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03:33:04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Los Angeles Angels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colcolor=#FFFFFF> 동부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로고.svg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로고.svg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로고.svg파일:워싱턴 내셔널스 화이트 로고.svg
중부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파일:신시내티 레즈 로고.svg파일:신시내티 레즈 화이트 로고.svg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로고.svg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화이트 로고.svg
서부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콜로라도 로키스 엠블럼.svg파일:콜로라도 로키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svg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동부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로고.svg파일:탬파베이 레이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중부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모자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로고.svg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파일:미네소타 트윈스 화이트 로고.svg
서부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
}}}}}}}}}}}}}}} ||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colbgcolor=#ba0021><colcolor=#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Los Angeles Angels
창단 1961년 ([age(1961-01-01)]주년)
연고지 캘리포니아 애너하임[1]
연고지 변천 로스앤젤레스 (1961~1965 / 2005~ )
애너하임 (1966~ )
구단명 변천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Los Angeles Angels, 1961~1964)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California Angels, 1965~1996)
애너하임 에인절스 (Anaheim Angels, 1997~2004)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Los Angeles Angels of Anaheim, 2005~2015)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Los Angeles Angels, 2016~ )
소속 변천 아메리칸 리그 (1961~ )
- 서부 지구 (1969~ )
홈구장 리글리 필드 (Wrigley Field, 1961)[2]
다저 스타디움 (Dodger Stadium, 1962~1965)[3]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 (Angel Stadium of Anaheim, 1966~ )[4]
구단주 아르테 모레노 (Arte Moreno)[5]
사장 존 카피노 (John Carpino)
단장 페리 미내시언 (Perry Minasian)
감독 론 워싱턴 (Ron Washington)
역대 한국인 선수 최지만 (2016)
로컬 경기 중계 FanDuel Sports Network West/Southern California
공식 링크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스냅챗 로고.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약칭 LAA[6]
월드 시리즈 우승 (1회)
2002
아메리칸 리그 우승 (1회)
2002
지구 우승 (9회)
1979, 1982, 1986, 2004, 2005, 2007, 2008, 2009, 2014
와일드 카드 (1회)
2002
포스트시즌 진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a0021> 월드 시리즈 2002년
챔피언십 시리즈 1979년, 1982년, 1986년, 2002년, 2005년, 2009년
디비전 시리즈 2002년, 2004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4년
와일드카드 시리즈(게임) -
}}}}}}}}}}}} ||
팀 컬러 / 유니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팀 컬러
빨강색 미드나잇 네이비블루 은색
유니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LW-Uniform-LAA.png
}}}}}}}}}}}} ||
월드 시리즈 우승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2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2001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애너하임 에인절스 2003
플로리다 말린스
}}}}}}}}}}}} ||
프랜차이즈 팀 기록
최고 승률 .617 - (2008년, 162경기 100승 62패)
최다 승 100승 - (2008년, 162경기 100승 62패)
최다 패 99패 - (2024년, 162경기 63승 99패)
최다 관중 3,406,790명 - 2006년
최고 계약 $426,500,000 - 2019년 마이크 트라웃

1. 개요2. 역사3. 특징4. 홈 구장5. 영구 결번6. 역대 단장7. 역대 감독8.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8.1. 트리플 A8.2. 더블 A8.3. 싱글 A
8.3.1. 하이 싱글 A8.3.2. 로우 싱글 A
8.4. 루키
9. 1라운드 지명선수10. 유망주 순위11. 40인 로스터 목록12. 관련 링크13. 둘러보기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아메리칸 리그 서부 지구 소속 프로 야구단. 연고지는 로스앤젤레스 광역권의 소도시인 애너하임.

구단명은 대도시 로스앤젤레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현지에서의 별명은 '헤일로스(The Halos)'[7]이며, 국내 팬들은 '천사네'라고 부른다. '엔젤'은 한국인들에게 친숙한 영단어인데 엔젤스가 아닌 에인절스로 한국 내 명칭이 굳어지게 되었다는 것이 특이한 부분.[8][9]

MLB 30구단 가운데 100패 시즌을 달성해본 적이 없는 유일한 구단이다.[10]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역사#|]][[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이모저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이모저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이모저모#|]][[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이모저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홈 구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영구 결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ba0021>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영구결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CCAC00> No.11 No.26 No.29
짐 프레고시 진 오트리 로드 커류
<rowcolor=#CCAC00> No.30 No.42 No.50
놀란 라이언 재키 로빈슨 지미 리즈 }}}}}}}}}


11. 짐 프레고시(Jim Fregosi): 1960년대 초창기 LA 에인절스의 프랜차이즈 스타. 유격수로 올스타에 6번 선정되었다. 1978년에는 감독으로 복귀해 1979년 팀의 지구 우승을 이끌기도 했다.

26. 진 오트리(Gene Autry): 팀의 설립자. 영화배우 출신으로 팀에 대한 애정이 많았던 구단주. 안타깝게도 우승을 못 보고 1998년 타계했는데, 2002년 첫 우승 당시 우승트로피를 수여할 때, 버드 셀릭 커미셔너가 한 첫 마디가 "하늘에 있는 진 오트리도 좋아할 것." 이었다. 번호가 26번인 이유는, ML 로스터 정원은 당시 25명이었는데, 그가 팀의 '26번째 선수'라는 의미에서다. 팀당 11명이 경기장에 나서는 축구에서, 여러 축구단이 팬들을 기념하며 열두 번째 선수라는 뜻으로 12번을 영구 결번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29. 로드 커류(Rod Carew): 미네소타 트윈스에서도 스타지만, 여기서도 스타. 2루수와 1루수를 맡으면서 통산 3053안타, 통산 타율 0.328에 빛나는 전설적인 교타자. 사실 에인절스에선 한 번도 시즌 홈런 5개를 넘긴 적이 없는 똑딱이였고, 출장 경기수가 줄고 WAR도 절반으로 줄어드는 등 사실 지금 기준으로는 먹튀라고 해도 할 말이 없지만 그래도 당시 세이버매트릭스가 없던 시절 훌륭한 타자의 기준이던 3할을 꾸준히 쳤기에 좋은 타자라는 평가를 받았고, 베테랑다운 리더십으로 80년대 초 에인절스의 부흥기를 이끈 주축 중 한 명이었기에 인기는 대단했고, 통산 3000안타의 대기록을 에인절스에서 달성했다. 양팀 합쳐서 올스타만 18번 선정된 스타플레이어.

30. 놀란 라이언(Nolan Ryan): 뉴욕 메츠에서 별 볼일 없던 선수였던 놀란 라이언은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에서 비로소 최강의 투수로 성장하여 팀 역사상 최고의 투수로 거듭난다. 참고로 휴스턴 애스트로스텍사스 레인저스에서도 영구 결번되어 재키 로빈슨을 빼면 프랭크 로빈슨과 함께 3개 팀에서 영구 결번되는 기록을 세웠다.[11]

42. 재키 로빈슨(Jackie Robinson): 전 구단 영구 결번.

50. 지미 리즈(Jimmie Reese): 선수로도, 코치로도 딱히 특기할 만한 경력은 없는 인물. 메이저리그 커리어는 1930~31년 양키스(142경기), 1932년 세인트루이스(90경기)가 전부이며, 포지션은 2루수였다. 그의 진가는 노년에 드러나는데, 1972년, 71세의 리즈는 에인절스에 구직 신청을 했고, 선수들의 컨디션 관리 코치로 고용됐다. 하지만 그의 특기는 펑고 쳐 주기였다. 그는 직접 만든 펑고 배트를 썼는데, 선수들은 그가 원하는 곳 어디로든 펑고를 날려보낼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심지어는 타자들 타격 연습 때 마운드에서 손으로 공을 던지는 대신 펑고로 공을 날려 주기도 했다고(...) 사람 됨됨이가 너무 좋아서 "the nicest man in baseball"이라고까지 불렸다 한다. 그와 친분이 있었던 놀란 라이언은 그를 기려 자기 아들 한 명의 이름을 리즈로 지었을 정도. 팀에서 무려 22년 동안 묵묵히 일을 수행했고, 지병인 폐렴이 악화되어 1994년에 93세의 나이로 타계하자, 이듬해 팀은 곧바로 그의 헌신을 기려 영구 결번. 에인절스 명예의 전당에도 당연히 올라 있다.

현재 영구 결번이 가장 유력한 번호는 당연히 마이크 트라웃블라디미르 게레로의 27번이다. 정황상 트라웃이 은퇴하고 난 뒤 게레로와 공동 영결할 가능성이 높다.[12] 구단 소속으로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초로 두 번의 만장일치 MVP를 차지한 오타니 쇼헤이의 17번 역시 영구 결번 의견이 있긴 하지만 2023 시즌 후 하필이면 프리웨이 시리즈 라이벌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이적한 만큼 일단은 속단하기는 이르다는 것이 여론이다.

이 밖에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2002년 팀 우승의 주역인 팀 새먼이 쓰던 15번은 공식적인 영구 결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달지 않았었다. 15번은 에인절스 팬이라면 누구나 영구 결번될 거라고 믿고 있지만 팀 새먼이 팀과 관계가 나쁘지 않은데도 10년 넘게 영구 결번 확정이 되지 않은 것은 의아한 점. 15번은 2010년에 디백스에서 댄 해런이 트레이드되어 왔을 때, 원래 15번을 달았던 해런은 24번으로 등번호를 바꿨다.[13] 그러나 2023년 콜로라도에서 트레이드로 이적한 랜달 그리칙이 15번을 달게 되었다.

또한, 팀의 기대주로 주목받았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한 닉 아덴하트의 34번은 추모의 의미로, 팀 역사가 유지된다면 장기간 34번 배번의 선수가 없을 가능성이 컸었다. 허나, 10년이 훌쩍 지난 후, 뉴욕 메츠에서 FA로 온 노아 신더가드가 달게 되었다.[14]

그 밖에 은퇴 선수 중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가 에인절스 모자를 쓰고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다면 등번호 57번은 영구 결번이 될 가능성이 있다.

6. 역대 단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a0021><tablebgcolor=#ba0021>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역대 단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1960년 ~
초대
프레드 하니
파일:미국 국기.svg
(1960~1968)
2대
딕 월시
파일:미국 국기.svg
(1968~1971)
3대
해리 달튼
파일:미국 국기.svg
(1971~1977)
4대
버지 버베이시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84)
5대
마이크 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84~1991)
6대
댄 오브라이언 시니어
파일:미국 국기.svg
(1991~1993)
7대
화이티 허조그
파일:미국 국기.svg
(1993~1994)
8대
빌 버베이시
파일:미국 국기.svg
(1994~1999)
9대
빌 스톤맨
파일:미국 국기.svg
(1999~2007)
10대
토니 레긴스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11)
11대
제리 디포토
파일:미국 국기.svg
(2011~2015)
12대
빌리 에플러
파일:미국 국기.svg
(2015~2020)
13대
페리 미나시안
파일:미국 국기.svg
(2020~)
}}}}}}}}}}}} ||

7.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a0021>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대
빌 리그니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9)
2대
레프티 필립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9~1971)
3대
델 라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2)
4대
바비 윙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3~1974)
5대
화이티 허조그
파일:미국 국기.svg
(1974)
6대
딕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4~1976)
7대
놈 셰리
파일:미국 국기.svg
(1976~1977)
8대
데이브 가르시아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78)
9대
짐 프레고시
파일:미국 국기.svg
(1978~1981)
10대
진 모크
파일:미국 국기.svg
(1981~1982)
11대
존 맥나마라
파일:미국 국기.svg
(1983~1984)
10대
진 모크
파일:미국 국기.svg
(1985~1987)
12대
쿠키 로하스
파일:쿠바 국기.svg
(1988)
13대
무스 스터빙
파일:미국 국기.svg
(1988)
14대
더그 레이더
파일:미국 국기.svg
(1989~1991)
15대
벅 로저스
파일:미국 국기.svg
(1991~1992)
16대
존 와탄
파일:미국 국기.svg
(1992)
15대
벅 로저스
파일:미국 국기.svg
(1992~1994)
17대
마르셀 라케만
파일:미국 국기.svg
(1994~1996)
11대
존 맥나마라
파일:미국 국기.svg
(1996)
18대
조 매든
파일:미국 국기.svg
(1996)
19대
테리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97~1999)
18대
조 매든
파일:미국 국기.svg
(1999)
20대
마이크 소시아
파일:미국 국기.svg

(2000~2018)
21대
브래드 어스무스
파일:미국 국기.svg
(2019)
18대
조 매든
파일:미국 국기.svg
(2020~2022)
22대
필 네빈
파일:미국 국기.svg
(2022~2023)
23대
론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2024~)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역대 감독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1961~1964)
순서 이름 재임 기간 성적 비고
캘리포니아 에인절스(1965~1996)
순서 이름 재임 기간 성적 비고
애너하임 에인절스(1997~2001)
순서 이름 재임 기간 성적 비고
애너하임 에인절스(2002~2004)
순서 이름 재임 기간 성적 비고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2005~2015)
순서 이름 재임 기간 성적 비고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2016~ )
순서 이름 재임 기간 성적 비고

8. 계약 중인 마이너리그 구단

8.1. 트리플 A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솔트레이크 비즈 엠블럼.svg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산하 AAA팀
솔트레이크 비즈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
<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00000> 6 토레스 · 12 세이그 · 14 케리 · 24 대럴-힉스 · 34 하딩 · # 펠리페 · # 브리세노 · # 허드슨 · # 로드리게스 · # 브록돈 · # 곤잘레스 · # 카세레스 · # 퀴하다
포수 16 험프리스 · 36 멀라인 · # 크라우치 · # 리베로
내야수 4 케첩 · 7 앤더슨 · 8 키붐 · 12 화이트 · 13 산체스 · 17 스티븐스 · 28 데이비스 · # 킹거리
외야수 7 월러스 · 28 플린트 · 31 테오도시오
''' 파일:미국 국기.svg 키스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알론소 파웰 파일:미국 국기.svg 셰인 루스 파일:미국 국기.svg 잭 산토라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40인 로스터 보기
}}}}}}}}}}}}}}} ||
파일:솔트레이크 비즈 엠블럼.svg
솔트레이크 비즈
Salt Lake Bees
창단 1994년
계약 연도 2001년
소속 리그/지구 퍼시픽 코스트 리그 서부지구
연고지 유타 주 솔트레이크 시티
홈구장 스미스 볼파크
감독 키스 존슨
타격코치 조엘 치멜리스
투수코치 데린 에버트
코치 잭 산토라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솔트레이크 비즈 엠블럼.svg솔트레이크 비즈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미네소타 트윈스 산하 (1994~2000)
1대
스캇 얼거
파일:미국 국기.svg
(1994)
2대
필 루프
파일:미국 국기.svg
(1995~2000)
애너하임 에인절스-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에인절스 산하 (2001~)
3대
게리 템플턴
파일:미국 국기.svg
(2001)
4대
마이크 브럼리
파일:미국 국기.svg
(2002~2004)
5대
디노 에벨
파일:미국 국기.svg
(2005)
6대
브라이언 하퍼
파일:미국 국기.svg
(2006~2007)
7대
바비 미첼
파일:미국 국기.svg
(2008~2010)
8대
키스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2011~2014)
9대
데이브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2015)
10대
키스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2016~2018)
11대
에릭 차베스
파일:미국 국기.svg
(2018)
12대
루 마슨
파일:미국 국기.svg
(2019~2022)
13대
키스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2023~)
}}}}}}}}} ||

8.2. 더블 A

파일:로켓시티 트래시판다스 엠블럼.svg
로켓시티 트래시판다스
Rocket City Trash Pandas
창단 2020년
계약 연도 2020년
소속 리그/지구 서던 리그 북부지구
연고지 앨라배마매디슨
홈구장 토요타 필드
감독 앤디 샤츨레이
타격코치 조엘 치멜리스
투수코치 마이클 워츠
보조투수코치 더그 헨리
코치 댄 빌라델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b3e45><tablebgcolor=#2b3e45> 파일:로켓시티 트래시판다스 엠블럼.svg로켓시티 트래시판다스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산하 (2020~)
1대
제이 벨
파일:미국 국기.svg
(2021)
2대
앤디 샤츨레이
파일:미국 국기.svg
(2022~)
}}}}}}}}}}}} ||

8.3. 싱글 A

8.3.1. 하이 싱글 A

파일:트라이시티 더스트데블스 엠블럼.svg
트라이시티 더스트데블스
Tri-City Dust Devils
창단 1979년
계약 연도 2021년
소속 리그/지구 노스웨스트 리그 동부지구
연고지 워싱턴주 파스코
홈구장 지사 스타디움
감독 잭 하웰
타격코치 라이언 세브라
투수코치 더그 헨리
코치 트레버 나이프

8.3.2. 로우 싱글 A

파일:인랜드 엠파이어 식스티식서스 엠블럼.svg
인랜드 엠파이어 식스티식서스[15]
Inland Empire 66ers
창단 1941년
계약 연도 2011년
소속 리그/지구 캘리포니아 리그 남부지구
연고지 캘리포니아 주 샌버나디노
홈구장 샌매뉴얼 스타디움
감독 데이브 스테이플턴
타격코치 윌리 로메로
투수코치 엘머 데센스
코치 스티븐 에르난데스, 브라이언 루프

벌링턴 비즈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트리-시티 더스트 데빌스와 하이싱글 A 계약을 체결했다. 기존 식스티식서스는 로우싱글 A 팀이 되었다.

8.4. 루키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ACL 에인절스
ACL Angels
창단 1989년
계약 연도 1989년
소속 리그/지구 애리조나 리그 남부지구
연고지 애리조나 주 템피
홈구장 템페 디아블로 스타디움
감독 에버 마가야네스
타격코치 레이윌리 고메즈
투수코치 길 에레디아, 보 마티노
코치 데릭 플로코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DSL 에인절스
DSL Angels
창단 1989년
계약 연도 1989년
소속 리그/지구 도미니카 서머 리그 남부지구
연고지 산토 도밍고 주 보카 치카
홈구장 아카데미아 데 아벨 가르시아
감독 헥터 데 라 크루즈
타격코치 아넬 데 로스 산토스
투수코치 엔리케 곤잘레스, 호세 마르테
수비코치 버바니 마르티네즈
포수코치 다닐로 산체스

9. 1라운드 지명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ba0021>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65년 ~
1965
짐 스펜서
1루수 / 전체 11번
1966
짐 데네프
유격수 / 전체 8번
1967
마이크 넌
포수 / 전체 9번
1968
로이드 앨런
투수 / 전체 12번
1969
앨런 배니스터
유격수 / 전체 5번
1970
폴 데이드
3루수 / 전체 10번
1971
프랭크 타나나
투수 / 전체 13번
1972
데이브 찰크
3루수 / 전체 10번
1973
빌리 테일러
외야수 / 전체 7번
1974
마이크 마일리
유격수 / 전체 10번
1975
대니 굿윈
포수 / 전체 1번
1976
켄 랜드럭스
외야수 / 전체 6번
1977
리차드 돗슨
투수 / 전체 7번
1978
톰 브루난스키
외야수 / 전체 14번
1979
FA 짐 바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0[1]
데니스 라스무센
투수 / 전체 17번
1980
FA 브루스 키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1
딕 스코필드
유격수 / 전체 3번
1982
밥 키퍼
투수 / 전체 8번
1983
마크 도란
외야수 / 전체 23번
1984
에릭 파파스
포수 / 전체 6번
1985
윌리 프레이저
투수 / 전체 15번
1985[2]
마이크 쿡
투수 / 전체 19번
1986[3]
로베르토 에르난데스
투수 / 전체 16번
1986
리 스티븐스
외야수 / 전체 22번
1986[4]
테리 카
외야수 / 전체 25번
1986[3]
마이크 페터스
투수 / 전체 27번
1986[4]
대릴 그린
투수 / 전체 28번
1987
존 오튼
포수 / 전체 25번
1987[7]
데이비드 홀드리지
투수 / 전체 31번
1988
짐 애보트
투수 / 전체 8번
1989
카일 애보트
투수 / 전체 9번
1990
FA 마크 랭스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1
에두아르도 페레즈
1루수 / 전체 17번
1991[8]
호르헤 파브레가스
3루수 / 전체 34번
1992
피트 자니키
투수 / 전체 8번
1992[9]
제프 슈미트
투수 / 전체 29번
1993
브라이언 앤더슨
투수 / 전체 3번
1994
맥케이 크리스텐슨
외야수 / 전체 6번
1995
대린 어스태드
외야수 / 전체 1번
1996
FA 랜디 벨바르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7
트로이 글로스
3루수 / 전체 3번
1998
세스 에서튼
투수 / 전체 18번
1999
FA 모 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0
조 토레스
투수 / 전체 10번
2000[10]
크리스 부첵
투수 / 전체 20번
2001
케이시 코치맨
1루수 / 전체 13번
2001[11]
제프 매티스
포수 / 전체 33번
2002
조 손더스
투수 / 전체 12번
2003
브랜든 우드
유격수 / 전체 23번
2004
제러드 위버
투수 / 전체 12번
2005[12]
트레버 벨
투수 / 전체 37번
2005
FA 올랜도 카브레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6[13]
행크 콩거
포수 / 전체 25번
2006
FA 제프 위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7[14]
존 바차노브
투수 / 전체 58번
2007
FA 게리 매튜스 주니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8
FA 토리 헌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9[15]
랜달 그리칙
좌익수 / 전체 24번
2009[16]
마이크 트라웃
중견수 / 전체 25번
2009[16]
타일러 스캑스
투수 / 전체 40번
2009[15]
개럿 리차즈
투수 / 전체 42번
2009[19]
타일러 케러
투수 / 전체 48번
2009
FA 브라이언 푸엔테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0[20]
케일럽 코와트
투수 / 전체 18번
2010[21]
캠 베드로시안
투수 / 전체 29번
2010
체비 클라크
중견수 / 전체 30번
2010[21]
테일러 린드시
유격수 / 전체 37번
2010[20]
라이언 볼덴
중견수 / 전체 40번
2011
C.J. 크론
1루수 / 전체 17번
2012
FA 알버트 푸홀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3
FA 조시 해밀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4
션 뉴컴
투수 / 전체 15번
2015
테일러 워드
포수 / 전체 26번
2016
맷 타이스
포수 / 전체 16번
2017
조 아델
외야수 / 전체 10번
2018
조딘 애덤스
외야수 / 전체 17번
2019
윌 윌슨
유격수 / 전체 15번
2020
리드 데트머스
투수 / 전체 10번
2021
샘 바크만
투수 / 전체 9번
2022
잭 네토
유격수 / 전체 13번
2023
놀란 샤누엘
1루수 / 전체 11번
2024
크리스티안 무어
2루수 / 전체 8번
*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에인절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

[1] FA 놀란 라이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프레드 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후안 베니케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4] FA 알 홀랜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4] [7] FA 레지 잭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칠리 데이비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월리 조이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0] FA 마이크 마그나테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1] FA 마크 피트코브섹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FA 트로이 퍼시벌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3] FA 폴 버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4] FA 애덤 케네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FA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6] FA 마크 테세이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6] [15] [19] FA 존 갈랜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0] FA 숀 피긴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FA 존 래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20]
}}}}}}}}}

10. 유망주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a0021>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MLB.com 선정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5 유망주 TOP 3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ffffff> 1위 (전체 67위) 2위 (전체 77위) 3위 4위 5위
크리스천 무어
(2B)
케이든 데이나
(RHP)
조지 클라선
(RHP)
조수아 루고
(SS)
샘 알데게리
(LHP)
<rowcolor=#fff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넬손 라다
(OF)
라이언 존슨
(RHP)
크리스 코테즈
(RHP)
덴서 구스만
(SS)
배럿 켄트
(RHP)
<rowcolor=#fff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후안 플로레스
(C)
다리오 라베르데
(C)
매튜 루고
(OF)
가브리엘 다발리요
(C)
트레이 그레고리-알퍼드
(RHP)
<rowcolor=#fff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새미 내테라 주니어
(RHP)
월버트 우레냐
(RHP)
딜런 조던
(RHP)
조엘 우르타도
(RHP)
캠든 미나시
(RHP)
<rowcolor=#fff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카프리 오르티스
(SS)
펠릭스 모로벨
(SS)
콜 폰티넬
(3B)
라이언 코스티우
(RHP)
헤이든 알바레스
(OF)
<rowcolor=#fff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랜디 데 헤수스
(OF)
디오리스 데 라 로사
(RHP)
우발도 소토
(RHP)
개럿 맥대니얼스
(LHP)
니코 카바다스
(1B)
출처
}}}}}}}}}}}} ||

11. 40인 로스터 목록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ba0021>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a0021><colcolor=#ffffff> 투수 16 기쿠치 · 24 스티븐슨IL-60 · 28 헨드릭스 · 31 Ty.앤더슨 · 32 존슨 · 35 I.앤더슨 · 36 데이나40인 · 40 바크만IL-15 · 41 코차노비츠 · 44 조이스IL-15 · 46 버크 · 48 데트머스 · 56 제퍼얀 · 57 맥대니얼스 · 58 메데로스40인 · 59 소리아노 · 61 대럴-힉스 · 63 실세스40인 · 66 알데게리40인 · 74 잰슨 · # 에더40인
포수 14 오하피 · 25 다노 · 33 로빈슨40인
내야수 2 렌히포 · 5 몬카다IL-10 · 6 렌던IL-60 · 9 네토 · 10 뉴먼 · 18 샤누엘 · 19 파리스 · 20 카바다스40인 · 22 데이비스 · 49 노다40인 · 77 Ti.앤더슨
외야수 3 워드 · 7 아델 · 12 솔레어 · 15 루고40인 · 27 트라웃 · 51 캄페로40인
''' 파일:미국 국기.svg 론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 몽고메리 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배리 엔라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살 파사노 파일:미국 국기.svg 보 포터 ·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영 시니어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브 카세이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언 고인스 파일:미국 국기.svg 팀 레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제리 내론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닉스 파일:미국 국기.svg 팀 버스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애쉬먼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솔트레이크 비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12. 관련 링크

1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923f><tablewidth=320><tablebgcolor=#00923f>
파일:로스앤젤레스 휘장.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MLB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스앤젤레스 램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NBA NHL
파일: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 파일:애너하임 덕스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킹스 애너하임 덕스*
MLS WNBA NWSL
파일:로스앤젤레스 갤럭시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스팍스 로고.svg 파일:엔젤 시티 FC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로스앤젤레스 FC 로스앤젤레스 스팍스 엔젤 시티 FC
MLR
파일:럭비 FC 로스앤젤레스.png
럭비 FC 로스앤젤레스
* 실제 홈구장은 LA 시내 이외의 LA 광역권에 소재하는 구단
◀ 캘리포니아 연고 프로 구단 보기(로스앤젤레스 제외)
}}}}}}}}} ||

[1] 로스앤젤레스 광역권의 오렌지 카운티에 위치한 도시.[2] 시카고 컵스의 홈구장 리글리 필드와는 다른 곳.[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공용[4] 80~94년까지 NFL LA 램스와 공용[5] 북미 프로 스포츠 구단 사상 최초 히스패닉 출신 구단주. 2022년 8월 23일 구단 매각 추진 의사를 밝혔으나 2023년 1월 24일에 이를 철회했다.[6] 캘리포니아 에인절스 시절엔 CAL, 애너하임 에인절스 시절엔 ANA였다. 이후 이 팀의 이름 앞에 다시 로스엔젤레스가 붙으면서 심플하게 LA였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약칭이 LAD로 바뀌기도 했다.[7] 팀의 로고처럼 천사 머리 위에 달린 링이 헤일로(Halo)이다.[8] 국내 MLB 도입 초창기에 지면 신문에 기자들이 그렇게 쓰다 보니 그냥 에인절스로 굳어졌다는 것이 정설이다. 실제로 1990년대 말 지면 신문에 에인절스라고 대놓고 표기된 기록이 있지만 엔젤스라고 표기한 신문은 거의 없을 정도였다. 맥스 슈어저, 트레버 로젠탈과는 반대의 상황인 셈.[9]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Angel의 한글 표기가 에인절이기 때문에 에인절스라고 하는 게 일단 표기상으로는 올바른 표기이다. #[10] 본래 콜로라도 로키스도 함께였지만, 2023년에 103패를 찍으며 이제 100패를 해본 적이 없는 구단은 에인절스가 유일하다. 물론 에인절스도 2024년에 거하게 폭망하면서 100패를 달성할 뻔했지만 아쉽게도(?) 1패가 모자랐다.[11] 참고로 라이언은 세 팀에서 모두 최고의 투수를 꼽으라 하면 빠지지 않는다.[12] 트라웃은 일단 팀 역사상 최고의 선수인 데다가 원 클럽맨으로 남겠다는 의지를 보였기에 영구 결번이 확정적이고, 게레로는 몬트리올 엑스포스의 레전드이기도 하지만 일단 명예의 전당에는 에인절스의 모자를 썼기에 에인절스의 영구 결번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13] 24번은 2005년 오클랜드로 트레이드된 첫 해에 썼던 번호. 그런데 2014년 다저스에서 뛸 때는 15번이 비어 있었음에도 14번을 달았다가, 2015년 마이애미로 트레이드되고 나서는 다시 15번을 썼다.[14] 하지만 신더가드는 얼마 안 지나고 필라델피아 필리스로 트레이드되었고, 필리스의 34번은 로이 할러데이라는 전설적인 투수의 영구 결번이기에 43번으로 바꿔 달았다.[15] 연고지 샌버나디노를 관통하는 66번 국도에서 팀명을 따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