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20:33:06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본 작품의 2006년 원작}}}에 대한 내용은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지명}}}에 대한 내용은 [[오블리비언(엘더스크롤 시리즈)]]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오블리비언(엘더스크롤 시리즈)#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오블리비언(엘더스크롤 시리즈)#|]]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본 작품의 2006년 원작: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지명: }}}[[오블리비언(엘더스크롤 시리즈)]]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오블리비언(엘더스크롤 시리즈)#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오블리비언(엘더스크롤 시리즈)#|]]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엘더 스크롤 로고.svg
{{{#!wiki style="word-break: keep-normal;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메인 시리즈
본편 DLC / 확장팩 리마스터
파일:엘더스크롤: 아레나 로고.png - -
파일:엘더스크롤 2: 대거폴 로고.png - -
파일: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 트라이뷰널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 블러드문 로고.png -
파일:오블리비언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 나이츠 오브 나인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 쉬버링 아일즈 로고.png - 파일: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 로고 다크.png파일: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로고.png 파일:스카이림 던가드 로고.jpg 파일:스카이림 허스파이어 로고.jpg 파일:스카이림 드래곤본 로고.png 파일:TESV_SSE.jpg파일:TESV_SSE.jpg
파일:TESVI_logo_transparentbg-06.png - -
||<-3><tablebordercolor=#000000><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에디션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애니버서리 에디션 · 스카이림 VR
기타 시리즈
MMORPG 파일:08048a9c5630ccb67789a198f35d30ec.png
모로윈드 서머셋 엘스웨어 그레이무어 블랙우드 하이 아일
네크롬
스핀 오프 파일:An_elder_scroll_legend_Battlespire_logo.png 파일:redguard_logo.png
파일:The Elder Scrolls Legend.png -
모바일 게임 파일:SH-Title_Image.png 파일:The_Elder_Scrolls_Travels_-_Shadowkey.webp 파일:Dawnstar-Title_Image.png 파일:The-Elder-Scrolls-Travels-Oblivion.png [[엘더스크롤: 블레이드|
파일:The-Elder-Scrolls-Blades-Logo.png
]]
파일:CastlesLogo.webp

||<-2><tablebordercolor=#000000><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 미디어 믹스 ||
소설 나락의 도시 · 영혼의 군주
}}} }}} ||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
The Elder Scrolls IV: OBLIVION REMASTERED
<nopad> 파일:Elderscrollsvi:oblivionremastered.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버추어스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
유통 파일:미국 국기.svg 베데스다 소프트웍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2 인터렉티브
플랫폼 PlayStation 5 | Xbox Series X|S
Microsoft Windows
ESD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1]
Steam
장르 오픈 월드 ARPG, 판타지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4월 2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5월 28일[2]
엔진 메인 엔진: 언리얼 엔진 5[3][A]
게임 로직: 오블리비언 원작 코드[5]
한국어 지원 비공식 지원[6]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에디션
3.1. 스탠다드 에디션3.2. 디지털 디럭스 에디션3.3. 디지털 디럭스 업그레이드
4. 게임 관련 정보
4.1. 원작과의 차이점
5. 모드 관련 정보6. 평가7. 논란 및 사건 사고8. 기타

1. 개요

공식 트레일러

2006년에 출시된 원작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리마스터 작품으로, 2025년에 출시되었다.

==# 발매 전 정보 #==
  • 2021년부터 버추어스가 게임 리마스터 작업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 2023년 8월, 엘더스크롤4: 오블리비언의 리마스터가 제작되고 있다는 루머가 떴다. 메탈기어 솔리드 Δ 스네이크 이터를 개발한 버추어스가 외주를 받아 리마스터 작업을 하고 있으며, 엔진 페어링 기술을 통해 그래픽은 언리얼 엔진으로 새롭게 구현하면서 게임플레이 전반과 물리 엔진은 기존의 엔진을 그대로 쓸 수 있어 원작 그대로의 느낌을 재현할 것이란 내용이었다. 다만 이때까지만 해도 그래픽만 언리얼 엔진 5로 처리하고 다른 기능은 기존의 오블리비언 엔진을 쓴다는 내용에서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반응이 많았다. 애초에 게임 엔진은 그래픽, 인공지능, 물리, 데이터베이스 등 각 부분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서로 다른 게임 엔진을 혼용한다는 주장부터가 신빙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단 언리얼 엔진 5는 오늘날 숙련된 개발자가 많으니 그렇다 쳐도 사실상 단종된 상태인 게임브리오 엔진에 대해서도 잘 아는 개발자가 과연 많을지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었다. 거기에 이전까지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가 기존 작품의 리메이크나 리마스터를 만든 적이 거의 없다는 점[7]도 이 루머의 신빙성을 떨어트리는 요소였다.
  • 그런데 계속 관련 정보가 유출되면서 근거에 신빙성이 더해지기 시작했다. 2023년 9월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 재판에 제출된 관련 자료가 유출되었는데, 이 자료 중에 베데스다 미래 출시 게임 목록이 있었고 그 중에 폴아웃 3, 오블리비언 리마스터가 있다고 알려졌다. 원래는 2022년쯤 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과 같은 해에 출시될 계획이었다고 한다. 실제로 인디아나 존스는 출시가 미뤄져 2024년 12월에 출시됐다. 법정에 제출된 자료인 만큼 실제로 리마스터를 계획했음이 드러난 순간이었다. 그 외 유출작에 대한 정보는 베데스다 소프트웍스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 2024년 12월에도 2025년 1월에 오블리비언 리마스터가 공개된다는 루머 기사가 나왔다.#
  • 또 다른 유출에 따르면 해당 게임은 AAA 게임 개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인 버추어스에서 언리얼 엔진 5로 개발되며, 방어, 궁술, 은신, 타격감 등이 개선됐다고 한다.#
  • 한국 시간 기준 2025년 1월 24일 오전 3시에 Xbox Developer Direct가 방송되며, 여기서 소개할 예정인 게임 4개 중 1개는 미공개로 되어있지만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관련 기사들에 따르면 이게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는 아닐 거라고 했다. 실제로 공개된 게임은 닌자 가이덴 4, 닌자 가이덴 2 블랙, 사우스 오브 미드나잇, 클레르 옵스퀴르: 33 원정대, 둠: 더 다크 에이지스였다.
  • 2025년 4월 15일 다시 관련 정보가 유출됐는데, 유출자들은 다음 주 중에 홍보 없이 출시[8]가 확실하다고 말했다. 같은 날 오블리비언 리마스터의 개발을 담당한 버추어스의 홈페이지에 숨겨져 있던 스크린샷이 한 레딧 유저에 의해 유출되었다.#유출된 이미지 모음
  • 2025년 4월 20일, bing 검색 시 버추어스 홈페이지의 오블리비언 리마스터 페이지가 노출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 한국 시간 기준 2025년 4월 23일 0시에 공식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면서 게임이 정식 발매되었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최소 요구사항에 6GB 비디오카드 메모리와 헥사코어를 가진 CPU를 필요로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게임 시작 전에 플레이 중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창이 뜬다. 물론 그럼에도 플레이가 가능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일단 시도해보는게 좋다. 참고로 이걸 없애는 모드도 존재한다.

SSD에 설치하지 않으면 그래픽 설정 화면에서 SSD에 설치되어있지 않다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하지만 위의 CPU 사양이 부족하다는 경고창과 마찬가지로 HDD에 설치해도 게임 플레이 자체는 가능하다. SSD에 설치했을때와 HDD에 설치했을때의 비교 영상 대체적으로 게임 부팅과 세이브파일 로딩 시간은 SSD가 최소 2배에서 최대 10배까지 압도적으로 빠르지만, 일단 한번 부팅 및 세이브 로딩이 끝나고 나면 HDD로 게임을 플레이 하는 것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물론 HDD에 설치한 경우 한 지역에서 다음 지역으로 이동하는데 시간이 몇 초 정도 더 소모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야외 월드맵 같이 불러올 오브젝트가 매우 많은 장소로 이동을 시도하면 이른바 '텍스쳐 로딩'에 딜레이가 좀 있어서 처음 막 인테리어를 로딩할 때 텍스쳐가 깨진채로 로딩이 되었다가 뒤늦게 로딩이 완료되어서 정상화가 되는 등 살짝 거슬리는 점이 종종 발생하기는 하지만 게임 자체를 플레이하는데 있어서 크게 지장이 가는 건 아니다.

3. 에디션

3.1. 스탠다드 에디션

파일:JAWS_SKU_Vanity_Standard_16x9_05.jpg
스탠다드 에디션
  • 디지털 기본 게임
  • 쉬버링 아일즈나이츠 오브 더 나인 스토리 확장팩
  • 다운로드 가능한 추가 콘텐츠: 파이터의 요새, 주문서, 사악한 소굴, 메이룬스의 면도날, 도둑 소굴, 마법사의 탑, 천체관측소, 마갑 콘텐츠

3.2. 디지털 디럭스 에디션

파일:JAWS_SKU_Vanity_DLX_16x9_05.jpg
디럭스 에디션
  • 스탠다드 에디션의 내용물
  • 유니크한 아카토쉬 및 메이룬스 데이건 방어구, 무기, 말 갑옷 세트를 위한 새로운 퀘스트
  • 디지털 아트북 및 사운드트랙 앱

3.3. 디지털 디럭스 업그레이드

파일:JAWS_SKU_Vanity_DLX-Upgrade_16x9_05.jpg
디럭스 에디션 업그레이드[9]
  • 유니크한 아카토쉬 및 메이룬스 데이건 방어구, 무기, 말 갑옷 세트를 위한 새로운 퀘스트
  • 디지털 아트북 및 사운드트랙 앱

4. 게임 관련 정보

파일:엘더 스크롤 로고.svg
엘더스크롤 시리즈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8efe9,#141e16>시리즈 출시 게임 타이틀
게임
관련
정보
설치 설치 | 버그
캐릭터 플레이어 종족
시스템 게임 시스템 | 아이템 (방어구) | 하우징
세계관 로어 | 역사 | 역법
세계 | | 넌의 대륙 | 탐리엘 | 탐리엘의 지역 | 지명
종족 및 민족 | 국가 (셉팀 왕조) | 세력
등장인물 | 역대 주인공 | 동료 | 역대 최종보스 | | 나인 디바인 | 데이드릭 프린스
크리처
퀘스트퀘스트 | 인카운터
도전 과제 도전 과제
2차 창작 2차 창작물 | 오블리비언 모드 |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 모드 | 스카이림 모드
기타 | 커뮤니티 |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게임 관련 정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게임 관련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게임 관련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리메이크가 아닌 리마스터이기 때문에 게임 자체는 원작의 특성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고 있으므로 이미 원작의 플레이 경험이 있다면 본작도 크게 다르지 않다. 심지어 시각적 연출도 원작의 그것을 고스란히 쓰고 있으며, 가령 메인 퀘스트 후반에 벌어지는 브루마 공성전이 동시다발적으로 소환된 여러개의 오블리비언 게이트들을 통해 파도처럼 밀려들어오는 데이드라의 물결에 맞거 탐리엘 전역에서 소집한 제국의 대군이 막아서는 사이 크바치의 영웅이 길을 뚫고 역으로 오블리비언 게이트 안으로 침투하여 오블리비언 게이트들을 유지하고 있는 시질 스톤 중에서도 최고급 시질 스톤인 '그레이터 시질 스톤'을 빼돌려서 오블리비언 게이트들도 닫아버리고 데이드라들도 물리쳐버린, 탐리엘의 운명을 두고 싸운 가장 치열한 전투였다는 설정상의 비장함과는 달리 실제 인게임상에서 벌어지는 전투는 고작 열명 남짓한 NPC들이 서로 '투닥거리기만' 하는 연출까지 원작과 동일한 탓에, 원작을 플레이해봤다면 '올ㅋ 그때보다 그래픽이 좋아지긴 했네'라며 감탄(?)을 하겠지만 처음 보는 플레이어의 입장에서는 그냥 맥이 확 빠질 수 있다. 특히 후속작의 화이트런 공성전도 스케일이 좀 심하게 다운되긴 했지만 브루마 공성전은 그 이하(?)의 퀄리티를 자랑하기에 더더욱...

스카이림을 통해 엘더스크롤 시리즈(내지 베데스다 게임)에 유입되었고 오블리비언을 포함하여 이전작들에 대한 플레이 경험이 일절 없다면 '뭔가 많이 빠진 스카이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스카이림처럼 특성 트리를 찍거나 결혼을 하거나 자녀를 입양하거나 집을 짓거나 뱀파이어 로드 혹은 워울프로 변신하는 등의 컨텐츠들이 거의 없기 때문.[10] 스카이림에 추가된 요소들이 본작에도 추가된다거나 하는 경우는 전력 질주 기능과, 원작에서는 전용 3D 모델이 없었던 일부 유니크 아이템에 스카이림 버전의 크리에이션 클럽 디자인이 적용된 것을 비롯해 일부 오브젝트 디자인이 스카이림 이후에 정립된 것으로 바뀐 것 외에는 일절 없다. 다만 반대로 스펠메이킹이나 플레이어의 기동성에 직접 관여하는 스킬들처럼 스카이림에 들어서 삭제된 시스템들이 리마스터에는 건재하다.

원판 오블리비언의 세이브파일은 리마스터판에서 연동되지 않으므로 게임은 리마스터판에서 새로이 시작해야 한다.

4.1. 원작과의 차이점

Oblivion Remastered Changes
  • 그래픽 엔진이 언리얼 엔진 5로 변경되면서 비주얼과 퍼포먼스를 대폭 향상시켰다. 환경 디자인와 주변 오브젝트들을 새롭게 구현하였고, 실시간 조명 시스템은 빛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여 훨씬 더 현실적인 분위기 효과를 만들었다. 대신 원작과 아트 디렉팅이 달라진만큼 전체적으로 조명이 원작보다 훨씬 더 어두워졌다.
  • 게임 프로그램 자체의 바탕은 언리얼 엔진 5로 개발됐으며, 언리얼 엔진 5 바탕 위에서 게임플레이를 담당하는 부분은 2006년 당시 출시된 원작의 게임플레이 코드[A]가 접목되어 동작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그래서 게임 폴더 내에 언리얼 엔진 5의 콘텐츠 파일들(ucas, pak) 외에도 bsa, esm, esp와 같은 과거의 오블리비언 파일들이 그대로 존재하고, 이 파일들은 과거 원작의 코드가 로직을 처리한다. 그렇다 보니 원작에서 나오는 특유의 엉성함(Jankiness)도 그대로 재현되는 경우가 많다. 자잘한 버그와 스피드런 테크닉도 공유되는데, '리마스터'답게 과거의 향수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고 호평받고 있다. 이것과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개발된 게임으로는 페이블 애니버서리[12], GTA 트릴로지 데피니티브 에디션[13], 헤일로: 전쟁의 서막 애니버서리헤일로 2 애니버서리[14] 등이 있다.
  • 모든 캐릭터의 3D 모델이 완전히 새롭게 제작되어 더욱 세밀해졌다. 덕분에 캐릭터들의 외모도 굉장히 빵떡한 외모였던 원작과는 달리 스카이림이나 폴아웃 4처럼 비교적 사실적으로 바뀌었다. 문제는 인간/엘프족의 경우에는 빵떡한 외모가 마이너스 요소였기 때문에 리마스터 판에서 사실적인 묘사로 바뀌면서 평가가 좋아진 반면에, 수인족의 경우에는 빵떡한 외모가 오히려 귀염상이였는데 리마스터판에서 사실적인 묘사로 바뀌면서 역으로 평가가 더 하락했다(...).
  • 캐릭터 애니메이션도 처음부터 완전히 새로 구성되었다. 특히 그 유명한 '토드 하워드 낙하산 인사 채용 루머'가 나왔을만큼 허접했던 전투 애니메이션은 전면적으로 재구성하여 상체와 하체의 움직임이 더욱 뚜렷하게 구분되었고, 연출이 더 역동적으로 바뀌었다. 이 밖에도 전투 연출의 음향 효과, 시각 효과, 타격 반응이 보강되었다.
  • 3인칭 시점에서 조준선이 표시되고 3인칭 시점 플레이를 대대적으로 개선했다. 구체적으로는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과 같은 유형의 3인칭 모드로 변경되었다.
  • 편의성 개선 패치를 하였으며, 악평을 받았던 레벨업 시스템이 비교적 자유로운 스탯 분배로 개편됐다. 또한 제련술 스킬에서 마법 무기 수선이 25레벨로 옮겨지는 등 일부 스킬의 조정도 이루어졌다.
  • UI와 UX를 업그레이드했다.
  • 전력질주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존에 달리기 중 피로도 회복에 관여하던 운동능력 스킬의 기능과 퍽에도 변동이 생겼다.
  • 컨트롤러 조작을 현대적인 형태로 대폭 개선하였다. 예를 들어 PC 키보드의 경우 원작은 상호작용 키가 스페이스 바, 점프가 E키였으나 리마스터는 반대로 상호작용 키가 E, 점프를 스페이스 바로 기본값을 정하였다.#
  • 체력 자동회복이 생겼다. 원래는 휴식, 체력 회복 물약 마시기, 체력 관련 마법 사용만으로만 채워지던 체력이 실시간으로 채워지며, 회복 속도도 은근 빠른 편이다.
  • 피로도 시스템이 바뀌었다. 더 이상 피로도가 공격력과 직결되지 않으며, 피로도가 일정량 이하면 파워 어택을 할 수 없게 될 뿐이다. 또한 피로도를 음수까지 깎아 계속 누워있게 하는 것도 불가능해졌으며, 다만 피로도가 0이 되면 1초짜리 마비가 걸린 것처럼 순간적으로 쓰러지게 된다.
  • 군주의 별자리 효과가 바뀌었다. 화염 저항을 영구적으로 25% 감소시키는 전용 패시브인 트롤킨과, 15초간 초당 6씩 도합 90의 체력을 회복시키는 전용 주문인 북방의 혈통이라는 기존의 효과들이 전부 삭제된 대신, 스카이림선돌과 비슷하게 방어력 15 포인트, 마법 저항력 15% 상승 효과로 대체되었다.[15]
  • 대사들은 원작의 것들을 재사용하되 새로운 대사들 또한 다수 녹음되었다.[16] 원작에서는 일부 종족이 같은 성우를 공유했지만, 리마스터드 버전에서는 새 성우가 대거 투입되어[17] 각 종족들이 고유한 음성을 가지게 되었다. 가령 원작에서는 아르고니안 남성과 카짓 남성이 동일한 조나단 브라이스(Jonathan Bryce) 성우였지만, 리마스터판에서 아르고니안 남성은 스카이림에서 아르고니안 남성 성우를 담당했던 팀 블레이니(Tim Blaney)로, 카짓 남성은 스카이림에서 카짓 남성 성우를 담당했던 안드레 소글리우소(André Sogliuzzo)로 교체되었다.
    원작의 목소리를 유지한 경우도 물론 있는데 원작에서는 알트머 여성, 던머 여성, 보스머 여성을 린다 케니언(Linda Kenyon) 한 사람이 전부 담당했지만 리마스터판에서 던머 여성은 신디 로빈슨(Cindy Robinson), 보스머 여성은 콜린 델러니(Colleen Delany)가 맡았으나 알트머 여성은 린다 케니언이 다시 담당했고, 원작에서는 노드 여성과 오크 여성을 린다 카터가 담당했지만 리마스터판에서 오크 여성은 엘더스크롤 온라인에서 오크 여성 성우를 담당했던 데브라 윌슨(Debra Wilson)으로 교체되었으나 노드 여성은 린다 카터 그대로이다.
    또한 캐릭터 기반의 새로워진 기본 메시와 립싱크 기술을 결합되어 캐릭터의 대사 표현력을 한층 더 끌어올려 다양한 표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일부 NPC들의 대사도 새로 녹음되었다.
  • 일부 연출이 변경된 부분도 있다. 이는 후속작을 염두에 두지 않고 제작했던 원판과는 달리 리마스터판은 후속작인 스카이림이나 엘더스크롤 온라인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기 때문이다. 주로 원판에서는 없었지만 스카이림에서 등장한 요소를 추가하거나, 오블리비언과 스카이림에서 서로 달랐던 묘사를 스카이림에서의 묘사와 일치시키는 등 스카이림을 강하게 의식한 변화가 많다. 대표적으로 맵 북쪽에서 스카이림에 등장한 산인 세계의 목을 명확하게 볼 수 있으며, 아이템이나 NPC의 외형 등이 스카이림의 묘사를 많이 참고하여 변형되었다. 물론 스카이림만 참고한건 아니고 메인 퀘스트 마지막에선 원작에선 나오지 않던 메인 테마곡이 나오거나 마틴의 승천 직전 연출도 바뀌었다.
  • 일부 데이드릭 아티팩트와 성소의 생김새가 후속작에서의 외형을 참고하여 변경되었다.
  • 많은 캐릭터들에게 수염이 추가되었다. 버추어스에서 임의로 추가한건 아니고 사실 원작에서도 수염 부분의 항목이 있긴 했으나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어렵다고 넣지 않았고[18] 다만 수염이 있었던 자국 정도만 구현해놓았는데(실제로 해당 항목의 슬라이더를 올리면 수염이 있을법한 자리의 피부톤이 점점 어두워진다) 리마스터판에서 이걸 제대로 된 수염으로 구현해서 수염 달린 캐릭터들이 대거 등장한것. 특히 카짓의 경우에는 남녀 불문하고 아예 종족 자체가 기본적으로 덥수룩한 수염(종족 특성을 생각해보면 수염이 아니라 '갈기'라고 봐야겠지만 어쨌든 시스템상으로는 수염)을 갖고 있다. 때문에 원판을 안해본 게이머에게는 문제될게 없으나 원판을 해본 게이머들에게는 꽤나 낯선 요소로 인식되는 모양이다. 실제로 (쉐오고라스를 제외하고) 모든 캐릭터들에게 수염을 제거하는 모드까지 나왔을 정도.
  • 레벨링 시스템이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무척 비직관적인 특유의 레벨링 시스템에 논란이 많았으나, 리마스터에서는 레벨업마다 스텟 포인트 12를 받아 최대 3종류의 스텟에 자유롭게 분배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가 되었다. 5/5/2, 5/4/3, 4/4/4 로 분배할 수 있다. 다만 행운만큼은 4포인트를 써야 1스텟을 올릴 수 있다.
  • 스킬 레벨업 구조가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상술/마법 등 스킬 레벨을 올리는데에 가격, 마력 사용량 등과 무관하게 단순히 시행횟수만 관여해서 화살 수십 개를 나눠서 판다던가, 저레벨 마법을 난사해서 올릴 수 있었지만 리마스터에서는 고가치 물품을 팔면 상술 경험치가 더 많이 오르고, 고레벨 마법을 쓰면 더 많은 경험치가 오르는 식이다.
  • 난이도 조절이 바뀌었다. 구버전은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0 에서는 플레이어가 받는 데미지가 6분의1, 플레이어가 주는 데미지는 6배로 조정되었으며, 100에서는 반대로 플레이어가 받는 데미지가 6배, 플레이어가 주는 데미지는 6분의 1로 감소하는 식이었다. 리마스터에서는 다섯 단계로 선택한다. 구버전 당시에도 배율이 지나쳐 게임 몰입을 망치는 요소[19]라고 비판이 많았는데, 리마스터도 비슷하게 큰 배율을 적용해 같은 논란이 있다.
    • 1.2 버전에서는 난이도가 6단계로 변경되었고, 플레이어가 받는 데미지에 대한 난이도와 플레이어가 주는 데미지에 대한 난이도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 초보(novice) : 플레이어가 받는 데미지 6분의 1, 플레이어가 주는 데미지 6배
      • 견습(apprenice) : 플레이어가 받는 데미지 3.5분의 1, 플레이어가 주는 데미지 3.5배
      • 정식(adept) : 보정 배율 없음.
      • 숙련(journeyman) : 플레이어가 받는 데미지 2배, 플레이어가 주는 데미지 2분의 1.
      • 전문가(expert) : 플레이어가 받는 데미지 3.5배, 플레이어가 주는 데미지 3.5분의 1.
      • 달인(master) : 플레이어가 받는 데미지 6배, 플레이어가 주는 데미지 6분의 1.

5. 모드 관련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모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모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모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한국어 번역 패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모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모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모드#한국어 번역 패치|한국어 번역 패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

기준일:
2025-07-22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the-elder-scrolls-iv-oblivion-remastered/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the-elder-scrolls-iv-oblivion-remastered/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5-07-22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18437/the-elder-scrolls-iv-oblivion-remastere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1) * 1.8deg)), #fc430a 81%, #2e2e2e 8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1}}}}}}}}}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1) * 1.8deg)), #9e00b4 81%, #2e2e2e 8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1}}}}}}}}}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1) * 1.8deg)), #4aa1ce 81%, #2e2e2e 8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1}}}}}}}}}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1) * 1.8deg)), #80b06a 81%, #2e2e2e 8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1}}}}}}}}}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18437/the-elder-scrolls-iv-oblivion-remastere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5)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85%, #2e2e2e 8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5%}}}}}}}}}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5)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85%, #2e2e2e 8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5%}}}}}}}}}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5) * 1.8deg)), #478c77, #76c8ff 85%, #2e2e2e 8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5%}}}}}}}}}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85) * 1.8deg)), #6c9059, #627f50 85%, #2e2e2e 8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85%}}}}}}}}}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18437/the-elder-scrolls-iv-oblivion-remastere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fc430a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9e00b4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4aa1ce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80b06a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유저 평점]]


기준일:
2025-07-22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623190/#app_reviews_hash| 대체로 긍정적 (7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623190/#app_reviews_hash| 복합적 (5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한국에서의 미출시 정책 때문에 혼란한 상황과는 별개로, 해외에서는 간만에 나온 훌륭한 리마스터작이자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의 개념작으로 평가받는다.

게임 역사에 남을 걸출한 명작이었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은 게임의 연식 대비 그래픽이 시간의 흐름을 잘 견디지 못하고 상당히 아쉬운 작품으로 남아있었는데, 원작의 색채를 가능한 만큼 유지하며 언리얼 엔진 5로 그래픽을 대폭 개선했고, 어디까지나 원작의 재미를 남겨두면서도 현대에 불편할만한 UI/조작 등을 대폭 개선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20] 특히나 단순한 해상도와 프레임레이트 변경만 가지고 리마스터라는 딱지를 붙이는 요즘 풍토와 달리, 정말 막대한 정성이 들어갔다는 부분을 매우 높이 평가하는 게이머가 많다.

다만 리메이크가 아닌 리마스터인 만큼 추가 컨텐츠 요소 없이 그래픽과 편의성을 제외하면 원본 그대로 나온 점은 다소 아쉽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21] 특히 원본의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오는 리마스터 형식이라 전작의 스카이림에 비해 다소 촌스러워 보이는 캐릭터 및 무구의 외형[22]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점 역시 아쉬운 부분이다. 물론 본작이 완전한 리메이크가 아닌 리마스터인데다 가격도 요즘 나오는 게임들에 비해 저렴해서 사소하게 아쉬운 부분 정도이지 게임에 흠을 가져올 만큼 큰 단점은 아니다.

그래픽 퀄리티는 극찬이 나오는 수준이지만, 최적화는 최근 언리언 엔진 5를 이용한 게임들답게 아쉽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기재된 요구 사항은 2020년대 신형 그래픽 카드로 적당히 돌릴 수 있는 수준이고[23], 그래픽 또한 최첨단을 달리는 뛰어난 수준이긴 하나, 프레임 저하를 비롯한 퍼포먼스의 안정성은 상당히 불안정한 편이라는 게 중론이다.[24]

게임의 가격과 요구사양이 나날이 부풀어오르는 요즘 시대에, 특히 최적화가 안 좋기로 유명한 언리얼 엔진 5를 기용하였지만, 정가 50달러라는 저렴한 가격표가 사람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50달러라는 낮은 가격표 덕에 자학 개그에 가까운 말 갑옷을 제공하는 디럭스 에디션을 추억거리 삼아 구입하는 게이머들도 상당했다.[25]

이러한 좋은 반응 덕에 출시 당일 Steam 평가도 '매우 긍정적'으로 시작하였고, 출시 다음 날 Steam 동시접속자 19만 명을 달성하며 전체 3위, 싱글 플레이어 게임 1위를 달성하는 기염을 토해냈다. 해외의 유명 게임 유튜브 채널들은 출시와 동시에 일제히 오블리비언에 대한 추억을 담은 영상을 뽑아내었고, 리마스터에 대한 반응도 이례적일 정도로 폭발적으로 좋은 상황이다.

즉 전세계적으로 게이머들에게 호평 세례를 받은 셈인데, 한국에서는 사건 사고 문서에 서술되어 있듯이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사유로 지역락이 걸리면서 분위기가 매우 좋지 않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2025년 하반기가 되자 전세계 스팀 평가도 복합적으로 떨어졌고, 스팀 동시접속자 수 역시 스타필드와 비슷하거나 더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리마스터이기 때문에 최적화, 모션 등 오블리비언 원작 시절부터 비판받던 요소를 전혀 고치지 않아서인 탓이 크다. 사실 이런 문제는 오블리비언 원작에서도 문제가 되던 것들이였으나 원작은 모드를 지원했기 때문에 모션 수정 모드, 버그픽스 모드, 시스템 변경 모드 등으로 충분히 때울 수 있었으나, 본작은 모드를 공식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제작사의 공식 패치밖에 없는데, 베데스다 답게 공식 패치는 매우 느리게 업데이트 되고 있는게 문제다.

또한 모드를 공식 지원하지 않으니 유저 입장에서는 모드질로 수명을 연장시킬 건덕지도 없어 한번 클리어 하고 나면 그대로 플레이를 그만두는 경우가 많은 것도 동시접속자 수가 저조한 이유 중 하나다. 뉴게임+ 같은 시스템이 없던 시절에 나온 게임이기도 하지만, 사실 베데스다 게임은 완성도와는 별개로 항상 리플레이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베데스다 게임의 플레이어들 대다수는 그냥 처음부터 시작한 플레이를 진득하게 이어가는 쪽을 더 선호하지 다 클리어 했다고 다시 새로운 게임을 시작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플레이를 이어나가는데 있어서 모드가 필수적인건 아니지만 사실 퀘스트 다 깨고 수집할 아이템 다 수집한 뒤에 게임을 더 이어서 할만한 동기를 부여해주는 컨텐츠가 없는 것도 사실이라 모드에 손을 댐으로서 새로운 컨텐츠를 유저가 알아서 추가하며 플레이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게 막혀있으니 그냥 본편만 깨고 접게 되는 것이다. 정작 20년도 전에 나온 오블리비언 원판은 모드빨 덕분에 아직도 여전히 게임을 붙잡는 유저와 그런 유저들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모드가 나오고 있는 것을 보면 차이를 알 수 있다.

2025년 7월 16일 1.2 버전 업데이트가 있었고 많은 버그가 수정되고 안정성이 높아졌지만 평은 좋지 않다. 패치 이후에 새로 생긴(!) 버그도 등장했을 뿐더러, 무엇보다도 그나마 몇 안되는 모드판이 작살났기 때문이다. 게임 자체만 업데이트한게 아니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엔진쪽도 패치가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원작에 없는 새로운 요소들을 추가하는(이른바 스탠드얼론) 모드들은 이전 버전의 엔진을 기준으로 만든 탓에 서로 엔진 버전 호환이 안되어서 로딩이 실패하게 되었기 때문. 1.2 패치 이후에 만들어진 모드나, 모드 제작자가 1.2 패치에 맞춰서 모드를 업데이트 한 경우엔 1.2 패치 기준으로도 정상작동이 되지만, 제작자가 모딩을 포기해서 1.2 패치에 맞춰 모드를 업데이트하지 않은 경우엔 1.2 패치에서는 모드가 정상작동하지 않게 된다. 문제는 상기한대로 원래도 모더 수가 적었는데 이미 많은 수의 모더들이 1.1 버전 시절 까지만 활동하고 손을 놓은 경우가 많아서 1.2 버전에 맞춰 패치한 경우는 손에 꼽고 1.2 이후에 새로 나온 모드의 수도 적다는 것. 덕분에 안그래도 풀 좁은 모드판이 더욱 축소되어서 스팀 동접자수 저하에 영향을 미쳤다.

7.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논란 및 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논란 및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 공식 리마스터 소식이 뜨기 훨씬 전부터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MOD 형식으로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을 구현한 팬 리메이크 모드Skyblivion이 개발 중이었으나, 개발 기간이 너무 길어지면서 결국 한참 뒤에야 소식이 공개된 공식 리마스터판이 먼저 출시되면서 Skyblivion은 입장이 애매해졌다. 심지어 Skyblivion은 리마스터판이 출시된 현 시점에서도 확장팩과 확장팩급 DLC는 언제 개발이 완료될지 기약이 없는 상태이다. 일단 스카이블리비언 제작진들은 리마스터와 상관없이 계속 MOD를 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만 애초에 Skyblivion은 원작을 그대로 구현하는 것이 아닌, 원작의 맵과 콘텐츠를 더욱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는 전술한대로 원본의 시스템을 크게 손보지 않았기 때문에 스카이림이나 폴아웃 시리즈에 추가된 신규 기능이 더해지는 등의 변화는 전혀 없고, 나아가 기존의 엘더스크롤 시리즈와는 달리 공식적으로는 MOD를 지원하지 않지만, Skyblivion은 스카이림과 뼈대를 공유하기 때문에 스카이림만의 신규 기능들과 스카이림의 여러 MOD를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베데스다도 Skyblivion을 호의적으로 보는지[26] 개발진 전원에게 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의 제품 키를 선물했다고 한다. #
  • 희한하게도 판매처가 스팀/윈도우 스토어/PlayStation Store/엑스박스 스토어 단 4군데 뿐이다. 그나마도 뒤의 둘은 각각의 콘솔용 스토어들임을 고려하면 PC판을 구할 수 있는 곳은 스팀과 윈도우 스토어 단 두곳밖에 없는 셈이다. 즉 이 외에 유명한 GOG, 게이머즈게이트, 에픽게임즈 스토어 등의 또 다른 ESD들에서는 전혀 취급을 하지 않고 있다.[27] 제품 소개 페이지만 베데스다 홈페이지에 걸려있고 구매를 원하면 위의 4곳으로 안내해주기만 한다. 이 작품이 베데스다가 유통한건 맞지만 베데스다보다는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의 의중이 더 강하게 깔려있는 제품임을 보여주는 대목.
  • 전술했듯 한국 발매에 있어 여러 진통을 겪다가 결국 전통의 현지유통사 대행 체제로 바뀌면서 졸지에 전세계에서 한국만 유일하게 대행사를 거쳐 유통되는 모양새가 되어버렸다.
  • 오블리비언 리마스터가 베데스다의 미출시된 게임목록에 포함되어있다는 정보가 나오기 전까진 베데스다의 게임(엘더스크롤, 폴아웃)은 리마스터가 되지 않을거라는 의견이 많았다.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의 대표인 토드 하워드가 리마스터에 매우 부정적이라[28] 토드가 은퇴한 후에나 나올 것 같아 보였으나 오블리비언 리마스터가 출시되면서 매우 오래된 고전작들[29]도 리마스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로서는 다음 타자는 오블리비언 리마스터와 같이 유출된 폴아웃 3 리마스터로 보고있다.
    그 이전작들은 가능성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나 시리즈 팬들조차 리마스터될 가능성을 매우 희박하게 보고 있다. 주된 이유는 베데스다 게임 특유의 방대한 대사량 때문이다. 특히나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및 이전작들은 '모든 대사를 전부 다 성우 더빙을 한다'는 개념이 없었던 시절에 제작된 게임들이니만큼 모로윈드에서나 극히 일부 대사들만[30] 더빙되어있고 대신 대사량이 넘사벽으로 어마어마하게 많은데, 이걸 요즘 감성으로 다시 제작하려면 그 많고 많은 대사들을 녹음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미칠듯이 상승하지만 그렇게까지 만들어서 제작비를 상회할만큼 수익을 거둘지가 의문이다.[31] 그렇다고 그 당시처럼 NPC들이 음성 더빙 없이 자막만 주구장창 화면에 출력하게 만든다면 인기가 없을 것이다. AI를 이용해 더빙이라도 한다면 모를까,[32] 절충해서 오블리비언이나 스카이림 수준으로 대사량을 줄이면 원작 팬들이 어마어마하게 반발할 것이니, 어느 선택지를 골라도 회사에 유무형의 타격이 가해질 것은 기정사실이라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리마스터나 리메이크를 추진하기는 어려울 것이다.[33]
    애초에 많고 많은 게임들 중에 오블리비언이 리마스터의 대상으로 꼽힌 이유가 바로 실제 작업에 들어가는 비용을 아낄 수 있으면서도 인지도 덕분에 판매량이 어느 정도 보장되어 있다는 장점 때문이었다. 가장 중요한 NPC 대사 녹음부터 기존 것을 잘 다듬기만 하면 8할은 먹고 들어가므로 작업량이 크게 줄어들면서도, 똑같은 장점을 지닌 폴아웃 3보다 오블리비언의 인지도가 더 높으니 예상 판매량이 더 많은 오블리비언이 선택된 것이다. 그리고 오블리비언 리마스터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은 베데스다가 폴아웃 3 리마스터를 고려해 볼 수는 있겠지만, 앞서 말한 문제점들 때문에 모로윈드는 꿈도 꾸기 어려울 것이다. 오히려 아예 3D 작품조차 아니기에 오늘날의 엘더스크롤식 방식으로 새로이 제작하면 충분한 반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아레나 혹은 대거폴이 리마스터 말고 '리메이크' 될 가능성이 차라리 더 높을 것이다.
    만일 폴아웃 3도 리마스터가 된다면 같은 구성을 고스란히 가져다 쓴 폴아웃: 뉴 베가스도 다음 리마스터 타자로 예상할 수 있는데 이쪽은 또 실제 제작사인 옵시디언과의 협의까지 필요하기 때문에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1] Xbox Play Anywhere[2] 스팀 지역락 해제 기준. 콘솔판은 2025년 6월 11일 지역락이 해제되었다.[3] 오블리비언 리마스터의 기본 바탕이 되는 엔진으로, 백엔드 프레임워크 역할을 담당하고 최신 플랫폼과의 입출력을 지원하며, 실제 게임의 구동에 필요한 그래픽, 오디오를 비롯한 모든 외형 처리를 담당한다.[A]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의 엔진으로 알려진 게임브리오는 통합 게임 엔진이 아닌 그래픽 렌더링만을 담당하는 엔진이며 게임플레이 로직은 게임브리오와 무관하게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개발자들이 자체 개발한 것이다. 오블리비언 당시에는 아직 베데스다 고유의 게임 엔진에 이름이 없었고 크리에이션 엔진이라는 이름이 붙은 건 스카이림 때의 일이다. 당시에는 개발툴인 크리에이션 킷도 컨스트럭션 셋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그렇기 때문에 원작 게임 로직은 게임브리오와 관련이 없다. 실제로 같은 게임브리오를 사용한 폴아웃 3에서는 개발 비화에서 처음엔 오블리비언의 엔진을 그대로 사용했으나 자동사격이 가능한 총기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원본이 되는 오블리비언용 엔진에는 자동사격이 가능한 무기와 관련된 로직이 일절 없었기 때문에 제일 비슷한 활을 이용해서 활이 빠르게 사격되도록 만드는 식의 꼼수를 통해 자동사격을 구현하려 했다가 포기하고 자동사격용 로직을 스스로 새로이 고안하느라 개고생했다는 비하인드 스토리가 존재한다. 기존에 있는 엔진을 갖다 쓴 게 아니라 자체 엔진을 사용했기에 가능했던 비하인드 스토리인 셈.[5] 언리얼 엔진 5 바탕 위에서 게임플레이 부분을 담당하는 로직은 2006년 당시 출시된 원작의 코드가 접목되어 동작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6] 과거 오블리비언 원판의 패치(미완성, 부분 손번역)를 부분적으로 이식한 뒤 기계 번역을 추가해 수정한 일종의 초벌 한국어 패치가 일단 급한 대로 공개된 상태다. 2025년 7월 기준으로 제대로 된 한국어 패치는 아직 제작 중에 있다.[7] '거의'인 이유는 스카이림 스페셜 에디션이 일단은 리마스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토드 하워드는 클래식 폴아웃이나 엘더스크롤 모로윈드에 대한 리마스터/리메이크 문의에 대해 자신은 할 생각이 없다고 일축했다. 다만 이때도 오블리비언 리마스터에 대해 부정한 것은 아니긴 했다.[8] 섀도우 드롭(Shadow drop)이라는 표현을 쓴다. 최근의 예시로 역시 베데스다 소프트웍스가 유통한 Hi-Fi Rush가 있다. 보통 장기간의 홍보가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거라고 판단될 때, 홍보 없이 입소문만으로 성공할 자신이 있을 때, 광고비를 아끼고 싶을 때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선택하는 마케팅 전략이다.[9] 스탠다드 에디션에서 디럭스 에디션으로 업그레이드하면 받을 수 있다.[10] 이는 오블리비언이 일단 컨텐츠를 다양하게 삽입시켰었던 모로윈드와는 달리 풀보이스 녹음 등 플레이어가 '다른 세계에서의 삶을 체험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요소들을 더 강화하는 대신 많은 수의 '생활 체험'과 연관이 적은 컨텐츠들을 삭제하는 방향으로 제작된 게임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무기군과 갑옷군이 모로윈드 시절에 비해 더 간소화되었고 모로윈드 시절에 있었던 늑대인간 변신 컨텐츠도 삭제되는 등 컨텐츠들의 질은 높아졌지만 양은 대폭 감소했다. 오블리비언에서 그렇게 많은 컨텐츠를 쳐냈다가 오블리비언을 제작하면서 얻은 노하우에 다시금 새로운 체험 컨텐츠들을 더하여서 만든 것이 스카이림이라 스카이림의 완성도가 높았던 것.[A] [12] 2005년작 페이블을 2012년에 리마스터한 게임으로 언리얼 엔진 3 바탕 위에서 원작 코드가 구동되며 애셋(그래픽, 사운드)이 교체 출력된다.[13] GTA 3, GTA: 바이스 시티, GTA: 산 안드레아스 세 게임을 언리얼 엔진 4 바탕 위에서 원작 코드가 구동되며 에셋(그래픽, 사운드)이 교체 출력된다.[14] 버튼 하나로 원작과 리마스터의 애셋(그래픽, 사운드)을 선택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15] 다만 기존의 패시브와 주문이 반영만 안 된 거지 게임상 데이터로는 그대로 남아있기에 콘솔로 해당 패시브와 주문을 따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16] 유명한 NG 음성까지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재등장한다.[17] 새로 투입된 성우들은 대부분 스카이림에서 해당 종족을 연기했던 성우들인 경우가 많지만 아닌 경우도 일부 있다. 대표적으로 오크 남성은 스카이림에서 오크 남성역을 맡았던 노아 넬슨(Noah Nelson)이 아니라 엘더스크롤 온라인에서 오크 남성역을 맡았던 토미 얼 젠킨스(Tommie Earl Jenkins)로 바뀌었는데 이는 노아 넬슨이 리마스터판 제작 도중 타계했기 때문이다(그래서 노아 넬슨의 목소리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크레딧에는 노아 넬슨 또한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후술할 신디 로빈슨이나 콜린 델러니 등은 스카이림 제작에 참여한적이 있긴 하지만 해당 종족의 성우가 아닌 특정 캐릭터용 성우로서 참여했었던 사람들이고, 브레튼 여성 성우로 투입된 잔 존스(Jan Johns)는 폴아웃 시리즈에서는 개근했지만 엘더스크롤 시리즈에는 참여한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18] 작중 유일하게 수염이 있는것은 쉐오고라스 뿐이였다. 그래서인지 쉐오고라스는 아예 고유한 종족으로 만들어져있다. 이 부분은 아예 쉬버링 아일즈 내에서 쉐오고라스 외의 인물이 수염을 기르면 사형한다는 법률이 있는 것으로 설정을 풀었다. 문제는, 버추어스와 베데스다가 이 설정을 고려하지 않은건지 리마스터판에서는 쉬버링 아일즈 내에서도 수염 달린 NPC들이 일부 생겼다. 물론 쉐오고라스는 제정신이 아니기 때문에 이 '법률'도 엿장수마냥 맘대로 적용시켰다 폐기시켰다 한다고 보면 이해가 될지도. 즉 수염 한가닥 났다고 죽은 놈만 운빨이 더럽게 재수 옴먹었던 것이다[19] 한 단계만 바꿔도 난이도의 상승과 감소폭이 심하다.[20] 오블리비언은 블록버스터급 타이틀이면서도 동시에 당시의 묘하게 실험적이면서도 아마추어적이었던 개발 환경 덕에 성우의 NG 보이스 연기가 그대로 들어간다거나 괴상한 센스의 캐릭터 디자인, 기상천외한 말의 움직임 등 특유의 분위기를 간직하고 있었다. 이런 것들을 보기 좋게 다듬으면서도 리마스터에서 그대로 남겨두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게임 플레이에 지대한 영향이 있는 버그는 아니면서도 추억을 자극하는 요소가 있어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21] 특히 모션은 리마스터임을 감안해도 2011년작인 스카이림과 비슷하거나 더 별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베데스다의 구린 모션은 평생이 지나도 안 고쳐질 것이 분명해졌다.[22] 특히 방어구의 디자인에 대한 혹평이 많은 편이다. 또한 외모 측면에서 일취월장했다는 평가가 많은 카짓이나 아르고니안[34]을 제외한 다른 종족들의 외모 또한 평가가 그리 좋지 않은데 특히 엘프 종족 특유의 세로로 긴 두상과 위로 찢어진 눈, M자 탈모가 안좋은 시너지를 일으켜 원작보다 더 괴이하게 생겼단 반응이 많으며 원작의 오시머 종족 특유의 감자 같은 넓둥그런 얼굴이 그대로 나오는 등 본작에서 혹평을 받은 외형들이 그대로 퀄리티만 높여놓는 바람에 기괴하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23] 물론 GTX 1060 6GB 모델 같은 구형 그래픽카드는 FHD 해상도에서 최하옵 30프레임이 한계이며, FHD 해상도에선 불패신화를 자랑하던 GTX 1080조차 하옵으로 60 프레임 방어가 안된다.[24] 아이러니하게도 원작에서도 최적화 문제로 쓴소리를 들었다.[25] 디럭스 에디션의 말 갑옷은 기존의 말 갑옷과는 다른 새로운 제품으로, 기존 게임의 말 갑옷 DLC는 에디션을 불문하고 기본 포함되어 있다.[26] 실제로 오블리비언 모드 제작자들 중 일부를 스카웃하여 스카이림 제작에 투입한 전례도 있기 때문에 베데스다로서는 관심을 안가질수가 없다.[27] 베데스다 넷의 자체 ESD 런처 서비스는 2022년 5월에 종료되었다.[28] 그시대만의 그래픽과 게임성, 감성등을 희석시킨다고 봐서 좋게 보는 쪽은 아니였다.[29] 폴아웃4 이전에 나온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와 폴아웃3 등[30] 캐릭터와 실제 대화 모드로 들어가서 출력할 수 있는 대사들은 더빙되어있지 않고, 대화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던지는 랜덤 대사나 전투 대사 등만 더빙되어있다. 모로윈드 최고 인기 캐릭터(...)인 다고스 우르의 경우 메인퀘스트의 최종보스라서 유독 더빙 대사의 양이 제법 많았기 때문에 이걸 소재로 한 음MAD는 물론 AI 학습을 통한 음성 합성이 가능해서 합성물 소스로 쓰기 용이한 것도 다고스 우르가 밈이 된 이유 중 하나였을 정도다.[31] 오블리비언 제작시 제작진들 사이에서 가장 치열하게 논의가 오고간 부분이 바로 이 풀더빙 부분이였다. 총괄 프로듀서였던 토드 하워드는 세계관 몰입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풀더빙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다른 개발진들은 제작비 상승, 이전까지 이런 풀더빙 게임을 만들어본적이 없었던 터라 품질 및 기술 관리의 어려움, 그리고 토드가 주장한 효과가 어느 정도나 실효성이 있을지에 대한 의문 때문에 풀더빙 반대 의견이 많았었기 때문. 다만 이 시기의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에서는 이전작들을 만들던 제작자들이 많이 퇴사한 상황이라 아직까지 엘더스크롤 개발팀에 남아있던 원년 멤버가 토드를 포함한 몇 명 되지 않는 상황이였던 만큼 원년 멤버 출신으로서 총괄 프로듀서 자리를 쥔 토드의 발언권이 훨씬 더 강력했기 때문에 토드가 주장한대로 풀더빙을 진행했고 다행히 토드의 적중이 맞아서 과감한 풀더빙은 오블리비언이 좋은 평을 사는데 한 몫 했고, 이제는 다른 RPG 게임들도 풀더빙이 당연해지는 추세를 낳기까지 했다.[32] 실제로 오블리비언이 발매된 이후 오블리비언을 이용하여 모로윈드를 구현하려는 '모로블리비언' 모드 제작 움직임도 당연히 있었으나 NPC도 장소도 어떻게 만들었지만 더빙을 어떻게 할 방도가 없다는 점이 여전히 가장 치명적인 문제였다. 이 시기에는 AI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음성을 실제 녹음하거나 합성해야 했는데 모로윈드 특유의 방대한 대사를 녹음이든 합성이든 뭐든 하는 것 자체가 일개 모드팀이 감당할 레벨이 아니였었고, 그나마 이후 AI 기술이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모로윈드의 팬 제작 MOD 중에 AI를 이용하여 만든 음성 합성으로 NPC들의 대사가 출력되는 MOD인 Voice of Vvardenfell이라는 MOD가 있긴 하나, 이것마저도 처음 공개된 이후 수년이 지났는데도 완성도가 50%를 겨우 넘는 상황이고, 종종 볼륨 조절을 실패해서 지나치게 크게 말하는 NPC도 있고 반대로 너무 작게 말하는 NPC도 있는 등 완벽하지가 않다. 그나마 이건 개인 제작 MOD에다가 공짜로 쓸 수 있는 물건이고 이것 하나만으로도 게임에 대한 몰입감이 더 증가되는 효과는 분명하게 존재하니까 게이머들도 수용하고 넘어가겠지만 엄연한 정식 기업인 베데스다가 똑같은 짓을 하려 들면 좋은 평을 사기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이 MOD조차 게임 자체의 구조적인 한계로 오블리비언에서처럼 대화 모드에서 NPC의 얼굴이 클로즈업 되며 입술이 움직이고 표정이 변화하는 등 '대화'를 하는 애니메이션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 '대화 모드'가 정지 화상 상태라는건 변하지 않는다.[33] 게다가 더빙 문제만 들었지만 모로윈드나 이전작들은 아예 시스템의 큰 틀 자체가 스카이림은 커녕 오블리비언과도 차이가 나는 점들이 너무 많이 존재한다. 상기한 '대화 모드'의 차이도 그렇고, 모로윈드는 퀘스트 마커도 없고, 빠른 이동도 없고, 자물쇠 따기 미니게임도 없고, 팔로워도 없고, 탑승물도 없고, 카짓과 아르고니안은 종특으로 하의를 입을 수 없고, 방패를 장비해도 내 마음대로 방어 모드를 전개할 수 있는게 아니라 랜덤한 확률로 방패로 방어해내는 방식이며(Block 스킬의 레벨이 높아질수록 성공 확률이 증가한다) 일단 그래픽 상으로 적에게 공격을 적중하는데 성공하기만 하면 실제 피해량은 어찌되었던 공격이 들어가가는 들어가는 후속작들과는 달리 아예 공격 자체에도 '실패 확률'이 존재하는 등 (무기의 스킬 레벨이 높아질수록 성공 확률이 증가한다) 더빙 뿐만 아니라 이런 문제들도 원작 요소를 너무 잘 살리면 신규 유입을 기대하기 어렵고, 갈아엎자니 노력이 너무 많이 들어갈 것이 예상되는데, 물론 판매량만 받쳐준다면 그럼에도 제작을 고려해보겠지만 그럴 가능성이 불분명하다는게 문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if external != "o"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uuid=0099935f-c2de-4f19-98ee-84037ac17779|r89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uuid=0099935f-c2de-4f19-98ee-84037ac17779#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from=89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if external != "o"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uuid=0099935f-c2de-4f19-98ee-84037ac17779|r89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uuid=0099935f-c2de-4f19-98ee-84037ac17779#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from=89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34] 특히 카짓의 경우 고양이, 호랑이, 사자, 흑표범 등등 여러 고양이과 동물의 외모를 재현할 수 있는데다 귀엽거나 야성미 넘치는 외모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해서 등장 종족들 중 가장 평가가 좋은 편이다. 그리고 아르고니안 또한 원작에 비해 외모가 많이 준수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