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의 장성급 장교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b0313f> 대장 大將 | |
육군 陸軍 | 시라카와 요시노리 | 우가키 가즈시게 | 미나미 지로 | 아베 노부유키 | 야마나시 한조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도이하라 겐지 | 마쓰이 이와네 | 야마시타 도모유키 | 이타가키 세이시로 | 이마무라 히토시 | 기무라 헤이타로 |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 오카무라 야스지 | 쿠리바야시 타다미치† | 다치바나 요시오 | 아나미 고레치카 | 가와베 마사카즈 |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 | |
해군 海軍 | 야마모토 곤노효에 | 스즈키 간타로 | 사이토 마코토 | 나구모 주이치† | 요나이 미쓰마사 | 이노우에 시게요시 | 오카다 게이스케 | 시마다 시게타로 | |
중장 中將 | ||
육군 陸軍 | 창덕궁 이왕 은 | 홍사익 | 무토 아키라 | 이시이 시로 | 스즈키 데이이치 | 도미나가 교지 | 무타구치 렌야 | 이시와라 간지 | 사토 겐료 | 사토 고토쿠 | 미야자키 시게사부로 | 히구치 기이치로 | 이병무 | 조동윤 | 혼마 마사하루 | 오시마 히로시 | |
해군 海軍 | 야마구치 다몬† | 오자와 지사부로 | 우가키 마토메 | 모리 쿠니조 | 기무라 마사토미 | |
소장 少將 | ||
육군 陸軍 |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 | 이희두 | 조성근 | 왕유식 | 김응선 | 어담 | 이치키 기요나오† | |
해군 海軍 | -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 사후 추서 | ||
※ 둘러보기 | 일본군 원수 | ||
}}}}}}}}} |
1. 개요
宇垣 纏생몰년은 1890-1945. 구 일본 제국 해군 소속 군인. 최종계급은 중장이다. 조선 총독을 역임한 일본 육군의 우가키 가즈시게 대장과 마찬가지로 성이 우가키(宇垣)지만 동향 출신일 뿐 혈연관계는 아니다.
2. 생애와 행적
1890년 2월 15일 오카야마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해군병학교로 진학, 1912년에 성적 9등을 찍으며 졸업하였다. 일본군 항목에서도 나오듯, 해군병학교 졸업성적이 군생활 내내 출세와 진급을 좌우하는 일본 해군에서 우가키는 승승장구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역시 엘리트 코스인 해군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주재 무관으로 다녀오는 등 평범한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이후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의 참모진으로 발탁되었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의 발발, 특히 진주만 공습을 보고 거함거포주의에서 항공전 중심으로 해전의 양상이 변함을 깨달았다고 일본 극우들은 주장하지만 그렇지 않다. 그저 항공전력이 해전에서 유의미함을 인식하는 수준이었다. '그 배를 만들 자원과 자금이면 항공기 1000대를 만들 수 있다' 하며 야마토급 전함의 건조를 반대하던 야마모토 제독을 끈질기게 설득해서 결국 승인을 받아낸 사람도 우가키 제독이다. 어쨌든 이후 연합함대의 참모장이 되어 1942년 전역에 나섰다.
미드웨이 해전, 과달카날 전투의 연패로 난국에 빠진 연합함대의 참모장으로서 혼란을 수습하고 참모로서 야마모토를 보좌했다. 그러나 1943년 4월 18일에 일어난 야마모토 제독 암살작전 당시 다른 G4M에 타고 동행하다가 미 육군 캑터스 항공대의 습격을 받아 격추되어 바다에 불시착했다. 우가키 제독은 다행히 목숨은 건졌으나 부상이 심했고, 사령관이 죽었는데 참모장이 살아남았다는 비난 등을 받았다.
이후 부상이 회복되면서 전선에 복귀했으나 필리핀에서 말 그대로 쳐발린 뒤 본토결사사수를 외치는 항전파의 주요인물이 되었다. 대본영은 그를 미국의 본토침공이 가장 유력한 오키나와-규슈 방면의 제5항공함대 사령장관으로 임명했다. 이후 오키나와 일대의 미군에 대대적인 카미카제 공격을 단행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3. 최후
1945년 8월 12일, 우가키 제독은 직접 특공을 하기 위해 701항공대의 사토 대위에게 스이세이 5대를 준비하도록 명령했다.1945년 8월 15일, 쇼와 덴노의 항복 선언을 듣고 격분하여 비행장으로 나가자 실제로 준비된 것은 스이세이 11대와 파일럿 22명이었다. 우가키는 5대면 충분하다고 이야기하였으나 나카츠루 대위가 "출동가능한 전기로 동행하겠다. 명령을 변경해주지 않는다면 명령위반이어도 동행할 것"이라고 대답하여 함께 출격하였다. 우가키 탑승기는 원래 규정대로라면 조종사 1명만 탑승하면 되지만, 우가키가 보조 탑승원석에 앉자 원래 승무원이 "여긴 제 자립니다." 하면서 비집고 들어갔다고.
이후 상급부대에 "부하들이 벚꽃처럼 흩날린 남쪽 바다로 간다." 하는 전문을 남긴 채 부하들과 함께 최후의 카미카제 공격을 단행하다 죽었지만, 당연하게도 이들은 미군에 전혀 피해를 입히지 못했다.
4. 평가
인격 면에서는 전형적인 구 일본 해군 제독이었다. 오만방자하고 아랫사람들에게 막 대하여 황금가면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존경을 받지 못했다. 말레이 해전 이후로 항공모함의 유용함을 인정하긴 했지만, 본래 거함거포주의자로 항공모함을 주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던 항공주병론자들과도 사이가 좋지 않았다.하지만 개판난 상황을 수습하는 참모로서의 능력은 있었던 모양이다. 미드웨이 해전의 패전 분석에 있어 전략적으로나 전술적으로나 그가 패배원인으로 지목한 부분은 후대 전사가들의 의견과 일치했고, 자신이 분석한 점을 바탕으로 파국에 빠진 연합함대를 일으켜 세우고 후속 작전을 수립하기도 했다. 일본군에서 지휘관 딱지를 붙인 인물 중에 이런 일조차 제대로 못하는 이들도 많았음을 떠올린다면, 우가키는 어쨌든 제 역할은 했다고 볼 수 있다.
지휘관으로서 장악능력이나 지휘능력, 결단력이 떨어진다는 평도 있다. 그러나 1943년 해군 갑(甲) 사건으로 중상을 입고서도 곧바로 복귀해 지휘한 점이나, 미드웨이 해전 이후 패닉에 빠져 아무것도 못하던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이나 그 오른팔 쿠로시마 카메토 대좌를 대신하여 제 1차 솔로몬 해전(사보섬 해전)을 기획하고 실행하여 연합함대를 재건한 점을 생각하면 그런 평이 적절한지는 의문스럽다.
매우 군국주의적인 인물로, 1억 총옥쇄를 진심으로 지지했으며 카미카제에 적극 찬동해 직접 지휘했고, 그 또한 카미카제로 삶을 마쳤다. 그러나 일본군 출신자들 사이에서도 그의 최후 역시 마냥 긍정적으로만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일례로 오자와 지사부로 제독은 "책임을 지고 죽으려면 혼자 죽을 것이지 왜 부하들까지 다 데리고 가서 불쌍한 부하들을 죽이냐." 하고 비판하기도 했다.[1] 천황의 항복칙령을 거부하고 공격에 나선 점도 비판받는다.
5. 기타
- '전조록(戦藻録)'이라는 전중일기를 남겼다. 여기서 조(藻) 자는 본래 마름이나 말 같은 수생식물을 가리키지만, 아름다운 문장(文章), 글 솜씨를 가리키는 뜻으로도 쓰였다. 따라서 '전조록'이란 제목은 '화려한 글솜씨로 남긴 전쟁기록'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우가키는 특공출격 직전에 전조록을 완결하고 '적의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하라'고 유언을 남겼지만, 전후 연합군 최고사령부는 그의 글을 1급 사료로 분류하여 보관하였다. 연합함대 수뇌부의 당시 상황을 잘 보여줄 뿐 아니라 다른 기록에서 빠진 내용까지 수록된 중요한 자료이다. 이후 연합군 최고사령부 전사실 조사원이었던 고든 프랑게(Gordon William Prange)가 <Fading Victory: The Diary of Admiral Matome Ugaki, 1941~1945>라는 이름으로 미국에서 출판하였다.
전조록에는 1943년 1월 1일부터 4월 2일까지 넉 달 가까운 분량이 빠졌는데, 소장까지 진급한 구로시마 가메토(黒島亀人) 제독이 전후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증거물로 쓴다고 가져간 뒤 분실하였다. 해당 시기는 야마모토 장관이 구로시마 가메토 제독의 능력을 의문시하던 무렵이므로, 구로시마 제독이 자신에게 불리한 내용이 적힌 부분을 일부러 훼손했을 가능성이 높다. - 만화 <몽환의 군함 야마토>가 원 출처인,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해군의 정신승리를 잘 보여주는 짤방으로 유명한 역시 일본 해군은 강해에서 아카기를 부활시키는 '우가키 참모장'이 바로 이 사람이다.
- 2011년 영화 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에서 호이 유저들의 인터넷 밈이 된 기름이 없다는 대사를 한다.
[1] 다만 오자와 제독의 이 말은 장병들의 생명을 걱정했다기보단 '전쟁 다 끝났는데 니가 무슨 권리로 부하들까지 끌어들이냐' 하는 뉘앙스에 가깝다. 전쟁이 한창일 때는 우가키 제독을 감싸고 돌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