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기본 구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9E1B32><colcolor=#FFD700> 전임자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태상황=태상황후 상황=상황후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전전임 황제=태황태후 전임 황제=황태후 | |
태상왕=태상왕비 상왕=상왕비 | 전전임 국왕=대왕대비 전임 국왕=왕대비 | ||||
군주 | 황제=황후 | 여제=국서 | ||||
국왕=왕비 | 여왕=국서 | |||||
후계자 | (원자[ruby(→, ruby=책봉)])황태자=황태자비 | 황태녀=부마 | (원손[ruby(→, ruby=책봉)])황태손=황태손비 | 황태제=황태제비 | ||||
(원자[ruby(→, ruby=책봉)])왕세자=왕세자비 | 왕세녀=부마 | (원손[ruby(→, ruby=책봉)])왕세손=왕세손비 | 왕세제=왕세제비 | |||||
자녀 | 황자=황자비 | 황녀=부마 | ||||
왕자=왕자비 | 왕녀=부마 | |||||
외척 | 장인([ruby(국구, ruby=(중국·고려·조선))])=장모([ruby(국태부인, ruby=(중국·고려))]) | ||||
궁인 | 후궁 | [ruby(남총, ruby=남자애인)] | 상궁 | 내시 | 환관 | ||||
【 범례 】= 부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주요국의 칭호·봉작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9E1B32><colcolor=#FFD700> 고려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해동천자·황제→국왕 후계자(정윤→왕태자→왕세자) | 왕자(태자·군→{후[ruby(→, ruby=승진)]공}→부원대군·부원군) | 왕녀([ruby(공주, ruby=or궁부인)]적→궁주적·택주서→[ruby(궁주, ruby=+공주)]적·원주서→옹주적·서→궁주적) | |||
조선 | 생부(대원군=부대부인) | 국구(부원군=부부인) {국왕→대군주}={왕비→왕후} 후계자(왕세자=왕세자빈) | 왕자(대군적=부부인 | 군서=군부인) | 왕녀(공주적|옹주서) 왕세자녀(군주적|현주서) | ||||
당·송·원·명·청 | 고모(대장공주={[ruby(부마, ruby=(당·송·원·명))]|[ruby(액부, ruby=(청))]}) 천자·황제·[ruby(대칸, ruby=(원·청))] | 자매(장공주={[ruby(부마, ruby=(당·송·원·명))]|[ruby(액부, ruby=(청))]}) [ruby(황자, ruby=(당·송·원·명))](친왕=친왕비) | [ruby(황녀, ruby=(당·송·원·명))](공주=부마) [ruby(황자, ruby=(청))](친왕적|군왕서) | [ruby(황녀, ruby=(청))](고륜공주적|화석공주서) [ruby(황손, ruby=(원·명))](군왕=군왕비) | ||||
일본 | 천황=황후 [ruby(남성, ruby=1~2세)](친왕=친왕비) | [ruby(여성, ruby=1~2세)](내친왕) [ruby(남성, ruby=3세 이하)](왕=왕비) | [ruby(여성, ruby=3세 이하)](여왕) | ||||
신성 로마 제국 | 로마 황제(+독일 왕·이탈리아 왕·부르군트 왕)→선출된 로마 황제(+독일 왕·[ruby(오스트리아 대공, ruby=→오스트리아황제)]·보헤미아 왕·헝가리 왕) 후계자([ruby(로마 왕, ruby=or독일왕)]→로마 왕·독일 왕) | ||||
영국 | 국왕(+신앙의 수호자+랭커스터·노르망디 공작) 왕자(프린스+[ruby(콘월·로스시 공작, ruby= 잉글랜드·스코틀랜드 확정상속인)]+[ruby(웨일스 공, ruby=왕세자)]) | 왕녀(프린세스+[ruby(프린세스 로열, ruby=장녀·왕실공주)]) | ||||
프랑스 | 국왕(+나바르 왕·가장 기독교적인 왕) 왕자(프랑스의 아들+[ruby(도팽 드 프랑스, ruby=왕세자·프랑스도팽)]) | 왕녀(프랑스의 딸+[ruby(마담 루아얄, ruby=장녀·왕실부인)]) | ||||
스페인 | [ruby(아스투리아스 공, ruby=왕세자·카스티야왕국계승자)](+[ruby(지로나 공작, ruby=아라곤연합왕국계승자)]·[ruby(비아나 공작, ruby=나바라왕국계승자)]) | ||||
러시아 제국 | {차르→황제}={차리차→황후} ([ruby(차레비치, ruby=왕태자·차르의아들)]→)[ruby(체사레비치, ruby=황태자·카이사르의아들)]=[ruby(체사레브나, ruby=황태자비·카이사르의딸)] | ||||
독일 제국 | [ruby(카이저, ruby=황제)]([ruby(←, ruby=겸직)]프로이센 왕) | ||||
오스만 제국 | 술탄→술탄(+[ruby(파디샤, ruby=황제·왕들의주인)]·[ruby(로마 황제, ruby=동로마제국계승자)]·[ruby(칼리파, ruby=이슬람최고지도자)]) | ||||
【 범례 】= 부부 | → 변천 | + 추가 | 적 적출 | 서 서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해설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11px;" |
| }}}}}}}}} | }}}}}}}}} |
1. 개요
국장(國丈)은 황제의 장인을 지칭하는 용어로, "국가의 장인"이라는 뜻을 가진 칭호이다. 이는 황실 체제에서 황후의 아버지, 즉 황제의 장인을 특별히 예우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2. 의미와 유래
- 의미
국(國)은 국가와 황제를 상징하며, 장(丈)은 장인(사위의 아버지)을 뜻한다. 따라서 "국장"은 황실과 혼인 관계를 맺은 가족, 특히 황후의 아버지로서 국가적 위상과 존경을 받는 인물을 가리킨다.
- 유래
중국 황실 체제에서 비롯된 용어로, 주나라와 한나라 시기부터 황후의 아버지에게 특별한 칭호를 부여하는 전통에서 발전하였다. 이후 송나라, 명나라, 청나라를 비롯한 황제 체제를 가진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다.
3. 역할과 권위
국장은 황후의 아버지로서 황실과 직계 혈연 관계를 가지며, 이를 통해 황실의 정통성과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황제와 황후의 결혼은 단순한 개인적 결합을 넘어 국가적 연합과 정치적 상징으로 여겨졌기에, 황후의 아버지인 국장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크다. 황후의 가족이 황실과 가까운 관계를 맺으면서, 국장이 황실 내에서 권력을 행사하거나 귀족과의 관계를 조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특히 권신(權臣)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때로는 정치적 권력을 지나치게 확대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4. 다른 칭호와의 차이점
국태부인(國太夫人): 황후의 어머니(황제의 장모)에게 주어지는 칭호태국공(太國公): 국장이 작위(爵位)를 받아 귀족 계층에 포함될 경우 주어진 칭호
의황(儀皇): 드물게 사용되며, 국장의 상징성을 더욱 강조하기 위한 칭호
5. 문헌 사례
- 중국 황실
명나라 홍무제 시기, 황후 마씨의 아버지 마원량이 "국장"으로 지칭되며, 황실 문헌에 자주 언급되었다. 청나라에서는 황후의 가족이 황실과의 관계를 강조하며 "국장"으로 칭호되었고, 국가 행사에서 특별한 예우를 받았다.
- 조선 후기(대한제국)
대한제국 시기, 황제 중심 체제로 전환되며 황후의 아버지를 "국장"으로 부르는 예가 문헌에 등장한다. 조선은 이전까지 왕실 체제였으나, 황실로 격상된 뒤 황제와 황후의 가족을 부르는 공식 용어로 "국장"을 채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