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06:26:51

신라구

한구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
,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틀해적.png 해적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해적선(사략선) 졸리 로저 인물 창작물 우주 해적
{{{#!wiki style="margin: -15.5px -11px;" 문서가 개설된 해적 목록
동양
신라구 | 왜구 | 화구 | 도이 | 중국 어선단 | 아부 사야프
서양
바이킹 | 코르세르 | 구호기사단 | 버커니어 | 해적 공화국
중양·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바다 민족 | 바르바리 해적 | 소말리아 해적 | 기니만 해적
}}}
}}}}}}}}} ||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4a2d5b,#0e0f37>전쟁·정벌우군세력교전세력
신라-가야 전쟁 <colbgcolor=#4a2d5b,#0e0f37> ,황산진구 전투,
,77,
- 가야
,마두성 전투,
,94,
- 가야
,황산하 전투,
,115,
- 가야
,포상팔국 전쟁,
,209,
안라국 포상팔국 연맹
신라-왜 전쟁
,(신라의 일본침공사례),
,364 ~ 404
(291 ~ 720)
,
고구려 가야, 백제, 왜국
신라-우산국 전투
,512,
- 우산국
이와이의 난
,527,
규슈 긴키
독성산성 전투
,548,
백제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백제, 가야 고구려
관산성 전투
,554,
- 백제, 가야, 왜국
가야멸망전
,562,
- 가야, 백제, 왜국
아막성 전투
,602,
- 백제
북한산성 전투
,603,
- 고구려
가잠성 전투
,611,
- 백제
가잠성 전투
,618,
- 백제
가잠성 전투
,628,
- 백제
칠중성 전투
,638,
- 고구려
대야성 전투
,642,
- 백제
황산벌 전투
,660,
- 백제
백제멸망전
,660,
당나라 백제
칠중성 전투
,660,
- 고구려
북한산성 전투
,661,
- 고구려, 말갈
과천 전투
,662,
- 고구려
백강 전투
,663,
당나라 백제 부흥군, 왜국
사천 전투
,668,
- 고구려
평양성 전투
,668,
당나라 고구려
나당 전쟁
,670 ~ 676,
석문 전투
,673,
고구려 부흥군 당나라
호로와 왕봉 전투
,673,
- 당나라
칠중성 전투
,675,
- 당나라
매소성 전투
,675,
- 당나라
기벌포 전투
,676,
- 당나라
발해-당 전쟁
,732~733,
당나라 발해
김헌창의 난
,822,
- 장안국
달벌대전
,839,
- 청해진, 김우징
신라구의 일본 침입
,811 ~ 936,
- 일본
후삼국 통일 전쟁
,889 ~ 936 ,
원종ㆍ애노의 난
,889,
- 원종애노
대야성 전투
,901,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16,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20,
- 후백제
서라벌 기습
,927,
고려 후백제
고창전투
,930,
후백제 고려
운주성 전투
,934,
고려 후백제
}}}}}}}}}||

신라구의 일본 침공
新羅の入寇, 新羅寇
<colbgcolor=#4a2d5b,#0e0f37><colcolor=#fbe673> 시기 811년 (헌덕왕 3년) ~ 10세기
장소 일본 규슈 지역 및 쓰시마, 이키 등 부속 도서.
원인 신라 말~후삼국시대 혼란에 따른 해적의 발흥
교전 세력 <rowcolor=black> 신라구
(공세)
일본
(수세)
주요 인물
지휘관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진성여왕[1]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현춘
[2]
지휘관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훈야노마히토 요시토모([ruby(文,ruby=ふみ)][ruby(室,ruby=や)][ruby(眞,ruby=ノま)][ruby(人,ruby=ひと)][ruby(善,ruby=よし)][ruby(友,ruby=とも)])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사카노우에노오오스쿠네 타키모리([ruby(坂,ruby=さかノ)][ruby(上,ruby=うへ)][ruby(大,ruby=ノおほ)][ruby(宿,ruby=すく)][ruby(禰,ruby=ね)][ruby(瀧,ruby=たき)][ruby(守,ruby=もり)])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오노노아소미 하루카제([ruby(小,ruby=を)][ruby(野,ruby=の)][ruby(朝臣,ruby=ノあそみ)][ruby(春,ruby=はる)][ruby(風,ruby=かぜ)])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타무라노 타카요시([ruby(田,ruby=た)][ruby(村,ruby=むらノ)][ruby(高,ruby=たか)][ruby(良,ruby=よし)])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벤균(面均)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시모노 이마누시([ruby(下,ruby=しもノ)][ruby(今,ruby=いま)][ruby(主,ruby=ぬし)])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토요마루노 하루타케([ruby(豐,ruby=とよ)][ruby(圓,ruby=まるノ)][ruby(春,ruby=はる)][ruby(竹,ruby=たけ)])
일본인 가담자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야마노 하루나가([ruby(山,ruby=やまノ)][ruby(春,ruby=はる)][ruby(永,ruby=なが)])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후지츠노 사다츠([ruby(葛,ruby=ふぢ)][ruby(津,ruby=つノ)][ruby(貞,ruby=さだ)][ruby(津,ruby=つ)])
파일:nishikinomihata_small.png 나가오카노 후지츠([ruby(永,ruby=なが)][ruby(岡,ruby=をかノ)][ruby(藤,ruby=ふぢ)][ruby(津,ruby=つ)])
신라인 가담자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이빈장 (儞賓長)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윤청 (潤淸)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청배 (淸倍)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조창 (鳥昌)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남권 (南卷)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안장 (安長)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전운 (全運)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과재 (果才)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감삼 (甘參)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장언 (長焉)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재장 (才長)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진평(眞平)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장청(長淸)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대존 (大存)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배진 (倍陳)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연애 (連哀)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향숭 (香嵩)[3]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전승 (傳僧)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관해 (關解)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원창 (元昌)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권재 (卷才)
병력 신라군: 2,500여명 병력 규모 불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
결과 일본 규슈 등 서부해안지역 초토화
영향 후계 한반도 왕조들과 일본 간 우호관계 단절[4]

1. 개요2. 일본 측 기록
2.1. 811년의 신라구(弘仁の新羅の賊)2.2. 820년 신라인의 난(弘仁新羅の亂)2.3. 소강기2.4. 866년 대마도 침공 계획2.5. 869년의 신라구(貞觀の入寇)2.6. 893년의 신라구(寛平の韓寇)
3. 한국 측 기록4. 이후

[clearfix]

1. 개요


통일신라 후기 9세기부터 후삼국시대 무렵 10세기 초반까지, 일본 헤이안 시대 중반기에 존재한 한국의 대표적 해적. 신라 쪽 해안을 근거지로 해서 일본을 약탈한 한국계 해적 집단이다.

신라구라는 이름 탓에 (삼국시대의) 신라인들이 주축이 되었을 것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기록을 보면 이들의 근거지는 주로 전라도 일대, 즉 백제계 유민[5]들이 주축이었으며 이들을 소탕하기 위한 대(對) 신라구 부대 역시 장보고, 견훤[6] 같은 전라도 지역 호족[7]들이 주축이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대(大) 신라구 시대는 백제계 유민끼리의 내전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볼 수 있다.

일부 중국인이 포함되었다는 기록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 이름 그대로 신라인 해적이었다. 신라어 통역이 필요했다는 기록도 여러 번 등장하기 때문. 이후의 왜구도 전부 일본열도 출신만 있던 건 아니었고, 일부 중국인이나 고려인들이 참여하기도 했다.

일본에서 해적질하다 사로잡힌 현춘은 자신을 포함한 휘하의 해적들이 신라 왕의 명을 받고 쳐들어온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당시 진성여왕이 실제로 해적의 일본 약탈을 사주했거나 도와주었을 수도 있고 그냥 현춘이 변명을 대려고 왕명을 사칭한 것에 불과할 수도 있어 기록이 간략하게 전해오는 탓에 자세한 내막을 알기는 어렵다. 이 시절 신라 조정은 지방의 반란을 통제하지 못하고 쇠퇴한 상황이긴 했지만, 어차피 사략 해적은 직속 신하가 아니라 따로 발생해 활동하는 해적에게 사주하는 개념이니까 이론상 불가능한 상황은 아니다.[8]

현춘의 진술도 그렇고 일본 사서의 몇몇 기록을 문구 그대로 받아들이면 무법자 해적이 아니라 '그냥 신라 해군'이었을 여지도 충분하다. (《일본삼대실록》 870년 2월 12일 기사.) 일본 기록에서도 '신라 해적'과 '신라'를 구분하지 않고 그냥 신라라는 나라가 일본을 호시탐탐 노리고 계속 쳐들어온다는 식으로 써 놓은 게 대부분이다. 사략 해적과 전근대 해군의 경계가 모호한 건 세계사에서 꾸준히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다. 영국프랜시스 드레이크만 해도 그렇다. 일부 신라구가 견훤처럼 신라군 정규군이 군벌화된 케이스라면 해적과 해군 둘 다였을 수도 있고. 다만 전부 신라 정부의 통제하에 있던 건 아니었다는 것 하나는 확실한데 장보고도 그랬지만 위의 견훤도 그 해적을 토벌하기 위해 정부군을 이끌도록 배치된 케이스였기 때문. 신라 말기에는 중앙정부가 정권 다툼으로 지방 통제력이 약화된 사이 지방 세력들이 떨어져 나가 지방에서 독자적인 권력을 누리게 되었고(호족), 동시에 기근까지 겹쳐 백성들의 생활이 매우 어려워지자 붉은바지단이 각지에서 창궐할 만큼 치안이 나빠졌다. 즉 굳이 해적이 아니라도 산적 등 생업을 포기하고 도적으로 전락한 사람들이 많았다.

신라구도 이렇게 생겨나 한반도 근해에서 활동하다 멀게는 가까운 일본 해안가까지 넘어가 약탈을 벌인 것으로 추측된다. 신라 해적의 활동이 시작된 것은 대략 9세기 전반부터이다. 그러다가 장보고가 9세기 당시 당나라, 신라, 일본등을 오가며 한반도 근해에서 날뛰던 해적들을 완벽히 때려잡고 해상을 안정시킨 9세기 중반에는 일본 기록에서도 신라구의 약탈 기록이 크게 줄어든다. 그리고 장보고와 청해진이 역사에서 자취를 감춘 9세기 후반부터 다시 늘어나기 시작, 후삼국시대 초기에 규모에서 절정을 찍게 된다.

게다가 당나라도 9세기 중후반이 되면 이사도의 난, 황소의 난 등을 거치면서 점점 쇠퇴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인들도 신라 해적단에 일부 합류했고, 황해 바다는 해적의 천국이 되었다. 그리고 이 중 일부가 일본까지 원정을 뛴 것이다.

한반도는 매번 왜구들에게 털리기만 했다고 아는 사람이 많은데, 그 반대도 존재하기는 했다. 일본 측 사서들에서는 신라가 일본을 침공한 기록들이 꽤나 많이 확인이 되며 또한 이후의 신라구들 때문에 규슈 지역의 일부는 한 때 사람이 못 살 정도가 되었고, 일본 정부에서는 신라인 입국 금지 조치를 내리며, 일부 지방에서는 징병제를 시행할 정도였다.

일본 측 기록을 살펴보면 신라구가 흥성할 때는 1,000명 단위로 되는, 사실상 군사집단이나 다름없는 신라구들이 규슈로 쳐들어 갔다. 이들이 규슈로 간 것은 규슈가 일본 본토 중 한반도와 가장 가까웠기 때문으로 보이며 신라인 이민자가 많아 정보를 얻기 쉬웠다는 점도 한 몫 했다고 보기도 한다. 한반도로부터 거리가 가장 가까운 쓰시마 섬, 이키 섬, 고토 제도도 주요 약탈 대상이었다.

아무래도 신라구가 날뛰는 시기는 워낙 혼란스러운 시기다 보니 한국 측의 사료는 견훤과 왕건이 당대에 날뛰던 한반도 서해와 남해의 해적을 소탕했다는 식의 기록을 제외하면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고, 일본의 사서에서는 자세하게 나온다.

한국 측 사료에는 신라 말부터 전국 각지에서 도적이 날뛰어서 백성들이 힘들었다니, 세상이 혼란해졌다니 하는 기록은 있는데 도적의 목록이나 일본이나 중국으로까지 가서 약탈을 하거나 무역을 했다는 식의 활약상(?)까지 일일이 나오지는 않고 그냥 당대에 세를 떨쳤던 도적들에 대해서나 간략하게 나오는 수준이다. 장보고견훤, 왕건이 해적을 때려잡아서 기반을 다졌다고는 하나, 해당 해적조직들이 일본이나 중국에까지 가서 어떻게 노략질했는지에까지 대해서 적은 것은 아니다.

한국의 사료에서 기록이 소략하지만 일본 사서의 기록이 매우 상세하기 때문에 신라구의 해외 활동(?)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견훤이나 왕건이 해적을 소탕한 것을 공으로 내세웠을만큼 신라내에서도 해적이 상당한 골칫덩어리였던 것은 마찬가지이기는 하다. 당시 당나라도 막장 상황이라 동아시아에서 당나라 해적들도 골칫거리였다. 장보고가 특히 당나라 해적들을 많이 소탕했다. 마찬가지로 13세기 이후 왜구 또한 일본 본토에서도 커다란 골칫거리여서 막부 정권에서도 왜구를 소탕하기위해 꽤나 노력을 하였다.

한국 고대사의 경우 동시기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 사료가 너무 부족하여 교차검증이 매우 어렵다. 신라구는 현춘이나 능창[9]처럼 후삼국시기 해적들이 유력 호족들의 명령을 받아 움직이는 일종의 사략 집단이었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 또한 견훤이나 왕건이 해적을 때려잡았다고는 하지만 어차피 견훤의 후백제나 왕건의 고려 모두 호족연합국가적인 측면이 강했기 때문에 때려잡지 못한 해적들도 상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반대 사례라고 할 수 있는 왜구도 일본 사서의 기록보다는 중국, 한국 사서에 훨씬 더 자세하게 기록되어있다. 아무래도 피해를 준 쪽보다는 입은 쪽이 더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왜구나 신라구가 발호해서 그 규모가 커져 해외까지 원정나갈 정도면 이미 자국에서는 중앙정부가 통제력을 잃어 내전이 벌어지고 있던 막장 상황(일본의 남북조시대와 전국시대, 통일신라 말기의 후삼국 발호 등)이라 국내 치안 문제조차 손도 못쓰는 지경에 이른다.

그러니 국내에서 사서 기록은 커녕 해적에게 신경쓰는 것 자체가 정권 능력 밖의 일이었다. 신라구가 규모가 커지고 일본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는 시기와 동시대인 진성여왕 치세는 지방 통제력이 무너져 신라 내륙 지방에서 세금 걷는 길이 막힐 정도였다.

2. 일본 측 기록

신라구와 별개로 《능백묵서》(綾布墨書)와 《해동제국기》에 따르면 718년과 720년에 신라가 서일본 변방을 두 차례나 공격했다는 기록들이 있다. 이 기록들은 《삼국사기》에는 전혀 없는 내용들이다. 자세한 내용은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문서를 참조.

811년 이전까지는 일본에서 신라인의 개별적 범죄 같은 사건은 간간히 있어왔지만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겨우 몇 번 정도로, 사무역이 활발하고 일본 서부에 체류하는 신라인이 많았던 당시 분위기상 흔한 사태는 아니었다. 본격적으로 조직적인 해적들이 등장하는 것은 811년 부터이다.

2.1. 811년의 신라구(弘仁の新羅の賊)

811년 8월 일본 다자이후(대재부)에서 조정에 올린 공문을 보면 신라인들이 자신들이 살던 지방의 곡식을 운반하고 있었는데 지금의 전남, 경남 쪽 지방에서 남해안 연안을 거쳐 수도 서라벌로 세곡을 운반하는 일종의 조운선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도중에 바다에서 해적을 만나 다른 사람들은 모두 죽고 김파형(金巴兄), 김승제(金乘弟), 김소파(金小巴) 세 사람만 겨우 살아 남아 일본 땅에 표착했는데 그 후 이들을 신라로 돌려보내줬다고 한다.(《일본후기》)

811년 12월 6일, 쓰시마 섬 서쪽 바다에 신라 배 3척이 나타났고 그 중 1척의 배가 사스우라(佐須浦)에 다다랐다. 현 쓰시마섬 이즈하라의 코모다하마(小茂田濱)인데 훗날 원나라의 일본원정몽골군이 상륙한 곳도 이 곳이다. 배 안에는 10여 명이 있었는데 신라어가 통하지 않아 사정을 알 수 없었다고 한다. 다음날 또 20여 척이 나타나 횃불로 서로 연락하는데 그 모양을 보아 해적선이었다고 한다. 전투가 일어나 먼저 표착한 신라인 5명을 죽이고, 5명은 도망갔으나 4명은 붙잡았으며 무기고를 지키고 군사를 내었다. 쓰시마에서 신라 쪽을 바라보니 매일 밤 여러 곳에서 불빛이 빛나고 있었다고 한다. 지금도 대마도에서 육안으로 부산, 거제 지역이 보인다. 일본 조정은 신라에서 쳐들어올까 우려해 쓰시마에 신라어 통역과 군을 파견하고 인접한 나가토, 이즈모 등 요충지에 군사를 배치해 경계하도록 했다.

『일본기략(日本紀略)』에 의하면 813년 2월 29일에는 신라인 110명이 작은 배 5척에 나눠타고, 지금의 나가사키고토시인 오지카시마(小値賀島, 당시 표기는 小近島. 발음은 같음)에 상륙해 현지인과 맞붙어 9명은 죽고 101명은 붙잡혔다.

2.2. 820년 신라인의 난(弘仁新羅の亂)

이들은 신라 본국에서 출항한 해적이 아니라 일본 내에 거주하던 신라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해적이 된 사건이다. 지금의 일본 동부 시즈오카현스루가, 도토미에는 밀무역을 행한 죄인 등 다수의 신라인 범죄자들을 유배시켜놓은 상태였는데, 이들이 힘을 합쳐 반란을 일으켜 주민들을 죽이고 관공서를 불살랐다. 현지 병력으로 공격했지만 제압에 실패했고 신라인들은 이즈를 습격한 후, 바다로 나와 해적질을 했다. 무사시간토 7개 쿠니(국)의 병력을 원병으로 동원해 겨우 제압했다고 한다.

2.3. 소강기

이런 사건들로 인해 일본인들의 신라에 대한 감정이 나빠지게 되었고, 834년에는 해적이 아닌 신라인들이 다자이후 앞바다에 오자 일본인들이 마구 활을 쏴 상처를 입히고 이에 조정에서 활을 쏜 자를 처벌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835년에는 신라 상인들이 일본 해안을 염탐하는 것이 끊이지 않는다고 해안경계를 강화했다. 그러나 장보고청해진을 설치하고 신라 근해의 해적을 소탕하자 9세기 중반 일본 측 기록에서도 신라 해적에 관한 기록이 거의 사라졌고, 839년에는 일본 견당사가 튼튼한 신라 배를 빌려타고 귀국하는 등 우호적인 관계가 이어졌다.

2.4. 866년 대마도 침공 계획

866년, 히노미치노쿠치([ruby(肥前國,ruby=ひノみちノくち)]) 키이노코오리([ruby(基,ruby=キ)][ruby(肆,ruby=イ)][ruby(郡,ruby=ノこほり)])의 코오리노모도키미야츠코([ruby(擬大領,ruby=こほりノもどきみやツこ)])[10]인 야마노 하루나가([ruby(山,ruby=やまノ)][ruby(春,ruby=はる)][ruby(永,ruby=なが)])가 신라인 이빈장(儞賓長), 그 외 각급 관직에 있는 45명과 손잡고 신라의 쇠뇌 기술을 이용해 쓰시마섬을 쳐서 빼앗자는 계획을 짰지만 사전에 들통나 무산되었다. 일본 측은 즉각 신라와 가까운 주고쿠와 규슈의 여러 쿠니를 단속하고 경계를 강화할 것을 명했다.

그 외 866년 오키노쿠니 사람 아즈미노 사키오([ruby(安曇,ruby=あづみノ)][ruby(福,ruby=さき)][ruby(雄,ruby=を)])는 오치노스쿠네 사다아츠([ruby(越,ruby=を)][ruby(智,ruby=ち)][ruby(宿,ruby=ノすく)][ruby(禰,ruby=ね)][ruby(貞,ruby=さだ)][ruby(厚,ruby=あつ)]) 등이 신라인과 손잡고 반역을 도모했다고 밀고했으나 이건 사실이 아니라 무고였다. 아즈미노 사키오는 모함한 죄로 멀리 유배형에 처했다.

2.5. 869년의 신라구(貞觀の入寇)

869년 5월 22일, 신라 해적이 두 척의 큰 배를 타고 하카타(후쿠오카)에 상륙해 토요쿠니노미치노쿠치([ruby(豐前國,ruby=とよくにノみちノくち)])에서 수도 교토로 보낼 공물을 약탈해갔다. 일본 측은 군사를 보내 뒤쫓았으나 일본군의 기강이 해이해 적극적으로 싸우려 하지 않아 대부분 사로잡지는 못했고, 해변의 백성 5, 6명이 죽음을 무릅쓰고 쫒아가 싸우다가 활을 쏘아 두 해적에 부상을 입힌 정도였다고 한다. 이 사건에서 일본군은 거의 제 역할을 하지 못했는지 일본 중앙정부는 여기를 관할하는 다자이후를 강하게 비난, 견책 처분하고 국방체계를 대대적으로 뜯어고쳤다. 869년 12월 14일, 29일에도 신라 해적의 극심한 일본 침입과 약탈이 신궁과 신사에 보고됐다.

870년 대마도 사람 우라베노 오토쿠소마로([ruby(卜,ruby=うら)][ruby(部,ruby=べノ)][ruby(乙,ruby=おと)][ruby(屎,ruby=くそ)][ruby(麻呂,ruby=まろ)])가 신라 바다 근처에 가마우지를 잡으러 갔다가 신라국에 붙잡혀 감옥에 갇혔다. 그가 살펴보니 당시 신라에서는 큰 배를 만들고 군사를 훈련하고 있었으며, 신라인에게 물어보니 신라가 대마도를 정벌하기 위한 준비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는 겨우 탈옥해 일본 본국에 이 사실을 전하고 본국의 지원을 요청, 대비했다고 한다.

다만 개인이 소식을 전해들은 것이라 당시 신라 경문왕 정권이 국가적으로 진지하게 대마도 정벌 준비를 했는지는 불확실하다. 혹은 당시 신라구 해적이 일본 연안을 약탈하는 일이 잦았다는 점이나 이후 점점 신라구의 규모가 수천 단위로 커진다는 점을 볼 때 오토쿠소마로가 붙잡히고, 또 봤던 것은 정식 신라 해군이 아닌 대규모 신라인 해적기지였을 수도 있다. 국가적인 침공 준비였다면 무엇보다도 보안에 철저해야 했을 텐데 이미 사로잡은 목격자를 살려두지는 않았을 것이다.

869년의 공물 약탈에 위의 대규모 전쟁 준비 썰까지 겹치자 일본 측은 위기감을 느끼고 결국 다자이후 관할에 있는 일본 서부지역 전체의 신라인들을 무츠 등 일본 동부로 강제이주시킨 후, 구분전(口分田)을 주고 귀화시키기로 결정했다. 신라인을 강제이주시킨 일본 동부는 현대에야 수도권(일본)도호쿠 지역으로 일본화가 완료됐지만 당시는 야마토 민족과 구분되는 에조와의 다툼이 계속되는 황량한 미개척지였다. 870년 9월, 신라 해적에 가담한 혐의로 신라 상인 윤청(潤淸) 등을 일본 동부 도호쿠로 유배시킨다. 윤청 등은 기와를 만드는 재주가 있어 기와 만드는 일에 종사하게 하고 일본인에게 그 기술을 전수하도록 명령했다.

870년 11월 13일, 다자이후의 쇼니(少弐) 후지와라노아소미 겐리마로([ruby(藤,ruby=ふぢ)][ruby(原,ruby=はら)][ruby(朝臣,ruby=ノあそみ)][ruby(元,ruby=ゲン)][ruby(利,ruby=リ)][ruby(万,ruby=ま)][ruby(侶,ruby=ろ)])[11] 등 다섯 사람이 신라인과 내통해 모반을 계획한 혐의로 체포되었다.[12]

872년 5월 발해 사신단 60명이 배 2척에 타고 사쓰마에 표착했지만, 서로 말이 다르고 의심스러워 신라 해적이 일본과 친밀한 발해인을 사칭해 거짓말을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붙잡았다. 한 척은 예인 도중 도망갔다고 한다.

2.6. 893년의 신라구(寛平の韓寇)

이 시기는 견훤이 무진주에서 892년 왕을 자칭하는 등 신라 말의 혼란이 본격화된 시기였고, 893년부터 있었던 신라구는 그 활동범위나 규모에서 절정기였다.

《일본기략》과 《부상략기》에 의하면 893년 5월 11일, 다자이후는 신라 해적을 발견했다. 이들은 히노미치노시리([ruby(肥後國,ruby=ひノみちノしり)], 지금의 구마모토현)을 습격해 사람을 죽이고 민가를 불태우고 히노미치노쿠치([ruby(肥前國,ruby=ひノみちノくち)], 지금의 사가현, 나가사키현)를 습격했다. 이듬해 894년 2월 22일, 3월 13일, 4월 14일에도 신라 해적이 변방의 섬을 약탈했다. 일본 중앙정부는 후지와라노아소미 쿠니츠네([ruby(藤,ruby=ふぢ)][ruby(原,ruby=はら)][ruby(朝臣,ruby=ノあそみ)][ruby(國,ruby=くに)][ruby(經,ruby=つぬ)])[13]를 보냈지만 해적은 이미 도망간 뒤였다.

894년 9월에 대규모 신라구가 침입했는데, 그 규모는 100여척의 전선에 2,500명의 병력이었으며 당나라 사람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정도 병력규모면 후삼국시대 고려후백제의 정규 수군 규모와도 맞먹을 정도인데, 규모가 과장된 것이 아니라면 후삼국시대 초기 해상 대호족의 후원을 받는 세력이었을 것이다. 훗날의 왜구 역시 지방 영주의 후원을 받는 세력이 있었다.

9월 5일 아침, 45척의 신라 해적선을 맞아 싸운 자는 일본 조정에서 파견된 장군 훈야노마히토 요시토모([ruby(文,ruby=ふみ)][ruby(室,ruby=や)][ruby(眞,ruby=ノま)][ruby(人,ruby=ひと)][ruby(善,ruby=よし)][ruby(友,ruby=とも)])[14]였다. 그는 일본 국내의 여러 전란에서 10년 이상 뛰어 실전경험이 풍부한 장수였다고 한다. 그는 타무라노 타카요시([ruby(田,ruby=た)][ruby(村,ruby=むらノ)][ruby(高,ruby=たか)][ruby(良,ruby=よし)])를 시켜 군사를 정비한 뒤, 쓰시마섬 고쿠분지의 승려 벤균(面均)과 가미아가타노코오리([ruby(上,ruby=かみ)][ruby(縣,ruby=あがた)][ruby(郡,ruby=ノこほり)])의 코오리노치이사미야츠코([ruby(副大領,ruby=こほりノちひさみやツこ)])[15] 시모노 이마누시([ruby(下,ruby=しもノ)][ruby(今,ruby=いま)][ruby(主,ruby=ぬし)])를 압령사(押領使)로 삼아 100명의 병사를 각각 5명씩 20개 번으로 나누고, 토요마루노 하루타케([ruby(豐,ruby=とよ)][ruby(圓,ruby=まるノ)][ruby(春,ruby=はる)][ruby(竹,ruby=たけ)])에게 40명의 약한 병사를 맡겨 그를 미끼로 요시토모가 있는 곳까지 적을 유인하고 양동작전으로 쇠뇌를 한꺼번에 쏘게 했다. 신라 해적단도 여기에 응해 사격전이 벌어졌지만 비처럼 쏘아대는 화살에 도주했고, 도주하는 신라 해적을 추격했다. 그 후 10월 6일까지 토벌전이 계속되었고 대장 3명과 부장 11명을 포함한 도적 302명을 사살한다. 《일본기략》에서는 200명 정도를 사살했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배 11척과 각종 전쟁병기를 노획했다.

이 때 사로잡힌 자로 현춘이 있었는데, 그는 신라에 큰 흉년이 들어 굶주렸기 때문에 자신들은 물자를 얻기 위해 신라 왕의 명령으로 쳐들어온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자신들은 신라 왕이 파견한 수많은 부대 가운데 일부분일 뿐이라고 증언했다. 또한 붙잡히지 않고 퇴각한 자들 가운데 뛰어난 장군이 셋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당나라 사람(唐人)이라고 했다.

이듬해인 895년에도 신라 해적이 이키 섬을 습격해 관사를 불태웠다.

3. 한국 측 기록

  • 신증동국여지승람》 <충청도> -면천군조-에는 고려의 개국공신이었던 복지겸의 조상인 복학사(卜學士)라는 인물이 당나라에서 신라 면천군으로 넘어올 때 해적을 소탕하고 현지인을 보호했다고 한다.#
  • 삼국사기 <장보고 열전>에서 신라로 귀국한 장보고는 흥덕왕에게 청해에 진영을 설치해 해적들이 사람들을 붙잡아서 당나라에 파는걸 금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청해진이 설치되면서 바다에서 신라인들을 노비로 파는 자가 없어졌다고 한다.
  • <견훤 열전>에 의하면 신라 조정은 장군 견훤을 시켜 서남해 바다의 해적을 소탕하게 했다. 견훤은 해적을 소탕하면서 세력이 모이자 자기 휘하의 신라군 부대를 기반으로 서남해에서 반란을 일으켜 892년 왕을 자칭한다. 다만 아래 기록들을 보면 견훤이 소탕했다 해도 여전히 890년대 남해안에는 많은 해적이 더 남아있었던 듯 하다.
  • 삼국유사》 <거타지조>에는 진성여왕이 재위하던 시기(887~897)에 당나라에 아찬 김양패를 사신으로 보내려 하는데 해적이 진도에서 길을 막고 있어 위험했기 때문에 거타지를 포함해 궁수 50명을 뽑아 사신을 호위하게 했다고 한다. 설화적인 내용을 감안해도 김양패 일행이 백령도 추정되는 곡도로 항해한 점이나 백제 해적들이 진도에서 길을 막고 있다고 언급하는 점을 보면 당시 서남해안에 해적들이 들끓었던 점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 삼국사기》 <최치원 열전>에서 신라가 893년, 최치원을 하정사로 삼아 당나라에 사신으로 보내려 했지만 해적이 길을 막고 있어 가지 못했다.
  • 정토사 법경대사 자등탑비에는 898년을 전후해 법경대사가 무진주 남쪽 남해 바다에서 도적을 만나 죽을 뻔 한 일화가 전해진다.
  • 능창은 지금의 전라남도 신안군압해현을 거점으로 활동한 네임드 해적이었다. 결국 왕건이 910년 능창을 붙잡는 데 성공한다. 능창 문서 참조.
  • 고려사》에 의하면 능창을 죽인 이후에도 서남해에는 해적이 많이 남아있어 914년 왕건이 태봉 수군을 이끌고 출진했을 때 후백제군과 그 외 해적들(海上草竊)을 제압했다고 한다.
  • 왕건이 918년 궁예를 몰아내고 즉위한 후에도 여전히 해적 피해가 염려되어 당시의 고승들을 초빙해 해적 퇴치를 기원했다.# 이는 나당전쟁 때 당나라 수군을 기도로 물리친 명랑법사를 따라한 것이라 한다.

4. 이후

신라구는 930년대까지도 존재했지만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뒤로는 사회가 안정되고 중앙정부의 통제력도 어느 정도 강화되면서 신라구의 존재는 대체로 사라진다. 하지만 후삼국이 통일된 뒤에도 일본에선 여전히 신라구가 공포의 대상이었고, 10~11세기에 고려인 해적이 출몰해 규슈를 약탈한 기록이 몇 차례 등장하는데, 아마미 군도 해적이나 여진족 해적으로 추정되는 정황이 일본 여러 기록에 섞여있다.

11세기 동여진 해적들이 일본을 약탈했을 때는 동여진 배후에 고려가 있을 것이라 의심했으나 고려가 일본인 포로 259명을 다시 일본에 송환하면서 그 오해가 풀리고 처음으로 고려와 일본 간의 국서가 오고가기도 했다.

헤이안시대 일본에서 국풍이 발달하고, 대외교류가 줄어드는 전적인 원인이 신라구는 아니었지만, 한 계기가 되었다. 삼국시대 때부터 백제와 일본이 친했고 신라는 일본과 사이가 나빴다는 쪽으로 흔히 알려져 있지만, 통일신라는 백제 때만큼 밀접하게는 아니라도 아스카 시대, 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 내내 상당히 활발하게 대규모 사절단을 주고받으며 교류를 했다.

통일신라가 무너지기 전 9세기까지는 장보고로 대표되는 국제 사무역이 어느 정도 활발했으나, 일본 서부가 해적에 탈탈 털려 학을 떼고 신라인 입항 금지, 귀화 금지, 이미 머물던 신라인은 해적을 도울 수 있다는 구실로 동쪽으로 강제이주시키고[16] 난 후, 10세기쯤 되면 사무역도 감소했다.

후삼국 성립 이후 후백제는 일본에 옛 백제 시절의 인연을 상기시키며 적극적으로 통교 요청을 했지만 니들도 신라 신하 아니냐고 해서 사신은 전부 대마도에서 문전박대당한다. 신라구란 당연히 원신라 영역(경상도) 출신 해적만 말하는 게 아니라 통일신라의 영역 전체에서 온 해적을 통틀어 말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일본 입장에서는 백제 유민이라고 해적질과 상관이 없다고 볼 수가 없었다. 당연히 신라구 중 원신라계나 고구려계, 더러는 당나라계도 있을 수 있었겠지만 그 외에 많은 수는 옛 백제 영역 출신이었을 것이다. 신라의 신하니까 안 받겠다는 건 명분상의 이유인데 견훤은 칭왕 이후에도 신라의 신하를 자칭한 경력도 있고 해서 꼬투리 잡히기 좋았다.

고려 왕조와도 건국 후 약 100여년간 공식 교류가 거의 없었을 정도였다.

[1] 붙잡힌 해적들이 왕명으로 일본을 약탈했다고 주장하지만 확인되지 않음[2] 직접 해적행위를 지휘한 신라구 중 유일하게 이름이 전해지는 인물이다.[3] 신라인 승려[4] 태봉과 후백제는 결국 일본과의 우호관계 복원에 실패했고, 고려 500년간에도 결국 통일신라 8세기 정도의 우호관계는 복원하지 못했다. 고려는 원나라의 일본 원정 가담 이력도 있어 다시 한 번 관계 단절에 쐐기를 박았다.[5] 여기서 신라란 옛날 삼국시대 시절의 경상도에 있던 신라가 아니라 남북국시대의 신라이므로 그 당시 통일신라에 포함된 백제계와 고구려계까지 모두 포함한 한반도 출신의 해적들을 뜻한다. 대부분 국적의 의미에서 신라 해적으로 표현하지만, <거타지 설화>처럼 신라 정부 입장에서는 백제 해적으로 쓴 기록도 있다. 신라 정부 입장에서 자기들 국호를 해적 이름에 붙일 리는 당연히 만무하고 또 청해진의 위치를 보면 알 수 있다시피 해적들의 해상활동이 주로 복잡한 다도해에다 부유한 무역거점이었던 한반도 서남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추정되기 때문에(동남부는 또 수도와 가까워서 최소한 통제가 더 수월했을 테니) 거의 백제인의 후예였을 그들을 보고 싸잡아 "백제 해적놈들!"이라 불렀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대체로 신라 정부의 통제붕괴에 따라 자연발생한, 국가라는 바운더리의 밖에 있던 해적이기도 했고 또 이때까지는 한반도 주민의 정체성이 전부 신라에 동화된 상태도 아니었기 때문이기도 해서(직후 후삼국시대로 이어진다) 좀 더 포괄적인 한구(韓寇)라는 표기가 쓰이기도 한다. 현대에 들어 새로 생긴 게 아니고 당대에도 쓰이던 표기이다.[6] 다만 견훤의 경우 활동만 전라도에서 했을 뿐 순수 신라인에 더 가깝다.[7] 이들은 신라구를 소탕하며 통일신라 내에서 명성을 얻고는 기어이 후백제까지 건국하게 된다.[8] 신라말기에 대한 최신 연구에서는 호족들의 성주, 장군 같은 칭호가 단순히 그들의 백프로 자칭이 아니라, 더 이상 지방을 직접 다스리기가 어렵다고 판단한 신라 조정이 옆동네 당나라가 하던 방식을 참고해서 명목상 하사한 거라고 보기도 한다. 삼국지의 후한 조정이 주자사, 주목, 무슨무슨 장군직을 명목상 뿌린 것과 비슷한 셈. 이에 의하면 신라 조정은 현춘이 털어온 물자를 일부 챙기고 무형의 명예적 보상을 해 줄 수도 있고, 시나리오는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9] 견훤에게 종속된 해적이었다는 설도 있으나 독자적인 세력이었다는 설도 있어 좀 애매하다.[10] 코오리의 수령(守令)을 '코오리노미야츠코'라고 하는데 '코오리노모도키이먀츠코'는 코오리노미야츠코의 후보다.[11] 모리마로라고도 한다. 万은 麻로 쓰기도 한다. 후지와라노아소미 7세손이고 식가(式家) 4대손이며 후술할 후지와라노 쿠니츠네의 사종숙(四從叔: 11 아저씨)이다.[12] 쇼니란 신라구를 소탕하는 군사업무를 하던 관직이었지만 한 가문이 독점하게 되면서 가문명으로 바뀌었으며, 신라구와 내통했던 경험 때문인지 나중엔 왜구의 최대 스폰서가 되어 한반도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13] 후지와라노아소미 8세손, 북가(北家) 5대손, 첫 외척섭정 요시후사(良房)의 조카, 요시후사의 양자며 첫 관백이 된 모토츠네(基經)의 둘째 형이다.[14] 덴무 덴노곤손, 나가노미코(長皇子)의 내손, 훈야노마히토 키요미(文室眞人淨三)의 현손, 미모로노아소미 오오하라(三諸朝臣大原)의 증손, 제3대 정이대장군 훈야노마히토와타마로(文室眞人綿麻呂)의 친손자, 훈야노마히토 요시오(文室眞人能雄)의 아들이다.[15] 코오리의 수령인 '코오리노미야츠코'와 '스케노미야츠코' 사이에 있는 벼슬[16] 그래서 현재까지도 동일본 지역에 신라계 도래인의 후손들이 많이 거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