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이의 줄임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어린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어린이#|]][[어린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어린이의 동의어인 아이를 줄인 말이다. 사실 중세 한국어 시절에는 'ㅐ'를 'ㅏㅣ'로 읽었기에 '아이'와 '애'의 발음이 거의 유사했다.
그런데 현대 구어체에선 아이에서 파생한 애, 얘(이 아이), 걔(그 아이), 쟤(저 아이)를 연령, 성별과 상관 없이 친한 사람을 격의 없게 부르는 호칭으로도 쓰고 있다. 게다가 친하지 않거나 만난 적이 없는 상대를 가볍게 부를 때도 자주 쓰는데, 무엇보다 외국인과 연예인, 유명인들을 애, 얘, 걔, 쟤로 칭하는 한국인들이 매우 많다. 사람 호칭으로썬 사실상 문어가 된 녀석을 대체한 셈이다. 게다가 21세기에 녀석은 오히려 동물을 대상으로 자주 쓰다 보니 본래 의미에서 많이 벗어난 상황이다.[1]
2. 창자(腸)의 순우리말
장기를 특히 장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애가 타다", "애간장이 탄다", "애를 태운다", "애 떨어질 뻔 하다", "애를 쓴다"[2] 고 할 때의 그 "애"이다."애간장" 이라는 단어 자체가 (肝) (腸) 에서 온 것이다
과거에는 "애" 는 창자를 의미했으나 현대에선 간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쓰인다
3. Ä
A에 umlaut이 올라가 있으며 독일어, 스웨덴어, 핀란드어 등에서 '애'라고 읽는다. 이하는 다이어크리틱 문서의 5.7번 문단 참조.4. 1자 한자어
4.1. 애(埃), 10의 -10제곱
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一/壹) (100) | 십(十/拾) (101) | 백(百/伯/陌) (102) | 천(千/仟/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毛)/호(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絲) (10-4) | |
만(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忽) (10-5) | 미(微) (10-6) | 섬(纖) (10-7) | 사(沙) (10-8) | |
억(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塵) (10-9) | #s-3.1(埃) (10-10) | 묘(渺) (10-11) | 막(漠) (10-12) | |
조(兆) (1012) | 경(京) (1016) | 해(垓) (1020) | 자(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壤/穰) (1028) | 구(溝) (1032) | 간(澗) (1036) | 정(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載) (1044) | 극(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작은 수 | ||||
진(塵) | 1/10 배 → | 애(埃) | 1/10 배 → | 묘(渺) |
0.0000000001 = 10-10
埃(티끌 애), [math(\frac{1}{10,000,000,000})]
작은 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백억분의 일이다.
5. 한자
|
권 당 독 령 로 루 만 면 묘 병 송 승 심 약 어 요 음 저 절 차 체 추 태 피 향5 건 격 결 곡 광 괴 군 급 내 등 란 려 렬 록 류 맹 목 문 번 변 산 설 습 야 예 욕 용 운 작 점 좌 중 질 채 척 충 타 탁 탄 판 표 필 혼 홍 황 회 후 희4 검 국 궁 귀 규 극 노 담 답 두 락 랑 력 례 료 률 마 막 민 발 백 범 불 빈 술 실 앙 애 억 열 염 옥 은 일 임 준 직 착 참 책 철 촉 총 택 토 통 투 폭 함 헌 혜 확 효3 걸 겸 곤 균 난 남 뇌 다 돈 둔 람 략 뢰 륙 륜 림 맥 몽 묵 물 밀 벌 벽 붕 빙 삭 색 섭 손 쇄 악 암 압 액 언 옹 와 완 왕 외 월 육 윤 읍 응 익 잠 접 족 존 졸 집 징 찬 처 첨 촌 최 측 칠 탈 탐 패 평 풍 학 행 허 험 혈 협 혹 획 휘 휴 흉2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교육용 한자로 '애'라고 읽는 글자는 아래 3자뿐이다.
- 哀 (슬플 애)
- 愛 (사랑 애): 사랑 애. 사랑이란 뜻을 담고 있는 음절이다. 모성애(母性愛), 우애(友愛), 친애(親愛), 편애(偏愛) 등으로 쓴다.
- 涯 (물가 애): 생애(涯), 천애고아(天涯孤兒)가 대표적인 예이다.
장애(障礙)의 礙(거리낄 애)는 2급 한자[3], 애로사항(隘路事項)의 隘(좁을 애) 및 애매(曖昧)의 曖(가릴 애)는 1급 한자, 마애석불(磨崖石佛)의 厓(언덕 애)는 준특급 한자이다.
5.1. 애(愛/哀), 시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시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시호)#|]][[애(시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Stray Kids의 싱글 <Mixtape : 애>의 타이틀 곡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Stray Kids)#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Stray Kids)#|]][[애(Stray Kid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