 레스토랑처럼 여러 가지 메뉴를 취급하는 식당이 적고, 주로 특정 메인 메뉴 별로 분화되어서 전문점 형태로 식당이 분포한다는 점이 큰 차이. 때문에 대한민국의 외식업은 점주 개인에겐 오히려 진입장벽이 낮은 편에 속한다. 전문점 형태의 식당은 레스토랑이나, 중화요리점처럼 메뉴를 여러 가지 취급할 필요성이 적어서 주방 규모도 줄이고 전문 주방장을 두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만큼 손님도 가려 받을 수밖에 없어서 안정된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 서양인들 입장에서도 적응하면 일장일단이 있는 듯 하다.[7] 근데 요즘에는 햄버거도 배달을 하는 추세다. 혼밥을 극도로 혐오하는 대한민국 사회의 특성상 햄버거집에서 혼밥을 하기 어려워하는 사람들을 위해 배달을 하는 추세다. 그리고 취업난으로 인해 결혼, 출산, 육아 등을 포기하는 N포 세대를 위시한 1인 가정이 늘어나게 되었기 때문. 다만 햄버거의 경우 피자, 치킨과 다르게 유통기한이 매우 짧은 편이고, 김밥처럼 가급적 1시간 내로 먹지 못하면 상해서 버려야 되는 그런 경우가 많아 배달을 잘 하지 않는 것일 뿐이다.[8] 버스 차고지 주변에 기사식당이 흔하다.[9] 대체로 한식당과 메뉴가 비슷하지만 기사들의 직업 특성상 소화가 잘 안 되거나 수분이 많은 음식은 기피하는 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