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一/壹) (100) | 십(十/拾) (101) | 백(百/伯/陌) (102) | 천(千/仟/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毛)/호(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絲) (10-4) | |
만(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忽) (10-5) | 미(微) (10-6) | 섬(纖) (10-7) | 사(沙) (10-8) | |
억(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塵) (10-9) | 애(埃) (10-10) | 묘(渺) (10-11) | 막(漠) (10-12) | |
조(兆) (1012) | 경(京) (1016) | 해(垓) (1020) | 자(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壤/穰) (1028) | 구(溝) (1032) | 간(澗) (1036) | 정(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載) (1044) | 극(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塵 티끌 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4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ジン | ||||||
일본어 훈독 | ちり | ||||||
尘 | |||||||
표준 중국어 | ché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塵은 '티끌 진'이라는 한자로, '티끌', '먼지' 또는 십진수 중 10-9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티끌 |
음 | 진 | |
중국어 | 표준어 | chén |
광동어 | can4 | |
객가어 | chhṳ̀n | |
민북어 | de̿ng | |
민동어 | dìng | |
민남어 | tîn[文] / thûn[白] | |
오어 | zen (T3) | |
일본어 | 음독 | ジン |
훈독 | ごみ, ちり | |
베트남어 | trần |
유니코드에는 U+587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IPG(戈心土)로 입력한다.
鹿(사슴 록)과 土(흙 토)가 합쳐진 회의자로, 사슴이 뜀으로써 생기는 먼지를 나타낸다. 한때는 많은 사슴을 나타내기 위해 鹿을 3개 합친 麤(거칠 추)에 土를 합한 형태로도 나타났으나, 이후 다시 줄어들어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鹿을 小(작을 소)로 대체해서 尘으로 간화한 형태를 쓰고 있다. 흙이 작아진 것이 먼지라는 뜻.
고전에서 보통 '속세(俗世)', '인간(人間)'의 의미로 자주 쓰여 자연을 예찬하는 태도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정극인의 상춘곡 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강우진(降雨塵)
- 개진(芥塵)
- 거진(車塵)
- 거진(去塵)
- 겁진(劫塵)
- 경진(京塵/輕塵)
- 계진기(計塵器)
- 극진(戟塵)
- 근진(根塵)
- 기진(起塵)
- 낙진(落塵)
- 뇌진(腦塵)
- 도진(都塵)
- 매진(煤塵)
- 맥진(陌塵)
- 몽진(蒙塵)
- 미진(微塵)
- 방사진(放射塵)
- 방진(防塵)
- 배진(拜塵)
- 번진(煩塵)
- 벽진(辟塵)
- 부진자(浮塵子)
- 분진(粉塵)
- 불진연(拂塵宴)
- 사진(沙塵/砂塵)
- 설진(屑塵)
- 섬진(纖塵)
- 성진(腥塵)
- 세진(細塵)
- 세진(世塵)
- 속진(俗塵)
- 수진(收塵)
- 승진(承塵)
- 시진(市塵)
- 애진(埃塵)
- 양진(揚塵)
- 여진(餘塵)
- 연진(煙塵)
- 염부진(閻浮塵)
- 염진(炎塵)
- 오진(五塵/汚塵)
- 옥진(玉塵)
- 외진(外塵/煨塵)
- 욕진(欲塵)
- 우주진(宇宙塵)
- 유성진(流星塵)
- 유진(遊塵/遺塵)
- 육진(六塵)
- 읍진(浥塵)
- 일진(一塵)
- 적진(積塵)
- 전진(戰塵)
- 정진(征塵)
- 제진(除塵)
- 진개(塵芥)
- 진겁(塵劫)
- 진경(塵境)
- 진계(塵界)
- 진구(塵垢/塵臼)
- 진금(塵襟)
- 진념(塵念)
- 진니(塵泥)
- 진려(塵慮)
- 진로(塵勞)
- 진루(塵累/塵陋)
- 진모(塵毛)
- 진무(塵務/塵霧)
- 진분(塵氛)
- 진사(塵事)
- 진삽(塵箑)
- 진상(塵想)
- 진세(塵世)
- 진속(塵俗)
- 진심(塵心)
- 진애(塵埃)
- 진연(塵煙/塵緣/塵涓)
- 진예(塵穢)
- 진오(塵汚)
- 진외(塵外)
- 진점겁(塵點劫)
- 진중(塵中)
- 진찰(塵刹)
- 진토(塵土)
- 진폐(塵肺)
- 진풍(塵風)
- 진합태산(塵合太山)
- 진혼(塵溷)
- 진화(塵譁)
- 진환(塵寰)
- 진효(塵囂)
- 집진(集塵)
- 차진(車塵)
- 출진(出塵)
- 치진(緇塵)
- 탄진(炭塵)
- 탈진(脫塵)
- 풍진(風塵)[3]
- 함진도(含塵度)
- 호진(胡塵)
- 홍진(紅塵)
- 화산진(火山塵)
- 황진(黃塵)
- 회진(灰塵)
- 후진(後塵)
- 흡진기(吸塵器)
3.2. 고사성어/숙어
- 경진서약초(輕塵棲弱草)
- 누진취영(鏤塵吹影)
- 동진(同塵)
- 동해양진(東海揚塵)
- 망진막급(望塵莫及)
- 망진불급(望塵不及)
- 백수풍진(白首風塵)
- 병진(兵塵)
- 불수진(拂鬚塵)
- 쇄수회진(碎首灰塵)
- 연진천리(煙塵千里)
- 적진성산(積塵成山)
- 증중생진(甑中生塵)
- 증진부어(甑塵釜魚)
- 진반도갱(塵飯塗羹)
- 진영(塵纓)
- 진적위산(塵積爲山)
- 진합태산(塵合泰山)
- 팔년풍진(八年風塵)
- 풍전지진(風前之塵)
- 풍진표물(風塵表物)
- 학문천재보, 탐물일조진(學文千載寶, 貪物一朝塵)
- 흉중생진(胸中生塵)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砂塵カゲロウ
- 소홍진(笑红尘)
- うらもからだも落花微塵(마음도 몸도 낙화미진)
- 연연풍진(戀戀風塵)
- 내 세계를 구성하는 먼지 같은 무언가(私の世界を構成する塵のような何か)
- 무진미새(無塵迷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