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열차의 회차를 위하여 만들어진 선로로서, X자형 회차선, Y자형 회차선이 있다. 인상선과의 차이점은, 회차선은 회차 용도로만 사용되나 인상선은 회차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된다는 점. 인상선은 유치선으로도 사용된다.[1]2. 회차선이 설치된 역
2.1. X자형 회차선
2.1.1. 수도권
- 용산역(1호선 급행)
- 동인천역(1호선 급행)
- 성수역
- 암사역
- 양촌역
- 왕십리역(수인·분당선)
- 검암역(공항철도)
- 검단오류역
- 계양역(인천 1호선)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오금역(3호선)
- 운연역
- 모란역(8호선)
- 대화역
- 석남역(7호선)
- 마천역
- 대곡역(경의·중앙선)
- 백마역
- 강남역(신분당선)
- 춘천역
- 중앙보훈병원역
- 김포공항역(김포 골드라인)
- 하남검단산역
- 판교역(경강선)
- 여주역
- 소사역(서해선)
- 원시역(서해선)
- 진접역
- 신사역(신분당선)
- 불암산역(4호선)
- 신도림역(2호선)
2.1.2. 부산
2.1.3. 대구
2.1.4. 울산, 부산
2.1.5. 대전
현재 없음.2.1.6. 광주
- 평동역 (1호선)
2.2. Y자형 회차선
2.2.1. 수도권
- 서울역(1, 4호선)
- 청량리역(1호선)
- 수원역(1호선)
- 삼성역
- 홍대입구역(2호선)
- 독립문역
- 구파발역
- 백석역
- 사당역(4호선)
- 남태령역
- 화곡역
- 군자역(5호선)
- 잠실역(8호선)
- 태릉입구역(7호선)
- 김포공항역(9호선)
- 마곡나루역(9호선)
- 당산역(9호선)
- 중앙보훈병원역 (9호선)
- 신논현역 (9호선)
- 일산역
- 인천역(수인·분당선)
- 상봉역(경춘선)
- 청평역
- 구래역
- 한성대입구역
- 신도림역(2호선)
2.2.2. 부산
2.2.3. 대구
2.2.4. 대전
2.2.5. 광주
- 소태역 (1호선)
[1] 간단하게 말하면, 회차 용도로만 사용하는 인상선을 회차선이라 보면 된다.[2] 위치는 차량기지 출입구, 사람들쪽에는 보이지 않게 만들었다. 부산김해경전철로 탑승해서 이동해야 볼 수 있다.[3] 호포기지 연결선로 제외[4] 영남대역 연장하기 전까지는 X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