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11:17:46

1. 단어
1.1. 군-, '구운'이 축약된 접두사1.2. 군-, 접두사1.3. -군, 종결어미1.4. -군(君), 경칭1.5. -군(君), 작위1.6. (郡), 행정구역1.7. goon, 불한당
2. 분야별 용어
2.1. 대수학의 2.2. 물리학의 군론2.3. 화학의 군론
3. 한자4. 인명
4.1. 군씨(君)
5. 창작물

1. 단어

1.1. 군-, '구운'이 축약된 접두사

'굽다'의 관형형 '구운'이 축약된 것으로 군밤, 군고구마, 군만두 등 일부 구이 요리 명칭에서만 나타난다.

1.2. 군-, 접두사

쓸데없거나 필요치 않은 데에 붙어 있는 것 등에 붙는 접두사로, 일부 명사에만 한정되어 붙는다. 이렇게 파생된 명사로는 '군것질', '군더더기', '군말', '군살', '군소리', '군식구' 등이 있다.

1.3. -군, 종결어미

'-구먼'와 '-구나'가 축약된 것으로, 어떤 사실에 대해서 새로이 깨닫게 되었을 때 쓰는 의외성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이다. 의외성을 나타내는 유사한 종결어미 '-네'와의 차이는 네(어미) 문서를 참조하라.

1.4. -군(君), 경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君#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君#경칭|경칭]][[君#|]]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홍길동 군'같이 미성년 혹은 젊은 남자의 이름 뒤에 붙이는 경칭 표현이다.

1.5. -군(君), 작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작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작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작위)#|]][[군(작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郡),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행정구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행정구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행정구역)#|]][[군(행정구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goon, 불한당

깡패, 불한당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이 뜻 이외에도 멍청이, 얼간이란 뜻도 있고 슬랭으로는 자위를 끊임없이 한다라는 뜻도 있다. 그냥 딸치다라고 보면 된다.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인 구니스, The Goonies 는 작은 깡패들이라는 뜻이다.

2. 분야별 용어

대개 group을 군()으로 번역한 것이다.

2.1. 대수학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대수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대수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대수학)#|]][[군(대수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물리학의 군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론(물리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론(물리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론(물리학)#|]][[군론(물리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화학의 군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론(화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론(화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론(화학)#|]][[군론(화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한자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 1800자 중 '군'으로 읽는 글자는 아래 4자이다.

4. 인명

4.1. 군씨(君)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성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군(성씨)#|]][[군(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