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프리카의 통화 | ||||||||
이집트 파운드 | 수단 파운드 | 모로코 디르함 | ||||||
알제리 디나르 | 튀니지 디나르 | 리비아 디나르 | ||||||
| ||||||||
유로 ( ( |
서남아시아의 통화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튀르키예 리라 (튀르키예, 북키프로스) | 러시아 루블 (러시아,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 |||
이스라엘 신 셰켈* | 조지아 라리 | 아르메니아 드람 |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 |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 요르단 디나르 | 오만 리알 | |
카타르 리얄 | 바레인 디나르 | 쿠웨이트 디나르 | 예멘 리알 | |
레바논 파운드 | 시리아 파운드 | 이라크 디나르 | 이란 리알 | |
* 요르단강 서안 지구 : 요르단 디나르와 병행 가자 지구 : 이집트 파운드와 병행 |
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99ff><colcolor=#fff> 아시아 | 일본 엔, 중국 위안, 신대만 달러, 홍콩 달러, 태국 바트, 필리핀 페소, 베트남 동, 인도네시아 루피아, 말레이시아 링깃, 싱가포르 달러, 브루나이 달러, 마카오 파타카(#), 방글라데시 타카(#), 카자흐스탄 텡게(# / ※), 키르기스스탄 솜(# / ※) |
중동 |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쿠웨이트 디나르, 바레인 디나르, 요르단 디나르, 이스라엘 신 셰켈, 오만 리알(#) | |
유럽 | 유로, 파운드 스털링, 스위스 프랑, 스웨덴 크로나(#), 덴마크 크로네(#), 노르웨이 크로네(#), 체코 코루나, 폴란드 즈워티, 헝가리 포린트, 러시아 루블(사실상 #), 튀르키예 리라(#) | |
아메리카 |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멕시코 페소, 브라질 헤알, 칠레 페소(#) | |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이집트 파운드(#), 케냐 실링(#) | |
오세아니아 |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피지 달러(# / ※) | |
범례: 제한적으로 환전 가능 (#), 외화→원화로만 환전 가능 (※) | }}}}}}}}} |
جنيه مصرى (기니 마쓰리, 이집트 방언)[1]
Egyptian Pound (이집션 파운드, 영어)
1. 개요
이집트의 통화. 비공식적으로 팔레스타인의 가자 지구에서도 통용되고 있다.ISO 4217 코드는 EGP, 기호는 파운드계열 통화답게 £를 디폴트로 놓을...것 같지만 현지어로는 ج.م를 쓰거나 아예 지폐에다가는 LE라고 표기해 놓았다. 인플레이션은 35.71% (2024년).
참고로 현지어에서 파운드라 하는 경우는 외국어로 말할 때나 쓰고 통상 기니라 부른다. 보조단위는 피아스터(대외적 표기), 키리쉬(국내 표기). 여담이지만, 영어의 영향으로 인해 이집션 파운드라고도 한다.
2. 환전과 환율
아프리카에서 환전이 잦은 통화 중 하나.이집트에서 환전 사기가 급등하는 추세이니 국내 시중은행에서는 신한은행이 취급하는데 둘 다 인터넷으로 주문한 다음 공항지점, 본점, 특수지점에서 찾아야 한다.
신한은행은 모두 11%, KEB하나은행에서는 비고시 추심 통화이다.
1952 ~ 2002년 발행권은 아직도 이집트에서는 제한적으로나마 사용이 가능하다.
KEB하나은행 비고시 추심 가능 지폐목록
2024년 3월 기준 환율은 1 파운드 = 약 30원.
지폐 | 원화 환산 |
5 | 150 |
10 | 300 |
20 | 600 |
50 | 1,500 |
100 | 3,000 |
200 | 6,000 |
이집트 현지에서 환전해야 한다면 아래의 통화가 환전이 가능하다.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사설환전소나 은행에서만 되는 경우가 있다.
-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2], 스위스 프랑, 덴마크 크로네, 노르웨이 크로네, 스웨덴 크로나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 아시아: 일본 엔, 중국 위안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 중동: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쿠웨이트 디나르, 바레인 디나르, 카타르 리얄, 요르단 디나르
북한 원 때문에 큰 피해를 입은 나라이다.관련기사1관련기사2
- 2022년 6월 24일 최종 시세는 68.66원
- 2023년 3월 3일 최종 시세는 42.34원
2.1. 이집트 환전 사기 주의
대부분의 영어권 여행 사이트나 블로그에서는 이집트 치안이 좋지 않은 관계로 현지 사설환전소에서도 환전 사기가 나오는 추세라고 한다.가능하면 고액거래는 수수료가 비싸더라도 현지 은행에서 환전하거나 국내 시중은행에서 인터넷 주문하는 것이 좋다.
아래쪽은 이집트 사설 환전소에서 벌어지는 일반적인 사기이다.
- 바가지 환율: 구권 또는 소액권이라는 이유로 적은 환율 적용
- 강도와 짜고 환전한 돈을 절도하는 행위 또는 낯선 음료에 수면제 타서 돈을 절도하는 행위
- 이집트 현지에서 사용이 제한이 있는 지폐 또는 동전을 주는 행위
- 화폐 개수기와 감별기 없는 환전소는 거래를 피하자. 그곳은 인도네시아 발리처럼 밑장빼기와 바가지 환율 행위가 있다.
3. 1차
처음에는 앞면에 이집트의 마지막 국왕 파루크 1세의 초상이 있었으나 공화국으로 전환되면서 투탕카멘의 두상으로 교체되었다.앞면 | 뒷면 | ||
25PT | (없음) | 아부 알 아바 알 무르시 모스크 | |
50PT | 필라에 신전 | ||
LE1 | |||
LE5 |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 | 네일로스의 동상 | |
LE10 | (없음) | 카르나크 신전 | |
LE50 | 고대 유적 | 이집트의 도시 풍경 | |
LE100 | 미나렛 | 술탄 카이트베이 모스크 |
- 25, 50피아스터와 10파운드 지폐는 나중에 추가되었다.
4. 2차
1961~1965년에는 발행주체가 바뀌면서 (국립은행→중앙은행) 발행한 시리즈로 전판보다 더 심심한 모습(뒷면 도안이 모조리 빠졌다.)으로 등장했다.이때 환율은 상당히 높아서 LE 0.36/USD. (약 $2.78/LE)
도안 | ||
25PT | 구 이집트 국장 | |
50PT | ||
LE1 | 투탕카멘 | |
LE5 | ||
LE10 |
5. 3차
이 시기부터 앞면에는 현대 이슬람 이집트의 모스크를, 뒷면에는 고대 이집트의 문화 유산을 테마로 하는 규칙으로 도안을 그려넣고 있다.도안들 거의 대부분이 4차와 동일한 소재.
6. 4차
6.1. 구권
앞면 | 뒷면 | ||
25PT | 알 사이다 아이샤 모스크 | 이집트 국장 | |
50PT | 알 아즈하르 모스크, 아즈하르대학 | 람세스 2세 조각상 | |
LE10 | 알 리파이 모스크 | 카프레 상 | |
LE20 |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 | 세누스레트 1세 신전 조각상, 파라오 전차 | |
LE100 | 알 사이다 자이나브 모스크 | 투탕카멘의 가면 |
- 25, 50피아스터 지폐는 각각 2008년, 2017년까지 발행되었으며 이후에도 동전과 같이 병행 사용 가능하다. 다만 50파운드권을 50피아스터권으로 바꿔치는 사기가 일부 있으니 주의하자. 사례(본문 3번)
6.2. 현행권
앞면 | 뒷면 | ||
LE1 | 술탄 카이트베이 모스크 | 아부심벨 대신전 | |
LE5 | 이븐 툴룬 모스크 | 의인화한 나일강이 풍년을 기원하는 모습 | |
LE10[A] | 알 파타 알 알림 모스크 | 하트셉수트 상,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 |
LE20[A] | 전판과 동일 | 클레오파트라 상, 파라오 전차 | |
LE50 | 아부 할리바 모스크 | 에드푸 신전 | |
LE100 | 술탄 핫산 모스크 | 기자의 대스핑크스 | |
LE200 | 카니 베이 모스크 | 고대 이집트 서기관상 |
- 1파운드 지폐는 동전이 나온 후에도 함께 여전히 발행하고 있다.
- 2007년 200파운드 발행당시 500파운드(당시 환율로 약 8만원)도 발행할 계획이었으나 시기상조라며 미뤄졌고,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이전보다 4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한 지금(약 2만원)도 발행하지 않고 있다.
- 2020년 현물화폐의 발권과 유통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폴리머 신권을 예고했고 이듬해 후반기에 모습 공개, 그리고 2022년부터 발행을 시작하고 있다.[5]
7. 동전
현행 동전은 5, 10, 25, 50피아스터와 1파운드 5종류. 허나 환율 하락으로 인해 현재는 25, 50피아스터와 1파운드 위주로만 쓰인다.
25피아스터 - 국호(이집트 아랍 공화국) 서예
50피아스터 - 클레오파트라 7세
1파운드 - 투탕카멘의 가면
50피아스터와 1파운드는 도안을 바꿔 기념주화로도 발행하고 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c09300><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수련 · 초원수리 |
역사 | 역사 전반 · 고대 이집트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파티마 왕조 · 맘루크 왕조 · 이집트 왕국 · 2011 이집트 혁명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이집트 아랍 공화국 여권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BRICS | |
경제 | 경제 전반 · 이집트 파운드 · 넥스트 일레븐 | |
국방 | 이집트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바스부사 · 몰로키야(음식) · 하맘 마슈위)· 이집트 음악 · 이집트 미술 · 이집토마니아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 카이로 박물관 · 이집트 대박물관 | |
인물 | 네페르티티 · 아케나톤 · 투탕카멘 · 람세스 2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히파티아 · 바이바르스 · 메흐메트 알리 · 가말 압델 나세르 · 안와르 사다트 · 호스니 무바라크 · 무함마드 무르시 · 압델 파타 엘 시시 · 하산 알 반나 · 사이드 쿠틉 · 모하메드 살라 | |
지리 | 나일강 · 시나이반도 · 사하라 사막 · 홍해 | |
민족 | 이집트인(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
종교 | 이집트 신화 · 콥트 정교회 · 수니파 · 살라피즘 | |
언어 | 고전 이집트어 · 콥트어 · 이집트 아랍어 | |
문자 | 이집트 상형문자 · 콥트 문자 · 아랍 문자 | |
관광 | 이집트/관광 · 철도 환경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40deg, #fff 10%,transparent 10%), linear-gradient(40deg, #fff 10%,transparent 10%), linear-gradient(to right, #cf0921 15%,transparent 15%),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f0921>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올리브 · 국기 · 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 파타-하마스 분쟁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팔레스타인/행정구역 · 하마스 · 파타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 팔레스타인 인민당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 팔레스타인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영국 방안 · 일국 방안 · 양국 방안 · 삼국 방안 | |
경제 | 경제 전반 · 이스라엘 신 셰켈 · 요르단 디나르 · 이집트 파운드 | |
군사 | 팔레스타인 보안군 | |
문화 | 문화 전반(케피예) · 요리 · 후무스 · 쿠나파 · 마클루바 · 무삭칸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 예루살렘 총대주교(정교회) | |
인물 | 아민 알후세이니 · 야세르 아라파트 · 마흐무드 압바스 · 쉬린 아부 아클레 | |
지리 | 가자 지구 · 요르단강 서안 지구(베들레헴) | |
민족 | 팔레스타인인(아르메니아계) · 팔레스타인계 칠레인 | }}}}}}}}} |
[1] 표준 아랍어 발음은 주나이흐 마스리.[2]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제한적 환전 가능[A] 뒷면 배경에 기자의 대피라미드가 공통으로 들어가 있다.[A] [5] 여담으로 20파운드 폴리머권 도안이 처음 공개되었을 당시 투명창 안의 모스크 문양이 무지개색이라는 이유로 큰 반발이 일어났는데 다름아닌 LGBT의 대표적 상징이라는 것이 이유로 아무리 이집트 이슬람이 세속적인 하나피파 기반이라도 반LGBT 성향이 강하기 때문. 이후 청색으로 수정되었으나 정작 그 무지개는 금속 부분에서 빛의 반사로 생긴 것이라 실물은 원안대로 무지개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