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1:43:41

안성 버스 37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00205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안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일반
시내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파일:안성 37_8105.jpg 파일:37-1안성발여주행버스.jpg
37번 37-1번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사건사고4.2.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안성시 CI_White.png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7번
기점 경기도 안성시 석정동((구)안성터미널) 종점 경기도 여주시 홍문동(여주종합버스터미널)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8:00
막차 19:00 막차 21:20
평일배차 20~30분 주말배차 20~40분
운수사명 백성운수 인가대수 9대
노선 (구)안성터미널 - 서인사거리 - 봉산로터리.안성시청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안성종합운동장 - 마전초교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삼죽면사무소 - 죽산터미널 - 광장휴게소 - 일죽터미널 - 제요리 - 송산리 - 장호원읍사무소 - 장호원신협 - 노탑리 - 덕평리 - 점동면사무소 - 처리 - 점봉초교[1] - 여주대학교 - 세종초등학교,예일아파트 (→ 여주경찰서 → 여주시청 → KT여주지사 → 세종고 →/← 여주신협 ← KT여주지사 ← 여주시청 ← 시민회관) - 여주종합버스터미널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안성 37, 37-1 노선도.png
파일:안성시 CI_White.png 안성시 일반시내버스 37-1번
기점 경기도 여주시 홍문동(여주종합버스터미널) 종점 경기도 안성시 석정동((구)안성터미널)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9:00
막차 17:40 막차 21:00
배차간격 20~40분
운수사명 백성운수 인가대수 6대
노선 37번과 노선구간 동일

2. 개요

백성운수에서 운행중인 경기도 최장거리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28.9㎞[2]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대신여객에서 운행하던 안성시 ↔ 장호원 ↔ 점동 ↔ 여주시 간 시외완행버스가 시초다.
  • 1998년에 대신여객이 부도처리된 후 백성운수가 이 노선을 인수하여 37번[3]을 부여해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과거에 선반이 달린 직행형 로얄시티가 존재했던 것도 이 때문.
  • 노선 길이가 길다보니 장호원에서 배차간격을 조절했고, 이는 2009년까지 계속 유지가 되었다.[4] 현재는 380번으로 바뀐 38번 시내버스(공도 - 안성 - 죽산 - 일죽 - 장호원)와 함께 안성 동부 지역의 주요 버스 노선으로 활약했다. 그나마 38번은 시내버스였지만, 이 노선은 장호원을 경유하여 여주까지 가는 시외버스. 아무래도 장거리 노선이다 보니 당당하게 시외버스 요금을 받았고[5] 안성에서 여주까지는 5,700원을 받았다.
  • 경기도 표준 시내버스 도색 개편과 수도권 통합 요금제가 도입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백성운수 차량 대부분이 적용하고 있던 파랑색 물방울 도색이 GBUS 시내일반버스 표준도색으로 바뀌더니, 요금이 5,700원에서 1,600원으로 팍 줄어들었다.[6] 이는 기존 요금에서 무려 70%가 줄어든 것.
  • 기점이 금석동 백성운수 차고지에서 안성 구.터미널로 단축되었으며 '금석동 - 구.터미널' 구간은 공차회송으로 다니게 되었다.
  • 2016년에 안성차고지 소속차량이 37번으로, 여주터미널 소속차량이 37-1번으로 분할되었다. 인가상의 분화일 뿐 노선은 변함이 없으며 모두 37번으로 표기하고 다니니 헷갈리지 않아도 된다. 단 BIS에선 37, 37-1로 각각 검색해야 하며 버스정류장에 있는 안내시스템도 37, 37-1로 분리돼서 나온다. 37, 37-1간에 서로 환승도 가능하다.[7] 과거에도 37-1번이 있었는데 이건 두원공대 안까지 들어갔다 나왔다. 이후 370,380번이 전시간대 두원공대 내부 경유로 변경된 이후에 폐지되었다.
  • 2018년 7월 9일에 대폭 감회되어 기존 20분 간격에서 30분~1시간 간격으로 늘어났다. 안성 첫차도 기존보다 30분 늦춰져 양측 막차시간도 20분 당겨졌으나 민원 폭주로 인하여 첫막차 시간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 2023년 코로나 엔데믹 이후 안성 첫차 06시 00분부터 막차 21시 00분까지, 여주 첫차 06시 00분부터 막차 21시 20분까지 주중 주말 상관없이 배차간격 20~30분으로 복귀되었다.하지만 밤8시이후에는 배차가 벌어지게 운행한다.
  • 2024년 10월부터 37번 한정으로 공공관리제가 도입되었다.

4. 특징

  • 한동안 수도권 내 시내일반버스 중에서 최장거리 노선의 대명사였으며, 현재도 경기도의 일반시내버스로만 한정한다면 최장거리 노선이다. 이쯤되면 웬만한 직행좌석버스의 운행 길이보다도 더 길다.[8] 고속버스 노선과 비교하자면 서울~청주 고속버스 노선의 편도 운행거리(123km)보다도 더 길고 철도노선의 경우 수인분당선보다도 더 길다.
    • 마을버스를 포함해 수도권에서 가장 짧은 노선은 1.39㎞의정부 208-5번이며,[9], 직행좌석버스까지 포함할 경우 가장 긴 노선은 174㎞안성 4402번이다.[10]
    • 수도권에서 가장 긴 일반시내버스 노선은 본래 133.4㎞인천 71번이었으나[11]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 버스개편 결과 노선이 122.5㎞로 단축되어 4위로 내려앉았으며, 1등은 왕복 146.3㎞인천 303-1번 2등은 왕복 131㎞인천 307번, 5등은 파주 30번으로 117㎞이다.
    • 전국까지 포함해서 가장 긴 노선은 제주 버스 201. 왕복 207㎞다.
  • 안성시내에서 안성~삼죽, 죽산, 일죽 구간에서 370, 380과 함께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노선이고, 이천/여주시내에서 장호원~점동, 여주 구간에서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노선이다. 이로 인해 감곡에서 여주로 가는 데에도 사실상 주력 노선이다.[12]
  • 노선이 길다고 해서 굴곡 노선은 아니다. 이 노선이 긴 이유는 어디까지나 안성~여주 간 거리가 굉장히 멀기 때문이다.[13] 일반 자동차로도 거리가 거의 60㎞가 넘어 1시간 이상이 걸릴 정도다. 길이가 매우 긴 노선 답게 선형은 거의 일직선 수준으로 좋으며[14], 안성시내에서 탑승한 승객들은 죽산면 시내, 일죽터미널에서 대부분 빠져나간다. 이 때문에 죽산-여주 구간은 통행량이 적고 많이 밟아주는 데다 중간에 타고 내리는 승객도 무척 적어 정차하는 정류장이 거의 없기에 전 구간 일주 시간은 1시간 30분~2시간 정도밖에 안 걸린다.[15][16] 물론 시내버스 답게 큰 길을 이용 안하고 지역주민들을 위해 작은 도로를 이용하는 일은 꽤 있다.
  • 거리가 거리다 보니 첫차를 제외하고 일죽에서 잠시 대기 후 출발한다.
  • 37-1번 버스는 여주터미널에서 운행을 마치고 주박한다.
  • 과거에는 주로 한국화이바 프리머스BC211M 좌석형, BS110CN, BS106,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17]등으로 운행했으나 현재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입석형, 좌석형, 저상형)하고 현대 일렉시티로 운행한다. 물론 저상버스를 제외하면 모두 디젤차량이다. 다만 70, 370, 380번과는 달리 구형 차량들이 많은데 이 차량들은 죄다 70, 370, 380번에 신차가 투입되면서 넘어온 차량들이다.[18] 37번은 안성~죽산/일죽 구간과 여주~점동/장호원 구간을 제외하면 수요가 거의 없어 공기수송인 구간이 상당히 많지만, 앞의 세 노선들은 거의 전구간에서 수요가 많아서 신차를 그쪽에 우선적으로 넣기 때문이다.
  • 2015년 10월, 백성운수의 파업으로 이 노선을 비롯한 일부 노선이 한때 운행중단되기도 하였다. 이 당시에는, 안성시에서 일죽터미널~장호원읍사무소 구간에 전세버스를 투입하여 대처했다.
  • 2016년 1월 쯤부터 차내 교통카드 단말기의 노후화로 인해 모바일 티머니가 잘 찍히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 이 오류는 이 버스 뿐만이 아니라 경기도내 모든 버스 중 노후화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오류이며 지금은 신형단말기로 교체하면서 오류를 해결했다. 자세한 건 티머니 문서를 참고.
  • 안성~일죽은 370, 380번도 같이 다니며 통합 10~15분 간격은 되며, 일죽 이후구간은 이 노선 외에는 대체 노선이 거의 없다.[19] 한편 37번 여주행 막차를 놓쳐도 목적지가 일죽 이내라면 평택터미널에서 밤 11시 30분에 막차가 출발하는 370번을 이용할 수 있다.
  • 안성 혹은 여주에서 승차시 주의할점이 있는데, 이 노선만 단독 승차시에는 700원 가량 내면 되지만[20] 중간에 다른 노선을 끼워 이 노선으로 환승했다면 거리에 따라 안성~여주 최대 1,000원~1,300원 가량 부과된다.[21]
  • 여주터미널~여주시청 구간, 일죽터미널, 죽산터미널에서는 양방향 운행하니 행선판을 잘보고 타야 한다.
    (구)안성터미널 방향 여주터미널 방향

    안성행 여주행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해당노선 좌석형 차량에는 모두 전좌석에 안전띠가 설치되어 있지만, 거의 모든 차량의 안전띠가 좌석 밑에 채워져 있고 실제 착용은 불가능하다.이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1조 제6항 위반이다.[22]
  • 2007년 6월에 대원고속에서 이 노선의 승부를 하기 위해 같은 경로의 시외버스로 운행한적이 있다. 그러나 수요가 매우 저조해서 동년 9월에 폐선된 흑역사가 있었고 당시 다른노선에서 굴리던 1998년식 초기형 BH116으로 1일 9회로 운행했으나 이후 1일 6회로 감회되었고 폐선직후 해당차량은 KD 오토리사이클링으로 넘어가 폐차되었다.
  • 37번 양쪽 첫차에 한해 일죽터미널 도착후 쉬지않고 바로 출발한다.
  • 여주시내를 지나는 노선인데도 배차간격 문제로 주변 철도역인 여주역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 37번은 저상버스로 운행하고 37-1번은 고상버스로 운행한다.

4.1. 사건사고

  • 2024년 6월 29일에 오후 5시 37분쯤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38번 국도에서 뒤에서 달리던 안성 버스 380번과 추돌후 2.5톤 트럭을 박는 추돌사고가 발생되었다.[23]

4.2. 시간표

  • 2023년 현재 차내에는 37번과 37-1번 시간표를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다.단 2024년기준 밤 8시이후부터 드물게 40분에서 최대 60분까지 벌어질때도 있다.그시간외에는 꾸준히 20~30분을 유지한다.
    • 안성 첫차 06시 00분부터 막차 21시 00분까지
    • 여주 첫차 06시 00분부터 막차 21시 20분까지
    • 배차간격 주중 주말 약 20~30분

5. 연계 철도역


[1] 이 정거장 부근에 명성황후생가기념공원이 있다.[2] 공차 회송 구간(금석동 - 구.터미널)을 제외한 인가상 등록된 노선 거리다. 이 구간을 포함하면 130㎞를 조금 넘긴다.[3] 우연인지 의도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운행구간 중 일부(세종고등학교.예일아파트~진암리 구간)가 37번 국도에 속한다.[4] 현재도 일죽에서 5~10분정도 쉬었다 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5] 원래 통합요금제 시행 이전에는 안성시에서는 시외버스(특히 시외완행) 시내버스의 요금을 거의 비슷하게 받는 경우가 많았다. 시계내에서도 구간요금을 받았다는 것. 특히 해당 노선의 소재지인 안성시는 물론이고, 종점의 윗동네인 양평군과 그 외 평택시, 화성시, 파주시,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의 중장거리 시내버스(양평 2000-1번, 의정부 1-1번, 의정부 25-1번, 파주 30번 등.)들이 이런 경우가 많았다. 물론 이는 상기했듯 37번처럼 시외완행 → 시내버스 전환을 거쳤다는 증거. 그런데 안성시는 도시화가 덜 되었던 특성을 가진 이상, 시외버스 수준으로 높게 책정된 시내버스들이 많았으며, 직행버스의 경우에는 조금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었지만, 흔하지는 않았다.[6] 이는 2007년 형간전환 이후의 이야기이고, 2021년 11월 이후 요금이 인상되어 현금은 2,200원, 교통카드는 2,150원이다. 또한 수도권 통합 요금제에서 경기도의 거리비례제 시내일반버스 요금은 환승을 하지 않을 경우 최대 700원까지만 추가요금이 나온다.[7] 서울 버스 2115, 서울 버스 2312번이 서로 환승 가능한 것을 생각하면 된다. 교통카드 전산에 소속 차고지에 따라 두 개 씩 등록된 것이니까. 차이는 이것이 BIS에도 두 개로 각각 나오느냐 그렇지 않느냐이다.[8] 광역급행버스 노선에서 가장 노선길이가 긴 M5438번의 왕복 125㎞ 보다도 더 길다.[9] 다만 해당 버스는 전산상으로만 분리되어 있고 지선 역할을 수행하는 노선이므로 정기적으로 운행하고 있는 수도권 내 가장 짧은 노선은 1.74㎞서울 버스 동대문01이고, 전국 레벨로 따지면 682m아산 버스 10이 제일 짧다.[10] 원래 양주 8906번이 가장 길었으나 부천~안양 구간이 단축되면서 밀려났으며 4402번의 개통으로 171.8km짜리인 성남 8109번 역시 밀려나게 되었다.[11] 선행리를 경유하던 700-1번 시절에는 무려 154.1㎞였었다.[12] 감곡에서도 여주로 가는 시내버스(929번 계열 노선)이 있긴 하지만, 배차가 너무 길다.[13] 안성시와 여주시 자체는 설성면을 두고 마주보고 있으나 시내끼리의 거리는 상당한 편이다.[14] 장호원에서의 회전 한번을 제외하면 거의 일직선이다.[15] 소요시간 자체는 시내를 많이 훑고 굴곡이 심한 수원 버스 11-1, 부천 버스 57-1, 인천 버스 82, 안산 버스 99-1, 서울 버스 333, 성남 버스 382, 경기광주 버스 720-1, 화성 버스 720-3 등이 더 오래 걸린다. 특히 부천 57-1번과 인천 82번, 안산 99-1번은 가까운 거리를 냅두고 엄청 돌아가서 소요시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16] 카카오맵에서는 1시간 47분이 소요된다고 나와 있다.[17] 평택여객 95번 출신으로 2010년에 한대만 예비차로 운행했다. 당시 모습[18] 반대로 이들 노선 대차분의 신차가 저상버스일 경우에는 37번으로 신차가 투입된다. 실제로 70번 차량 1대가 저상버스 신차로 대차되면서 37번에 투입.[19] 분동~행죽 구간과 원부리.청솔가든-청안교앞 구간은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며, 그 외의 일죽~점동 구간도 이천/여주시 공영버스 1~2번 다니는 노선이 대다수다.[20] 이는 경기도 시내일반버스는 초승 시에는 추가요금이 최대 700원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21] 만약 안성시내가 아니라 일죽이나 죽산 쪽에서 갈아탄다면 안성~죽산:300원 죽산~여주:700원, 안성~일죽:500원, 일죽~여주:500원 이런 식으로 부과된다.[22] 안성 70번, 370번의 고상버스 또한 해당 노선에 안전벨트가 좌석 밑에 채워져 있어 마찬가지다. 하지만 세 노선 다 저상형 전기버스에는 안전벨트가 없다.[23] https://www.youtube.com/watch?v=tRBRP48Z2hY[24] 삼한아파트 정류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