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23:02:53

에서 넘어옴
부릴 역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7획
고등학교
준3급
-
일본어 음독
ヤク, エキ
일본어 훈독
いくさ, えだち, つと-め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특징3. 용례4. 이체자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役은 '부릴 역'이라는 한자로, '부리다', '시키다' 등을 뜻한다.

2. 특징

유니코드에는 U+5F7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OHNE(竹人竹弓水)로 입력한다.

(조금걸을 척)과 (몽둥이 수)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과거에는 국가가 백성들의 노동력을 수취하던 제도를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네이버 국어사전).

연극의 '배역'도 이 글자를 쓴다. 이 경우 '어떤 배우가 ○○라는 캐릭터를 연기했다'란 뜻이다. [예 : 아무개(홍길동 역), 분(扮)]

일본어에 특히 많이 보여서 일본에서 들어온 말 같이 보이지만 한국에서도 후자의 의미로 과거부터 쓰긴 썼다. 한국사의 경제 부문에 나오는 수취 제도에서 전세, 공물과 함께 나오는 제도이다. 현재도 노동력을 수취하는 제도(병역, 징역)에 역을 붙이는 건 이러한 유래에서 비롯된 것이다. 일본어에선 정말로 사용빈도가 높다. 상담역, 검사역, 퇴역 등등. 한국에서 임원이라 불리는 것을 '중역'이라 부르는 것도 그 예.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전투, 전쟁의 뜻도 있다. 일본에서 임진왜란을 자기네 당시 연호를 좇아 "文禄の役"이라고 하는 것도 그 예이다.

4. 이체자

  • 伇(U+4F07)

5. 유의자

  • (부릴 병)
  • (부릴 부)
  • (부릴 빙)
  • 使(하여금/부릴 사)
  • 𦔼[⿰耳攴](부릴 섭/용)
  • (부릴/조리돌릴 순)
  • 𤛏[⿰牛虘](부릴 조/추)
  • (부릴 팽)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넓적다리 고)
  • (염소 고)
  • 𥝻(곡식 곡)[1]
  • 𧣇[⿰角殳](벌벌떠는모양 곡)
  • 𧯸[⿰壹殳](콩깍지 곡)[2]
  • 𨱚[⿰镸殳](내던질 단)
  • (창 대)
  • 𧰵[⿰豖殳](칠 독/탁)
  • (괼 두)
  • (두번빚은술 두)
  • (말많을 두)
  • 𪉘[⿰鹵殳](짠땅 두)
  • 𪛒[⿰籥殳](채로치는북 련, 긴자루가달린북 렴)
  • (빠질 몰)[3]
  • (죽을 몰)[4]
  • (가지/일반 반)
  • 𣺲[⿰洣殳](빨리흐를 별)
  • 𪕂[⿰鼠殳](만주마멋 복)[5]
  • (베풀 설)
  • (수레끌 수)
  • (팔모진창 수, 나무이름 퇴)
  • (굴뚝 역)
  • (돼지 역)
  • 𢗎[⿰忄殳](마음쓸 역)
  • (부릴 역)[6]
  • 𩵤[⿰魚殳](예어 역)[7]
  • (옹기가마굴뚝 역)
  • (작은창 역)
  • (굳셀 의)[8]
  • 𡚾[⿰女殳](고울 주)
  • 𧘣[⿰衤殳](붉은옷 주)[9]
  • (돌산 철)
  • (재계할 촉)
  • 𤖬[⿰片殳](박두할 추)
  • (신뒤축 타)
  • (내던질 투)
  • (던질 투)
  • (주사위 투)
  • 𨸜[⿰⻖殳](웃음소리 해)
  • 𥍟[⿰矛殳](창 혁, 작은창 역)
  • 𪐮[⿰黑殳](축/몰)
  • 𤝈[⿰犭殳](투/을)
  • 𭚧[⿰弓殳]
  • 𰕶[⿰日殳]
  • 𰠎[⿰爿殳]
  • 𤤄[⿰⺩殳]
  • 𰨴[⿰⿱禾米殳]
  • 𧈻[⿰虫殳]
  • 𰮏[⿰肉殳]
  • 𰯯[⿰臣殳]
  • 𬖫[⿰粟殳]
  • 𫘈[⿰馬殳]
  • 𪌓[⿰麥殳]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𠖊[⿱冖役](빌릴 가)[10]
  • 𩎶[⿰韋役](신뒤축끈 단)
  • 𤥞[⿰⺩役](옥이름 몰)
  • (굴뚝 역)
  • 𧱕[⿰豕役](돼지 역)[11]
  • (마름 역)
  • 𩷍[⿰魚役](예어 역)
  • 𤶣[⿸疒役](전염병 역)[12]
  • 𤈧[⿰火役](볶을 혁)
  • 𥆛[⿱役目](볼 혁)
  • 𪁛[⿰役鳥](작은비둘기 역)
  • 𨦯[⿰金役](작은창 역)[13]
  • 𩂹[⿱雨役](큰비 역)

[1] (곡식 곡)의 동자[2] (콩깍지 곡)의 동자[3] (빠질 몰)의 신자체간체자[4] 歿(죽을 몰)의 간체자[5] 𪔿(만주마멋 복)의 와자[6] 役(부릴 역)의 고자[7] 𩷍(예어 역)의 동자[8] (굳셀 의)의 동자[9] (붉은옷 주)의 동자[10] (빌릴 가)의 고자[11] (돼지 역)의 동자[12] (전염병 역)의 동자[13] (작은창 역)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