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5 09:04:35

고양 버스 76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신성운수76번.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시초3.2. 몰락
4.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고양시 CI_White.svg 고양시 일반시내버스 76번
기점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신성교하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신촌기차역)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20
막차 22:20 막차 23:30
평일배차 90~180분 주말배차 90~180분
운수사명 신성운수 인가대수 12대[1]
노선 신성교하차고지 - 운정신도시 - 삽다리 - 덕이동 - 밤가시마을 - 국립암센터 - 백석역 - 행신동 - 화전역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세대학교 - 세브란스병원 → 신촌기차역(U턴) → 이대부중 → (봉원고가 U턴) → 이대부중 → 세브란스병원 → 이후 역순

2. 개요

신성운수에서 운행했던 일반시내버스 노선.

3. 역사

3.1. 시초

파일:신성76.jpg
좌석버스 시절
  • 가좌리-신촌전철역까지 무번호로 운영했던, 일산-서울을 잇던 시외버스가 시초. 명성운수에서 운행했던, 나름 전통 있고 뿌리깊었던 노선이다.[2] 그러다가 77-1번이라는 번호를 부여받고, 일산신도시가 개발되면서 90년대 중반 일반좌석버스로 전환했다. 좌석버스로 전환 후에는 마크로(現 덕이이마트),일산시장,일산역을 경유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마크로에서 직진, 일산신도시 경유로 노선을 직선화한다.
  • 일산 가좌동 - 2호선 신촌역 구간을 운행하였으며 서부여객에서 운행했던 77-3번[3]과 함께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2001년 선진버스[4]에서 88번을 개통하기 전까지 77-3번과 함께 리즈 시절을 맞았으며, 단거리 수요와 장거리 수요 모두 많았었다. 출퇴근시간대에 배차가 가장 좋았을 때는 3 ~ 5분의 배차 간격을 유지했었고, 최대 10~12분 정도의 배차 간격을 유지했었을 정도. 하지만 88번 개통 이후에는 단거리 수요가 점차 줄어들었다.
  • 초창기에는 탄현이마트.서울도시가스(구 마크로,일산월마트)에서 출발하였으며, 이후 가좌동 명성운수 차고지 출발로 변경되었다.
  • 상당히 인기가 좋았던 노선이었던 만큼, 파생 노선도 많았다. 2002년 1월 30일, 교하 월드메르디앙 아파트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이 노선에서 10대의 차량이 차출되어 76-1번이 신설되기도 했고,[5] 가좌동 명성운수 차고지를 지나 노루뫼, 거그뫼까지 갔던 구산동 지선[6] 버스도 있었다.[7]

3.2. 몰락

  • 2004년, 동사에서 탄현·중산마을, 밤가시마을, 국립암센터, 마두1동주민센터를 경유하는 1200번의 개통 이후 773번과 함께 장거리 수요를 뺏기기 시작했다.
  • 그리고 2007년 9월 7일에 76번 노선과 76번에서 운행했었던 로얄 시티 대부분을 신성교통에 넘긴다. 동시에 기점이 다율동 신성교통 차고지로 연장되었다. 그리고 구산동 지선 노선이 없어졌으며[8], 가좌동 명성운수 차고지가 폐쇄되었다.[9]
  • 이 때까지만 해도 약 15~20분의 배차 간격을 유지하며 어느 정도 현상 유지를 하나 싶었지만... 이후 2009년 7월 1일에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773번과 함께 직격탄을 맞는다.
  • 결국 2009년 11월 21일부로 일반좌석버스에서 일반시내버스로 형간전환을 하게 되었다.
  • 고양교통 88번도 꾸준히 증차되고 2010년 3월 16일에 동해운수 舊 9706번이 700번으로 형간 전환하면서 이 노선이 몰락하는 데 일조했다.
  • 그리고 가좌마을 구간에서는 후곡마을, 밤가시마을, 백석역, 행신동, 연세대학교, 신촌 방향으로 가는 경우가 아니면 이 노선을 타지 않는 승객들이 많았고,[10] 백석역 이후 구간을 가더라도 고양시 마을버스 057번을 타고 대화역 ~ 정발산역까지 간 후 1000번 등의 노선으로 환승해서 가는 승객들이 더 많았다. 그리고 2011년 12월 1일 명성운수에서 가좌마을을 경유하여 서울 도심까지 가는 1100번을 개통한 이후에는 가좌마을 구간에서 공기수송으로 다니게 되었다.[11] 그렇게 연달아 치명타를 입고 773번과 함께 감차되면서 배차 간격이 점점 크게 벌어졌다.[12] 이로인해 2012년 12월 29일, 가좌마을 구간이 폐지되었고, 운정신도시 경유로 변경되었다.[13]
  • 2014년 1월 초에는 차고지 이전에 따라 기점이 다율동 차고지에서 신성교하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2014년 3월 이후, 평일 5대로 운행하던 노선이 73번의 덕이지구, 일산호수공원 경유로 인해 차가 2대 빠지게 되면서 배차 간격이 90~180분으로 벌어지게 되었다. 73번과 함께 끝까지 탈탈 털려버린 결과 2014년 10월 18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 그러다 2015년 2월 2일 기준, 같은 회사 소속 37번과 함께 GBIS 전산망에서 노선 정보가 삭제되었다. 신성교하차고지에선 숱한 신촌 행 7x번대 중 73번만이 남게 되었고, 이마저도 2016년 1월 폐선되면서 모두 자취를 감췄다. 그해 7월, GBIS 전산망에 다시 등장했고, 노선 자체는 변함이 없으나 운수업체가 서현운수로 바뀌었다.
  • 2017년 1월, 신성 교하차고지에 이 노선에서 운행했던 차량이 여전히 76번 행선지 스티커와 신성운수가 붙인 채로 차고지에 번호판을 떼고 방치된 것이 확인되었다. 노선이 폐선된 지 2년이 넘었음에도, 해당 차량이 한 번도 운행을 안 했다는 점에서 무슨 생각인지 이해가 안 간다.[15] 그리고 가끔씩 고양동 서울여객 본사에도 출몰한다.
  • 2017년 4월 이후, 뜬금없이 2017년 이내 재개통 예정이라는 카더라가 돌았지만, 2018년 1월에 해당 노선의 인가가 전부 733번의 증차분으로 이동해버리면서 사실상 재개통이 취소되었다. #
  • 이후 2022년 5월 23일부로 사실상 대체 노선이자, 노선이 거의 유사한 75번이 신설되면서 이 노선의 재운행 가능성은 더더욱 희박해졌다. 하지만 75번마저도 개통한지 겨우 1년 만에 배차간격이 농어촌버스급이 되고 말았다...

4. 연계 철도역



[1] 실제로는 3대로 운행하였다.[2] 자매 노선은 일산-능곡-신촌을 잇는 77번.[3] 신성교통에 인수된 이후 773번 → 73번으로 번호 변경.[4] 2007년 이후로는 고양교통이 운영한다.[5] 현재는 66번으로 절찬리에 운행 중.[6] 파주 77번 2014.03.08. 부 운행 중단.[7] 이 구간은 고양시 마을버스 폐선된 062번, 071번이 지나갔었다.[8] 거그뫼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경기법인 신성교통에서 780번을 신설하였고, 종점이 거그뫼에서 롯데프리미엄아울렛(파주출판단지)으로 연장된 후 형간전환이 이루어 지고 나서 77번으로 번호 변경된 후에는 2014년 3월 8일 이후로 운행이 중단된 상태.[9] 현재는 가좌동.구종점 정류소 근처에 흔적이 남아 있으며, 1100번, 고양시 마을버스 N007번, 057번, 폐선된 062번, 071번, 079번이 이 구간을 지나간다.[10] 한때 가좌마을 구간을 경유했었던 9701번도 가좌마을 구간에서는 승객이 많이 타지 않았다.[11] 하지만 1100번마저도 코로나19로 인한 인력난을 맞이하면서 배차가 농어촌버스 수준이 되고 말았다.[12] 2013년 9월~12월 당시에는 배차 간격이 60~90분이었다.[13] 덕이고등학교 1기생 중에서 일산역, 풍산역, 백마역 쪽에서 통학하던 학생들은 이것을 절실히 느꼈다. 2012년에 이들이 입학했을 때는 그래도 20분 정도에는 버스가 한 대 씩 와 줬기 때문에 꽤 많은 학생들이 이용했는데, 2013년 즈음 들어서 배차가 점점 불규칙해지고 30분 이상 넘기기 시작하더니 2014년부터는 사실상 탈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결국 2013년 중순부터 대부분의 덕이고등학교 학생들은 다른 마을버스들을 이용하는 중.[14] 73번도 마찬가지. 신성운수 노선으로는 73번과 함께 파주시 교하 차고지에서 출발한다.[15] 더군다나, 해당 차량은 빨라야 2009년식인데 왜 운행을 아예 안 갔는지 의문. 총 3대가 방치되었다. 그리고 금촌차고지에는 비슷한 연식의 33, 73번 출신차가 여러대 방치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