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468D8, #150A34 40%, #150A34 60%,#150A34 60%, #8468D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color: #fff; min-width: 100%" {{{#!folding [ 전 멤버 ]{{{#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 |||
1972 | 1973 | 1973 | 1974 | |
1975 | 1979 | 1980 | 1982 |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밥 딜런 | 롤링 스톤스 | 데이비드 보위 | 브루스 스프링스틴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라디오헤드 | 레드 제플린 | 닐 영 | 프린스 | 비치 보이스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R.E.M. | 엘비스 프레슬리 | 칸예 웨스트 | 더 후 | U2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마일스 데이비스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너바나 | 더 클래시 | 지미 헨드릭스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마빈 게이 | 핑크 플로이드 | 엘비스 코스텔로 | 스티비 원더 |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마돈나 |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 더 스미스 | 마이클 잭슨 | 밴 모리슨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토킹 헤즈 | 켄드릭 라마 | 아케이드 파이어 | 아레사 프랭클린 | 비요크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JAY-Z | 제임스 브라운 | 톰 웨이츠 | 존 콜트레인 | PJ 하비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킹크스 | 퍼블릭 에너미 | 버즈 | 비스티 보이즈 | 조니 미첼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벡 한센 | 더 큐어 | 존 레논 | 도어즈 | LCD 사운드시스템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블러 | 크라프트베르크 | 레너드 코헨 | 픽시즈 | 루 리드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조니 캐쉬 | 소닉 유스 | 록시 뮤직 | 오아시스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듀크 엘링턴 | 더 밴드 | 아웃캐스트 | 다프트 펑크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사이먼 앤 가펑클 | 프랭크 시나트라 | 척 베리 | 프랭크 오션 | 비욘세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조이 디비전 | AC/DC | 윌코 | 오티스 레딩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뉴 오더 | 메탈리카 | 화이트 스트라입스 | 라몬즈 | 더 폴리스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스투지스 | 브라이언 이노 | 엘튼 존 | 뱀파이어 위켄드 | 퀸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섹스 피스톨즈 | 매시브 어택 | 레이 찰스 | 스틸리 댄 | 블랙 사바스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케이트 부시 | 악틱 몽키즈 | 찰스 밍거스 | 패티 스미스 | 포티스헤드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건즈 앤 로지스 | 페이브먼트 | 수프얀 스티븐스 | 알 그린 | 펑카델릭 | |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5deg, #1D1D1B, #1D1D1B 20%, #1D1D1B 83.9%, #DD052B 83.9%);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rowcolor=#000,#fff> 2019년 영국의 일간지 이브닝 스탠더드가 The 20 greatest British rock bands of all time를 발표.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레드 제플린 | 라디오헤드 | 핑크 플로이드 | 롤링 스톤스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더 스미스 | 오아시스 | 더 큐어 | 더 클래시 | 스톤 로지스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킹크스 | 퀸 | 블러 | 블랙 사바스 | 더 후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록시 뮤직 | 티렉스 | 더 잼 | 슈퍼 퍼리 애니멀즈 | 조이 디비전 | |
같이 보기: 영국 밴드, 미국 밴드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150A34> | 록시 뮤직 Roxy Music | }}} | ||
▲ 맨 왼쪽부터 필 만자네라, 브라이언 페리, 앤디 맥케이, 브라이언 이노, 그래이엄 심슨, 폴 톰슨 | |||||
<colcolor=#fff><colbgcolor=#150A34> 국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데뷔 싱글 | |||||
데뷔 앨범 | |||||
멤버 | 브라이언 페리 (리드 보컬, 키보드, 하모니카) 앤디 맥케이 (색소폰, 오보에) 폴 톰슨(드럼) 필 만자네라 (리드 기타) | ||||
전 멤버 | 그레이엄 심슨[1] (베이스, 1970 - 1972) 브라이언 이노 (신디사이저, 1970 - 1973) 에디 좁슨 (신디사이저/바이올린, 1973 - 1976) 존 구스타프손 살 마이다 | ||||
장르 | 글램 록, 아트 록, 아트 팝, 팝 록, 소피스티 팝, 뉴 웨이브 |
[clearfix]
1. 소개
리드 싱어이자 싱어송라이터인 브라이언 페리, 색소포니스트 앤디 멕케이, 기타리스트 필 만자네라, 드러머 폴 톰슨으로 구성된 영국의 글램 록 밴드이다.2. 결성
1970년 11월, 한 여학교 도자기 공예 수업시간에 즉흥 연주 듣기 수업을 진행한 대가로 '대략 30초만에' 교직을 잃게 된 브라이언 페리는 새로운 음악 밴드를 결성하기 위해 이곳저곳 협력자를 찾게 된다. 이 과정 중 1970년 킹 크림슨의 보컬리스트 오디션을 보았지만 밴드의 분위기와 걸맞지 않는다[2]는 평가를 받고 거절되어, 학교 동문인 베이시스트 그레이엄 심슨과 함께 록시 뮤직을 결성하였다. 이때 맴버는 브라이언 페리, 그레이엄 심슨, 앤디 맥케이, 기술 고문이였던 브라이언 이노[3]로 구성되었고, 밴드 이름은 화려한 느낌을 주는 여자 이름인 '록시'를 임의로 정했다. 데뷔하기도 전에 수 차례 멤버가 바뀌었지만, 1년 후인 1971년 12월 공식적으로 결성되어 데뷔 앨범인 Roxy Music, 그리고 이어지는 싱글 Virginia Plain[4]으로 주목을 받았다.2.1. 멤버
브라이언 페리 보컬 | 필 만자네라 기타 | 앤디 맥케이 색소폰 | 폴 톰슨 드럼 |
3. 스타일
록시 뮤직은 팝 아트의 아버지이자 페리의 스승이었던 리처드 해밀턴의 미학의 영향하에서, 슈투룸 운트 드랑 시기의 카바레 음악과 1950년대의 미국 로큰롤과 신스팝을 결합한 글램 록이 베이스가 된, 화려하고 퇴폐적이며 지적인 음악을 추구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특히 영미권의 대중음악에 음악가 데이비드 보위와 비견되는 엄청난 영향을 끼쳤는데 보위에 비해 록시 뮤직은 더욱 문학적이고 문화 지향적이었던 탓에 유럽이나 북미에 비해 대한민국에서의 지명도는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이다. [5]20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글램 록 및 아트 팝 밴드로 간주되며, 이들의 비주얼과 사운드는 당대의 펑크 록뿐만 아니라 1980년대 이후의 뉴 로맨틱 밴드들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음악적인 부분은 차치하더라도, 댄디한 웨일즈적 미남을 가리키는 표현인 'Tall, Dark and Handsome'의 대명사와도 같았던 브라이언 페리는 듀란 듀란과 디페시 모드를 위시해서, 더 카스, 더 스미스의 조니 마, 펄프나 스웨이드 같은 뮤지션들의 롤 모델이었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4. 여담
모든 앨범 커버를 여자 모델이 장식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일부는 브라이언 페리의 당시 연인이였다. 심지어 Avalon 앨범 아트도 한눈에 알아보긴 힘들지만, 페리의 아내가 되는 루시 헬모어가 모델이다.국내 대중 음악 팬들에게는 록시 뮤직의 1982년 발매된 8번째이자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인 Avalon에 수록된 More Than This[6]와 Avalon이 친숙하게 노출된 곡이며, 전위적이며 유혹적인 보컬과 묘한 댄싱의 매력을 발산하는 브라이언 페리가 한국에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7]
5. 디스코그래피
5.1. 스튜디오 앨범
- Roxy Music (1972)
- For Your Pleasure (1973)
- Stranded (1973)
- Country Life (1974)
- Siren (1975)
- Manifesto (1979)
- Flesh and Blood (1980)
- Avalon (1982)
5.2. 라이브 앨범
- Viva! (1976)
- The High Road (1983)
- Heart Still Beating (1990)
- Concert Classics (1998)
- Valentine (2000)
- Concerto (2001)
- Vintage (2001)
- Ladytron (2002)
- Reflection (2002)
- Roxy Music Live (2003)
[1] 창립 맴버[2] 브라이언 페리의 우아하고 느끼한 저음은 킹 크림슨 특유의 진지하고 시적인 음악과 맞지 않았을지도 모른다.[3] 초기에 탈퇴하여 에디 좁슨으로 대체된다.[4] 당시 Roxy Music 앨범엔 미포함 되었지만 앨범의 성공으로 빠르게 만들어져 싱글 발매되었다.[5] 텔레비전(밴드)의 리더 톰 벌레인이 내한 당시 장기하와 얼굴들에 대해 초창기 록시 뮤직 음악과 닮았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링크[6] 이와 곡명이 똑같은 해외 밴드의 싱글 곡이 여러 편이 있다.[7] More Than This는 스칼렛 요한슨이 주연한 '사랑도 통역이 되나요?(2003, 원제: Lost in Translation)' 삽입곡으로 더욱 인지도가 높아졌었다. 극 중에서 빌 머레이는 이 노래를 음치스럽게 부르는 장면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