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X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LAX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 #FFF 50%)"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B71234> 상징 | <colcolor=#000,#fff>The Golden State (별명) · 유레카 (모토) · I Love You, California (주가州歌) · 세쿼이아 · 캘리포니아불곰 | |
역사 | 역사 전반 · 골드 러시 · 캘리포니아 공화국 | ||
정치 | 정치 전반 · 행정구역 | ||
경제 | 경제 전반 · 실리콘밸리 | ||
문화 | 할리우드 · 스포츠 · 서부 힙합 | ||
교통 | BART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 리치몬드-밀브레선 · 메트로링크 · 스프린터 · 샌프란시스코 시영 철도 · 샌프란시스코/교통 · 알타몬트 코리더 익스프레스 · 칼트레인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 온타리오 국제공항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공사중) | ||
지리 | <colcolor=#fff> 지리 전반 | 지리 전반 · 타호 호 · 요세미티 국립공원 · 모하비 사막 · 데스밸리 국립공원 · 조슈아 트리 국립공원 ·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불 (2025년 남부 캘리포니아 산불 · 2025년 미국-멕시코 제2국경 산불 사태) | |
주요 도시 | 로스앤젤레스 광역권 (로스앤젤레스 · 롱비치 · 어바인 · 애너하임 · 인랜드 엠파이어) · 베이 광역권 (샌프란시스코 · 산호세 · 오클랜드) 새크라멘토 · 샌디에이고 · 프레즈노 · 베이커즈필드 · 산타바바라 | ||
교육 | 캘리포니아 대학교 (UCB · UCLA · UCSB · UCD · UCR · UCSD · UCSF · UCI · UCSC · UCM)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캠퍼스 목록) USC · 스탠퍼드 대학교 · Caltech · 클레어몬트 대학교 · 라번 대학교 · 로마린다 대학교 · 미네르바 대학교 · 산타 모니카 칼리지 · 산타클라라 대학교 · 샌디에이고 대학교 · 샌프란시스코 대학교 · 샌프란시스코 음악원 · 아카데미 오브 아트 · 웨스트몬트 칼리지 · 채프먼 대학교 · 캘리포니아 침례 대학교 · 퍼시픽 대학교 · 퍼시픽아메리칸 대학교 · 페퍼다인 대학교 | ||
인물 | 출신 인물들 | ||
인구 | 인구 | ||
여담 | 여담 |
[[미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 <colbgcolor=#CCCCCC,#323232><colcolor=#000000,#E5E5E5> 북동부 | ||
뉴잉글랜드 | <colbgcolor=#CCCCCC,#323232> 메인 | 포틀랜드 제트포트 · 뱅고어 | |
뉴햄프셔 | 맨체스터-보스턴 | ||
버몬트 | 벌링턴 | ||
매사추세츠 | 보스턴 로건국제 | ||
로드아일랜드 | 로드아일랜드 T. F. 그린 · 블럭 아일랜드 | ||
코네티컷 | 하트퍼드국제 · 브래들리 · 뉴헤이븐 · 워터베리-옥스포드 · 댄베리 · 그로튼 · 브릿지포트 | ||
중부 대서양 | 뉴욕 | 존 F. 케네디국제 · 라과디아국제 · 스튜어트 · 롱아일랜드 맥아더 · 버팔로 나이아가라 · 올버니 · 로체스터 · 시라큐스(핸콕) · 웨스트체스터 · 리퍼블릭 · 브룩헤이븐 · 프란시스 가브레스키 · 이스트햄튼 · 몬탁 | |
뉴저지 | 뉴어크 리버티국제 · 테터보로 | ||
펜실베이니아 | 필라델피아국제 · 피츠버그국제 · 스크랜턴 · 리하이 밸리 · 해리스버그 | ||
남부 | |||
남부 대서양 | 메릴랜드 | 볼티모어 워싱턴국제 | |
버지니아 | 워싱턴 덜레스국제 · 워싱턴(로널드 레이건) · 리치몬드 · 노퍽 | ||
노스캐롤라이나 | 롤리 더럼국제 · 샬럿 더글러스국제 · 그린스보로(피드몬트 트라이어드) | ||
사우스캐롤라이나 | 찰스턴 · 그린빌-스파르탄버그 · 머틀 비치 | ||
조지아 |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국제 · 서배너 | ||
플로리다 | 마이애미국제 · 포트로더데일 할리우드국제 · 올랜도국제 · 올랜도 샌퍼드 · 올랜도 멜버른 · 탬파국제 · 사우스웨스트 플로리다 · 잭슨빌 · 새러소타-브레이든턴 · 팜비치 · 펜사콜라 · 세인트피트-클리어워터 · 데이토나 비치 · 포트마이어스국제 | ||
동남 중앙 | 켄터키 | 신시내티국제 · 루이빌 · 렉싱턴(블루 그래스) | |
테네시 | 멤피스 · 내슈빌국제 · 녹스빌(맥기 타이슨) · 채터누가(메트로폴리탄) | ||
앨라배마 | 버밍햄-셔틀스워스 · 헌츠빌 · 몽고메리 리저널 · 터스칼루사 리저널(내셔널) | ||
서남 중앙 | 아칸소 | 리틀록(빌 앤 힐러리 클린턴 내셔널) · 페이엇빌(노스웨스트 아칸소) | |
루이지애나 | 알렉산드리아 · 라피엣 리저널 · 배턴 루지 메트로폴리탄 · 루이 암스트롱 뉴올리언스국제 | ||
오클라호마 | 오클라호마시티(윌 로저스 월드) · 털사 | ||
텍사스 | 조지 부시 인터컨티넨털국제 · 휴스턴 하비 · 댈러스-포트워스국제 · 댈러스 러브필드 · 오스틴 버그스트롬국제 · 샌안토니오 · 러벅(프레스톤 스미스) · 미들랜드-오데사 · 엘패소 | ||
중서부 | |||
동북 중앙 | 미시간 | 디트로이트 웨인 카운티국제 · 플린트 · 그랜드래피즈(제럴드 R. 포드) · 랜싱 | |
오하이오 | 클리블랜드 홉킨스국제 · 톨레도 익스프레스 · 존 글렌 콜럼버스 · 리켄배커 · 데이튼 · 애크런-캔턴 | ||
인디애나 | 인디애나폴리스 · 사우스 벤드 | ||
위스콘신 | 밀워키 미첼 · 매디슨(데인 카운티) | ||
일리노이 | 시카고 오헤어국제 · 시카고 미드웨이국제 · 시카고 록포드 · 미드아메리카 세인트루이스국제 · 세인트루이스 다운타운 | ||
서북 중앙 | 미네소타 | 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국제 | |
아이오와 | 디모인 · 시더 래피즈(이스턴 아이오와) | ||
미주리 | 캔자스시티 · 세인트루이스 램버트 | ||
네브래스카 | 에플리 에어필드 | ||
캔자스 | 위치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
서부 | |||
산악 | 몬태나 | 보즈먼(옐로스톤) | |
아이다호 | 보이시 | ||
콜로라도 | 덴버국제 · 덴버-로키마운틴 · 콜로라도 스프링스 | ||
뉴멕시코 | 앨버커키 · 로즈웰 · 홉스 | ||
유타 | 솔트레이크 시티국제 | ||
애리조나 | 피닉스 스카이 하버국제 · 피닉스-메사 게이트웨이 · 투손 · 파이널 에어파크 | ||
네바다 | 라스베이거스 해리 리드국제 · 리노-타호 | ||
태평양 | 워싱턴 | 시애틀 타코마국제 · 킹 카운티(보잉 필드) · 페인 필드 · 스포케인 · 프리데이 하버 | |
오리건 | 포틀랜드국제 | ||
캘리포니아 | 새크라멘토국제 · 샌프란시스코국제 · 오클랜드국제 · 산호세국제 · 로스앤젤레스국제 · 온타리오국제 · 샌디에이고국제 · 프레즈노 요세미티국제 · 샌버나디노국제 · 존 웨인 · 버뱅크 · 샌카를로스 · 모하비 · 롱비치 · 팜데일 · 팜스프링스 · 몬테레이 · 트러키 · 밴나이즈 | ||
하와이 | 호놀룰루(다니엘 K. 이노우에)국제 · 코나 · 카훌루이 · 리후에 · 힐로 | ||
알래스카 | 앵커리지(스티븐스) · 페어뱅크스 | ||
해외 영토 | |||
태평양 | 괌 | 아가나(A.B. 원 팻)국제 | |
아메리칸 사모아 | 팡오팡오 | ||
북마리아나 제도 | 사이판국제 · 티니안 · 로타 | ||
카리브 | 푸에르토리코 | 루이스 무뇨스 마린국제 | |
US 버진아일랜드 | 시릴 E. 킹 | ||
국제 : 국제선이 존재하는 공항 볼드체: 한국과의 직항편이 존재하는 공항 | }}}}}}}}}}}} |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Los Angeles International Airport | |
| |
| |
IATA: LAX / ICAO: KLAX | |
개요 | |
<colbgcolor=#00a5ce><colcolor=#fff>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위치 |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웨스트체스터[1] |
종류 | 민간공항 |
소유 | 로스앤젤레스 월드 에어포트[2] |
운영 | |
개항 | 1928년 10월 2일 ([age(1928-10-02)]년 전) |
고도 | 39m / 128ft |
좌표 | 북위 37도 37분 08초 서경 122도 22분 30초 |
웹사이트 | |
활주로 | |
제1활주로 | 6L/24R: 2,721 x 46m / 8,926ft |
제2활주로 | 6R/24L: 3,318 x 46m / 10,885ft |
제3활주로 | 7L/25R: 3,939 x 46m / 12,923ft |
제4활주로 | 7R/25L: 3,382 x 61m / 11,095ft |
지도 | |
[clearfix]
1. 개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국제공항. IATA 코드는 LAX. 이 명칭이 유명해져서 보통 현지에서는 LAX라고 부른다.[3]LAX라는 코드가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1930년대 이후로 항공 여객 산업이 발달하면서 너도나도 공항을 짓기 시작하자 당시 두 자리였던 코드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고, 194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3자리 코드로 바꾸면서 LA 다음에 빈 자리를 의미하는 X를 붙인 게 LAX였다고 알려져 있다.[4]
2. 특징
2.1. 미어터지는 규모
| |
공항 혼잡도가 이 모양 이 꼴인 이유는 LA 도시권 내에 수요를 분담해줄 다른 공항이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이다. 할리우드 버뱅크 공항, 롱비치 공항이 보조 역할을 한다지만 한계가 상당하다.[6] 뉴욕 도시권은 JFK의 트래픽을 라과디아, 뉴어크 등이 분산하고 있는 반면 LA 도시권은 분산이 되지 않고 저가 항공사들도 여기로 취항중이다.
슬롯도 항상 부족해서 착륙한 비행기가 계류장에서 30~40분이나 기다리는 일도 빈번하다. 게이트가 안 비면 계단차로 활주로 한가운데에 내려서 버스를 타고 공항 터미널 건물의 입국 심사대로 가야 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해서 공항 건물 밖으로 나오면 커브 사이드에 들락날락하는 택시, 승용차, 셔틀 등으로 북새통을 이루어 난리가 따로 없음을 바로 알 수 있다. 그리고 로스앤젤레스에서 용무를 마치고 다시 집에 가려고 출발층으로 진입하면 탑승구역에서는 까다로운 검색 절차와 비좁은 주제에 그것도 각각 분리된 터미널 구조가 콤보 이루어서 터미널 건물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승객들이 건물 밖에까지 줄을 서서 체크인 순서를 기다리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
그러나 더 이상의 확장은 어렵다. 공항 주변은 다 개발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서쪽이 바닷가라 그쪽의 땅을 메우는 것도 가능하지만 모종의 사유로 하지 않는 상황이다. 아예 고속도로를 새로 뚫어야 하는데 과연 이게 될 지는 미지수. [8]
2.2. 까다로운 입국 심사
입국 심사가 매우 까다로워 미국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디트로이트 웨인 카운티 국제공항과 함께 필히 피해야 할 공항으로 부른다. 불친절한 CBP 직원들, 토 나오는 입국심사 때문이다. 이게 얼마나 심하냐면, 각종 커뮤니티에서 직원들 싸가지가 단 1도 없다며 온갖 욕을 한다...LA는 미국 내에서도 외국인(계) 주민이 많은 지역이다. 그만큼 불법체류자들, 매춘 취업 목적의 직업여성, 외국인 근로자 등이 들어오기 쉬운 곳인 만큼, 입국 통제를 까다롭게 할 수 밖에 없다.[9]
앞서 말했듯 디트로이트와 함께 입국 심사 2대 던전으로 통할 정도로 입국 심사가 까다롭기로 악명이 높으며[10], 멕시코시티에 가야 하는 한국인들 중 여기를 거치기 싫어서 밴쿠버를 경유, 혹은 순수 아메리칸 항공으로 댈러스를 경유하는 경우도 있었다. 캐세이퍼시픽항공 + 아메리칸 항공 조합 내지는 일본항공 + 아메리칸 항공으로 시카고를 경유하는 사람도 많다.
물론 케바케로 질문 몇 가지만 던지고 가벼운 말만 한 후 바로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11]
한국계 미국인 출입국 심사관들이 있지만, 오히려 다른 인종의 심사관들보다 더 까다롭게 입국심사를 진행할 수도 있으니 괜히 한국계 심사관이라고 섣부르게 한국어를 쓰는 것은 삼가는 것이 좋다. 정말 영어를 하지 못하는 입국자의 상황[12]을 제외하면 업무적으로 철저히 영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한국인을 아예 다른 민족으로 인식하며 그들도 소수민족인지라 보여주기 식으로 더 빡센 심사를 시전할 수 있다. 더군다나 심사관이 본인한테 질문 몇 개 안 한다고 이 공항에서의 입국 심사가 결코 수월한 건 아니다. 기본적으로 2시간 이상 대기줄에 서 있어야 한다.[13]
만약 ESTA를 통해 미국에 입국한다면 APC[14]를 이용하도록 하자. 다시 입국심사대를 거쳐야 하지만 이미 APC에서 여러 심사 단계를 거쳤기 때문에 많이 묻지 않는다. 다만 기계에 오류가 발생하면 유인 입국심사대로 가야 한다.
그래서 이 공항을 통해 입국한 후 미국 국내선으로 환승해서 가게 된다면 입국심사 때문에 환승편을 놓칠 수 있다. 또한 톰 브래들리 터미널에서 다른 터미널로 이동하는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린다.[15] 이 공항을 통해 환승한다면 환승 시간을 넉넉히 잡아야 한다. 시간이 촉박하다고 먼저 보내주는 일은 없으니 환승을 해야 한다면 다른 공항을 이용하거나 아예 레이오버 스케쥴로 잡는 게 좋다.
이런 입국심사 과정을 밟지 않기 위해 미국 시민권·영주권 소지자 중 이곳 LAX를 홈 공항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중 해외 방문이 잦은 사람들은 대부분 글로벌 엔트리를 받아서 출입국한다. 뉴욕 JFK 공항과 함께 글로벌 엔트리가 최고 효율을 내는 공항 중 하나이다.[16] 그리고 미국 항공사를 이용해도 상관없는 사람들은 목적지가 LA 어디냐에 따라 온타리오 국제공항이나 샌타애나의 존 웨인 공항으로 간 뒤 입국심사 여건이 조금이라도 나은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이나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 등지로 가서 환승한다.
3. 접근성
|
공항 입구부터 터미널 들어가는데 20~30분 걸린다. 내부 도로 환경도 좋지 않다.[19] 이용객이 상당히 많은데도 불구하고 모든 터미널은 하나의 도로로 모두 같은 층으로만 연결되어있다.
시내에서 공항에 한 번에 직접 들어가는 대중교통수단은 거의 없다. 버스, 경전철을 타고 가는 경우에는 공항에서 가장 가까운 정류장에서 공항 순환버스로 갈아타야만 공항으로 갈 수 있다. 공항과 유니온 스테이션 등을 연결하는 Flyaway라는 리무진 버스가 있다. 하지만 노선도 적고 본인의 목적지가 그 리무진 버스 정류장 근처가 아닌 이상 택시로 가는 게 좋다. 국제선을 타려면 출발 4시간 반 전에는 출발해야 한다. 탑승 시간이 늦은 밤 시간이라고 해도 이 때 출발해야 타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뭐 그렇게 시간을 많이 잡을 필요가 있나 싶기도 하겠지만 국제선을 타는 경우 톰 브래들리 터미널의 체크인 구역이 위의 사진처럼 매우 비좁은 건 물론이고, 톰 브래들리 터미널 자체가 공항의 가장 안쪽에 자리잡고 있다. U자 모양의 가장 깊숙한 부분에 있는데 다른 구역은 중간에 도로를 내놓아서 오갈 수 있지만 톰 브래들리로 들어가려면 무조건 다른 터미널을 통과해서 닿아야 한다. 또한 공항 자체가 작아서 항공사 당 할당되는 카운터가 그리 많지 않아서 공항에 도착해도 일단 체크인 하느라 줄서는데 최소 2~30분 까먹을 각오를 해야 한다. 게다가 국적기의 경우 무조건 A380이니 타는 사람이 많아서 이코노미석의 경우에는 대기 줄도 매우 길다. 그래서 보통 성수기에는 항공사에서 공항으로 3시간 전까지 와달라는 전화를 돌린다.
국적기 카운터가 체크인 수속 카운터의 절반을 차지하는 서울, 부산 생각했다가는 큰 코 다친다. 여기에다가 보안 검사의 대기 방식을 바꾼 후 소모되는 시간도 비교적 늘어난 편. 이전까지는 체크인 카운터들의 양 끝, 총 두 군데에서 진행되었으나 톰 브래들리 터미널 리노베이션 이후 한 군데에 몰아넣고 그 많은 승객을 오른쪽 보안검색 입구 한줄로 세워서 진행하는 중이다. TSA PreCheck이 없다면 짤없이 반 층을 가득 채운 인원을 기다려야 한다. 그러니 조금 게으름 피우고 늦게 출발했다가 교통체증에 걸리면 차 안에서 안절부절 못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체크인 카운터, 보안 검사 구역까지 발을 동동구르다 보안 검사 구역을 통과하고 게이트까지 뛰어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라스트 콜로 자신의 이름 석 자가 온 게이트에 울려퍼지는 상황까지 벌어지는 건 덤.
인천공항은 여러 개의 출국대와 보안심사대가 각 카운터에서 출국하는 사람들을 분산해주지만, 이 동네는 보안검색대 입구가 단 하나다. 원래 입구도 양쪽에 두 개를 운영했지만, 코로나 이후로 오른쪽만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왼쪽은 TSA Pre가 있는 사람들에게만 할당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여행객은 오른쪽에서 죽어나야 한다는 것.[20] 여기에 미국 특유의 느리고 답답한 처리에 동시에 그 좁아 터진 터미널에서 전 세게 각국으로 가려는 수요가 합쳐저, 사이다 없이 고구마 6백 개는 먹은 듯한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무더운 여름날이라면 생각만 해도 몸서리가 절로 쳐질 것이다. 이것이 왜 이 글을 읽고 LA공항을 이용하려는 당신이 최소 3시간 전에는 공항에 도착해야 하는 이유이다. 늦게 도착해 마음을 졸이는 것 보다 미리 도착해 수속을 마치고 탑승장에 들어가서 여유롭게 커피 한 잔 하면서 핸드폰 보고 노는 것이 훨씬 낫다. 참고로 미국은 출국심사가 없다. 출국심사가 없는 것에 정말 눈물나게 감사함이 느껴질 때가 있다.[21]
반면 이런 미친 짓을 최대한 겪지 않고 빠져나가겠다고 공항에 일찍 가더라도, 국적기를 이용하는 경우 체크인 카운터 오픈 시간이 출발 3시간 전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그보다 일찍 들어갈 수도 없다. 어쨌든 마음 안 졸이고 느긋하게 게이트까지 가려면 공항 체크인 카운터까지 최소 출발 2시간 전에는 도착을 해야 하고 출발 2시간 전에 체크인 카운터에 도착하려면 로스앤젤레스 시내 교통과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어디에서 출발하느냐에 따라서 넉넉잡고 공항까지 가는 데 2시간은 잡아서 도합 4시간은 잡고 가야 한다는 것이다. 생각보다 일찍 도착해서 공항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늘어나더라도 차 안에서 발 동동 구르는 것보다는 훨씬 낫다.
3.1. 도시철도
공항을 지나는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노선은 현재 없다. 근처의 C 라인 에이비에이션/LAX역이 공항과 연계되는 역인데, 이곳에서 공항 셔틀버스를 타면 공항을 갈 수 있다. 하지만 C 라인은 공항철도가 아니라 일반적인 전철 노선[22]이다.하지만 2028 LA 올림픽 개최가 확정됨에 따라 공항과 직접 연결되는 도시철도 건설이 확정되었다. 2026년에 LAX Automated People Mover라는 경전철이 개통 예정이다. 24시간 운영되며, 속도는 평균 13.5 mph(21.7 km/h)로 예상된다.
|
6개의 역이 개통 예정인데, West, Center, East CTA가 LAX 중앙을 관통해 1 ~ 8 터미널을 연결해준다. 또 West ITF에 경제 주차장, East ITF에는 LA 메트로 K, C[23]라인과 환승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ConRAC 역은 렌트카 시설로 들어간다.[24]
경전철 특성상 차량 수용인원이 적은 편이고, 무엇보다 LA 메트로 노선으로 한 번 이상 환승해야만[25] 도심까지 들어갈 수 있기에 교통체증을 완벽하게 해소하긴 어려울 것이다. 그래도 아예 없는 수준이나 마찬가지였던 대중교통 상황이 많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3.2. 공항 버스
홈페이지(노선도 및 행선지 등)공항과 로스앤젤레스 곳곳을 빠르게 잇는 공항버스로, 정식 명칭은 LAX FlyAway이다. 미국의 공항 버스는 관광객, 그 중에서도 차를 전혀 운전할 수 없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Flyaway 노선 수가 적기 때문에 본인의 목적지가 버스 노선 운행하는 곳 근처가 아니라면 택시를 타고 가는 게 훨씬 낫다.
3.2.1. 시내버스 환승센터
전철역 셔틀버스와 호텔 셔틀버스, Flyaway를 제외한 대부분의 버스노선은 이곳에서 출발한다.4. 그래도 미국을 대표하는 공항
이렇게 온갖 안 좋은 점들은 많지만, 2009년 미국의 WORLD AIRPORT AWARDS에서 탑승객 숫자 및 총 이용객 수에서 당당히 3위에 랭크되어 있다. 공항 위치가 미국의 남서쪽 끄트머리에 있고 특별한 항공사의 '주력' 허브 공항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숫자이다.앞뒤로 있는 공항은 애틀랜타(1위), 시카고-오헤어(2위), 댈러스-포트워스(4위), 덴버(5위). 1, 2, 4, 5위의 공항들은 전부 미국의 메이저 항공사인 델타 항공, 유나이티드 항공, 아메리칸 항공의 주력 허브 공항으로 해당 항공사의 비행기가 주기장의 반 이상을 점거하는 공항들이다.
댈러스-포트워스나 애틀랜타는 국제선 숫자도 적을 뿐더러 해당 공항을 최종 목적지로 하는 승객보다는 환승 승객이 많은 편이고, 뉴욕이나 샌프란시스코, 시카고 등은 각각 라과디아 & 뉴어크, 오클랜드, 미드웨이 등이 훌륭하게 승객들을 분산하는 반면[26] 이 공항은 국제선 노선도 많고 로스앤젤레스 뿐만 아니라 주변 도시 및 심지어는 오렌지 카운티가 목적지인 사람들도 웬만하면 이 공항으로 오니 당연한 결과다. 디즈니랜드 가는 사람들도 훨씬 가까운 존 웨인 공항을 놔두고 여기로 온다.
일단 공항 위치부터가 로스엔젤레스다. 이 도시의 규모와 위상과 관광 수요를 생각한다면 공항이 안 터져나가는 게 더 이상할 지경. 게다가 미국의 공항 중 태평양을 건너자마자 바로 나오는 몇 안 되는 공항이라[27] 항속거리 문제가 있는 많은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 항공사가 LA로 대거 취항하고 있다.[28] 게다가 아시아, 유럽 할 것 없이 LA행 노선 자체가 대표적인 미주 노선 중 하나이기 때문에 국제선을 본격적으로 운영하는 항공사는 일단 LA행 노선은 무조건 뚫는다. 중동이나 인도, 싱가포르같이 항속거리를 극한까지 써서 오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미국을 대표하는 공항으로 자리잡은 덕에, LAX에는 정말 많은 나라의 온갖 항공사가 다 들어온다.
5. 노선
5.1. 대한민국 노선
| |
톰 브래들리 국제선 터미널에 위치한 대한항공 칼(KAL) 라운지[29] | 톰 브래들리 국제선 터미널에 주기해 있는 양대 국적사의 A380[30] |
재미 한국인 및 한국계 미국인이 많이 사는 동네에 있는 공항이다 보니, 대한민국 국민의 이용 빈도도 엄청나게 높은 국제공항이다. 실제로 인천-로스앤젤레스 항공노선은 연간 승객수가 이 공항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노선 중에 무려 2위[31]를 차지하고 있다.[32] 공항 순환버스에는 당연히 한국어로 표기된 안내 문구도 있고, 국제선 터미널에는 한국어 안내방송도 나온다.
6. 관련 작품
|
드라마 로스트에 등장하는 로스엔젤레스가 목적지인 비행기 티켓 |
드라마 로스트의 주인공들이 탄 비행기가 도착했어야 하는 곳이다. 실제로 드라마가 종영한 뒤, 시드니에서 여기로 오는 비행기는 드라마 속 항공사인 오셰아닉 항공사 이름으로 표를 파는 이벤트를 했다. 시즌6의 1화의 제목이 <LAX>이다.
LA 근교의 컴튼 출신 래퍼 더 게임의 정규앨범 제목 중 하나가 <LAX>이다.
캘리포니아 남부를 배경으로 한 Grand Theft Auto V에도 어김없이 등장. 로스 산토스 국제공항으로 나오며, 도시명이 로스 산토스인 관계로 IATA 코드도 LSX로 바뀌었고 진입로의 유명한 LAX 사인도 LSIA 네 글자가 대신 꿰어찼다. 물론 무단 침입 하는 순간 수배령 발동. 싱글에서는 마이클과 프랭클린이 격납고를 구매하면 수배령이 뜨지 않는다. 트레버는 구매가 불가능하니 조용히 들어갈 수는 없다. 온라인에서는 이곳에서 비행 학교에 들어가 훈련을 받을 수 있다. 공항엔 비행기가 여러대 있는데 주로 버킹엄 룩소르, 버킹엄 샤말, 버킹엄 님버스와 같은 비즈니스 젯과 제트란 이름의 보잉 747-400 모티브의 비행기가 이착륙 한다. 가끔씩 타이탄도 스폰된다.
영화 투모로우에선 LA 곳곳에서 토네이도가 발생했는데, 그 중 두 개가 동시에 공항을 갈아버렸다. 그리고 나서 두 토네이도는 서로 합쳐진다.
영화 포드 V 페라리에서 트랜스 월드 항공의 보잉727기로 공수해온 GT40의 프로토타입을 보여주는 장소인 셸비 아메리칸의 작업장이 이곳에 위치한다. 실제로 셸비 아메리칸은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의 격납고를 빌려 쓰고 있었고 그를 재현한 것이다.
게임 레드얼럿2 유리의 복수에선 연합군의 2번째 캠페인에서 등장한다. 공항의 상징인 테마 빌딩을 표현했다. 엔지니어로 점령하면 공수부대 스킬을 쓸 수 있다.
마일리 사이러스의 대표곡 중 하나인 ‘Party in the U.S.A’ 의 가사에도 LAX가 나온다.
7. 기타
|
[1] Westchester, Los Angeles, California, U.S.[2] LAWA–Los Angeles World Airports. 로스앤젤레스 시 정부 산하의 공항공단으로,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을 비롯하여 인근의 밴나이즈 공항(VNY)을 소유·운영 중이다.[3] 도로의 표지판에도 LAX라고 표시되어 있고, 택시 기사들에게도 LAX 가자고 하면 다 알아듣는다. 코드는 L(엘) A(에이) X(엑스)로 읽는다. 오히려 LA (International) Airport라고 하면 처음에 갸우뚱할 정도로 별칭이 정식 명칭을 완전히 먹었다.[4] 비슷한 예로 칸사이 국제공항이 있다. 칸사이 국제공항의 개항 과정에서 공항 코드를 정해야 하는데 기존 공항의 코드였던 OSA는 오사카 지역 전체를 통괄하는 코드로 승격(?)이 됐고 이타미는 공항 이름에 맞춰 ITM으로 수월하게 정했으나 칸사이는 줄인 명칭인 KAN이나 KNS, KSI 등이 전부 다른 나라의 공항에 선점을 당한 상태였다. 이에 Kansai International의 K, I만 따고 다음을 빈 자리를 의미하는 X를 더해서 KIX를 공항 코드로 정했다.[5] 중동에서도 직행편이 올 정도다.[6] 버뱅크는 시내와 가깝지만 규모가 작고 시내로 가려면 택시나 메트로링크를 타고 가야 된다. 롱비치는 시내에서 너무 멀고 대중교통조차 없다.[7] 이 노선은 공항을 활주로를 끼고 바로 옆을 스쳐가기만 할 뿐, 터미널로 들어오질 않아서 근본적인 터미널 접근성은 개선할 수 없다.[8] 이미 있는 105번 고속도로도 땅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리로 올려버렸다.[9] 캘리포니아주의 외국계 근로자는 미국 내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10] ESTA 도입 이전에는 더 심했다.[11] 당연한 얘기지만 공항 직원들이 관광객들 괴롭히는 악취미가 있는 것도 아니고, 범죄를 목적으로 입국하거나 차후에 논란이 될 만한 여지가 있는 사람들을 걸러내기 위해 심사가 까다로운 것 뿐이다. 즉 선진국에 속하는 대한민국에서 안정적인 직업과 일정 수준 이상의 수입이 있으며 범법이력이 전혀 없는 신원이 확실한 사람(=불법 이민이나 범죄를 노릴 가능성이 비교적 적다고 여겨지는 인물)이라면 직원들 입장에서도 입국 심사를 굳이 까다롭게 해 시간 낭비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한 질문 몇개만 하고 통과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만 사소하게라도 법적인 문제가 있었다면 그 난이도가 급격히 올라간다. 예를 들어 가수 서현은 미국 갈 기내에서 먹으려고 싼 방울토마토를 깜빡했다가 음식물 미신고로 벌금을 물고 블랙리스트에 올랐는데, 일반 상식상으로는 이 정도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일이지만 입국 심사에서는 '세관법을 어겼다'는 요소만으로 이 '범법행위'의 배경이 무엇인지, 과거 범죄 이력은 없는지, 입국 목적이 무엇인지 묻는 등 상당히 귀찮아진다. 서현의 경우 블랙리스트에 올랐기에 매번 세관에 불려갔다고 한다. 물론 이런 경우에도 심사 과정이 길어진다는 것 뿐이지만, '정밀한 입국 심사 과정'의 대상이 된다는 것만으로도 상당히 귀찮아진다는 것.[12] 이럴 땐 통역을 붙여준다.[13] 특히 라틴아메리카가 출발지인 경우 마약과 관련이 있다는 의심을 사서 더 까다롭게 심사한다. 중국 대륙, 동유럽이 출발지인 경우도 입국 심사가 까다롭다.[14] 무인 입국심사대. 미국인, 캐나다인, ESTA로 입국한 사람, 승무원이 이용 가능하며 ESTA 승인 후 처음 입국할 때는 이용할 수 없다.[15] 2023년 리노베이션으로 터미널 간 도보 이동통로가 생겼으나 무척 동선이 길다. 터미널 사이를 버스로 이동하던 시절에는 항공기가 유도로를 지나가고 있으면 다 통과할 때까지 기다려야만 했다.[16] 한국 국적자들도 영주권이 없어도 신청이 가능하다. 하지만 인터뷰를 봐야만 사용이 가능하고, 몇 년에 한 번 오는 여행을 위해서 글로벌 엔트리를 매 5년마다 $120 주고 갱신 하는 것은 쓸데 없는 곳에 돈을 쓰는 짓이다. 글로벌 엔트리 사용자들은 대부분 비용을 내지 않는다. 본인들이 사용하는 신용카드 회사가 비용을 부담해주기 때문.[17] 약 30km[18] LA의 고속도로들은 한국의 대로(大路)를 겸하며, 주요 주변 도시들을 이어주는 가장 빠른 교통망이다.[19] 특히 추수감사절이나 크리스마스 시기에는 공항 주차장도 만차라서 도로를 지나는 것만 한 바퀴에 1-2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많다.[20] TSA Pre가 최대 효율을 내는 곳 중 하나이다. LAX B터미널, JFK 4터미널.[21] 출국심사는 보안검색 입장 시 CBP가 스캔하는 여권의 정보와 항공사에서 이민국으로 넘긴 정보를 종합하여 알아서 출국처리한다. 보안검색도 이 정도인데 출국심사까지 있다면... 굉장히 드물지만 가끔 뻑나는 경우도 있어서 나중에 입국 시 제대로 출국처리가 되지 않아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어 나중에 어디로든 미국에 재입국 시 이런 것에 대비해야 한다.[22] 차량 크기는 경전철 수준이다.[23] C 라인은 Avitation/LAX 위로 K라인과 겹치는 Aviation/Century, East ITF역이 들어갈 예정이다.[24] 차를 이용해 관광할 계획이라면 공항 근처에 있는 렌트카 업체를 이용한다면 상당히 편리하다. 철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공항 주변에는 주변 렌트카 업체 여러 개를 순환하는 셔틀버스들이 다수 운행중이므로, 미리 예약한 렌트카 업체로 가는 셔틀이 뭔지, 어디서 탈 수 있는지 확인한 다음 해당 정류장에서 내려서 차를 빌려서 이동하면 된다. 귀국할 때도 해당 렌트카 업체에 차를 반납한다음 마찬가지로 셔틀을 타 공항으로 이동하면 된다. 공항 주변 렌트카 업체들은 24시간 운영하는 곳이 많으니 위치와 운영시간, 셔틀 운영 여부를 먼저 확인하면 편리하다.[25] Aviation/Century역으로 들어오는 K, C라인은 LA 도심지로 바로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다운타운이나 할리우드 일대로 들어가려면 2~3번까지 노선을 갈아타야 한다. 그나마 Regional Connector 개통 이후 K, C라인과 환승되는 E, A라인이 다운타운으로 바로 향할 수 있게 된 게 다행이라면 다행.[26] JFK가 승객 수로 미국 내에서 랭킹 5위에도 못 드는 요인 중에 하나다. 게다가 유나이티드는 JFK에 얼씬도 안 한다.[27] 샌프란시스코, 앵커리지 등도 있으나 앵커리지는 여객 수요가 없다.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도 LA와 마찬가지로 공항이 미어 터지지만 여기는 그래도 공항 규모 자체가 LAX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그나마 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28] 다만 아시아에서는 시애틀과 샌프란시스코보다는 이곳이 멀다. 그럼에도 이 공항의 수요가 넘사벽이라 시애틀이나 샌프란시스코보다 이곳에 취항이 우선시된다.[29] 얼마나 대한항공 이용객이 많으면 국제선 터미널에는 대한항공이 스카이팀을 대표해서 운영하는 라운지가 있다. 그래서 에어 프랑스와 중화항공 이용객들도 많이 이용한다. 델타항공은 터미널B를 쓰지는 않아 국제선 터미널에는 라운지가 없지만, 아마 델타항공과 터미널을 같이 사용하더라도 대한항공 라운지가 높은 확률로 있었을 것이다.[30] 대한항공의 기체는 HL7611, 아시아나항공의 기체는 HL7625로 둘 다 각 항공사의 A380 1호기이다.[31]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까지를 기준.[32] 1위는 런던 히스로 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