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5 23:28:37

북한의 전쟁범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6.25 전쟁 학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d1c27,#ed1c27><colcolor=#fff,#fff>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화 · 국수 · 국조 · 국견 · 국주
역사 역사 전반 · 북한의 전쟁범죄
지리 관서 · 관북 · 해서 · 관동
인문환경 한민족 (북한인) · 문화어 · 행정구역 (주소체계) · 교통
인물 · 가계도 ·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사상·이념 이념 전반 · 최고존엄 · 백두산절세위인 · 백두혈통 (가계도) · 주체사상 (사회주의 대가정론) · 배움의 천리길 · 수령결사옹위정신 · 피포위 의식 · 대조선적대시정책 · 령토완정 · 자력갱생 · 강성대국 · 지상락원 · 우리식 인권
정치·안보 정치 전반 · 조선로동당 · 국무위원회 · 최고인민회의 · 따뜻한 환영의 음악
외교 전반 · 남북관계 (아프리카 외교전) · 남북러관계 · 남북통일 · 대북제재 · 통미봉남 · 적대적 두 국가론 (괴뢰한국) · 비전향 장기수
조선인민군 (륙군 / 해군 / 공군 / 전략군 / 특수작전군) · 군복 · 열악한 현실 (빈곤함 / 수송능력) · 징병제 · 핵개발 · 미사일 개발 · 열병식 · 대남 도발 (원인) · 대남공작기관 (남파공작원) · 땅굴
사법·규범 사법 전반 · 최고검찰소 · 최고재판소 · 사회안전성 · 국가보위성 · 보위국
교시 ·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 · 조선로동당규약 · 사회주의헌법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1980년대의 대규모 정책 실패 · 2023년 · 2024년 · 2025년) · 북한 원 · 북한의 국채 · 지하자원 · 산업 · 돈주 · 장마당 · 북한산 상품 · 주체농법 · 비날론 · 8.3 인민소비품 · 조선우편 · IT (휴대전화 / 게임 / 이동통신 / 광명망) · 아파트 · 차량
사회 사회 전반 · 우상화 (우상화 교과서 / 태양상 / 초상휘장 / 김일성김정일동상 / 1호 사진) · 조선대백과사전 · 조선중앙년감 · 공민증 · 맹원증 · 조선로동당당원증 · 계급 (기본 군중 / 복잡한 군중 / 적대계급잔여분자) · 조선소년단 · 궐기대회 · 생활총화 · 훈장 · 인권 · 려행증 · 주체의학 · 금당 2호 · 꽃제비 · 정치범수용소 (형성 / 실상)
문화 문화 전반 · 문화 검열 · 요리(북한에서 유래된 요리) · 기호식품 · 노래 · 창작물 (콘텐츠 목록 / 북한 영화) · 스포츠 (축구 대표팀) · 관광 (개성 / 금강산) · 북한의 한국 묘사 · 북한 유튜브 채널 · 북한의 한류 · 소해금
기타 주체년호 · 공휴일 · 한반도의 지도자 목록 · 납북 · 월북 · 탈북 (과정과 사례 / 북한이탈주민) · 대북송금 · 대북전단 · 북한의 국가장 · 북한 관련 뉴스
북한 관련 둘러보기 틀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의 전쟁범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학살 사건 서울대학교병원 학살 사건 | 고성군 학살 사건 | 고산군 천주교도 학살 사건 | 해주시 학살 사건 | 수안군 학살 사건 | 영흥군 학살 사건 | 함흥시 학살 사건 | 고원군 학살 사건 | 원산시 학살 사건 | 평양시 학살 사건 | 갑산군 학살 사건 | 신천·재령군 봉기 | 목사-의무병 학살 | 303 고지 학살 | 블러디 걸치 학살 | 선천 터널 학살 | 챕린-메딕 학살 | 개성 학살 | 태전 학살 | 서천등기소 학살 사건 |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 | 전주형무소 학살 사건 | 서울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피해 사건 | 경기 북부지역 적대세력에 의한 피해 사건
외국의 참전 중국인민지원군
납북/납치 납북 | 납북 일본인
강제 노역 정치범수용소/북한 | 로동교화소 | 청년돌격대 | 북한/인권
강간 정치범수용소/북한/실상
포로 6.25 전쟁/국군 포로
기타 이산가족 | 6.25 전쟁 | 6.25 전쟁 학살 | 김일성 | 조선인민군 | 조선로동당
도발 북한/대남 도발 | 북한/대미 도발 | 북한/대일 도발 | 북한 대미얀마 도발 | 북한 대말레이시아 도발
핵개발 관련 북한의 핵개발 | 북한의 미사일 개발 | 북한 평산군 핵 폐수 방류 의혹 | 풍계리 핵실험장 | ICBM
역사왜곡 및 추종 세력 금수산태양궁전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 중국인민지원군 렬사릉원 · 72시간(영화) · 우상화/북한 · 백두혈통 ·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 조선력사 · 배움의 천리길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 · 조선학교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북한의 남한 묘사 ·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중국의 역사왜곡 · 항미원조(중국 주도) · 조선인민유격대(빨치산, 한국)★간첩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한국) · 자주통일 충북동지회(한국)★간첩 · 촛불중고생시민연대(한국) · 한국대학생진보연합(대진연, 한국) · 민중민주당(한국) · 극좌
★: 친북, 종북, 자주(NL) 계열
}}}}}}}}} ||


1. 개요2. 민간인 학살 사망자 수 추산3. 학살 건수 추산4. 목록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6.25 전쟁 시기 북한군중공군, 남로당 극좌 세력들은 우익 세력, 정치인, 군인, 경찰, 공무원, 지주, 교사, 자본가, 기독교인[1], 지역 토호 혹은 그들의 가족 및 민간인들을 학살하였다.

진실화해위원회에서는 "적대세력 사건"이라고 지칭한다. 여기서 '적대세력'이라 함은 비단 북한군 외에도 중공군, 남로당, 빨치산, 지방 좌익, 민병대 등 한국전쟁 당시 대한민국이 적대한 공산권 세력 전반을 아우른다. 가령 퇴각하던 북한군이 약 500명의 희생자들을 집단 살해했던 전주형무소 2차 학살 사건의 경우, 진화위에서 지칭하는 공식 명칭은 전주형무소 적대세력사건이다.

2. 민간인 학살 사망자 수 추산

  • 정전협정 후 전범 재판을 준비하는 데 참여했던 미국인들: 29,915명[6]

3. 학살 건수 추산

  • 약 1,100건(브루스 커밍스)[8]

4. 목록

  • 청주 당산(당이산) 학살사건-#
  • 전남 영암군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 화순군 학살사건#[10]
  • 303 고지 학살 사건
  • 6.25 전쟁 당시 소련군의 폭격
  • 6.25 전쟁기 부역혐의 학살
  • 좌익 치안대의 학살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
쿠데타 및 반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연도 시대 사건 주동 세력
1950년 김일성 시대 <colbgcolor=#ffffff,#191919> 신천·재령군 봉기*
(황해도 봉기)
<colbgcolor=#ffffff,#191919> 대한광복회
(김화경 등)
1987년 창평 정치범수용소 학살 사건* 창평 관리소 수감자
1992년 프룬제 군사대학 유학파 쿠데타 모의 사건* 프룬제 군사대학 출신 유학생
1995년 김정일 시대 제6군단 쿠데타 모의 사건* 북한군 제6군단
1997년 무산군 성도파 사건* 비밀결사 조직원
2017년 김정은 시대 김성일 사건* 비밀결사 조직원
2024년 2021년 북한 내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보도일시] 비밀결사 조직원
2024년 북한 내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
▶, ?
^^
새조선
자유민주당
{{{-2 * 성공하지 못한 쿠데타 및 반란 }}}}}}}}}

[보도일시] 발생일시는 2021년이나, 뉴스보도는 2024년이기에 2024년으로 표기.

[1] 북한군과 좌익세력은 인천상륙작전 이후 퇴각하면서 집중적으로 기독교인을 학살했다.#[2] 1952년 대한민국 공보처 통계국「6.25 사변 피살자 명부」에는 59,964명, 같은 해 내무부『대한민국 통계 연감』에는 122,799명, 1977년 국방부『한국전쟁사』와 1996년, 2003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자료에는 128,936명(남자 97,680명, 여자 31,256명)이라고 기재했다(김광동「6·25 당시 민간인 학살은 대한민국 엘리트 집단 말살 정책」;『월간조선』2003. 2.; 김성동·이상흔「피 묻은 명부가 대한민국에 던지는 질문」,『월간조선』2003. 9.; 김진우「[한국전쟁 60년] (3) 민간인 학살 - 미완의 진실 규명과 해원」,『경향신문』2010. 6. 18.; 전경웅「"국군과 유엔군만 민간인 학살했다"…이런 내용의 文 정부 '6.25 추모 사업'」,『뉴데일리』2020. 12. 23.).[3] 사회학자이자 진실화해위원회 상임위원[4] 김동춘『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사계절 2013., 334쪽[5] 미국과 한국의 조사를 토대로 계산한다면, 북한군과 남한의 공산주의 협력자들이 학살한 사람의 수는 대략 20,000~30,000명 사이라고 하지만, 그런 수치의 조사 방법은 의문이라고 보았다.[6] 이 수치에는 1950년 여름 한국에서 인민군과 좌익에 의해 자행된 몇몇 잔학 행위가 포함되었다고 한다(브루스 커밍스『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현실문화 2017., 261~262쪽). 물론 이와 더불어 브루스 커밍스는 6.25 전쟁 당시 좌익에 의한 학살은 경찰과 우익 청년 단체들을 노린 학살이었음을 강조하지만, 북한군과 좌익이 죽인 수가 10만 명이 아니라 3만 명에 그쳤다 해도 위안이 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7] 중공군의 학살만 거론할 시[8] 브루스 커밍스는, 2010년에 낸 저서『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에서 진실화해위원회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좌익에 의한 학살은 1,100건이었던 반면, 우익이 저지른 학살은 그 보다 더 많았고, 학살 비율로 따졌을때, 좌익의 학살 비율이 우익들의 학살 비율에 1/6 수준이라고 주장했다.[9] 한국 전쟁 시기 지주와 기독교인이 많았던 전남 지역에 좌익의 학살이 집중됐는데 그 중에서도 영광군에서 최대 피해가 났다.#[10] 좌우익의 대립으로 인한 상호 학살. 빨치산과 좌익이 학살을 하고 보복으로 군경이 좌익 시민들을 학살했다.[11] 좌우익의 대립으로 인한 상호 학살. 빨치산의 준동과 저항이 극심했으며 기독교인과 우익시민들이 학살 당하자(이 기사에 따르면 1954명이라고 한다.) 11사단을 중심으로 좌익 시민들을 보복 학살했다.[12] 좌우익의 대립으로 인한 상호 학살이었다.[13] 중공군에게 학살당한 포로들은 2만 9815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14] 6.25 전쟁 시기에만 최대 120,000명에 달한다.# 또한 전쟁 이후에도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