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현대자동차그룹에서 개발한 10L 직렬 6기통 대형 상용차용 디젤 엔진. Q 엔진의 후속 모델이다.2. 상세
- 블록 구조 : 주철, 클로즈드 데크
- 헤드 재질 : 강화흑연강
- 실린더 스페이싱 (mm) : 불명
- 밸브트레인 : 기어 구동 SOHC 24밸브
현대기아의 대형 상용 모델에 얹히며, 파워텍 엔진에도 적용된 EUI를 적용해 연료 분사를 효율적으로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전작인 Q 엔진 대비 배기량이 감소했음에도 성능은 오히려 향상, 다운사이징의 성공사례로도 꼽히고 있다. 시내버스용으로는 300PS/120kgf·m, 고속버스용으로는 380PS/160kgf·m의 출력과 토크를 낸다. 420PS의 H420은 2010년부터 생산 시작했다.[1]
유로6 이후 CRDi 분사방식으로 변경했으며 전 사양 SCR이 장착돼서 매연, 특히 소음이 기존 유로 4~5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감소했다.[2] 커먼레일은 승용차용과 달리, 헤드 커버 내에 장착됐다. 고압 펌프는 별도로 없으며, 3개의 펌핑 인젝터에서 캠샤프트의 구동력으로 가압된다. 주로 인젝터를 포함한 연료 분사 계통의 잔고장이 늘었다는 평도 있다.
출력도 유니버스는 420PS에서 430PS(H430)으로 출력이 올랐으며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유니시티, 뉴파워트럭 7~8톤에서는 300PS H300에서 10PS이 오른 H310으로 변경됐고, 뉴파워트럭 8.5~9.5톤에는 2010년경에 H300에서 H350으로 변경됐고, 유니시티도 마찬가지로 300PS H300에서 H310으로 변경됐고 옵션으로 325PS H325엔진도 선택할 수 있다. 뉴파워트럭과 트라고, 엑시언트 15톤에는 H400이 존재했었으나 유로 6를 통과하면서 H410[3]으로 통일했다. 엑시언트 9.5톤 섀시에서는 350PS 140kgf·m의 H350도 존재한다.
엔진코드는 D6HA(유로6 이후는 D6HC)라고 표기되어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에서 버스용 H 엔진의 유로 6d 대응을 포기하면서[4] 2023년형 이후로 해당 엔진은 대한민국 내수용 기준 트럭, 장갑차에만 탑재되며, 버스는 수출용만 탑재된다.
3. 형식
형식명 | 배기량(cc) | 보어 × 스트로크(mm) |
D6HA | 9,960 | 122 × 142 |
D6HB | ||
D6HC |
형식별 제원 | ||||
형식명 | 사양 | 최고출력(PS/rpm) | 최대토크(kgf·m/rpm) | 유로 기준 |
D6HA | EUI 터보 인터쿨러 | 300/2000 | 120/1200 | 4 5 |
350/1900 | 140/1200 | |||
380/1900 | 160/1200 | |||
400/1800 | 178/1200 | |||
420/1800 | 200/1200 | |||
D6HB | 380/2000 | 160/1200 | [5] | |
D6HC | CRDI 터보 인터쿨러 | 310/2000 | 120/1200 | 6 |
325/1900 | 130/1200 | |||
350/1900 | 140/1200 | |||
390/1900 | 160/1200 | |||
410/1800 | 178/1200 | |||
430/1800 | 210/1200 |
4. 현재 적용 차종
5. 과거 적용 차종
6. 여담
G 엔진과 달리 CNG 사양은 개발하지 않았고 CNG는 기존 Q 엔진을 개량했다. 오히려 상기한 유로 6d 대응 포기로 인해 적용 차종이 대폭 줄어들었다.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3c83><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c8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colcolor=#fff> 현대자동차 | ||||
구분 | 가솔린 | LPG | 디젤 | CNG | |
<colbgcolor=#003c83> 3기통 | 카파(1.0L), 입실론 | D(1.5L), U(1.1/1.2L) | - | ||
4기통 | 입실론, 카파, 알파, 감마, 베타, 누우, 세타, 오리온, 새턴, 시리우스 | 입실론, 감마, 베타, 누우, 세타, 새턴, 오리온, 시리우스 | U, NEW-U, R, NEW-R, F, D, T, W, 4.108·4.236, A | - | |
6기통 | 람다, 델타·뮤, 사이클론 V6·시그마, 쾰른 V6 | 람다, 델타·뮤, 사이클론 V6·시그마 | R(3.0L), S, G, H, L(파워텍), D6B, Q, OM906, T6.3544 | G, Q | |
8기통 | 타우, 오메가 | - | D8A | - | |
기아 | |||||
3기통 | CD형 | - | |||
4기통 | B형, C형, 마쓰다 F형, MI-TECH, T8D | 마쓰다 F형, T8D | R형, 퍼킨스, J | - | |
6기통 | J형, KV6 | KV6 | 퍼킨스, H형, M형 | H형 | |
8기통 | - | F형 | - | ||
갈색 글씨 - 선진국 시장에서 단종한 엔진 |
[1] 호남고속에서 출고한 아스트로닉 AMT가 달린 차량의 엔진이 H420. 아스트로닉은 H 엔진에만 선택이 가능했으나 2018년 말에 ZF의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변경됐으며, 엔진을 가리지 않는다.[2] 15~16년식 유로 6의 경우 냉각 장치 결함으로 소음이 큰 편인데 17년식 부터는 승용차 수준으로 조용해졌다.[3] 엑시언트 6X4(11.5톤 및 14톤, 16톤)카고는 H410, H430 옵션적용이 가능하나 15톤 덤프, 6루베형 믹서는 H410만 적용. 2019년부터 뉴파워트럭 15톤 덤프, 믹서도 ZF AMT 옵션이 가능해지면서 H430도 적용된다.[4] 2023년에 좌석버스 미만 등급의 경우 저상버스를 투입할 수 있는 노선에 저상버스 도입이 의무화되고 정부, 환경부, 지자체에서 전기버스&수소전기버스 보급을 확대한 영향이 크다.[5] 동남아 사양[6] 7톤~15톤(H300, H310, H350, H380, H400, H410, H420, H430)[7] 6X4 카고/특장형, 15톤 덤프, 믹서, 9.5톤 (H350, H380, H400, H410, H420, H430).[8] 두 모델 모두 D6HA 엔진 탑재.[9] 2008~2013년식 6X4 카고/특장형, 15톤 덤프, 믹서, 7.5~11.5톤. (H300, H350, H380, H400, H420)[10] 2008~2014년식 H300, 2015~2021년식 H310. 2022년부터 디젤 모델은 완전히 단종됐다.[11] 2012~2014년식 H300, 2015~2021년식 H310, H325. 2022년부터 디젤 모델은 완전히 단종됐다.[12] 2022년형으로 오면서 H 엔진 사양은 아예 단종. H 엔진 단종 이전에 420ps 아스트로닉 AMT 사양, 전중문 디젤 직행좌석형, 장애인 버스 사양은 H 엔진 강제였다.(H380, H390, H420, H430)[13] 2023년형으로 오면서 H 엔진 사양은 아예 단종. 단종 이전에 420ps 아스트로닉 AMT 사양은 H 엔진 강제였다. 저가형은 유로 6 이전에는 H380 사양, 유로 6 이후는 H390 390ps/160kgf·m이지만 17년 이후 단종되었다.(H380, H390, H420, H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