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별 배수량(무기, 크기) 기준 군함 목록 | |||
군함/배수량, 크기, 무기별 목록/1500년~1860년 이전 | 군함/배수량별 목록/1860년~1913년 | 군함/배수량별 목록/1914년~1949년 | 군함/배수량별 목록/현대 |
1. 개요
이 문서는 1914년부터 1949년까지 취역한 해군 함정을 기입하는 문서로 배수량은 만재 배수량을 기준으로 구분한다.2. 잠수함
3. 상륙함
4. 항공모함
5. 전투 수상함: 경비정, 초계함, 호위구축함, 호위함, 구축함, 순양함, 전함
5.1. 1톤~1,000톤
1915년 10월, 영국 해군의 HMS M30(M29급 모니터함) |
1950년, 대한민국 해군의 실질적인 첫 군함인 PC-701 백두산[1] |
제조/운용국 | 함급 | 만재(전투)배수량/deep load | 기준 배수량 | 취역 | 최속[2] |
미국/대한민국 | 백두산급 구잠함[3] | 450톤 | 기준 280톤 | 1949년 7월 24일[4] | 20.2 |
영국 | M29급 모니터함[5] | 535톤 | 1915년 6월 | 10 | |
영국 | M15급 모니터함[6] | 540톤 | 1915년 6월 | 11 |
5.2. 1,000톤~2,000톤
HMCS Alberni (K-103) 캐나다 해군의 플라워급 초계함 |
제조/운용국 | 함급 | 만재(전투)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최속 |
영국/기타 국가 | 플라워급 초계함 | 1,170 톤[7] | 940톤 | 1940년 6월 22일 | 16 |
미국/영국 | 윅스급 구축함 | 1,247톤 | 1,154톤 | 1918년~1946년 | 35.3 |
영국/미국 | 인턴시티급 초계함 | 1,375 톤[8] | 1,077톤 | 1943년 3월 31일 | 16.5 |
영국/브라질 | 험버급 모니터함[9] | 1,520톤 | 1,260톤 | 1914년 | 12 |
소비에트 러시아 | 야코브 스베르드로프 구축함[10] | 1,590톤 | 1,260톤 | 1918년 9월 9일 | 37.3 |
영국 | 캐슬급 초계함 | 1,656 톤[11] | 1,077톤 | 1943년 9월 18일 | 16.5 |
프랑스 | 브라스크급 구축함 [12] | 1,968톤 | 1,298톤 | 1940년 9월 15일 | 33 |
5.3. 2,000톤~3,000톤
영국의 HMS Loch Killisport(라크급 호위함) |
1943년 7월 3일, 미국의 USS Mckee DD-575(플레처급 구축함) |
미국의 USS Erben DD-631 / 대한민국의 충무함 DD-91 / DD-911(플레처급 구축함) |
일본의 유키카제(雪風) / 중화민국 해군의 단양(丹陽)급 구축함(가게로급 구축함) |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최속 |
일본/소련[13] | 후부키급 구축함 | 2,080톤 | 1,780톤 | 1926년 9월 23일 | 38 |
소련 | 오피트니급 구축함[14] | 2,170톤 | 1,570톤 | 1941년 6월 | 35 |
영국 | 라크급 호위함[15] | 2,260톤 | 1,435톤 | 1944년 4월 10일 | 20 |
소련 | 소브라지텔니급 구축함[16] | 2,279톤 | 1,727 톤 | 1940년 11월 10일 | 40.3 |
미국/기타국가 | 플레처급 구축함[17] | 2,500톤 | 2,050톤 | 1942년 6월 4일 | 36.5 |
중화민국 | 닝하이급 경순양함[18] | 2,526톤 | 1932년 9월 1일 | 23.2 | |
일본/중화민국[19] | 가게로급 구축함 | 2,540톤 | 2,032톤 | 1939년~1947년 | 35 |
영국 | C-급 구축함[20] | 2,570톤 | 1,730톤 | 1944년~1972년 | 36 |
소련 | 오그네보이급 구축함[21] | 2,950톤 | 2,240톤 | 1944년 | 37 |
5.4. 3,000톤~5,000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ossy-page1-494px-Le_Fantasque_%28Croiseur_l%C3%A9ger%29_%282%29.tif.jpg |
1943년 6월, 프랑스의 팡타스크급 구축함 |
미국의 USS Allen M. Sumner DD-692(알렌 M. 섬너급 구축함) |
미국의 USS Richard E. Kraus / 대한민국의 광주급 구축함 DD-921(기어링급 구축함) |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일본 | 시마카제급 구축함[22] | 3,048톤 | 2,567톤 | 1943년 1월 20일 |
프랑스 | 샤칼급 구축함[23] | 3,098톤 | 2,126톤 | 1939년 3월 6일 |
소련 | 스코리급 구축함[24] | 3,115톤 | 2,353톤 | 1949년 |
프랑스 | 보클랭급 구축함[25] | 3,120 톤 | 2,634 톤 | 1932년 12월 31일 |
프랑스 | 에이글급 구축함[26] | 3,190톤 | 2,480톤 | 1931년 12월 25일 |
프랑스 | 게파르급 구축함[27] | 3,251톤 | 2,475톤 | 1929년 8월 13일 |
프랑스 | 팡타스크급 구축함[28] | 3,455톤 | 2,610톤 | 1935년 2월 10일 |
미국/기타 국가 | 기어링급 구축함 | 3,460톤 | 2,616톤 | 1940년~1970년대 추정. |
영국/캐나다 | 아레투사급 경순양함[29] | 3,500톤 | 1914년 8월 | |
미국/기타 국가 | 알렌 M. 섬너급 구축함 | 3,515톤 | 2,200톤 | 1943년~1975년 |
독일 | 나르비크급 구축함[30] | 3,605톤 | 2,600톤 | 1929년 9월 15일 |
일본 | 아키즈키급 구축함[31] | 3,700톤 | 2,700톤 | 1942년 6월 11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 노바라급 경순양함[32] | 4,010톤 | 1914년 8월 1일 | |
프랑스 | 모가도르급 구축함[33] | 4,018톤 | 2,997톤 | 1939년 4월 8일 |
일본 | 텐류급 경순양함[34] | 4,350톤 | 3,230톤 | 1919년 11월 20일 |
5.5. 5,000톤~1만 톤
1942년 7월 2일, USS Raleigh CL-7(오마하급 경순양함) |
국가 | 함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연도 |
일본 | 센다이급 경순양함[35] | 5,595톤 | 5,195톤 | 1924년 4월29일 |
일본 | 나가라급 경순양함[36] | 5,659톤 | 5,170톤 | 1922년 4월21일 |
영국 | 고곤급 모니터함[37] | 5,838톤 | 1918년 5월 1일 | |
일본 | 쿠마급 경순양함[38] | 5,926톤 | 5,500톤 | 1920년 8월 31일 |
영국 | 클라이브 경급 모니터함[39] | 6,150톤 | 1915년 5월 | |
영국 | 아베크롬비급 모니터함[40] | 6,250톤 | 1915년 5월 1일 | |
영국 | 네이 원수급 모니터함[41] | 6,900톤 | 6,670톤 | 1915년 8월 |
영국/기타 국가 | 다이도급 경순양함[42] | 7,600톤 | 5,900톤 | 1940년 5월 24일 |
소련 | 스베틀라나급 경순양함[43] | 8,200톤 | 7,600톤 | 1926년 |
미국 | 애틀랜타급 경순양함[44] | 8,450톤 | 6,700톤 | 1941년 12월 24일 |
영국 | 에레버스급 모니터함[45] | 8,450톤 | 8,000톤 | 1916년 8월 6일 |
프랑스 | 라 갈리소니에흐급 경순양함[46] | 9,120톤 | 7,600톤 | 1936년 1월 1일 |
미국 | 오마하급 경순양함[47] | 9,150톤 | 7,300톤 | 1923년 2월 24일 |
영국 | 로버츠급 모니터함[48] | 9,150톤 | 7,973톤 | 1941년 10월 27일 |
소련 | 키로프급 순양함[49] | 9,436톤 | 7,890톤 | 1938년 9월 26일 |
프랑스 | 듀가이 툴루앙급 경순양함[50] | 9,500톤 | 7,365톤 | 1926년 11월 2일 |
영국 | 리앤더급 경순양함[51] | 9,740톤 | 7,270톤 | 1931년 7월 23일 |
5.6. 1만 톤~2만 톤
1936년, 나치 독일의 Admiral Scheer(도이칠란트급 중순양함) |
1935년, 일본의 모가미(最上) |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일본 | 후루타카급 중순양함 | 10,630톤 | 8,700톤 | 1926년 3월 31일 |
미국 | 펜사콜라급 중순양함 | 11,512톤 | 9,100톤 | 1928년 2월 6일 |
영국 | 타운급 경순양함 | 11,650톤[52] | 9,400톤 | 1934년 10월 4일 |
프랑스 | 뒤켄급 중순양함 | 12,200톤 | 10,000톤 | 1928년 12월 6일 |
미국/기타 국가 | 브루클린급 경순양함 | 12,207톤[53] | 9,767톤 | 1937년 9월 30일 |
프랑스 | 쉬프랑급 중순양함 | 12,780톤 | 10,000톤 | 1930년 1월 1일 |
프랑스 | 알제리급 중순양함 | 13,641톤 | 10,000톤 | 1934년 9월 15일 |
영국 | 카운티급 중순양함 | 13,670톤 | 9,010톤~10,196톤 | 1928년 |
미국 |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54] | 14,358톤 | 11,932 톤 | 1942년 6월 15일 |
독일 | 도이칠란트급 장갑함[55] | 14,520 톤 | 10,800 톤 | 1933년 4월 1일 |
일본 | 묘코급 중순양함 | 14,980톤 | 11,633톤 | 1929년 7월 31일 |
일본 | 모가미급 중순양함 | 15,057톤 | 12,400톤 | 1935년 7월 28일 |
일본 | 토네급 중순양함 | 15,200톤 | 11,213톤 | 1938년 11월 20일 |
일본 | 타카오급 중순양함 | 15,490톤 | 9,850톤 | 1932년 3월 30일 |
미국 | 오리건시티급 중순양함 | 17,000톤 | 13,700톤 | 1946년 |
미국 | 볼티모어급 중순양함 | 17,273톤 | 14,733톤 | 1943년 |
미국 | 우스터급 경순양함 | 17,997톤[56] | 13,000톤 | 1948년 6월 26일 |
독일 | 아드미랄 히퍼급 중순양함 | 18,200 톤 | 14,050 톤 | 1939년 |
미국 | 디모인급 중순양함 | 18,991톤 | 15,653톤 | 1948년 |
5.7. 2만 톤~3만 톤
진주만 공습으로 파괴 당하기 전 네바다급 전함/ USS Oklahoma (BB-37) |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영국 | 에린급 전함 | 25,250톤 | 22,780톤 | 1914년 8월 1일 |
미국 | 개장 전 네바다급 전함 | 27,900 톤 | 1916년 3월 11일 |
5.8. 3만 톤~4만 톤
1942년에 촬영된 미국의 USS Nevada BB-36[57] |
1930년대 중반 영국의 HMS Barham(퀸 엘리자베스급 전함) |
1939년, 일본의 후소(扶桑) |
1943년, 항공전함으로 개조된 일본의 휴우가(日向) |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영국 | 리벤지급 전함 | 33,500톤 | 29,150톤 | 1916년 1월 |
미국 | 개장 후 네바다급 전함 | 33,901톤 | 30,500 톤 | 1916년 3월 11일 |
프랑스 | 됭케르크급 전함 | 35,000톤 | 25,000톤 | 1937년 5월 1일 |
영국 |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 | 36,500톤 | 27,500톤 | 1915년 5월 29일 |
일본 | 후소급 전함 | 39,154톤 | 34,700톤 | 1915년 11월 8일 |
일본 | 이세급 전함 | 40,169톤[A]/38,682톤[B] | 36,000톤[A]/35,350톤[B] | 1917년 12월 12일/1943년 8월 23일[B] |
5.9. 4만 톤~5만 톤
1932년, 영국의 HMS Hood(어드미럴급 순양전함) |
1944년, 일본의 나가토(長門) |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영국 | 넬슨급 전함 | 41,250톤 | 33,950톤 | 1927년 8월 15일 |
영국 | 킹 조지 5세급 전함(1939년) | 44,460톤 | 38,031톤 | 1940년 12월 11일 |
미국 | 사우스다코타급 전함 | 44,519톤 | 35,000톤 | 1942년 3월 20일 |
일본 | 나가토급 전함 | 44,672톤[63] | 39,130톤 | 1920년 11월 25일 |
이탈리아 | 리토리오급 전함 | 45.963톤 | 35,000톤 | 1940년 4월 28일 |
일본 | 아마기급 순양전함[64][65] | 47,000톤 | 41,217톤 | 1922년 |
미국 | 노스캐롤라이나급 전함 | 47,400톤 | 37,200톤 | 1941년 4월 9일 |
영국 |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후드 | 47,430톤 | 1920년 5월 15일 | |
프랑스 | 리슐리외급 전함 | 48,950톤 | 37,450톤 | 1940년 7월 15일 |
5.10. 5만 톤~6만 톤
1940년, 나치 독일의 Bismarck(비스마르크급 전함) |
1950년 10월 17일, 한국 전쟁 당시 USS Missouri BB-63(아이오와급 전함)[66] |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영국 | 뱅가드급 전함 | 52,250톤 | 45,200톤 | 1946년 5월 12일 |
독일 | 비스마르크급 전함 | 52,600톤 | 42,900톤[67] | 1940년 8월 24일 |
미국 | 아이오와급 전함 | 57,000톤[68] | 45,000톤 | 1943년 1월 22일 |
5.11. 6만 톤~7만 톤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 |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개발 |
독일 | H-39[69] | 63,600톤[70] | 56,444톤 | 1939년 9월 30일 취소 |
소련 |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71] | 65,150톤 | 59,150톤 | 1941년 7월 10일 취소 |
5.12. 7만톤 이상
1941년, 일본의 야마토(大和). |
제조 국가/운용국 | 이름/급 | 만재 배수량 | 기준 배수량 | 취역 |
일본 | 야마토급 전함 | 71,659톤[72] | 65,027톤 | 1941년 12월 16일 |
미국 | 몬태나급 전함 | 72,104톤 | 63,221톤 | 취소 |
독일 | H-41 | 76,003톤[73] | 68,800톤 | 취소 |
일본 | A-150 전함(슈퍼 야마토급) | 82,650톤 | 70,000톤 | 취소 |
독일 | H-42 | 98,104톤[74] | 90,000톤 | 취소 |
독일 | H-43 | 120,010톤[75] | 111,000톤 | 취소 |
독일 | H-44 | 141,507톤[76] | 131,000톤 | 취소 |
6. 관련 문서
[1] 한국 전쟁 당시 대한해협 해전을 승리로 이끌고 이후에도 여러 전공을 세웠다.[2] 노트(knot)[3] 원 함명은 USS PC-823 화이트헤드.[4] 대한민국 해군에서의 공식적인 취역은 1950년 4월 10일.[5] #[6] #[7] 플라워급 초계함 자료[8] 인턴시티급 초계함 자료[9] http://en.wikipedia.org/wiki/Humber_class_monitor[10] http://en.wikipedia.org/wiki/Soviet_destroyer_Yakov_Sverdlov[11] https://en.wikipedia.org/wiki/Castle-class_corvette[12] http://en.wikipedia.org/wiki/Bourrasque_class_destroyer[13] 특 III형(아카츠키급) 2번함 히비키(響)는 소련에 전후배상함으로 넘겨져 베르니(Верный)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후 1948년에 다시금 데카브리스트(Декабрист)로 바뀌어 연습함으로 사용되다 1953년에 퇴역했다.[14] 오피트니급 구축함[15] 라크급 호위함[16] 소브라지텔니급 구축함[17] 플레처급 구축함[18] 닝하이급 경순양함[19] 8번함 유키카제(雪風)는 전후배상함으로 넘겨져 단양(丹陽)급 구축함으로 활용되었다.[20] 영국의 C급 구축함[21] 오그네보이급 구축함[22] 시마카제급 구축함[23] 차칼급 구축함[24] 스코리급 구축함[25] 보클랭급 구축함[26] 에이글급 구축함[27] 게파급 구축함[28] 팡카스급 구축함[29] 아레투사급 경순양함(1913년)[30] 나르비크급 구축함[31] 아키즈키급 구축함[32] 노바라급 구축함[33] 모가도르급 구축함[34] 텐류급 구축함[35] https://en.wikipedia.org/wiki/Sendai-class_cruiser[36] https://en.wikipedia.org/wiki/Nagara-class_cruiser[37] http://en.wikipedia.org/wiki/Gorgon_class_monitor[38] https://en.wikipedia.org/wiki/Kuma-class_cruiser[39] http://en.wikipedia.org/wiki/Lord_Clive_class_monitor[40] http://en.wikipedia.org/wiki/Abercrombie_class_monitor[41] http://en.wikipedia.org/wiki/Marshal_Ney_class_monitor[42] 다이도급의 만재배수량[43] 스베틀라나급 순양함의 만재배수량[44] 애틀랜타급의 만재배수량[45] http://en.wikipedia.org/wiki/Erebus_class_monitor[46] http://en.wikipedia.org/wiki/La_Galissonni%C3%A8re-class_cruiser[47] 오마하급의 만재배수량[48] http://en.wikipedia.org/wiki/Roberts_class_monitor[49] http://en.wikipedia.org/wiki/Kirov_class_cruiser[50] http://en.wikipedia.org/wiki/Duguay-Trouin-class_cruiser[51] 리앤더급의 만재배수량[52] 타운급의 만재배수량[53] 브루클린급의 만재배수량[54] https://en.wikipedia.org/wiki/Cleveland-class_cruiser[55] http://en.wikipedia.org/wiki/Deutschland-class_cruiser[56] 우스터급 경순양함 자료[57] 진주만 공습에서 대파된 네바다급 전함은 1942년에 오버홀한 후 재취역하였다.[A] 근대화[B] 항공전함[A] [B] [B] [63] 나가토급 만재 배수량 정보 - 독일어[64] http://en.wikipedia.org/wiki/Amagi-class_battlecruiser[65] 1번함 아마기(天城)는 관동대지진으로 파손되어 스크랩, 2번함 아카기(赤城)는 항공모함으로 개조.[66] 함경북도 청진시를 표격하고 있다.[67] http://en.wikipedia.org/wiki/Bismarck_class[68] 2차 세계 대전 당시 배수량, 개장 이후 58,000톤[69] http://en.wikipedia.org/wiki/H-class_battleship_proposals[70]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battleships_of_Germany[71] http://en.wikipedia.org/wiki/Sovetsky_Soyuz-class_battleship[72] 야마토급 배수량 정보[73] Gröner, Erich (1990). German Warships: 1815–1945. Annapolis: Naval Institute Press. ISBN 978-0-87021-790-6. OCLC 22101769/Gröner, pp. 35–37.[74] Gröner, Erich (1990), p. 38[75] Gröner, Erich (1990), p. 38[76] Gröner, Erich (1990), p.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