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00:53:01

파디샤



군주의 호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1.4px"
<tablebgcolor=#FFF,#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마하라자디라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별도의 틀 참고) }}} }}}}}}}}}

{{{+1 {{{#fff 중동 ·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fff }}} 작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54a0> 황제 <colcolor=#000,#fff>왕중왕(샤한샤) · 파디샤 · 카간 · 칼리파
제왕 마하라자 · 파라오
왕·군주 라자 · 말리크 · · 술탄 · · 차트라파티
왕자·귀족·제후 파샤 · 아미르 · 라카브 · 셰이크 · 베이 · 랄라 · 아가 · 나와브 · 샤리프 · 사이이드 · 노얀 · 취기라첸뽀
장군·전사 불사 부대 · 크샤트리아 · 맘루크 · 시파히 · 키질바시 · 가지 · 예니체리
총독 사트라프 · 마르즈반 · 와지르
기타 지도자 이맘
※: 편의상 다른 서아시아 지역 및 북아프리카도 포함된다. }}}}}}}}}


1. 개요2. 여담3. 둘러보기

1. 개요

임금들의 주군이라는 고대 근동의 극존칭에서 기원한 칭호로, 페르시아어로 '주인'을 뜻하는 'pad'와 ''을 뜻하는 ''에 전치사(에저페, اضافه) '~e'를 붙여서 만들어진 존칭어(Pad-e şah)이다. 샤한샤(왕중왕)와 비슷한 뉘양스의 칭호라고 볼수 있다. 파디샤 호칭을 쓴 유명한 국가는 오스만 제국,[1] 무굴 제국[2] 등이 있다. 주로 이슬람, 중동, 페르시아에서 쓰이는 황제의 호칭. 과거 몽골의 부족 중 하나인 메르키트의 지도자 또한 파디샤라는 호칭을 썼으며 일 칸국의 칸들 또한 파디샤라는 호칭도 사용하였다.

2. 여담

프랭크 허버트의 SF소설 시리즈인 듄 시리즈에서 제국코리노 가문 황제의 칭호가 패디샤 황제다.

3. 둘러보기

파일:mughalalam.svg
무굴 제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4A5D2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4A5D23><colcolor=#fff> 역사 무굴 제국/역사
정치 파디샤 | 틀:역대 무굴 황제
행정구역 아그라 | 델리 | 라호르 | 벵골 수바
경제 루피
인물 미르자 나자프 칸 | 사프다르 장 | 아사프 자흐 1세 | 틀:역대 파디샤 베굼
문화 타지마할 | 비비 까 마끄바라
기타 화약제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기본 구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colbgcolor=#9E1B32><colcolor=#FFD700> 전임자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태상황=태상황후
상황=상황후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전전임 황제=태황태후
전임 황제=황태후
태상왕=태상왕비
상왕=상왕비
전전임 국왕=대왕대비
전임 국왕=왕대비
군주 황제=황후 | 여제=국서
국왕=왕비 | 여왕=국서
후계자 (원자[ruby(→, ruby=책봉)])황태자=황태자비 | 황태녀=부마 |
(원손[ruby(→, ruby=책봉)])황태손=황태손비 | 황태제=황태제비
(원자[ruby(→, ruby=책봉)])왕세자=왕세자비 | 왕세녀=부마 |
(원손[ruby(→, ruby=책봉)])왕세손=왕세손비 | 왕세제=왕세제비
자녀 황자=황자비 | 황녀=부마
왕자=왕자비 | 왕녀=부마
외척 장인([ruby(국구, ruby=(중국·고려·조선))])=장모([ruby(국태부인, ruby=(중국·고려))])
궁인 후궁 | [ruby(남총, ruby=남자애인)] | 상궁 | 내시 | 환관
【 범례 】= 부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주요국의 칭호·봉작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9E1B32><colcolor=#FFD700> 고려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해동천자·황제국왕
후계자(정윤왕태자왕세자) |
왕자(태자·→{[ruby(→, ruby=승진)]}→부원대군·부원군) |
왕녀([ruby(공주, ruby=or궁부인)]궁주·택주[ruby(궁주, ruby=+공주)]·원주옹주적·서궁주)
조선 생부(대원군=부대부인) | 국구(부원군=부부인)
{국왕대군주}={왕비왕후}
후계자(왕세자=왕세자빈) |
왕자(대군=부부인 | =군부인) |
왕녀(공주|옹주)
왕세자녀(군주|현주)
···· 고모(대장공주={[ruby(부마, ruby=(당·송·원·명))]|[ruby(액부, ruby=(청))]})
천자·황제·[ruby(대칸, ruby=(원·청))] | 자매(장공주={[ruby(부마, ruby=(당·송·원·명))]|[ruby(액부, ruby=(청))]})
[ruby(황자, ruby=(당·송·원·명))](친왕=친왕비) | [ruby(황녀, ruby=(당·송·원·명))](공주=부마)
[ruby(황자, ruby=(청))](친왕|군왕) | [ruby(황녀, ruby=(청))](고륜공주|화석공주)
[ruby(황손, ruby=(원·명))](군왕=군왕비)
일본 천황=황후
[ruby(남성, ruby=1~2세)](친왕=친왕비) | [ruby(여성, ruby=1~2세)](내친왕)
[ruby(남성, ruby=3세 이하)](=왕비) | [ruby(여성, ruby=3세 이하)](여왕)
신성 로마 제국 로마 황제(+독일 왕·이탈리아 왕·부르군트 왕)→선출된 로마 황제(+독일 왕·[ruby(오스트리아 대공, ruby=→오스트리아황제)보헤미아 왕·헝가리 왕)
후계자([ruby(로마 왕, ruby=or독일왕)]→로마 왕·독일 왕)
영국 국왕(+신앙의 수호자+랭커스터·노르망디 공작)
왕자(프린스+[ruby(콘월·로스시 공작, ruby= 잉글랜드·스코틀랜드 확정상속인)]+[ruby(웨일스 공, ruby=왕세자)]) |
왕녀(프린세스+[ruby(프린세스 로열, ruby=장녀·왕실공주)])
프랑스 국왕(+나바르 왕·가장 기독교적인 왕)
왕자(프랑스의 아들+[ruby(도팽 드 프랑스, ruby=왕세자·프랑스도팽)]) |
왕녀(프랑스의 딸+[ruby(마담 루아얄, ruby=장녀·왕실부인)])
스페인 [ruby(아스투리아스 공, ruby=왕세자·카스티야왕국계승자)](+[ruby(지로나 공작, ruby=아라곤연합왕국계승자)[ruby(비아나 공작, ruby=나바라왕국계승자)])
러시아 제국 {차르황제}={차리차황후}
([ruby(차레비치, ruby=왕태자·차르의아들)]→)[ruby(체사레비치, ruby=황태자·카이사르의아들)]=[ruby(체사레브나, ruby=황태자비·카이사르의딸)]
독일 제국 [ruby(카이저, ruby=황제)]([ruby(←, ruby=겸직)]프로이센 왕)
오스만 제국 술탄술탄(+[ruby(파디샤, ruby=황제·왕들의주인)[ruby(로마 황제, ruby=동로마제국계승자)[ruby(칼리파, ruby=이슬람최고지도자)])
【 범례 】= 부부 | → 변천 | + 추가 |적출 |서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해설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11px;"
  • 일반적인 서술이므로 예외가 있을 수 있다.
  • 친족 호칭은 군주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 황실왕실구성원 외에 외척, 궁인 등 관계자까지 포괄하였다.
  • 황실 명칭왕실 명칭은 칸을 구분하여 상하로 병기하였다.
  • 편의상 군주의 형제는 제외하였다. 황제, 왕제 문서 참조.
  • 일반적으로 왕세자의 배우자는 왕세자비라고 하나, 고려 말 왕세자빈으로 고친 후 조선에서도 이를 사용하였다.
  • 외척, 남총 등은 왕실 구성원이 아니다. 다수의 국가에서 부마는 왕실 구성원이 아니다.

  • 주요국의 칭호 · 봉작에서는 항렬별로 가로 구분선을 두었다. 단 영국프린세스 로열, 프랑스마담 루아얄은 선대 군주의 장녀 생존시에는 항렬이 더 높다.
  • 고려 항목에서 왕자·왕녀의 명칭은 칭호 개념과 봉작 개념이 혼재되어 있다. 왕녀의 명칭에는 여러 등급이 있으나 가장 높은 등급 위주로 대표적인 경우를 상정하여 기술하였다. 외명부 작위는 공주·옹주 등으로, 내명부 칭호 혹은 궁호는 [ruby(전주, ruby=殿主)]·[ruby(궁주, ruby=宮主)]·[ruby(원주, ruby=院主)]·[ruby(택주, ruby=宅主)] 등으로 나뉘었다.
  • 조선 초기에 생부·국구·대군·의 배우자는 국대부인 봉작 대상이었다.
  • 당·송·원·명·청 항목에서 특별한 표시가 없는 부분은 공통 사항이다. 친왕, 군왕 작위의 등급 개념이다. 명나라에서 대장공주·장공주·공주의 배우자는 부마로, [ruby(군주, ruby=郡主)]·[ruby(현주, ruby=縣主)]·[ruby(군군, ruby=郡君)]·[ruby(현군, ruby=縣君)]·[ruby(향군, ruby=鄕君)]의 배우자는 의빈으로 책봉했다. 청나라는 이전 왕조들과 달리 적서차별에 엄격했고, 황자는 승강 과정을 거쳐야 친왕 또는 군왕에까지 이를 수 있었다. 당·송 및 청에서는 일반적으로 황손을 군왕보다 낮은 등급의 작위로 봉작하였다.
  • 일본 구황실전범(1889)은 1~4[ruby(세, ruby=世)](황자~황현손)를 친왕·내친왕, 5[ruby(세, ruby=世)] 이하를 ·여왕으로 하였으나, 개정 황실전범(1947)은 친왕·내친왕의 범위를 1~2[ruby(세, ruby=世)](황자~황손)로 축소하였다. 천황의 직계 후손의 [ruby(세수, ruby=世數)]는 황자를 1[ruby(세, ruby=世)]로 하여 차례로 세어나간다.
  • 신성 로마 제국 항목의 칭호 변화는 합스부르크 왕조 이전과 이후로 구분한 것이다. 로마 황제, 선출된 로마 황제, 로마 왕, 독일 왕 등은 약칭이다. 정식 명칭은 로마인의 황제, 선출된 로마인의 황제, 로마인의 왕, 독일인의 왕/독일의 왕 등이다. 상세한 내용은 로마 왕 문서 참조. 후계자는 중세 시대의 선제후에 의한 황제선거 이후 황제 대관식 이전의 피선출자 또는 합스부르크 왕조 시대의 황태자를 의미한다.
  • 영국 항목은 왕위계승법(1701)을 기본으로 하여 작성하였고, 왕위 계승 순위에서의 성별 차별 폐지를 골자로 한 2013년 법 개정 사항은 반영하지 않았다. 콘월 공작, 로스시 공작, 웨일스 공의 배우자의 칭호는 각각 콘월 공작부인, 로스시 공작부인, 웨일스 공비이다.
  • 프랑스 왕세자의 칭호에서 도팽은 돌고래를 뜻한다.
  • 각국 황실·왕실의 칭호·봉작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황실/왕실 명칭 문서 참조.
}}}}}}}}} }}}}}}}}}

[1] 초창기에는 술탄 칭호를 사용했지만 메흐메트 2세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한 이후 스스로를 로마 제국의 황제로 선언하면서 "로마 황제", "술탄 중의 술탄" 등의 호칭들과 더불어 파디샤라는 호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2] 아랍어 발음인 바드샤라고 부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