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23:10:43

통영시 시내버스

부울경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0f0f0,#2d2f34>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남
항공 김해국제공항 울산공항 사천공항
가덕도신공항1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역 목록
동남권 광역전철
도로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티머니 · 캐시비(마이비 · 하나로카드)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
환승할인
동남권 · 창원-김해 · 창원-함안 · 거창-합천
1: 미개통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f15a38><colcolor=#000> 창원시 · · · · · · · · · · <colbgcolor=#f15a38> 진주시 · · ·
김해시 · · · · 사천시 ·
양산시 · 통영시 · ·
밀양시 거제시 ·
창녕군 고성군 ·
함안군 ·
함안군공영버스
운영위원회
남해군
의령군 · 하동군 ·
섬호관광
합천군 · 산청군 ·
거창군 함양군
}}}}}}}}}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시내 · 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창원시 김해시 양산시 진주시
사천시 거제시 통영시 밀양시
거창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하동군 합천군 남해군 함양군
산청군 의령군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53F80>
파일:통영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도남동, 신봉, 영운리(100번대)
100 101 104 105 113
121 128 140 141 143
144 181 184
용화사(미륵산)(200번대)
200 206 211 231 235
240 243 244 281
미수동(300번대)
300 301 302 303 312
321 341 344 348 354
381
해양과학대, 인평동(400번대)
400 401 403 405 409
410 411 414 418 428
436 440 442 443 455
456 457 481
삼덕, 척포, 달아(500번대)
500 501 502 503 530
531 533 534 535 540
541 581
서호시장 기점노선(600번대)
600 601 610 613 615
620 630 640 653 660
661 663 664 665 667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죽림, 거제대교(700번대)
750 752 758
터미널 기점노선(900번대)
906 930 940 948 953
954 955 961 963 964
965 971 972 973 974
976 977 978
섬지역 마을, 공영버스
한산면 공영버스 사량도 마을버스
욕지도 마을버스 연화도 마을버스
온정버스
51 52 53 54 55
56 60 61 74 75
81
}}}}}}}}} ||
통영시 시내버스
Tongyeong City Bus
노선수 109개
업체수 3개[1]
차량수 103대[2]
운행시간 04:40-23:40
운임제도 단일요금제, 환승할인제
운영제도 민영제

1. 개요2. 행정3. 노선
3.1. 버스 번호 부여 방식3.2. 일반버스
3.2.1. 100번대3.2.2. 200번대3.2.3. 300번대3.2.4. 400번대3.2.5. 500번대3.2.6. 600번대3.2.7. 700번대
3.2.7.1. 2021년 개편 이후3.2.7.2. 개편 전(2010년 개편)
3.2.8. 900번대3.2.9. 도서지역 노선
3.3. 온정버스
4. 요금5. 도색6. 업체7. 문제점
7.1. 개막장 버스회사7.2. 노선 번호의 막장성
8. 참고사항

1. 개요

경상남도 통영시 문화복지교통국 교통과에서 관리하며, 경상남도 통영시 일대 및 경상남도 고성군, 거제시 일부 구간[3]을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총칭.

2. 행정

2000년대 초반까지는 두 자리 수를 이용해서 노선 번호를 구성했지만, 2010년 1월 1일부터 BMS 도입과 함께 세 자리수로 번호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교통카드도 다소 특이하게 2005년부터 도입했으나, 회수권 사용은 2007년까지 계속되었다.

전면•측면•후면 모두 LED행선판이 적용되어 있다.

3. 노선

3.1. 버스 번호 부여 방식

  • 일반버스
    • 도남동종점: 100번대(일부 노선 영운리종점, 신봉종점까지 운행)
    • 용화사: 200번대
    • 미수동(세포고개): 300번대
    • 경상대학교 통영캠퍼스: 400번대(일부 노선 인평동종점, 평림예비군훈련장까지 운행)
    • 삼덕종점: 500번대 (일부 노선 달아, 척포까지 운행)
    • 서호시장 기점 버스: 600번대
    • 거제종점: 700번대[4]
    • 터미널종점: 900번대
  • 온정버스
    • 50번대 봉평 및 산양읍 순환
    • 60번대 노산 및 안정 순환 (광도면 북부)
    • 70번대 도산면 순환 (도산 농협 기점)
    • 80번대 죽림-용남면 (원평 경유) [5]

2010년 개편 이전에 있던 버스 번호와 온정버스 번호 부여 방식이 매우 흡사하다

3.2. 일반버스

통영시의 유일한 버스 등급. 성인 기준으로 현금 1,500원, 교통카드 1,450원을 받는다. 저상버스도 상당히 많다. 모든 노선은 통영시 버스정보시스템으로부터 따랐다. 만약 폐선된 노선을 볼려면 통영시 시내버스/폐선으로 가서 보면 된다.

파일:통영시내버스노선.jpg
파일:통영 버스 2.jpg
출처는 통영시청. 굉장히 복잡한 노선도이다(...). 아래 설명을 참조할 것.

3.2.1. 100번대

파일:101_6258.png
통영교통 소속 현대 일렉시티 차량.
101번 노선
도심 경유 도남동종점 방면.
미륵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주거지대인 도남, 봉평동을 기점으로 삼는 노선 시리즈. 600번대와 함께 통영시에서 가장 많은 운행 횟수를 자랑하고 있는 번호대이다. 도남동종점 옆의 마리나리조트와 통영국제음악당, 그리고 통영시의 명물 중 하나인 미륵산 케이블카를 이용하는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하며, 통영에서 가장 큰 남고인 통영고등학교 재학생들도 많이 이용한다. 100번은 통영시 내에서도 상당히 많은 배차횟수를 자랑한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100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청구아파트(법원, 검찰청 입구) ↔ 거제대교
  • 101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104번: 영운리 ↔ 도남동 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105번: 신봉마을, 영운리 ↔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113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정량동 ↔ 시청 ↔ 거제대교
  • 121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시장 ↔ 정량동 ↔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향교[6]터미널
  • 128번: 터미널 ↔ 향교 ↔ 동원고 ↔ 청솔약국 ↔정량동 ↔ 도남동 종점[편도]
  • 140번: 도남동 종점↔통영고등학교↔통영중학교↔통영대교↔(통영터널)↔죽림지구↔터미널
  • 141번: 도남동종점 ↔ 통영케이블카[8]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143번: 도남동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원평 ↔ 거제대교
  • 144번: 도남동종점↔봉평동↔통영대교 밑↔인평동
  • 181번,184번: 도남동 종점 ↔ 루지[9]↔봉평오거리↔서호, 중앙, 북신시장 ↔ 말구리(동원고 방향),한진로즈힐(북신시장 방향)↔ 동원고 ↔터미널

3.2.2. 200번대

파일:통영일렉200.jpg
통영교통 소속 현대 일렉시티 차량.
200번 노선
도심 경유 용화사종점 방면.
교통 소외지 중 하나인 봉평동 남부(봉평주공아파트 일대)를 커버하고 미륵산 등산객 및 용화사 참배객을 위해 만든 노선이다. 출퇴근시간에는 해당 지역 주민 및 통영중학교 학생들이,[10] 주말에는 등산객들이 상당히 많이 이용한다. 특히 부처님 오신 날에는 하루 종일 가축수송을 한다. 또한 4월 봉수골에 벚꽃 필 철에는 벚꽃 보러 가는 관광객도 꽤 있는 편이어서 미어 터진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200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새통영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도산종점
  • 206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청구아파트(법원, 검찰청 입구) ↔ 내포[11]
  • 211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시장 ↔ 중앙시장[12] ↔ 정량동 ↔북신시장 ↔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231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향교 ↔ 터미널
  • 240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도산
  • 235번: 용화사종점 ↔봉평오거리 ↔ 서호,중앙,북신시장 ↔ 고려병원 ↔ 향교 ↔홀리골 마을 ↔ 터미널
  • 243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산복도로 ↔ 충무고등학교 ↔ 광우A ↔ 용남면 ↔ 거제대교
  • 244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미수해안로↔ 해양과학대종점[13]
  • 281번: 용화사종점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동원고 ↔ 향교 ↔ 터미널

3.2.3. 300번대

도심 경유 세포고개(미수동종점) 방면.
미륵도의 주요 주거지구인 미수동 주민을 위해 만든 노선이다. 미수동이 미륵도 내에서 가장 높은 인구 밀도를 자랑하는 행정동이다 보니 운행 횟수가 많고, 이 구간은 500번대도 같이 운행하면서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등하교 시간에는 대우상가아파트부터 두룡초등학교 후문 정류소까지는 학생들로 꽉꽉 채워 다닌다.
단 펜션들이 모여 있는 세포마을까지는 운행하지 않고 택시 시계외할증 기점인 세포고개에서 딱 끊기 때문에 대부분의 펜션에서는 보통 종점에서 기다리면 차로 픽업하러 오기도 한다. 또 충무교 인근 도로 배치 문제로 충무교 ↔ 미수해안로 구간에서 방향별로 운행 방식이 갈리는데 이는 후술.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300번: 미수동종점↔서호, 중앙, 북신시장↔고려병원↔죽림지구↔터미널↔노산
  • 301번: 미수동종점 ↔ 미수해안로↔진남초등학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302번: 미수동 종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무전동 종점
  • 303번: 미수동 종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거제대교
  • 312번: 미수동 종점 ↔ 서호, 중앙시장 ↔ 정량동 ↔ 무전동 종점
  • 321번: 미수동종점 ↔ 미수해안로↔봉평오거리↔진남초등학교↔ 서호시장 ↔ 정량동 ↔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향교 ↔ 터미널
  • 341번: 미수광바위↔미수해안로↔봉평오거리↔진남초등학교↔고려병원↔터미널
  • 344번: 미수동종점↔봉평오거리↔통영대교밑↔해양대↔인평동
  • 348번: 미수동종점 ↔ 서호시장 ↔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원평 ↔ 해간도
  • 354번: 미수동종점↔미수해안로↔봉평오거리↔서호/중앙시장↔고려병원↔향교/죽림마을↔터미널↔구집
  • 381번: 터미널↔한선↔동원중/고↔새통영병원↔충무교↔미수동종점

3.2.4. 400번대

파일:부팸통영400.jpg
부산교통 소속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차량.
400번 노선

통영시의 양대 교통오지로 분류되는 인평동 지역을 커버하는 노선이다. 다만 대부분의 노선이 해양대종점(인평초등학교)에서 끝나며, 인평종점은 거기서 조금 더 들어가는 민양마을(어촌계회관)에 있다.일단 편도 노선이 상당히 많고 통영시의 또다른 교통오지인 정량동을 경유하는 노선이 전체 배차의 반을 넘게 차지한다. 거기다가 400번대 노선들은 전체적으로 배차 간격이 긴 편에 속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에 인평동 소재 중학교(충무중학교, 충무여자중학교)로 등하교하려는 학생들로 버스가 북새통이 되므로, 등하교 시간대에 이 버스를 타는 건 여러 가지로 민폐다.[14] 관광객들이 이용하기에는 그다지 편하지 않지만, 모든 노선이 해저터널 입구에 정차하기 때문에 그나마 이용하는 편.[15]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400번: 해양대종점 ↔ 해저터널입구, 도천횟집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401번: 인평종점 ↔ 인평주공아파트 ↔ 해양과학대 ↔ 서호,중앙시장 ↔ 무전동(시네마방면)↔새통영병원↔향교/죽림마을 ↔ 터미널
  • 403번: 인평종점 ↔ 충무중 ↔ 해저터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용남면 ↔ 거제대교 [편도]
  • 405번: 해양대종점 ↔ 충무중 ↔ 해저터널↔ 충렬사 ↔새통영병원 ↔ 한선A ↔ 터미널[편도]
  • 409번: 해양대종점 ↔ 충무중 ↔해저터널 ↔ 고려병원 ↔말구리 ↔ 법송 ↔ 분지포
  • 410번: 인평종점↔충무중 ↔ 서호, 중앙시장 ↔ 정량동 ↔북신시장 ↔ 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411번: 해양대 종점 ↔ 충무중 ↔ 서호, 중앙 시장 ↔ 정량동 ↔ 북신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414번: 해양대종점 ↔ 해저터널입구, 도천횟집거리 ↔ 서호시장 ↔ 정량동 ↔ 동호동SLS조선소[18] ↔ 북신시장 ↔ 무전동차고지
  • 416번,418번: 해양대종점 ↔ 해저터널 ↔ 정량동 ↔ 동원아파트(418번만 경유) ↔ 선촌마을(용남면) ↔ 화포마을(용남면) ↔ 오촌
  • 428번: 해양대종점 ↔ 해저터널입구, 도천횟집거리 ↔ 서호시장 ↔ 정량동 ↔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동원중고등학교 ↔ 향교 ↔ 터미널[19]
  • 436번: 황리임중 ↔ 안정 ↔ 터미널 ↔ 향교 ↔ 수아지오 ↔ 북신시장 ↔ 충무중 ↔ 해양대 종점 [편도]
  • 440번: 신우희가로↔터미널↔ 주영팰리스↔ 한선a ↔ 새통영병원↔(통영터널)↔경상대 통영캠↔충무중,충무여중↔해앙대종점 [21][22]
  • 442번: 터미널 ↔ 죽림지구 ↔ 청솔약국 ↔ 북신시장 ↔ 국치, 천대 마을 ↔ 인평종점 [편도]
  • 443번: 거제대교↔원평↔수아지오↔북신, 중앙, 서호시장 ↔ 충무중 ↔ 해양대종점
  • 455번: 해양대종점 ↔ 인평주공 ↔ 해저터널 ↔ 서호/중앙시장 ↔ 말구리(상행),새통영병원(하행) ↔ 원문마을 ↔ 대방포
  • 456번: 해양대종점 ↔ 충무중 ↔ 해저터널 ↔ 수아지오(오촌 방향) ↔ 시청(해양대방향) ↔ 오촌
  • 457번: 대방포 ↔ 용남면 ↔ 시청 ↔ 무전동 ↔ 토성고개 ↔ 중앙, 서호시장 ↔ 충무중 ↔ 해양대 종점 [편도]
  • 481번: 인평종점 ↔ 충무중 ↔ 해저터널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고려병원 ↔ 동원고 ↔ 죽림지구 ↔ 터미널

3.2.5. 500번대

파일:부산교통551디젤저상.jpg 파일:통영교통500뉴슈퍼.jpg 파일:신흥여객537뉴슈퍼.jpg
551번 노선 500번 노선 537번 노선
NEW BS110 디젤 차량.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차량
부산교통 차량 통영교통 차량 신흥여객 차량
중간에 있는 노선빼고 나머지는 모두 폐선되었다.

도심 경유 삼덕, 달아, 척포종점 방면.

미륵도 남부 지역은 상당히 낙후되어 있는데, 500번대 노선들은 이 쪽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 덕분에 노선 길이가 상당히 긴 데다가 커브에 구배도 많은 산양일주도로를 타고 다니다 보니 이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들은 버스 상태가 영 별로고 대차도 별로 없다(...). 모든 노선이 미수동을 경유하기 때문에 300번과 상호 보완 역할도 하고 있고, 배차 횟수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또한 통영시에서 가장 늦게 운행을 끝내는 버스도 바로 이 번호대의 버스다.
모든 버스가 미륵도 남부의 유일한 중학교인 산양중학교를 경유하므로 통학 수요도 다소 있지만, 이 노선의 핵심 수요는 연선 주민들과 낚시 가는 사람들이다. 연선에 낚시 포인트가 말 그대로 널려 있는데다 갯바위나 선상낚시를 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낚시배가 정박하는 포구가 거의 다 이쪽에 몰려 있어서 휴가철이 되면 낚시채비와 가방을 바리바리 싸들고 다니는 사람들을 항상 볼 수 있다.
다니는 지역이 지역이다 보니 미륵도 남부 어촌마을에서 탑승하시는 어르신들이 상당히 많아서, 매월 2/7[25]로 끝나는 날인 서호시장/중앙시장 장날은 중앙시장 정류장부터 종점까지 장에 팔 짐을 들고 다니시는 어르신들로 버스가 북새통을 이룬다. 300번대 버스와 마찬가지로, 충무교 인근 도로 배치 문제로 충무교 ↔ 미수해안로 구간에서 노선별로 운행 방식이 갈리는데, 몇몇 버스는 봉평오거리로 돌아 가기도 한다.

2021년 3월 22일 개편으로 501,502,503번 제외하고는 전부 일부 조정을 하거나 폐선을 하였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500번: 삼덕 ↔ 봉평오거리 ↔ 토성고개 ↔ 새통영병원 ↔ 한선A ↔ 터미널
  • 501번: 삼덕종점 ↔ 미수동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통영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502번: 삼덕종점 ↔ 미수동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무전동
  • 503번: 삼덕종점 ↔ 미수동 ↔ 봉평오거리 ↔ 서호,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 ↔ 거제대교
  • 530번: 척포(순환종점)↔ 산양삼거리 ↔ 봉평오거리 ↔ 고려병원 ↔ 한선A ↔ 터미널
  • 531번: 척포 ↔ 달아공원 ↔ 미수동 ↔ 중앙시장 ↔ 북신시장 ↔ 고려병원 ↔ 죽림지구 ↔ 터미널
  • 533번: 거제대교 ↔ 용남면 ↔ 북신시장 ↔ 중앙시장 ↔ 미수동 ↔ 금평 [편도]
  • 534변: 금평 ↔ 봉평오거리 ↔ 중앙시장 ↔ 북신시장 ↔ 고려병원 ↔ 향교 ↔ 신우희가로
  • 535번: 금평 ↔ 둔전마을 ↔ 산양삼거리 ↔ 봉평오거리 ↔ 토성고개 ↔ 향교/죽림마을 ↔ 신우희가로 종점
  • 540번,541번: 풍화리↔새길(540번 경유),철둑(541번 경유) ↔ 봉평오거리 ↔ 중앙시장 ↔ 북신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581번: 금평 ↔산양삼거리 ↔ 봉평오거리 ↔ 토성고개 ↔ 말구리 ↔ 동원중/고 ↔ 터미널

3.2.6. 600번대

파일:신흥600디젤저상.jpg
신흥여객 소속 NEW BS110 디젤 차량.
600번 본선
통영 오지투어 시리즈의 알파와 오메가
서호시장 기점 노선들이다. 즉 미륵도 방향으로는 가지 않는다. 정류장 내 노선도에는 순환노선이라고 되어 있는데 글쎄...

통영 북부와 동부 오지들을 커버하기 위해 신설된 노선들. 과거 60번대 노선들은 대부분 통영시를 종단으로 잇는 노선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신설 노선들도 이러한 경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통영 여행 시 가장 조심해야 하는 노선번대이다. 과반수 이상의 노선이 버스터미널에서 끊기는 데 반해, 이 노선번대는 터미널을 중간경유지로 하고 더 가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에 무심코 졸았다가는 깨 보니 완전 오지인 경우가 많다. 더군다나 이 노선들은 기점 자체가 서호시장에서 끝나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환승을 목적으로 해야 하며, 인근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종점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기 때문에 중앙시장에서 자리가 안 났다면 거의 100% 터미널까지 서서 가야 한다.

600번 노선은 통영시 시내버스 중에서 상위권의 빗자루질을 자랑한다.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600번: 서호시장 ↔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죽림지구 ↔ ↔터미널
  • 601번: 서호시장 ↔ 산복도로 ↔ 충무고등학교↔ 한선A ↔ 터미널
  • 610번, 615번: 도리골(615번 기점)↔서호시장(610번)↔정량동↔북신시장↔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613번: 도리골 ↔ 서호시장 ↔ 정량동 ↔ 무전동 ↔ 용남면 ↔ 거제대교
  • 620번: 서호시장 ↔ 정량동 ↔ 시청 ↔ 보건소 ↔ 한진로즈힐 ↔ 죽림지구 ↔ 터미널
  • 630번: 서호시장 ↔ 충무중 ↔ 평림동 ↔ 무전동 ↔ 중앙시장 ↔ 서호시장 (순환 노선)
  • 640번: 서호시장 ↔ 중앙시장 ↔ 북신시장 ↔ 고려병원 ↔ 고용노동센터 ↔ 신죽 ↔ 터미널
  • 653번:서호시장↔무전동↔용남면↔충렬여중/고↔거제 성포
  • 660번: 서호시장 ↔ 북신시장 ↔ 무전동 ↔ 향교 ↔ 터미널 ↔ 노산 ↔ 전두마을 ↔ 천개마을 ↔ 안정 ↔ 황리임중
  • 661번: 서호시장 ↔ 북신시장 ↔ 무전동 ↔ 향교 ↔ 터미널 ↔ 노산 ↔ 전두마을 ↔ 안정 ↔ 안정사
  • 663번: 서호시장 ↔ 북신시장 ↔ 무전동 ↔ 향교 ↔ 터미널 ↔ 전두마을 ↔ 안정 ↔ 황리임중
  • 664번: 서호시장 ↔ 북신시장 ↔ 무전동 ↔ 향교 ↔ 터미널 ↔ 전두마을 ↔ 안정 ↔ 무량촌
  • 665번,667번:도리골(667번 기점)↔ 서호시장(665번 기점) ↔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죽림향교 ↔ 터미널 ↔ 노산 ↔ 임외사거리, 무량촌입구(시경계) ↔ 고성당동
  • 671번: 서호시장 ↔ 고려병원 ↔ 말구리 ↔ 용호 ↔ 분지포
  • 672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가오치
  • 673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도산 ↔ 가오치 ↔ 저산
  • 674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도산 ↔ 수월
  • 675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향교 ↔ 터미널 ↔ 잠포 ↔저산
  • 676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원산
  • 677번: 서호시장 ↔ 수아지오 ↔ 죽림지구 ↔ 터미널 ↔ 도산 ↔ 사계 ↔ 원산 [편도]
  • 678번: 서호시장 ↔ 중앙, 북신시장 ↔ 수아지오(구 코리아 웨딩홀) ↔ 죽림향교 ↔ 터미널 ↔ 도산 ↔ 원산종점, 월평

3.2.7. 700번대

3.2.7.1. 2021년 개편 이후
죽림 경유 거제대교 방면.

하지만 2021년 3월 22일에 다시 700번대가 탄생하였다.
주요노선은 다음과 같다.
  • 750번: 거제대교↔충렬여중/고↔용남면↔시청↔무전동↔새통영병원↔신우희가로(종점)
  • 752번: 무량촌↔노산↔시외버스터미널↔죽림/향교마을↔새통영병원↔용남면↔충렬여중/고↔거제대교 [편도]
  • 758번: 거제대교↔충렬여중/고↔용남면↔시청↔무전동↔동원중/고↔시외버스터미널 [29]
3.2.7.2. 개편 전(2010년 개편)
관광지 전용 노선

말 그대로 통영에서 사람들이 관광갈 만한 곳들만 찔러 가는 노선이었다.
운행 루트는 도남동종점 ↔ 케이블카승강장 ↔ 통영대교, 해양과학대 ↔ 해저터널, 윤이상기념관 ↔ 산복도로 ↔ 충렬사, 세병관 ↔ 고려병원, 한진로즈힐 ↔ 죽림향교 ↔ 터미널 구간이다. 문제는 이 버스는 시간표에도 나와 있지 않고, 실제로 이걸 운행하는 걸 본 사람이 거의 없어서 존재하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었다.

3.2.8. 900번대

터미널로 가는 심야버스 노선.

평림동과 거제대교 외 15곳에 출발해서 시외터미널까지 가는 노선이며, 시내로는 다 가지 않는다. 시민들이 시외터미널까지 여유롭게 이용하려고 이 노선들을 신설한거 같다. 전 노선들이 다른 곳으로 가는 노선들을 개량했다.
딱히 할말은 필요없는거 같지만, 공차였던 노선들이 이 노선으로 전환되는게 큰 호응을 준거 같다. 다만, 단점은 얘네들이 터미널까지만 간다는 점이다. 딴 곳으로 가려면 종점인 터미널에서 환승하고 가자.

주요 노선은 다음과 같다.

3.2.9. 도서지역 노선

사량도, 한산도, 욕지도에는 공영버스 형태로 운영된다.

3.3. 온정버스

2020년 11월 25일에 도산면, 산양읍, 광도면, 용남면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개통했다.
운행 구간은 용남면과 광도면이 시외터미널 기점이고, 도산면은 도산면사무소 기점, 산양읍은 봉평오거리 기점으로 순환 운행한다.
이용 요금은 일반버스 요금이랑 똑같다.

차량은 도서 지역에서 운행했던 카운티랑, 온정버스 전용 도색인 카운티 뉴 브리즈로 운행한다.

4. 요금

승하차 정류장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성인 청소년 초등학생 비고
현금 카드 현금 카드 현금 카드
거제성포 승하차 1,850 1,750 1,500 1,400 1,250 1,150
고성당동 승하차 1,450 1,350 1,150 1,050 900 850
통영시 기본요금 1,500 1,450 1,000 950 750 700

교통카드선불티머니, 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 후불KB국민카드, BC카드, 신한카드, 농협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가 사용되고 있다.

거제 버스와는 거제대교 차고지에서, 고성군 버스와는 고성당동 정류장에서 만나며, 2023년 4월 26일에 거제시 시내버스와 광역환승할인을 시행하지만 고성군 농어촌버스와의 환승할인 혜택은 제공되지 않는다.

통영시 시내버스 노선의 경우 교통카드로 승하차 시 환승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는데, 과거에는 1회에 한해 하차 후 60분 이내 환승 시 무료였으나 2015년 3월 1일부터 동 지역(삼덕, 거제대교, 도산, 노산, 시외터미널 인근 포함)은 하차 후 30분 이내, 읍면 지역(평림동 포함)은 60분 이내로 변경되었다. 이 때문에 반발이 극심하지만 부산교통과 통영시청은 모르쇠로 일관하는 중.[31]

5. 도색

파일:통영 일렉시티 도색.jpg.middle.jpg 파일:통영일렉시티후면.jpg
전면/측면 후면
통영교통 소속 현대 일렉시티 차량.
파일:통영교통 뉴슈퍼 개선형 도색.jpg 파일:통영뉴슈퍼후면.jpg
전면/측면[32] 후면
통영교통 소속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차량.
파일:신흥여객 카운티 도색.jpg
신흥여객 소속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 차량.
과거에는 경남21 도색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지금은 모두 사라지고 경상남도 천연가스버스 도색을 사용한다. 그리고 사량도, 욕지도, 온정버스에는 자체 도색을 쓰고 있다.[33][34] 통영교통 일렉시티에 한해 창원 간선 도색을 살짝 변형한 부산교통 계열사 공용도색을 사용하고 신흥여객 일렉시티의 경우 통영교통 도색과 유사하지만 전면 헤드라이트 아이라인 상단 색상이 통영교통은 파랑, 신흥여객은 민트색이다.

6. 업체

부산•통영교통신흥여객이 운영하고 있는데, 통영교통은 누가봐도 차량 형태나 사명 폰트를 딱 봐도 알 수 있듯이 부팸의 일원으로써, 과거 부산교통 통영영업소에서 부산교통 글씨로만 굴리던 버스를 몇대 정도 떼어내어 이름만 바꾼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통영교통 = 부산교통 형태라 그냥 부팸이라고 보면 쉽다. 부산교통 본사에서 직영하는 진주와는 다르게 현지에서 따로 운용되는 형태이므로 최근에 들어오는 신차는 모두 다 통영교통 글씨를 달고 출고하기 때문에 통영에서 부산교통 글씨로 운행되는 차량의 수가 많이 줄어들긴 했다. 사실 통영에서 부산교통 글씨로 버스가 다니는 것은 진주에서 넘어온 차량이 통영교통으로 글씨를 바꾸지 못하고 그냥 운행하는 점도 있다. 진주의 경우에는 부산교통의 본사가 있는 동네이고 워낙 유명하다보니 부산교통으로 계속 운행하지만.[35]

7. 문제점

7.1. 개막장 버스회사

신흥여객과 통영교통의 사이는 완전 막장으로, 견원지간보다도 더한 원수 관계를 보여준다. 아무래도 통영교통 자체가 부팸의 일원이기 때문에 신흥여객과 굉장히 사이가 나쁜 것은 당연하긴 하다. 진주에서 겪는 삼성교통, 진주시민버스와의 냉전이나 동양고속, 중앙고속과의 냉전은 통영에서의 신흥여객, 천일여객과 겪는 냉전과 비교하면 커피에 불과하다. 애초에 부팸의 최대 천적은 신흥여객, 경전여객, 경남고속인데 이 중 하나랑 같이 버스를 운행하기 때문에 그럴 수 밖에...

과거 신흥여객이 교통카드 단말 계약을 마이비와 하려고 시도했을 때, 과거에는 받아 주었던 신흥여객 발매 회수권을 아예 받아주지 않아 신흥여객이 엄청난 타격을 입게 만들어 결국 가설치 단말기 전체를 철거하고 탑티머니 단말기로 갈아타게 만들었고, 통영시가 신흥여객에 공영버스 인가를 주려고 했을 때는 며칠 동안 시청 앞에서 물리적 시위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시청에 민원업무 차 온 시민들과도 충돌하면서 부산교통의 이미지는 완전히 나락으로 떨어지게 되고, 결국 이 때문에 부산교통은 통영교통이라는 별도 법인까지 만들면서 부산교통이라는 이름을 통영시에서 지워야만 했다. 심지어 서울(남부), 부산(사상)행 직행버스도 대한여객 명의로만 들어올 정도. 그래도 시간이 꽤 지난 지금은 부산교통 글씨로 운행하는 버스도 다수이며, 노후화된 티머니의 트로이카 단말기를 철거하고 마이비와 계약하여 삼원FA의 신형 단말기를 설치했다.

지금도 신흥여객은 8:2 정도로 버스 배차에서 밀리고, 신흥여객 공영버스들은 거의 다 500번대나 600번 장거리 저수요 노선으로 몰빵당하면서 버스 상태가 말 그대로 개판이다. 하긴 그렇게 험한 산길을 달려대면서 유지보수도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로 시간대가 빡빡하다 보니... 그래서 신흥여객 기사들은 부산교통/통영교통 버스만 보면 완전 이를 간다. 자기회사 버스면 몰라도 상대방회사 기사들과의 수신호 인사는 당연히 없다. 다만, 현재는 양사관계가 개선됐는지 양사 기사간 수신호 인사를 웬만하면 받아준다. 물론 부팸과 신흥여객은 워낙 불구대천지수이기 때문에 부팸의 승무원은 신흥여객보다는 자사의 시외버스 노선이나 몇 없는 부팸의 파트너격 회사인 경원고속의 시외버스나 경북고속 노선과 인사하는 일이 더 많다. 신흥여객 또한, 자사 시외버스나 시내버스 말곤 경전여객이나 경남고속뉴부산관광, 천일여객 계열을 포함하여 부팸을 굉장히 혐오하는 회사만 따로 골라서 인사한다.

그리고 통영교통의 경우 상습적으로 버스 운행을 씹는 것으로도 악명이 높아서 도심 외곽에 사는 사람들에게 빅엿을 날리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501번의 경우 삼덕종점에서 밤 11시에 출발하는데, 통영교통이 주박 문제로 2013년 중순부터 이 막차를 상습적으로 임의 결행하고 다녔다. 문제는 중간 정류장 중 하나인 현대아파트 정류장 앞에 관광버스 주차장이 있다는 것. 관광버스 기사들이 인근 숙박 시설이나 펜션 등에 관광객을 내려 주고 이 주차장에서 차를 세운 뒤에 해당 막차를 타고 도심으로 귀가하는데, 멀쩡히 시간표에 나와 있는 버스가 11시 30분이 되도록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 비일비재하자[36] 관광버스 기사들이 부산교통에 민원을 미친듯이 투척하기 시작했고 결국 501번은 막차 임의 결행이 사라졌다. 하지만 노선 씹기는 상습적으로 계속 발생하고 있다.

심각한 차량상태와 난폭운전도 빼놓을 수 없다. 타이트한 시간표와 배차 간격으로 통영시의 버스기사들은 과속이나 꼬리물기, 떼빙, 똥침, 신호위반 등 하루종일 난폭운전을 하게되며, 이에 따른 친절도도 그렇게 좋지만은 않았다.[37] 그나마 시간이 지나자 친절도는 최대한 좋아지는 추세이다. 통영시 시내버스의 골머리인 바닷가에 자리잡은 통영시의 지리적 특성은 차량 관리에도 어려움을 겪게 만들었다. 바닷바람이 많이 불고 해수로 인해 차량의 부식이 심해서 두 회사 모두 차량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통적인 사유는 대충 해안도시의 특성이라지만, 완전히 공통사유만으로는 차량관리가 부실할만하다 보기엔 이르다. 두 회사에도 각자 다른 나름의 속사정이 있으니까. 신흥여객은 부팸의 참견과 압력으로 인해 500번대나 600번대 시리즈처럼 저수요 벽지노선이나 농어촌버스로 밀려나서 열악한 시골길이나 오솔길, 산길을 자주 달리고 차량도 굉장히 부족해서 배차가 극단적으로 빡빡하며 자유시간도 전무하니 중검수는 커녕 유지보수나 간단한 점검조차도 할 타이밍이 없다. 제대로 정비받으려면 무려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의 본사까지 죽음의 원정을 다녀와야한다.

부팸은 부팸 특유의 타이트한 스피드는 물론이고, 정비사 부족 및 해안가 지역 특성상 아무리 차량 관리를 잘 하는 부팸이라도 통영에서는 차량 관리를 잘 못하고 있다. 바닷가를 자주 달리다보니 해수로 인한 차량 부식도 상당하지만 차령이 높은 차량이 통영에서는 다수이다. 인구대비 과다한 버스대수로 인해 신차의 비율을 줄이고, 진주에서 조기 대차하고 대차하기 전 차량을 통영으로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38] 고상버스에도 자동변속기를 꾸준히 갖추는 부팸이지만 통영시내부는 2016년 쯤 되어서야 자동변속기 차량을 도입하기 시작하는 바람에 부팸에서 보기 힘든 수동변속기 차량도 꽤 많이 다니고 있다.[39]

또한 부팸 특성상 스피드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통영에서도 맨날 레드존 변속으로 고RPM 주행을 자주 한다. 특히 수동변속기 차량에서 두드러지는데, 그래서 그런지, 통영시 시내버스의 일부 차량은 엔진에서 할리데이비슨 같은 기괴한 소리가 나기도 한다. 또한 노선LED 불이 꺼진 상태로 현장에 투입하여 노선이 써진 종이를 전면 유리창에 붙이고 운행하거나 승무원이 마이크를 켜서 육성방송을 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현재는 전기저상버스와 수소저상버스를 신차로 다량 출고했으며 자동변속기 차량의 비중도 3분의 1정도 될 정도로 개선이 된 상태이다.

7.2. 노선 번호의 막장성

과거 2자리 수였을 경우에는 노선 번호를 보고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했지만, 개편 후에는 현지인마저 기사에게 물어보지 않으면 안 되는 수준으로 전락했다.
백의 자리 숫자만 그나마 일관성이 있을 뿐 나머지는 도대체 알 수가 없는 데다, 교체식 측면 행선판은 크기도 작아 종점 이외 중간정류장을 4개밖에 적을 수가 없어서 관광객들을 헷갈리게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

참고로 도심지 내에서 중간 분기가 생기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 통영경찰서 ↔ 농업기술센터입구 구간: 죽림향교 방향이냐, 죽림지구 내 아파트단지로 들어가느냐로 갈린다. 비율은 대략 3:7 정도. [40]
  • 디지털프라자/외환은행 ↔ 북신시장 구간: 롯데시네마 방면(관문사거리 경유 우회)이냐, 아니면 무전사거리에서 바로 우회전해서 북신시장으로 바로 찔러들어가는 고려병원 경유로 나뉜다. 비율은 거의 반반이지만, 중단거리 고수요 버스들은 대부분 고려병원 경유로 설정되어 있다.
  • 북신사거리 ↔ 문화마당 구간: 정량동 경유로 완전 빙 돌아가거나, 토성고개 경유로 최단거리로 중앙시장과 북신시장을 잇느냐의 차이이다. 비율은 거의 2:8 정도로 중앙로 경유가 압도적으로 많다. 이 경우 노선번호 가운뎃자리가 1이나 2일 경우 정량동 우회이며, 나머지 모든 버스들은 중앙로 직통이다. 후술한다.

8. 참고사항

  • 중간 자리수에 1이나 2가 들어가는 버스는 모두 정량동 경유 버스이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이러한 버스들은 동피랑마을 입구 앞에 내려주기 때문에(남망산공원입구 정류장) 동피랑마을 관광 시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서호시장 인근에서 터미널로 갈 때는 비추천인데, 완전 D자로 돌아가는 데다가 변전소~북문탕사거리 구간은 화물차도 많이 다니기 때문에 덜컹거리는 차 안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니는 내 짐짝을 볼 수 있다(...). 동피랑마을에서 우리은행 쪽으로 나오면 훨씬 많은 버스가 다니는 중앙로(중앙시장 정류장)가 나오므로 토성고개로 넘어가면 정량동으로 돌아가는 것보다 10분 넘게 일찍 도착한다[41]. 또한 이 버스들이 서는 중앙시장 정류장은 해안주차장이 있는 곳에 따로 떨어져 있으며, 다른 버스들이 서는 중앙시장 정류장과는 걸어서 5분 정도로 떨어져 있지만 이 때문에 사람들이 자주 착각하게 된다.
  • 중간이나 끝자리에 8이 들어가는 버스는 동원고등학교를 경유하며, 도로의 경사가 상당히 가파르기 때문에 잘못하면 또 굴러다니는 짐짝을 볼 수 있다(...). 짐이 많다면 절대 타지 말자. 단 348, 678번은 동원고등학교를 경유하지 않는다.
  • 아침시간에 도남동 방향으로 가는 100번대 버스는 되도록 이용하지 말자. 통영고등학교, 윤이상 기념관을 거쳐가는 버스들인데 문제는 윤이상 기념관 정류장은 통영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이, 통영고등학교 정류장은 통영고등학교 학생들이 타고 간다. 그래서 꼭 타야할 학생들도 못탈정도로 버스가 가득 차는데 버스 안이 거의 전쟁터 수준이다(...) 학생들 사이에 손잡이도 못잡고 끼여있을 자신이 없으면 되도록 타지말자. 봉평오거리 이전 정류장에 가려면 200번대 버스를 타면 된다.
  • 전면부 LED 전광판의 종점 표기(오른쪽 두 종점 중)에 거제대교, 대방포, 내포, 원평, 연기, 성포, 오촌이라고 적힌 버스들은 절대로 버스터미널로 가지 않는다. 이 노선들은 가는 방향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잘못 탔다가는 돌아가는 길도 암담하다.
  • 미수동 방면의 경우, 300번대 버스 전체와 500번대 버스 중 대다수는 충무교를 건넌 후(충무교입구 정류장 이후) 바로 오른쪽으로 빠지면서 미수해안로 정류장으로 들어가지만, 몇몇 버스의 경우 충무교를 건넌 다음 직진하여 봉평오거리 정류장에 정차한 후 좌회전하여 미수동으로 돌아간다. 해당 버스는 501~505, 531, 543번 버스이다. 단, 터미널/거제대교 등 종점행 버스들은 300번대와 500번대 모두 반드시 봉평오거리로 돌아서 가는데, 이는 충무교 인근 도로의 구조 때문이기도 하고 봉평오거리가 미륵도에서 상당히 중요한 버스 승하차 거점이기 때문이다.
  •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의 개통으로 인해 강서구, 사하구 등 서부산에 사는 사람들은 시외버스와 비슷한 소요시간으로 시내버스만으로 통영까지 갈 수 있다. 물론 환승저항이 가장 큰 걸림돌이며, 환승횟수가 하단역에서 서호시장까지는 최소 3회(4번째 버스까지 탑승). 시외버스 업체에서 부산-거제 시내버스 개통에 반대하는 이유 중 하나가 2000번이 고현까지 연장될 경우 시내버스만으로 통영까지 보다 편리하게 갈 수 있게 되어 시외버스 수요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42] 거기에 부산에서 통영까지 시내버스로 가게 되면 예전 시외버스 경로인 거제도를 거쳐서 가기 때문에 사하구 출발이면 시외버스와 거의 엇비슷하고, 명지신도시와 신호지구 출발이면 시내버스가 더 빠르다.[43] 2000번이 연장되면 부산-통영 구간에서 시내버스가 경쟁력을 갖게 되는 건 덤. 참고로 부산 도심에서 통영까지 시내버스로 가면 부산에서의 출발지 및 환승대기시간에 따라 2시간 30분 ~ 3시간 10분 정도 걸린다.
  • 밤 11시가 넘어가면 버스 운행이 거의 다 종료되기 때문에 막차 시간을 어느 정도 숙지할 필요가 있다. 방학/휴일 시간표가 따로 있기 때문에 참고해야 한다.
  • 700번대, 144번(인평동-도남동), 344번(미수동-인평동) 등을 제외한 절대 다수의 통영시 시내버스는 북신시장과 서호시장 정류소에 정차한다. 노선 개편의 핵심 이유가 바로 버스 노선의 시내 구간 일원화였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만복아파트~중앙시장 구간은 교통량이 조금만 많아진다 싶으면 버스들이 전부 비엔나 소시지마냥 줄줄이 꿰여 운행한다(...)
  •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각 방면 막차 (2020.11.25 기준) 평일과 휴일(방학) 노선 시간표 다름
    • 도남동종점: 128번(동원고, 정량동 경유) 22:20 평일만 운행. 환승 시 22:29(401번 승차 후 북신시장 하차, 143번 환승)[44]
      101번 평일 22:27 주말 22:27[45]
    • 용화사종점: 평일 281번(동원고 경유) 22:20 주말 200번 22:20
    • 미수동/삼덕/척포: 삼덕 501번 평일 22:02 주말 22:00[46] 척포 평일 534번 21:40 주말 530번 21:40 미수동 301번 21:17
    • 해양대종점(인평동): 평일 400번 21:30 주말 401번 20:53 평일 401번 22:10 주말 401번 22:10[47]
    • 북신/중앙/서호시장: 600번 23:00[48] 630번 21:45(평림동 행)[주의1] 676번 원산출발 22:35[50][주의2]
  • 터미널 방면 막차 (2020.11.25 기준) 평일과휴일(방학) 노선 시간표 동일
    • 도남동출발: 101번(터미널행) 23:15 (롯데마트 기준 23:35[A])
    • 용화사출발: 231번(터미널행) 22:56 (롯데마트 기준 23:15[A])
    • 삼덕출발: 501번(터미널행) 23:05 (미수동 기준 23:10, 롯데마트 기준 23:31[A])
    • 인평동출발: 평일401번(터미널행) 22:50(롯데마트 기준 23:15[A]) 주말420번(터미널행) 22:50 (정량동기준 22:59, 롯데마트 기준 23:09[A])
    • 서호시장발: 600번(터미널행) 23:20 (롯데마트 기준 23:34[A])


[1] 통영교통(주)•부산교통(주)•신흥여객자동차(주)[2] 예비차 포함/2024년 8월 기준[3] 극히 한정적이다. 고성군은 고성의 끄트머리인 고성 당동(거류면 소재지)과 월평[58]까지 운행하고 거제는 대부분이 거제대교 북단까지만 운행하고 653•953번 버스만 거제 성포까지 운행.[4] 2021년 3월 개편으로 새로 생겨난 노선으로 거제대교부터 통영터미널 방면으로 가는 버스이다.[5] 원평을 들어갔다오는 선형을 제외하고는 매우 750과 선형이 비슷하다.[6] 죽림지구 아파트단지로 들어가지 않고 외곽으로 빠져서 운행하기 때문에 무전동 도심까지는 좀 더 빨리 들어갈 수 있다.[편도] [8] 유일하게 케이블카 승강장 앞에서 내려주는 노선이다. 다른 100대 노선들의 경우 발개삼거리 정류소에서 내려서 좀 걸어올라가야 한다.[9] 181번만 경유[10] 100번대가 통영고 학생들을 가끔 노룩패스를 해버리기 때문에 봉평오거리에서 내려 걸어가는 통영고 학생도 볼 수 있다.[11] 삼화삼거리부터 내포종점까지는 이 노선의 독점구간이다.[12] 중앙로 연선의 정거장이 아닌 통영해안로 연선의 정거장이다. 즉 강구안 쪽에서 내려준다.[13] 200번대 노선 중 유일하게 미수동을 건너는 노선이며 통영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통영대교를 건너는 노선이다![14] 그 이유가 경상대학교 통영캠퍼스, 충무중학교, 충무여자중학교, 인평초등학교 등 학교가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줄잡아 거의 2,000여 명의 학생들이 움직이는 곳이기 때문에, 등하교 시간이 겹치는데 비해 노선이 4XX번대로 한정되어 있어 마치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상케 한다. 실제 다른 학교 학생들도 400번대 노선의 등하교 시간대 혼잡도는 인정할 정도.[15] 다른 노선들은 북행은 두룡초등학교 정류장, 남행은 윤이상기념관 정류장에서 하차해서 좀 걸어야 한다.[편도] [편도] [18] 독점 구간이다. 연선 치안이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도 유명.[19] 이 버스는 특이하게 동원중고등학교를 지나는데 마지막에 8이 붙는 이유는 정량동을 경유하기 때문이다.[편도] [21] 죽림과 인평동을 직빵으로 이어주기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절찬리에 이용중이다.[22] 참고로 이버스는 통영시의 일종의 급행과도 같은버스다. 400번대 노선을 타고 인평동에서 터미널을 가려면 빨라도 40분은 잡아야하지만 440번을 타면 20분안에 간다.[편도] [편도] [25] 즉 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편도] [편도] [편도] [29] 온정버스와 차량을 공유한다.[30] 통영시보건소까지는 206번이랑 같이 운행.[31] 30분 이내 환승할인 지역은 버스가 상당히 자주 오기는 하지만, 도산/노산지역이 포함된 것은 엄청난 무리수이다. 한 버스만 놓쳐도 바로 망한다![32] 경남 마크가 적용되지 않았다.[33] 한산도에서는 경상남도 천연가스버스 도색을 사용한다.[34] 통영교통 6655호 같은 일부 온정버스에는 경남천연가스버스 도색이 적용되어있다.[35] 과거에는 삼포교통(사천/삼천포)도 부산교통으로 차를 굴렸다. 삼포교통 역시 사천과 삼천포 주민들에게 친숙함을 주기 위해 현지 영업소에서 이름만 바꾼 것이다. 하지만 삼포교통의 경우에는 부산교통 글씨가 아직 남아있는 통영과는 다르게 모든 차량의 부산교통 글씨가 사라지고 삼포교통으로 다니고 있다.[36] 삼덕종점에서 미수현대아파트까지는 아무리 기어와도 20분 안이면 도착한다. 심야에는 이 구간을 10분 전후로 주파하기도 한다![37] 친절도의 경우에는 원래는 전반적으로 부팸만 좋긴 했다. 하지만 요즘은 신흥여객도 괜찮아지는 추세이다.[38] 물론 내구연한인 11년 6개월에는 한참 못 미치는 차령이다.[39] 수동변속기 차량은 진주 부산교통 출신 자동변속기 차량 및 자체 출고분 전기•수소 차량으로 꾸준히 대차되고 있긴 하다.[40] 여기서 약간의 팁을 주자면 600번중 터미널를 중간정거장으로 삼는다면 대부분 향교 경유버스 이다.[41] 애초에 정량동 경유 버스는 모든 버스를 다 합쳐도 15~20분에 한 대꼴로 도착하므로, 중앙로로 나오면 이 간격이 30초~2분까지 줄어든다.[42] 지금은 연초에서 끊기기 때문에 거제도에서의 환승저항으로 인해 하단역에서 서호시장까지 3번 환승 (4탑) 해야 하지만, 2000번이 고현까지 연장될 경우 하단역에서 타면 2회 환승 (3탑)만 하면 되고, 부산 도심, 멀리까지 보면 기장군 청강리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해야 3번 환승 (1001번 or 1011번 - 2000번 - 거제 40번대 노선 - 통영 100번)이 된다. 더군다나 해안일주도로 급행노선인 1011번이 개통되어 시내버스를 이용한 해운대 ~ 통영 소요시간이 줄었다. 어차피 부산에서 충무까지 가려면 시내버스로 가나 시외로 가나 4번은 갈아타야 된다.[43] 명지에서 서호시장까지의 경우 시내버스 3탑, 시내버스+시외버스 4탑으로 시내버스가 더 유리하다.[44] 2018년 12월 10일부터 128번 22:20분 차량은 운행하지 않고 21:00분 차량만 운행하며 도남동 방면막차가 38분이나 단축됐다.[45] 2019년 7월 4일에 평일 막차시간이 21:42분에서 21:37분으로 5분 단축되었다.[46] 무전동에서 502번 22:40막차[47] 2019.02.07부터 막차시간이 평일에는 70분 주말에는 1시간 17분 연장 됐다.[48] 2019.02.07부터 600번 막차시간이 평일 2시간 50분 주말 1시간 15분 단축되었으나, 2019년 11월 25일부터 600번 평일/주말 막차시간이 23:00분으로 연장되었다.[주의1] 서호시장을 지나 평림동까지 간다. 버스에서 잠이 와도 참아야 한다. 졸다가 평림동까지 가면 돌아 나오는 방법은 (콜)택시밖에 없다.[50] 2019년 11월 25일부터 676번 종점행 운행횟수 감회로 인해 22:35분에서 19:45분으로 2시간 50분 단축되었다.[주의2] 터미널 출발이 아닌 도산면 쪽에서 오는거라 676번 막차를 이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A] 예정시간이므로 5~10분 차이는 있다.[A] 예정시간이므로 5~10분 차이는 있다.[A] 예정시간이므로 5~10분 차이는 있다.[A] 예정시간이므로 5~10분 차이는 있다.[A] 예정시간이므로 5~10분 차이는 있다.[A] 예정시간이므로 5~10분 차이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