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0:31:37

남성역

남성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역명 표기
7호선 남성
Namseong
南城 / [ruby(南城, ruby=ナムソン)]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지하218 (사당동 산25-33)
소속 영업사업소
7호선 보라매영업사업소 남성역
운영 기관
7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7호선 2000년 8월 1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7호선 737번.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지하218 (사당동 산25-33) 소재.

2. 역 정보

파일:남성(최신).jpg
역 안내도

역명인 '남성'은 1970년 이전 일대의 행정동명인 남성동에서 따왔다. 사당동(+ 남현동)이 1963년 시흥군에서 서울로 편입 후 영등포구에 속했던 시절 방배동과 함께 행정동 남성동에 속해있었으며 1970년 서울시내 대대적인 행정동 개편으로 사당동으로 변경되었다. 남성동이라는 행정구역은 1970년대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사라졌지만 여전히 지역명으로 쓰이고 있다.(남성시장 등) 출처 남성이라는 이름 자체는 방배동 남쪽 경계지역에 성터가 있으므로 성 남쪽에 있던 마을이란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총신대학교와 가장 가까운 역이 바로 '총신대입구'역이 아닌 이 남성역이다. 총신대학교가 인접해 있어서(서쪽으로 약 550m) 개통 초기에는 남성(총신대입구)역[1]이었다가 총신대학교의 역명 논란으로 인해 4호선 이수역이 도로 총신대입구역으로 바뀌면서 2001년 2월 부역명이 폐지되고 남성역으로 돌아갔다.[2] 역 주변이 번화가인 기존의 이수역과는 달리 남성역은 주택가가 밀집해 있는 지역이고, 따라서 환승역이자 번화가에 위치한 역의 주역명을 얻기 위해 총신대학교측에서 무리수를 써서 한참 멀리 떨어진 이수역에 '총신대'라는 명칭을 집어넣은 것이다. '총신대입구'역에서 총신대를 가기 위해 남성역을 거쳐야 한다는 것도 어이가 없거니와, 이 때문에 이수역은 이름이 다른 환승역[3]이 되어 시민들의 혼란을 초래했고, 그리하여 다른 대학역명들에 비해 까이는 정도가 매우 크다. 역명 논란과 관련한 자세한 설명은 이수역/역명 논란 문서 참조.[4]

동작구 을 지역의 선거운동 핫플레이스다. 동작을 선거구 내에는 흑석역, 동작역, 이수역, 사당역, 숭실대입구역, 상도역 등 역은 많지만, 흑석역은 대부분 외지인인 중대생들이 많고, 이수역과 사당역은 구 경계[5]인 데다 번화가라 외지인들이 많으며, 숭실대입구역은 숭실대생들과 봉천고개 넘어오는 관악구민(특히 관악드림타운 주민들)이 더 많고, 상도역도 동작구 갑 지역과의 경계에 있으며, 동작역은 동작구의 끝자락에 있어 유세를 해도 효과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동작구 을 지역구에서 '지역구 거주민들을' 제대로 많이 만날 수 있는 도시철도역은 이 곳이 유일하다. 그래서인지 제20대 국회 지역구 의원이었던 나경원 국민의힘 前 의원의 지역구 사무실도 남성역 가까이에 있었다.[6]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나경원 의원을 이긴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의 사무실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왜인지 모르겠는데, 출입구 4곳 모두가 역 플랫폼 기준으로 동쪽에 몰려 있어서 서쪽의 '남성역 삼거리'라고 붙어 있는, 낙성대역과 통하는 길(솔밭로)이 있는 삼거리, 구체적으로는 동작14번과의 연계가 잘 안 된다.

또한 공중화장실개찰구 안쪽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화장실 이용을 위해 개찰구 구조를 변경시켜달라는 민원이 간간히 올라오지만 이렇게 하면 맞이방을 통하여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3. 역 주변 정보

평범한 주거지역이며, 인근에 사당시장과 삼일공원, 총신대학교가 있다. 심지어 역명을 변경하게 된 원인을 제공한 총신대학교 공식 사이트에서도 남성역으로 찾아오라고 한다. 정확히는 남성역, 총신대입구역, 낙성대역 이 세 가지를 통해 오는 방법을 모두 소개하는데, 총신대입구(이수)역은 도저히 총신대입구역이라 부를 수 없을 정도의 거리 차이를 보인다.

1번 출구에서 300m쯤 나오면 보이는 주차장이 있는데 이곳이 바로 구 89번 종점, 범진여객으로 유명한 곳이다. 사당새마을금고가 인수하여 사당새마을금고의 본점이 이곳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워낙 유명하여 회사가 없어진 지 20년이 지난 지금도 범진여객으로 통한다.

주변에 민주당의 지역위원회가 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7_icon.svg 남성역 출구 정보
1사당4동
남성역골목시장
숭실대학교사당종합사회복지관
사당4동주민센터
사당4치안센터
2사당5동
서울신남성초등학교
동작고등학교
사당문화회관
사당5동주민센터
3총신대학교
사당중학교
사당3동주민센터
4사당3동
서울남성초등학교
남성지구대
서울삼일초등학교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47f00><bgcolor=#747f00> 연도 || 파일:Seoulmetro7_icon.svg ||<bgcolor=#747f00>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16,961명 [7]
2001년 20,377명
2002년 22,239명 비고
2003년 23,890명
2004년 23,833명
2005년 22,938명
2006년 22,361명
2007년 22,107명
2008년 21,606명
2009년 21,450명 }}}}}}}}}
2010년 22,236명
2011년 22,277명
2012년 22,546명
2013년 22,864명
2014년 22,931명
2015년 22,666명
2016년 22,439명
2017년 22,703명
2018년 22,859명
2019년 23,045명
2020년 17,783명
2021년 17,796명
2022년 19,339명
2023년 21,047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이용객은 21,047명(2023년 기준)으로 살피재 너머의 상도역, 장승배기역, 신풍역과 거의 비슷하다. 평범한 주거지를 낀 역세권이지만 역의 동쪽을 제외한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비교적 고립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차를 끌고 다니기 불편한 동네가 많고, 이러한 이유로 외부로 나갈 때 남성역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문제의 그 총신대학교가 이 역과 가장 가까워, 대부분의 총신대학생은 이수역이 아닌 이곳에서 타고 내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서울대학교 통학 시에도 7호선 연선에서 후문 쪽으로 갈 경우 동작06번과 관악02번을 연달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이런 방법으로 통학하는 소수의 서울대생도 존재한다. 이 때문에 대학생 수요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5. 승강장

파일:attachment/8484.jpg
7호선 승강장 [8]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이수
숭실대입구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강남구청·상봉·장암 방면
보라매·대림·온수·석남 방면

6. 여담

  • 2022년 5월 28일부로 신분당선 연장이 개통되어 논현역이 환승역이 되어서, 이 역 부터 청담역까지 비환승역과 환승역이 번갈아가면서 나타나게 되었다.
  • 발음만 같지 남자를 뜻하는 남성이 당연히 아니다. 애초에 한자부터 다르다. 한자만 뜻 풀이하면 '남쪽 성곽'이라는 뜻이다.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파일:남성.jpg[2] 사실 550m도 도시철도법 기준 부역명도 넣어줄 수 없는 거리이다. 7호선 이수역은 처음 개통할 당시부터 지금까지 쭉 이수역인데, 그 이유는 7호선측에서 대놓고 총신대와 가까운 역이 있기 때문에 역명을 써줄 수 없다는 서울특별시의 방침 때문이었다.[3] 4호선 총신대입구(이수)역, 7호선 이수(총신대입구)역.[4] 더욱이 총신대학교가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산하의 신학대학교이기 때문에 총신대의 이 뻘짓은 대한민국에서 개신교를 향한 평판 악화의 신호탄이 되었다.[5] 서초구 방배동동작대로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있다. 그런데다 사당역은 관악구 남현동과도 인접하여 있다.[6] 현재는 사라지고 그 자리에 스터디카페가 들어와 있다.[7] 개통일인 8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8] 도착표시기 LCD 교체 전, 역명판을 보면 역명에 비해 역명 표시 부분이 유난히 길고 허전해 보이는데 그 이유는 총신대입구 부역명을 제거하는 바람에 저렇게 된 것이다.[9] 근데 얼마 못 가 계약 미갱신으로 탈락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