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9:18:20

화성시/행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화성시|화성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고양시/행정|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행정|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화성시/행정|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과천시/행정|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행정|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행정|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행정|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행정|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행정|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행정|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행정|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행정|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 #s-11|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행정|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행정|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행정|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행정|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행정|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행정|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행정|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행정|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이천시/행정|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행정|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평택시/행정|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포천시/행정|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하남시/행정|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가평군/행정|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행정|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연천군/행정|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a520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ff5200 21%, #ff5200); font-size: 1em"

남양읍
본청

봉담읍
본청

우정읍
본청

향남읍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본청

마도면
본청

매송면
본청

비봉면
본청

서신면
본청

송산면
본청

양감면
본청

장안면
동부

정남면
본청

팔탄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부

기배동
동부

기안동
동부

배양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1동
동탄

석우동
동탄

반송동 ,(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탄

동탄2동
동탄

반송동 ,(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3동
동부]
동탄

능동 ,(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4동
동탄

청계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5동
동탄

영천동
동탄

중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2b3e88 21%, #2b3e88); font-size: 1em"

동탄6동
동탄

금곡동
동탄

방교동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2b3e88 21%, #2b3e88); font-size: 1em"

오산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탄

동탄7동
동탄

산척동
동탄

송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8동
동탄

장지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9동
동탄

목동
동탄

신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부

반월동
동부

반월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부

병점1동
동부

병점동
동부

병점2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본청

새솔동
본청

새솔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19ae48 21%, #19ae48); font-size: 1em"

진안동
동부

기산동
동부
동탄

능동 ,(일부),
동부

반정동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19ae48 21%, #19ae48); font-size: 1em"

진안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부

화산동
동부

송산동
동부

안녕동
동부

황계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본청

화성시청 관할
동부

동부 출장소 관할
동탄

동탄 출장소 관할
}}}
}}}}}}

1. 개요2. 특례시 지정 및 구 설치 추진3. 화성시청 본청 관할4. 동부출장소 관할5. 동탄출장소 관할
5.1. 동탄1~9동 - 을, 정

1. 개요

파일:화성시 행정구역 2023.jpg
화성시의 행정구역
파일:attachment/화성시/행정/2.png
: 시청이 직접 관리하는 지역
: 동부 및 동탄출장소가 관리하는 지역
파일:화성시 행정구역 (법정동, 행정동 포함).png
화성시의 법정동행정동

화성시의 행정구역은 크게 화성시청 본청 관할, 동부출장소 관할, 동탄출장소 관할 지역으로 나뉜다.
본청 관할 봉담읍, 우정읍, 향남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양감면, 새솔동
동부출장소 관할 정남면, 진안동, 병점1~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출장소 관할 동탄1~9동

역사적으로 구 수원군과 구 남양군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도시이다. 남양읍,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새솔동 등 서해안 6개 읍면동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수원군 소속이었다. 향남읍과 팔탄면은 수원군과 남양군의 행정구역을 통합하여 만든 행정구역이다. 그러다보니 시흥시만큼은 아니지만, 이쪽도 도시 구조가 많이 엉망이다. 수원군 시절의 수원읍을 제외한 지역이 화성인지라[1], 봉담이나 향남 등은 아직도 수원시의 교통에 의존해있고, 한 술 더 떠서 새로 개발하고 있는 송산그린시티 동측 지구의 새솔동은 아예 안산시 교통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어느 정도 계획된 도시란 걸 알 수 있는 경부선 동부의 병점(태안지구) 지역이나 완벽히 계산되어 설계된 동탄신도시 쪽은 양호하지만, 봉담이나 향남, 화산동 같은 곳은 농지가 가득한 평야 위에 우뚝 솟은 아파트들과 공장들을 보면, 그야말로 난개발이 뭔지 바로 알게 될 정도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2024년(22대 총선) 기준 4개로 나뉘어 있다.
새솔동, 우정읍, 향남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양감면, 정남면
동탄4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 동탄9동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기배동, 화산동, 봉담읍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 동탄5동, 반월동

사실, 21대 총선 당시 화성시 선거구는 인구 수로 인해서 기존 3선거구에서 4선거구로 늘어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선거구획정위원회의 가안(案)을 국회에서 공직선거법에 위반된다는 사유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재의를 요구하면서, 21대 총선 화성시는 기존 3선거구를 유지하게 되었다. 그 대신에 인구 상한선을 넘긴 화성시 을 선거구의 지역 중 동탄3동(능동)만 화성시 병으로 넘어가게 되고, 화성시 병에 있는 봉담읍은 북동부 지역(상리, 내리, 동화리, 수기리, 수영리, 와우리)는 기존 화성시 병으로 남고 그 외 봉담읍 남서부 지역을 화성시 갑으로 넘어갔다.

하지만 기존 선거구의 화성시 을 선거구의 관할 인구가 상한선을 넘었고, 2024년 외국인을 포함해서 화성시의 인구가 100만을 넘기면서, 22대 총선에서 동탄1신도시와 동탄2신도시 북부를 관할하는 화성시 정 선거구의 신설이 확정되었다. 이에 화성시 을의 동탄1동, 동탄2동, 동탄5동과 화성시 병의 동탄3동, 반월동이 신설된 화성시 정으로 조정되었으며, 4년 전 화성시 갑으로 넘어갔던 봉담읍의 일부 지역이 화성시 병으로 돌아왔다.

선거구 별로 지역을 보면, 화성시 갑이 봉담읍을 제외한 본청 관할과 동부 관할의 정남면, 화성시 을과 정은 동탄출장소 관할이며, 동부출장소 관할은 화성시 병 선거구가 대부분(반월동은 화성시 정 선거구)을 차지한다.

2. 특례시 지정 및 구 설치 추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성시/행정/분구 추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행정/분구 추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성시/행정/분구 추진#|]][[화성시/행정/분구 추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화성시청 본청 관할

3.1. 봉담읍 - 병

읍소재지는 상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2] 수원도호부 삼봉면, 갈담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봉담면으로 통합되고, 1998년 읍으로 승격됐다. 인구는 107,073명[P]로 화성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봉담택지지구(1,2)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2021년 8월 30일에 정부에서 봉담3지구를 발표하면서 인구 증가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수원역이 멀지 않은 곳에 있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봉담~동탄 구간도 지나다니기에 교통 또한 괜찮으며 화성시에서 기업이 가장 많은 곳이다. 또 수원대학교, 수원가톨릭대학교, 협성대학교, 장안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등 여러 대학교들이 몰려 있어서 학생 유동인구도 많다.[4] 주요 시설로 화성세무서, 화성시민캠퍼스, 해병대사령부, 이마트 화성봉담점, CGV 화성봉담, 봉담호수공원이 있고 SK매직 등의 기업 사업장들도 많다. 각급 학교는 갈담초, 내리숲초, 동화초, 봉담초, 상봉초, 수기초, 수영초, 수현초, 와우초, 효행초, 봉담중, 수현중, 와우중, 화성동화중, 봉담고, 와우고가 있다.

화성시에서 동탄 무봉산 다음으로 높은 건달산이 있다. 정상에서는 화성시 동쪽 끝부터 서해까지 전부 보이므로 기회가 된다면 올라가볼 것을 추천한다.

3.2. 우정읍 - 갑

읍소재지는 조암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5] 수원도호부 우정면, 압정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우정면으로 통합되고, 2003년 읍으로 승격됐다. 인구는 17,123명.[P]

읍소재지 이름인 '조암'으로 주로 통칭된다. 2003년에 읍으로 승격될 정도로 비교적 인구가 많았으나 그 후 성장 동력이 없어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읍 중에서 도시화가 제일 안 된 곳이라 교통이 불편하며,[7] 조암터미널이 있다. 화성방조제[8] 옆에 염전이 광활하게 펼쳐져 있다. 남쪽 끝의 이화리에 남양대교가 있어서 평택시 포승읍으로 갈 수 있으며 석천리에 기아의 사업장인 기아 AutoLand 화성, 매향리에 주행시험장이 있어 석천항은 어항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 학교는 우정초, 화성화수초, 두레자연중, 삼괴중, 두레자연고, 삼괴고가 있다.

매향리에 있는 갯벌은 미군이 사격장으로 쓰던 곳이었으나 소음공해와 오폭사고를 견디다 못한 주민들의 요구로 2005년에 폐쇄되었다. 그 후에 군부대가 있던 자리에 평화조각생태공원을 추진 중이나 돈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들어가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었는데 그 중 일부를 유소년야구단지로 활용하기로 했다.

당진 왜목마을 북쪽에 있는 입파도와 국화도도 우정읍인데, 입파도는 그나마 서신항에서 도선이 다니는데, 국화도는 도선도 당진시 장고항까지 가야 탈 수 있다. 평택시흥고속도로 조암IC가 있다.

3.3. 향남읍 - 갑

읍소재지는 행정리, 관할 법정리는 21개이다.[9] 수원도호부 공향면 남부[10], 남면과 남양도호부 분향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향남면으로 통합되고, 2007년 읍으로 승격됐다. 인구는 85,654명.[P]

전통적인 중심지인 '발안'으로 주로 통칭되는데, 이 지역도 봉담읍처럼 한창 개발되고 있어서 '향남'도 그리 어색한 지명은 아니게 되었다.[12] 발안쪽 구시가지는 외국인이 많이 돌아다닌다. 향남2지구 개발로 지속적인 인구 증가로 읍인데도 8만명을 넘는 인구를 갖게 되었다. 향남1지구에 향남환승터미널, 화성소방서, 화성우체국, 화성시역사박물관, 경기화성교육도서관, 둥지나래어린이도서관, 홈플러스 화성향남점이 있고 2지구에 롯데시네마 향남이 있다. 1지구와 2지구 사이 비어 있는 곳을 서해선이 관통하면서 향남역이 건설될 예정이라 건설 후에는 1,2지구가 연담될 것으로 보인다. 전통시장으로 발안만세시장이 있다.

제암리는 3.1 운동 당시 제암리 학살사건이 일어난 동네다. 그래서 1982년 순국유적지로 지정된 이후 문화재 관련 규제를 받고 있으며 이후에도 더욱 강력한 규제를 담은 전통경관지구 지정과 함께 서해선 철로, 송전탑 건설 등의 문제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심하다. 도이리에는 화성종합경기타운이 있고 경기장이 35,000석 규모로 커서 간혹 국가대표 축구경기가 열린다. 구문천리와 상신리, 하길리에는 제약회사 공장들이 대거 모여 있는 향남제약산업단지가 있으며 상신리에 그 배후 주거지가 조성되어 있다.

학교는 갈천초, 도이초, 발안초, 상신초, 제암초, 하길초, 한울초, 행정초, 향남초, 화원초, 발안중, 하길중, 향남중, 화성중, 발안바이오과학고, 하길고, 향남고, 향일고, 화성고가 있다.

3.4. 남양읍 - 갑

읍소재지는 남양리, 화성시청도 남양리에 있으며 관할 법정리는 15개이다.[13] 남양도호부 음덕리면, 둔지곶면, 화척지면과 인천도호부 이포면[가]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음덕면으로 통합되고, 1949년 남양면으로 개칭됐다. 인구는 59,873명.[P]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남양도호부(남양군)의 중심지이다. 1994년 화성군청 이전지로 결정되고 2000년 오산시에서 군청이 이전되었으며, 2001년 화성시 승격과 함께 남양면에서 남양동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다 2014년으로 전환되었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동에서 읍으로 전환된 지역이다. 그러나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23년 상반기에 인구 5만명을 돌파하였다. 남양 북부는 전부 그린벨트이며 동부는 공장들이 많이 들어서있다. 남부에는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가 들어서있다.

남양리는 남양뉴타운 사업으로 2010년대 중후반 아파트단지가 대거 들어섰다. 그 외 화성시청, 화성우체국, 남양성모성지, 남양도서관, 화성의과학대학교(구 신경대)가 있다. 신남리에 화성서부경찰서가 있고 서해선 화성시청역이 공사 중이다. 활초리에 롤링힐스호텔이 있다. 학교는 남양초, 대양초, 동양초, 신남초, 활초초, 남양중, 신백중, 남양고가 있다.

현재 77번 국도가 완공되어 안산시와 직통으로 연결된다.

3.5. 매송면 - 갑

면소재지는 어천리, 관할 법정리는 7개이다.[16] 수원도호부 매곡면, 송동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매송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6,446명.[P]

지역 대부분이 그린벨트로 묶여있다. 수인분당선 어천역야목역이 이 지역에 위치해있고, 특히 어천역에는 2025년 인천발 KTX가 정차할 예정이다. 서해안고속도로(매송휴게소, 매송IC)와 경부고속선, 39번 국도가 지나간다. 화성함백산추모공원, 51사단 신병교육대가 있다. 학교는 매송초, 송라초가 있다.

3.6. 비봉면 - 갑

면소재지는 양노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18] 남양도호부 며지곶면, 저팔리면과 인천도호부(!) 이포면[가]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비봉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8,829명.[P]

매송면과 마찬가지로 지역 대부분이 그린벨트로 묶여있으며 화성예비군훈련장과 수원예비군훈련장이 있는데, 두 예비군훈련장의 위치가 가까워서 헷갈리는 사람들이 좀 있다. 구포리와 삼화리에 비봉공공주택지구가 조성되고 있으며, 택지지구가 다 개발되면 인구가 2만명을 넘게 된다. 비봉면 끄트머리 유포리쪽 습지에 비봉습지와 체육시설을 조성 중이며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가 있다. 학교는 비봉초, 청룡초, 비봉중, 비봉고가 있다.

그린벨트라서 태행산 주위는 자연이 잘 보존되어 있었지만 태행산 북쪽으로 비봉-매송간 도시고속도로, 남쪽으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건설되어 현재 운영 중이다. 서해안고속도로 비봉IC가 있다.

3.7. 마도면 - 갑

면소재지는 석교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21] 남양도호부 마도면, 쌍수리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마도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6,623명.[P]

법무부 외국인보호소도 이곳에 있다. 이외에도 두곡리에 KBS 화성송신소가 있으며 여기서 제3라디오(AM 1134㎑)와 한민족방송(단파 6015㎑)을 송신한다. 2013년에 평택시흥고속도로 송산마도IC가 개통되었다. 마도산업공단도 있고…점점 외국인의 수가 늘어나는 곳 중 하나. 산업단지인 화성바이오밸리도 2015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했다. 바이오밸리 남쪽 간석지는 에코팜랜드를 착공할 예정이다. 마도 쪽은 승용마단지, 축산R&D센터가 생기며 현재 의약, 금속 기업들이 입주 중이다. 청원산업단지가 있다. 학교는 마도초, 청원초, 화도중이 있다.

3.8. 송산면 - 갑

면소재지는 삼존리, 관할 법정리는 15개이다.[23] 남양도호부 송산면, 수산면, 세곶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송산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10,593명.[P]

면소재지와 달리 시가지는 바로 인접한 사강리에 있다. 사실 면 행정복지센터도 행정구역만 삼존리이고 조금만 걸어가면 사강 시가지이다.[25]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성능연구소가 있다. 가왕 조용필의 고향이다.[26] 대부도와 인접해 있으나 정작 이쪽 방면으로 갈 수 있는 도로가 없어서 서신면 전곡리로 돌아가야 한다. 길은 뚫려있지만 사고가 많이 나서 막아둔 상태다. 이외에도 고정리에 KBS 남양송신소가 있으며 여기서 제2라디오(AM 603㎑)를 송신한다. 학교는 고정초, 마산초, 송산초, 송산중, 송산고가 있다.

송산면 북쪽 간척지에 송산그린시티 사업을 하고 있다. 유니버설 스튜디오 코리아가 바로 송산그린시티에 들어설 계획이었는데, 그 규모는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의 약 8배 규모, 유니버설 스튜디오 싱가포르의 약 20배 규모였고, 연간 일자리 창출 1만 자리와 관광객 1500만 명이 예상되는 초대형 사업으로 아시아 최대 테마 파크 수준이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개발이 무산되었고, 대신 신세계그룹에서 투자하여 테마파크를 조성한다고 한다.[27]

송산포도가 유명하며 송산포도휴게소도 송산포도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3.9. 서신면 - 갑

면소재지는 매화리,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28] 남양도호부 서여제면, 신리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서신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7,178명.[P]

화성방조제의 북쪽 끝자락에 있는 궁평리에는 경기도에 정말 몇 없는 해수욕장이 있어서 멀리 가기 싫어하는 수도권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하지만 궁평해수욕장은 해수욕장으로 인가가 난 곳이 아니다. 윗동네 백미리는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가 발생한 아픈 역사가 있다. 수도권 근교 관광지로 유명한 제부도가 있다. 전곡리에 전곡항이 있고 전곡산업단지가 완공되었다. 90년대까지만 해도 길이라곤 2차선인데 여름 휴가철마다 수많은 차들이 몰려와서 교통문제가 심각했으나 지금은 궁평리와 제부도로 가는 길 모두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마도산업단지에서 궁평리로 직접 이어지는 4차선 방수제도로가 완공되면 교통은 더 원활해질 전망이다. 학교는 서신초, 해운초, 서신중이 있다.

서신 남쪽 화성방조제로 생긴 간석지에 에코팜랜드가 착공할 예정이며 유리온실, 경관농업단지 등이 생길 예정이다. 화성호 담수화와 관련하여 농어촌공사에서 화성호의 물을 탄도호로 끌어오는 도수로 공사를 할 예정인데 도수로가 서신을 관통해가기 때문에 서신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다. 사실 화성호 담수화가 무산된다면 도수로는 쓸모가 없어지기 때문에 담수화가 결정되기 전에 미리 공사를 할 이유는 없지만 농어촌공사는 예산이 나왔기 때문에 강행한다고 한다.

3.10. 팔탄면 - 갑

면소재지는 구장리, 관할 법정리는 15개이다.[30] 남양도호부 팔탄면과 수원도호부 공향면 북부[31]였다가 1914년 수원군 팔탄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9,411명.[P]

화성시의 가운데에 있으며, 화성시 서부의 소중심지들인 봉담, 남양, 발안 사이에 끼어 이들을 잇는 길목이다. 이러한 입지로 인해 1994년 화성군청(현재의 화성시청) 이전지로 예정되었으나, 투표 결과 한 표 차이로 남양면으로 군청이 이전하게 되었다.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매곡리에 발안IC, 덕천리에 화성휴게소가 있다. 공장이 참 많은 동네. 고주리에 한국폴리텍대학 화성캠퍼스, 매곡리에 화성시우리꽃식물원, 해창리에 능인대학원대학교가 있다. 학교는 월문초, 팔탄초(+대방분교)가 있다.

3.11. 장안면 - 갑

면소재지는 사랑리, 관할 법정리는 10개이다.[33] 수원도호부 장안면, 초장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장안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9,610명.[P]

사랑리가 우정읍 조암리와 상당히 가깝고 어은리는 조암 시가지가 연장되어 있어 사실상 '조암의 멀티' 취급 받는 중이며 남양방조제로 생긴 넓은 평야가 있다. 학교는 노진초, 장명초(+장일분교), 장안초(+석포분교), 장안여중과 특수학교인 해원학교가 있다.

3.12. 양감면 - 갑

면소재지는 신왕리, 관할 법정리는 7개이다.[35] 수원도호부 양간면, 감미면, 상홀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양감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3,890명.[P]

동쪽에 경부고속선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화성)가 지나간다. 오산비행장으로 인한 소음이 심하다. 초록산에 경기도 사격장이 있다. 양감도 공장이 많은 동네다. 학교는 사창초, 양감초가 있다.

3.13. 새솔동 - 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2018년 1월 22일 신설되었으며, 송산그린시티 동측지구 주거지가 해당된다. 원래는 남양읍바다였다. 인구는 26,950명.[P]

송산그린시티 지역이라 송산면일 것 같지만, 이쪽 지역은 새로운 이름으로 이 신설되었다. 화성시 화산동(행정동)에 송산동(법정동)이 이미 있어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인지 새솔동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사실상 안산 생활권인데, 정작 안산 넘어가는 다리는 수노을교 하나밖에 없어서 출퇴근 시간대 정체가 심하다. 학교는 새솔초, 송린초, 송린중, 새솔고가 있다.

4. 동부출장소 관할

화성시의 동 지역들 중에 舊 태안읍 소속이었던 지역(능동 내 동탄3동 지역 제외)을 서술한다. 이 문서에서는 행정동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수원도호부 태촌면[38], 안녕면[39]과 용복면[40]이었다가 1914년 태촌면은 장주면과 함께 수원군 태장면으로, 안녕면과 용복면은 안룡면으로 통합되고, 1963년 다시 태안면으로 통합됐으며, 1985년 읍으로 승격됐다. 이후 2006년 1월 6일에 분동되었다.

4.1. 진안동 - 병

관할 법정동은 기산동·능동(일부)·반정동·진안동이다. 인구는 49,829명.[P]

舊 태안읍 지역[42]을 관할하는 화성시 동부출장소가 있으며, 병점1,2동과 함께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어서 지역 주민들은 이곳까지 전부 병점으로 뭉뚱그려 말하는 경우가 많다. 병점초등학교도 진안동에 있고, 병점역도 주소상으로는 진안동 소재 역이다. 그리고 면적이 생각보다 넓어서 북쪽 끝 반정 아이파크 캐슬 4~5단지(2,364세대)까지 진안동에 해당된다. 주요 시설로 병점역, 경기도농업기술원, 진안도서관, 다람산공원이 있다. 학교는 병점초, 서경초, 진안초, 기산중, 진안중이 있다.

동탄신도시에 포함되지 않는 법정동 능동 지역인, 구봉산 남쪽 능동 2,4,5통[43]도 행정동 진안동 관할이다. 2007년 동탄신도시 입주 당시 행정동 동탄동(현 동탄3동) 주민들이 동탄신도시 구역에 포함되지 않는 법정동 능동 지역에서 동탄동에 포함되고자 하는건 개발이익에 부당편승하는 것이라 주장하였고, 이게 먹혀들어갔기 때문. 해당 기사[44]

2021년 8월 이 지역의 3기 신도시 신규 택지개발 계획인 진안신도시 사업이 발표되며 2030년 경에는 동탄신도시, 병점, 진안신도시와 수원 권선구, 영통구 일대 택지지구가 연담화될 것으로 보인다.

4.2. 병점1동, 병점2동 - 병

관할 법정동은 병점동이며, 병점1동은 추가로 법정동 능동(일부)도 관할한다. 병점은 '떡 병(餠)', '가게 점(店)' 즉 떡가게라는 뜻. 조선시대 과거시험 보러 가는 길에 삼남(전라도, 충청도, 경상도)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이 이곳에서 난 쌀로 만든 떡을 먹고 갔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이라고 한다. 인구는 1동 36,283명, 2동 22,523명.[P]

2003년 수도권 전철 1호선병점역까지 연장되면서 태안지구를 중심으로 급격히 발달했다. 병점역이 있음에도 인지도에서 동탄신도시에 밀리는 신세. 병점역엔 1호선 급행이 정차하고, 2023년 기준 병점역 서측(2, 3번출구)으로 병점복합타운이 들어서고 있다. 바로 위의 진안동과 함께 연담화된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원시 바로 밑에 붙어 있어서 사실상 수원 생활권이라고 할 수 있다. 버스로 5분, 전철로는 3분이면 시계를 넘어 수원시 권선구에 다다른다.

학교는 1동에 화성벌말초, 새봄초, 송화초, 2동에 구봉초, 안화초, 태안초, 병점중, 안화중, 병점고, 안화고가 있다.

4.3. 반월동 - 정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37,130명.[P]

북쪽으로는 수원 영통구와 용인시 기흥구, 남동쪽으로는 동탄신도시를 둔 동네로, 영통지구 남쪽에 있어서 신영통이라고도 부른다. 반달마을, 현대아파트, 신동탄포레자이(1,297세대) 등 수원이랑 붙어있는 북쪽은 신영통, SK뷰 파크(1,967세대) 등의 남쪽은 신동탄이라 부른다. 하지만 반월동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이 지역에 위치한 삼성전자 화성캠퍼스이다. 동탄신도시, 더 나아가 화성시를 경기도에서 가장 재정자립도 높은 부자동네로 키워낸 최고의 공신 중 하나이다. 학교는 기산초, 동학초, 율목초, 동학중, 화성반월중, 화성반월고가 있다.

4.4. 기배동 - 병

관할 법정동은 기안동·배양동이다. 인구는 15,922명.[P]

태안읍의 다른 행정동과는 융건릉과 성황산에 막혀있다 보니 봉담읍 및 수원 평동 방면으로의 교통이 편리하다. 최근 주민센터가 기배마루라는 이름으로 화려하게 신축 이전하였다. 학교는 기안초, 배양초, 기안중, 홍익디자인고가 있다. 참고로 이 동네가 낳은 유명인으로 기안84가 있다.

4.5. 화산동 - 병

관할 법정동은 송산동·안녕동·황계동이다. 인구는 27,763명.[P]

병점동봉담읍을 잇는 길목에 해당하며 조선의 정조가 수원화성을 건설하기 전까지는 이곳이 바로 옛 수원도호부의 읍치가 있던 곳이었다. 융건릉, 용주사, 수원고읍성이 있다. 학교는 안녕초, 화산초, 안용중이 있다.

4.6. 정남면 - 갑

면소재지는 신리, 관할 법정리는 19개이다.[49] 수원도호부 정림면, 남곡면이었다가 1914년 수원군 정남면으로 통합됐다. 인구는 10,621명.[P]

봉담, 병점, 발안과 오산시 사이에 끼어 있다. 북쪽에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보통리에 수원과학대학교정남IC, 보통저수지가 있다. 시골마을 구석구석까지 공장이 침투해있다. 교통체증이 심각한데 새로운 도로들이 개설되고 있으니 2-3년 안에 교통문제가 많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학교는 정남초, 정남중이 있다.

면 지역이지만 행정 편의를 위해 동부출장소에서 관할한다.

5. 동탄출장소 관할

5.1. 동탄1~9동 - 을, 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탄#s-3.3|3.3]]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탄#|]][[동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명 동탄신도시로 불리는 지역은 동탄출장소에서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동으로 1동부터 9동까지 있으며 지역 인구는 이미 2025년 기준 계획 당시인 28만 5천명을 넘어 40만 명을 넘었다.

주요 시설은 아래와 같으며, 자세한 내용은 동탄신도시 항목 참조.

[1] 특히 중간에 오산시까지 빠져서 그나마 병점 등의 옛 태안읍 지역과 동탄신도시 지역은 어느 정도 교통 연계가 있긴 하지만, 동탄과 서측 화성은 거의 남이 되어버렸다.[2] 내리·당하리·덕리·덕우리·동화리·마하리·상리·상기리·세곡리·수기리·수영리·와우리·유리·하가등리[P] 2024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4] 물론 이 학생들이 노는 건 수원역에서 놀기 때문에 대학가가 형성되지는 않았다.[5] 국화리·매향리·멱우리·석천리·운평리·원안리·이화리·조암리·주곡리·한각리·호곡리·화산리·화수리[P] [7] 수원역에서 시내버스를 한 번만 타고 갈 수원역까지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9802번 하나뿐이다. 원래 33-1번 버스가 다녔으나 수원역 출발에서 향남읍 출발로 바뀌었다. 그렇지만 현재는 서울로 바로 가는 시내버스가 운행한다.[8] 원래 계획은 화성시 우정읍부터 제부도를 거쳐 당시 인천 옹진군 대부도까지 이어지는 방조제였기 때문에 화옹방조제라고 이름을 붙였으나, 건설하고 보니 서신까지만 방조제를 만들었기 때문에 화성방조제로 이름이 바뀌었다.[9] 갈천리·관리·구문천리·길성리·도이리·동오리·발안리·방축리·백토리·상두리·상신리·송곡리·수직리·요리·장짐리·제암리·증거리·평리·하길리·행정리·화리현리[10] 도이리, 발안리, 방축리, 제암리, 평리, 행정리.[P] [12] 문제는 '향남'이란 지명이 전술됐듯 1914년 부군면 통폐합일제 조선총독부가 만든 인위적인 지명이라는 점이다. 물론 이는 위의 봉담, 우정 및 아래의 대부분의 면·동 이름들에도 해당되는 사항. 이와 같이 일제에 의해 합성된 지명인 남양주시 화도읍(상'도'+하'도'), 와부읍('와'공+초'부')은 읍내의 통칭인 '마석', '덕소'를 따 '마석읍', '덕소읍'으로 개칭하려는 움직임이 있다.[13] 남양리·무송리·문호리·북양리·송림리·수화리·시리·신남리·신외리·안석리·온석리·원천리·장덕리·장전리·활초리[가] 남양읍 장전리, 신외리, 비봉면 유포리, 삼화리. 인천도호부의 월경지였다.[P] [16] 송라리·숙곡리·야목리·어천리·원리·원평리·천천리[P] [18] 구포리·남전리·삼화리·쌍학리·양노리·유포리·자안리·청요리[가] [P] [21] 고모리·금당리·두교리·백곡리·석교리·송정리·슬항리·쌍송리·청원리·해문리[P] [23] 고정리·고포리·독지리·마산리·봉가리·사강리·삼존리·신천리·쌍정리·용포리·육일리·중송리·지화리·천등리·칠곡리[P] [25] 그래서인지 이 지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들도 행선에 '송산'이 아니라 '사강'이라고 표기하고 다닌다.[26] 조용필의 고향은 쌍정리 99번지이며, 현재는 생가 터만 남아있고 다른 주민이 산다. 조용필은 고향에 애착이 많아 고향을 자주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고한 부모와 아내의 묘소가 사강리에 있다.[27] 개발이 지연되면서 초원지대로 남아있는데 이 때문에 요즘 들어서는 이 일대를 '화성 세렝게티'라고 불리고 있고 실제로 그 모습을 찾으러가는 사람들도 종종 보이는 편이다.[28] 광평리·궁평리·매화리·백미리·사곳리·상안리·송교리·용두리·장외리·전곡리·제부리·홍법리[P] [30] 고주리·구장리·기천리·노하리·덕우리·덕천리·매곡리·서근리·월문리·율암리·지월리·창곡리·하저리·해창리·화당리[31] 고주리, 덕우리, 매곡리, 서근리, 월문리, 해창리, 화당리.[P] [33] 금의리·노진리·덕다리·독정리·사곡리·사랑리·석포리·수촌리·어은리·장안리[P] [35] 대양리·사창리·송산리·신왕리·요당리·용소리·정문리[P] [P] [38] 병점동, 진안동, 기산동, 반월동, 능동.[39] 배양동, 안녕동, 송산동, 황계동, 반정동.[40] 기안동.[P] [42] 동탄3동 제외[43] 서동탄역 파크자이 1~2차(1,358세대)와 우남퍼스트빌 일대, 그리고 독재울사거리 주변[44] 현재의 관점에서 해당 기사를 다시 살펴보자면, 일산과 분당에서는 개발구역과 그 외 지역이 같은 행정구역으로 묶인 선례가 없다고 하였는데, 실제로는 일산서구일산동구는 일산신도시와 구 일산읍 지역이 한데 묶여 있으며, 분당 또한 미개발지역인 이매동 물방아거리, 갓골, 안말, 율동 등이 개발지역과 같은 행정동으로 묶여 있다. 판교신도시도 원래는 분당신도시 개발사업과는 별개로 분당신도시와 함께 분당구로 묶였다가 2기 신도시 사업을 거쳐서야 연담화 도시개발이 이뤄진 것이니 반례에 해당한다. 이 문제로 인해 화성시 분구 시 진안동 관할 능동 지역을 화산구와 동탄구 어느 쪽에서 가져갈지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P] [P] [P] [P] [49] 계향리·고지리·관항리·괘랑리·귀래리·금복리·내리·덕절리·망월리·문화리·발산리·백리·보통리·수면리·신리·오일리·용수리·음양리·제기리[P] [P] [P] [P] [P] [P] [P] [P] [P]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