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0;border-radius:5px;" {{{-2 {{{#!folding [ 데뷔 이전 멤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18%;"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 ||||
1967 | 1968 | 1969 | 1969 | 1970 | |
1971 | 1972 | 1973 | 1975 | 1977 | |
1979 | 1983 | 1987 | 1994 | 2014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EPs ]
{{{#!folding [ Non-album Singles ]
{{{#!folding [ 관련 문서 ]
}}} ||A Momentary Lapse of Reason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19 리믹스반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colbgcolor=#a67e4e><colcolor=#000000> 발매 | 1987년 9월 7일 | ||
녹음 | 1986년 11월 ~ 1987년 3월 |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아트 록 | ||
재생 시간 | 51:09 | ||
곡 수 | 11곡 | ||
프로듀서 | 밥 에즈린, 데이비드 길모어 | ||
스튜디오 | 아스토리아 메이페어 스튜디오 브리타니아 로우 스튜디오 오디오 인터내셔널 스튜디오 | ||
레이블 | EMI 레코드 컬럼비아 레코드 |
1. 개요2. 상세3. 앨범 커버4. 평가5. 트랙 리스트
5.1. Side A
6. 참여진7. 여담5.1.1. Signs of Life5.1.2. Learning to Fly5.1.3. The Dogs of War5.1.4. One Slip5.1.5. On the Turning Away
5.2. Side B1. 개요
핑크 플로이드의 13번째 스튜디오 앨범. 로저 워터스의 탈퇴 이후 데이비드 길모어가 주도해 만든 첫 앨범이다.2. 상세
1985년 로저 워터스는 밴드를 탈퇴하며 핑크 플로이드는 끝났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데이비드 길모어와 닉 메이슨은 이 발언을 뒤집고 새 음반 작업에 착수하기 시작했다.이에 워터스는 나머지 멤버들에게 핑크 플로이드 명칭에 대한 법적 공방을 제기했고 길모어에 따르면 녹음 중에 거의 5분에 한번씩 변호인단의 전화가 온 적도 있었다고 한다. 심지어 워터스가 핑크 플로이드의 은행 자산까지 동결시키면서 재정적으로 위기에 빠지기도 했으며, 이후 메이슨이 자신이 가장 아끼던 페라리 250 GTO를 담보로 돈을 빌리면서 간신히 목표치 절반쯤에 도달할 수 있었다고 한다.
앨범 제작 중간에 워터스에 의해 밴드에서 해고당했던 리처드 라이트가 합류했지만 계약적 이유 등으로 정규 멤버로 들어오지 못했고, 주급을 지급받는 세션 뮤지션으로 고용됐다.[1] 이외에도 전에 워터스와 The Wall을 같이 제작했으나 이후 틀어졌던 프로듀서 밥 에즈린이 길모어와 공동 제작했고[2], 베이스 파트는 킹 크림슨의 베이시스트로 유명한 토니 레빈이 맡았다. 핑크 플로이드 음반 중 처음으로 디지털 방식이 도입되었다. 미디 시퀀서나 드럼 머신을 동원하기도 했으며 음원작업에는 샘플러와 매킨토시를 사용했다.[3]
핑크 플로이드의 이전 앨범들과는 달리 전체를 관통하는 중심적인 테마가 없는 게 특징이다.
발매 이후 영국 차트 3위와 미국 빌보드 차트 3위를 기록하는 등 상업적으로 성공했다.[4]
3. 앨범 커버
| 파일:A Momentary Lapse of Reason 영국 2판 CD 뒷면 커버.jpg |
<rowcolor=#000000> 영국 초판 CD 뒷면 커버 | 영국 2판 CD 뒷면 커버[5] |
|
영국 2판 CD 내부 커버[6] |
4. 평가
|
★★ |
|
★★ |
|
2.75 / 5.00 |
|
|
|
음반 평점 |
4.8 / 5.0 |
"전반적으로 곡들이 형편없습니다. 가사는 눈 뜨고 볼 수 있는 수준이 아니고요. 길모어가 쓴 가사는 저열한 삼류입니다." |
"로저의 비평은 일리가 있습니다. 이건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7] |
평단은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몇몇 평론가들은 The Final Cut에서 로저 워터스가 그랬듯이 이 음반은 데이비드 길모어의 솔로 앨범이라며 저평가했고, 당시 멤버들과 법적 공방을 진행하던 워터스는 인터뷰에서 위와 같이 말하며 이 음반을 비판했다. 또한 오랜만에 밴드에 돌아온 리처드 라이트마저 워터스의 이러한 비평에 동조했다. 팬들 사이에도 호불호가 확실히 갈리는 음반이며, 핑크 플로이드의 음반 중에서는 뚜렷하게 낮은 평가를 받는다.
5.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9658c><tablebgcolor=#79658c>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000> # | 곡명 | 재생 시간 | |
<colbgcolor=#a67e4e><colcolor=#000000> Side A | ||||
1 | Signs of Life | 4:24 | ||
2 | Learning to Fly | 4:53 | ||
3 | The Dogs of War | 6:04 | ||
4 | One Slip | 5:09 | ||
5 | On the Turning Away | 5:42 | ||
Side B | ||||
1 | Yet Another Movie | 6:13 | ||
2 | Round and Around | 1:14 | ||
3 | A New Machine (Part 1) | 1:46 | ||
4 | Terminal Frost | 6:16 | ||
5 | A New Machine (Part 2) | 0:40 | ||
6 | Sorrow | 8:47 |
5.1. Side A
5.1.1. Signs of Life
{{{#000000 Signs of Life}}} 04m 24s When the child-like view of the world went, nothing replaced it 어린아이 같은 세계관이 사라진다면 무엇도 그것을 대체할 수 없어 |
|
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밥 에즈린
5.1.2. Learning to Fly
{{{#000000 Learning to Fly}}} 04m 24s A flight of fancy on a wind swept field 바람이 몰아치는 들판 위에서의 환상적인 비행 Standing alone my senses reeled 홀로 서있는 나의 마음을 뒤흔들고있어 |
|
Written/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밥 에즈린, 앤서니 무어, 존 카린
5.1.3. The Dogs of War
{{{#000000 The Dogs of War}}} 06m 04s For hard cash, we will lie and deceive 우리는 현금을 위해서라면 거짓말하고 등 처먹을 거야 |
|
Written/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앤서니 무어
5.1.4. One Slip
{{{#000000 One Slip}}} 05m 09s A momentary lapse of reason 순간적인 이성의 상실 That binds a life for a life 그건 삶을 위해 삶을 묶게 만들어 |
|
Written/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필 만자네라
5.1.5. On the Turning Away
{{{#000000 On the Turning Away}}} 05m 42s On the turning away 돌아서는 중이야 From the pale and downtrodden 창백하고 억압받는 사람들에게서 |
|
Written/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앤서니 무어
5.2. Side B
5.2.1. Yet Another Movie
{{{#000000 Yet Another Movie}}} 06m 13s He's just the same as all the rest 그는 다른 사람들과 별반 다를게 없었어 He's not the worst, he's not the best 그는 최악도, 최고도 아니었지 |
|
Written/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패트릭 레너드
5.2.2. Round and Around
{{{#000000 Round and Around}}} 01m 14s |
|
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5.2.3. A New Machine (Part 1)
{{{#000000 A New Machine (Part 1)}}} 01m 46s Do you ever get tired of being in there? 너도 혹시 가끔 거기 있는게 지겨워 질때가 있니? Don't worry, nobody lives forever, 걱정 말아, 영원히 사는 사람은 없으니까, |
|
Written/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5.2.4. Terminal Frost
{{{#000000 Terminal Frost}}} 06m 16s |
|
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5.2.5. A New Machine (Part 2)
{{{#000000 A New Machine (Part 2)}}} 00m 40s It's only a lifetime 기껏해야 한평생일 뿐이니까 It's only a lifetime 한평생일 뿐이니까 |
|
Written/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5.2.6. Sorrow
{{{#000000 Sorrow}}} 08m 47s The sweet smell of a great sorrow lies over the land 크나큰 슬픔의 달콤한 향기가 대지에 퍼져있어 Plumes of smoke rise and merge into the leaden sky 매연이 피어오르고 흐릿한 색의 하늘과 어우러져 |
|
Written/Composed by 데이비드 길모어
6. 참여진
괄호 안의 번호는 트랙 번호이다.- 데이비드 길모어 - 보컬,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신디사이저(1,8,10), Roland VP 330 보코더 신디사이저(8,10), 시퀀서(1,2,6,7,11), 드럼 머신(11)
- 닉 메이슨 - 드럼(2,6), 드럼 머신(9), 퍼쿠션(4,5), 음향 효과(2,6,9), 목소리(1,2)
- 리처드 라이트 - 커즈와일 신디사이저(1,2,9,11), 피아노(9), 하몬드 오르간(5,9), 백킹 보컬(2,5,11)
- 밥 에즈린 - 신디사이저(1-4,9), 퍼쿠션(2,9), 시퀀서(1,2)
- 토니 레빈 - 베이스 기타, 채프먼 스틱(4)
- 짐 켈트너 - 드럼(4,5,6)
- 스티브 포맨 - 퍼커션(2,6)
- 존 카린 - 신디사이저
- 톰 스콧 - 알토/소프라노 색소폰(3,9)
- 스콧 페이지 - 테너 색소폰(3)
- 카마인 어피스 - 드럼(3)
- 패트릭 레너드 - 신디사이저(6,8)
- 빌 페인 - 하몬드 오르간(3)
- 마이클 랜도우 - 기타(4)
- 존 할리웰 - 색소폰(9)
- 달린 콜든헤이븐/필리스 세인트/제임스 도니제라드/카르멘 트윌리 - 백킹 보컬(2-6,9,11)
7. 여담
- 2019년 출시한 박스 세트 The Later Years에서 Momentary Lapse of Reason에서 메이슨의 드럼 연주를 재녹음하고 라이트가 이 시기에 투어에서 연주한 걸 입힌 리믹스 버전이 공개되었다.
[1] 라이트는 이후 1990년에 계약적 위치까진 아니나 정규 멤버로 들어왔다.[2] 에즈린은 이전에 길모어의 솔로 앨범 About Face에서 이미 길모어와 함께 작업한 적이 있었다.[3] 사실 멤버들 솔로 음반으로 범위를 넓혀보면 라이트의 Identity나 워터스의 Radio K.A.O.S.에서 디지털 샘플러, 드럼머신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등 이 음반보다 더 일찍 디지털 방식이 도입되긴 했으나, 두 음반 모두 라이트나 워터스가 핑크 플로이드 멤버가 아니던 솔로 시절에 출시한 음반들이다.[4] Bad나 1987의 기세에 밀렸을 뿐 1,000만장이 넘는 판매고를 기록하며 전작인 The Final Cut보다 몇 배나 많이 팔렸다.[5] 아래에 노를 젓는 사람은 이후 라이브에서 재생되는 Signs of Life 비디오에 등장한다.[6] 핑크 플로이드 앨범에 멤버 사진이 들어간 건 1971년 Meddle 이후 처음으로, 원래 리처드 라이트도 오른쪽에서 같이 촬영했지만 계약 상 정규 멤버가 아니었기 때문에 사진에서 빠졌다. 또 왼쪽에 자세히 보면 다른 멤버들보다 이름이 작게 처리되어 있다.[7] The Wall 제작 당시 워터스와의 사이가 극단적으로 틀어진 라이트가 그의 의견에 어느 정도 동조했다는 것이 하나의 시사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