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25 17:59:23

해리 S. 트루먼 행정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방당 민주공화당 휘그당 민주당 공화당
조지 워싱턴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제임스 먼로 존 퀸시 애덤스 앤드루 잭슨 마틴 밴 뷰런
<bgcolor=#F0DC82,#F0DC82> 윌리엄 헨리 해리슨 존 타일러 제임스 K. 포크 재커리 테일러
밀러드 필모어 프랭클린 피어스 제임스 뷰캐넌 에이브러햄 링컨
앤드루 존슨 율리시스 S. 그랜트 리더퍼드 B. 헤이스 제임스 A. 가필드
체스터 A. 아서 그로버 클리블랜드 벤저민 해리슨 그로버 클리블랜드
윌리엄 매킨리 <bgcolor=#E81018,#E81018> 시어도어 루스벨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우드로 윌슨
워런 G. 하딩 캘빈 쿨리지 허버트 후버 <bgcolor=#0044C9,#0044C9>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bgcolor=#0044C9,#0044C9>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조지 H. W. 부시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도널드 트럼프 1기 조 바이든 도널드 트럼프 2기 }}}}}}}}}
해리 S. 트루먼 행정부
Harry S. Truman Administration
{{{#!wiki style="margin: -16px -11px" 1945년 4월 12일 ~ 1953년 1월 20일
출범 이전 이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행정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 }}}
<colbgcolor=#0044C9>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 제33대
부통령 앨번 W. 바클리 / 제35대
여당

파일:트루먼 대통령 선서.jpg
2번째 취임선서 ▼
파일:HST 1949 선서.jpg
2번째 취임선서 확대 ▼
파일:HST 1949 선서 확대.jpg
▲ 미합중국 제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취임 선서[1]
1. 개요2. 내각3. 주요 사건4. 둘러보기

1. 개요

제33대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이 이끌었던 행정부로, 전임자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임기 중 병사하여 당시 트루먼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하면서 1945년 4월 12일에 출범하였고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면서 재선에 성공하여 1953년 1월 20일까지 존속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시대를 종결하고 전후 시대를 연 행정부이며, 본격적으로 냉전이 시작된 시기이다.

2. 내각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부통령 <colbgcolor=#fff,#1f2024> 앨번 W. 바클리
국무장관 에드워드 스테티니우스 주니어제임스 F. 번즈조지 C. 마셜딘 애치슨
재무장관 헨리 모겐소 주니어프레드 M. 빈슨존 웨슬리 스나이더
국방장관 제임스 포레스탈루이스 A. 존슨조지 C. 마셜로버트 A. 로벳
법무장관 프랜시스 비들톰 C. 클라크J. 하워드 맥그래스제임스 P. 맥그래너리
체신장관 프랭크 C. 워커로버트 E. 해네건제시 M. 도널드슨
내무장관 해럴드 L. 아이크스줄리어스 알버트 크루그오스카 L. 채프먼
농무장관 클로드 R. 위커드클린턴 앤더슨찰스 F. 브래넌
상무장관 헨리 A. 월리스W. 에이버럴 해리먼찰스 W. 소여
노동장관 프랜시스 퍼킨스루이스 B. 슈웰렌바흐모리스 J. 토빈 }}}
}}}}}}}}}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 해리 S. 트루먼 행정부 내각
1953년 1월 20일 해리 S. 트루먼 전 대통령 퇴임일 기준
대통령 부통령 국무장관 재무장관 국방장관
파일:truman pic.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해리 S. 트루먼
파일:앨번 바클리.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앨번 W. 바클리
파일:Dean_Acheson.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딘 애치슨
파일:존 웨슬리 스나이더.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존 웨슬리 스나이더
파일:1000032240.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로버트 A. 로벳
법무장관 체신장관 내무장관 농무장관 상무장관
파일:제임스 P. 맥그래너리.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제임스 P. 맥그래너리
파일:제시 M. 도널드슨.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제시 M. 도널드슨
파일:오스카 L. 채프먼.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오스카 L. 채프먼
파일:찰스 F. 브래넌.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찰스 F. 브래넌
파일:찰스 W. 소여.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찰스 W. 소여
노동장관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
파일:모리스 J. 토빈.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모리스 J. 토빈

3. 주요 사건

3.1. 1945년

3.2. 1946년

3.3. 1947년

3.4. 1948년

3.5. 1949년

3.6. 1950년

3.7. 1951년

3.8. 1952년

3.9. 1953년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44C9><tablebgcolor=#0044C9> 파일:해리 트루먼 투명.svg해리 S. 트루먼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 일생 생애
역대 선거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
정책 냉전자유주의
외국 정상 아돌프 히틀러 · 윈스턴 처칠 · 이오시프 스탈린 · 마오쩌둥 · 장제스 · 김일성
기타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 남조선국방경비대 · 평가
트루먼 행정부
외교 페이퍼클립 작전 · 트루먼 독트린 · 마셜 플랜 · 베를린 봉쇄 · 북대서양 조약,(NATO),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미일안전보장조약
사건사고 제독들의 반란 · 오퍼레이션 크로스로드
군정 미군정 · 평양시정위원회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1] 1번째 취임 선서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갑작스럽게 뇌출혈로 사망해 급하게 취임선서를 했다. 참고로 1번째 취임선서는 영상은 있지만 음성이 없어 사실상 2번째 취임 선서가 트루먼의 공식 취임선서로 불린다.[2] 전쟁부, 해군부, 국가군사기구 통합.[3] 부통령 후보는 얼 워런.[4] 부통령 후보는 앨번 W. 바클리.[5] 부통령 후보는 리처드 닉슨.[6] 부통령 후보는 존 스파크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