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3 02:28:55

부천종합운동장역

부천종합운동장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부천종합운동장역
(부천우리병원)
장암 방면
까치울
← 1.2 ㎞
석남 방면
춘 의
0.9 ㎞ →
부천종합운동장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파일:GreatTraineXpress_D.svg
GTX-B
건설 중
--
대 장--
← ㎞
GTX-D
계획 중
원주·팔당 방면
광명시흥

㎞ →
}}}}}}}}}
역명 표기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
Bucheon Stadium
富川綜合運動場 / 富川综合运动场 /
[ruby(富川総合運動場, ruby=プチョン・チョンハブンドンジャン)]
서해선 부천종합운동장
Bucheon Stadium
富川綜合運動場 / 富川综合运动场 /
[ruby(富川総合運動場, ruby=プチョンチョンハプウンドンジャン)]
서해선
주소
7호선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지하502 (춘의동 15-1)
서해선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여월동 산37-17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가좌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능곡역 관리[1]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운영 기관
7호선 인천교통공사
서해선 한국철도공사
GTX-B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7호선 2012년 10월 27일
서해선 2023년 7월 1일
서해선
GTX-B 2030년 예정
역사 구조
지하 2층(7호선)
지하 5층(서해선)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7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서해선,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대곡 방면
원 종
← 2.1 ㎞
서해선
부천종합운동장
원시 방면
소 사
2.7 ㎞ →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사건 사고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 역 정보

파일:부천종합운동장역(서해) 안내도.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파일:부천종합운동장역 7호선.jpg 파일:부천종합운동장역 서해선.jpg
7호선 대합실 서해선 대합실

바로 앞에 부천종합운동장이 있어서 최종적으로 지금의 역명으로 확정되었다. 북쪽으로는 여월택지지구와 인접해 있다.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은 역이 위치한 종합운동장사거리를 지나는 당아래지하차도와 통합 시공되었으며, 당아래지하차도 바로 아래에 대합실과 승강장이 있다. 섬식 승강장이지만 신중동역부천시청역과는 달리 넓지 않다.

7호선 개통 당시 4번과 5번 출입구에는 캐노피(출구 덮개 구조물)를 설치하지 않았으나 민원 발생으로 인해 결국 2013년 1월 초에 설치되었다. 이 때문에 4번과 5번 출입구가 2012년 12월 동안 캐노피 설치 공사로 인해 잠시 폐쇄된 적이 있다. 구도시 지역인 까치울역과 춘의역의 일부 출입구도 캐노피가 설치되지 않았다가 함께 설치되었다. 중동신도시상동지구 구간의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상동역은 개통 당시부터 모든 출입구에 캐노피를 설치해 놓았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신도시와 구시가지를 차별하느냐 등의 말들이 많았다.

7호선 건설 당시 계획된 역이름은 당아래역이며, 실제로 역 근처에 당아래 버스정류장이 존재한다.

2017년에 서해선(대곡소사선) 공사가 시작되면서 4번 출입구와 5번 출입구가 폐쇄되었다. 대곡소사선 공사는 거의 완료되었지만 개통되지 못해서인지 4번과 5번 출입구는 계속 폐쇄되었는데, 시민 불편 민원으로 인하여 대곡소사선 출입구 중 유일하게 7호선 대합실과 바로 연결되어 있는 4번 출입구만 우선 2022년 12월 17일에 개방하였다. 이후 2023년에 서해선이 개통되면서 성곡동 방면으로 서해선 소속의 5번 출입구가 신설되었고 기존 5번 출입구 자리에는 6번 출입구가 신설되었다.

GTX-B, GTX-D, GTX-F 이 세노선의 개통이 계획대로 이루어지게 된다면 기존 7호선과 서해선을 포함해 총 5개의 노선이 경유하는 초대형 환승역이 된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 이후 고양시, 시흥시, 안산시에서 서울디지털산업단지(가산디지털단지) 일대 지식산업센터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을 참가하기 위한 이용객이 부천종합운동장역 환승통로에 집중될 수 있다. 특히 일산-가산 통근객이 만 단위로 잡히고 이들은 많은 수가 자가용을 끌고 서부간선도로 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경인로를 탔는데 2023년 7월 1일부터 서해선이 이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해선 역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은 "부천종합"으로 표시한다. 역명이 길어서 4글자로 전광판에 표시하는데 "부천종합"이라고 띄우는 것이다.

부천 FC 1995 경기 시간을 제외하면 한산했던 부천종합운동장역이, 2023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과 더불어 상시적으로 사람이 붐비는 역으로 탈바꿈했다. 고양시시흥시, 안산시에서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가기 위해 7호선을 환승하거나,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을 관람하기 위해 7호선으로 환승하는 인원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부천종합운동장역 개통 이후 부천 FC 1995 축구경기가 없는 날에도 꾸준히 사람들이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김포공항역과 부천종합운동장역에서 사람들이 대거 승/하차를 해 물갈이가 일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부천 FC 1995 축구경기가 있는 날에는 환승객과 부천 FC 1995 축구경기를 보려는 관객이 합세하여 인파의 향연을 볼 수 있게 됐다.

노선의 특성상 편의점은 운임구역 밖에 GS25[2], 운임구역 내에 CU[3]가 존재한다.

2024년 1월 27일 이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여 이 역에 왔다면 반드시 7호선 게이트에서 하차태그를 해야 하차 미태그 페널티[4]에 걸리지 않는다. 서해선 게이트로는 하차할 수 없다. 단, 승차시에는 7호선, 서해선 모두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2024년 9월 7호선 역사에 ‘부천우리병원’ 부역명이 병기되었다.

서해선 지하 2층 환승통로에 환승게이트가 있었으며 가동하지 않았다. 이후 2024년 11월 환승 게이트를 철거했다.

3. 역 주변 정보

역명대로 부천 FC 1995의 홈구장인 부천종합운동장이 있다.


1번 출구 바로 옆에 경인랜드가 있었으나 폐업하였는데, 이 과정이 길어지면서 남은 놀이기구가 흉물처럼 방치되고 있다.

3번 출구쪽 부천종합운동장 공영주차장, 부천시립테니스장, 부천도시공사 견인차량보관소, 부천춘의야구장, 부천활박물관, 춘의종합사회복지관, 진달래동산이 있다. 부천종합운동장 공영주차장 북쪽 부지에는 역무를 총괄하는 영업관리소 및 신호, 전기 등의 기술관리소가 위치했던 서울교통공사 별관이 있었으나, 7호선 온수역 서측 구간의 운영권이 인천교통공사로 이관되면서 2022년 1월 1일자로 철수했고, 그 자리에 인천교통공사 7호선운영부문이 입주했다. 7호선을 승무하는 기관사들이 소속된 승무팀도 같이 입주해 있다 보니 인천교통공사 기관사 간 승무교대는 이 역에서 이뤄진다.[5]

파일:ui761_03.jpg
부천시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 북쪽으로 ‘종합운동장일원역세권융복합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업소개(부천시청)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7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부천종합운동장역 출구 정보
1까치울역 방면
부천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부천상록학교 방면
2부천종합운동장
부천도시공사
부천활박물관
부천시립원미도서관 방면
부천시차량등록과
3종합운동장공영주차장
종합운동장테니스장
부일초등학교
원미중학교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춘의종합사회복지관
4당아래사거리
도당공원
춘의역 방면
한국산업인력공단 경기서부지사
5여월농업공원
성곡동행정복지센터 방면
부천오정경찰서 방면
부천옹기박물관 방면
6부천시립박물관
점말어린이공원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47f00><bgcolor=#747f00> 연도 || 파일:Seoulmetro7_icon.svg || 파일:SeohaeLine_icon.svg ||<bgcolor=#747f00> 총합 ||<bgcolor=#747f00> 비고 ||
2012년 7,452명 미개통 미개통 [6]
2013년 9,133명 비고
2014년 10,426명
2015년 10,802명
2016년 10,830명
2017년 10,609명
2018년 9,730명
2019년 9,572명
2020년 6,957명
2021년 7,590명
2022년 8,324명
2023년 7,600명 1,784명 9,384명 [7]
2024년 5,908명 2,178명 8,086명
출처
파일:Seoulmetro7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인천교통공사 사전정보 공개자료실
파일:SeohaeLine_icon.svg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2023년 하루 평균 이용객은 7호선은 7,600명, 서해선은 1,784명으로, 7호선 역들 중 최하위권에 속한다. 7호선에서 이보다 수요가 적은 역은 장암역 단 한 개로, 이 역은 7호선 53개 역 중 52위의 승하차객을 기록하고 있고, 장암역은 배차간격이 나쁘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부천종합운동장역이 최하위이다. 서해선의 경우 가장 수요가 적은 역이다.

이 곳의 역세권을 보면 승객이 적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게 될 것이다. 역의 북쪽은 야트막한 산으로 둘러싸인 구릉지이며, 남동쪽에는 부천종합운동장만 있을 뿐 역시 구릉지대가 이어진 숲이다. 개발된 곳은 오로지 남서쪽 구역이지만, 이쪽은 공단지역과 춘의테크노파크로 거주지가 아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역세권에 사는 주민은 많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 저런 빈약한 역세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이용객이 많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원미동과 춘의동 외에 여월휴먼시아 및 성곡동, 원종동에서 오는 수요가 있고, 도보 5~10분 거리에 있는 여월지구 아파트와 연립주택에서 넘어오는 수요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23년 7월 서해선 연장 이후로 부천~김포공항 및 고양시 방면의 수요가 생겨서 서해선 방향 게이트를 이용하는 승객이 새로 생김에 따라 7호선 이용객은 서해선 게이트의 존재로 오히려 감소했다.

그러나 역의 서편이 역세권 개발사업지로 예정되어 있고, 향후 GTX-B뿐만 아니라 GTX-D, GTX-F도 이곳을 경유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트리플 GTX 역세권으로 예정된 만큼 앞으로 대곡역과 비슷하게 환승 요충지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5. 승강장

5.1. 서울 지하철 7호선

파일: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 부역명추가 역명판.jpg
7호선 역명판
파일:부천종합운동장역1.jpg
7호선 승강장

부천종합운동장역은 1면 2선 섬식 승강장의 지하역이며, 안전문이 설치되어 있다. 안전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까치울
춘의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 온수·대림·강남구청·장암 방면
신중동·부천시청·부평구청·석남 방면

5.2. 수도권 전철 서해선

파일:S15_부천종합운동장_20240513_청동새.jpg
서해선 역명판
파일:부천종합운동장역_서해선_승강장.jpg
서해선 승강장
원종
소사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원종·김포공항·대곡·일산 방면
소사·신천·초지·원시 방면

2023년 7월 1일에 서해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이 개통되었다. 김포공항역, 원종역과 같이 지하 50m가 넘는 심도로 건설되어 환승거리가 무지막지하게 길다. 대림역 환승통로 에스컬레이터에 필적하는 것이 두 개나 있다. 환승시간은 넉넉히 잡아도 5분 이상을 각오해야 한다.
파일:bucheonstadiumst.png
서해선 부천종합운동장역 조감도

5.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대장 부평 대장
1 2 3 4
신도림
1 파일:GreatTraineXpress_D.svg GTX-D 미사용 승강장
2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GTX-B 인천대입구·인천시청·부평 방면
3 신도림·서울역·마석 방면
4 파일:GreatTraineXpress_D.svg GTX-D 미사용 승강장

환경영향평가에서 GTX-B 부천종합운동장역 승강장의 심도는 79.64m로 결정되었다. #

6. 사건 사고

2023년 8월 24일 오후 1시 30분경 부천종합운동장역 서해선 승강장 선로에서 20대 여성이 치여 숨졌다. 해당 승강장은 지하 5층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어 선로에 진입하기 어려우나, 관계자는 사망자가 스크린도어를 넘어 무단으로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원종역에서 소사역 사이의 선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열차에 탑승 중이던 승객 100여 명이 대피했다. 중단된 선로 운행은 사건이 어느 정도 수습된 오후 2시 55분부터 재개되었다.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지하철 7호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fc31f> 경의선
서해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서해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미개통) - - - - - - -
}}}}}}}}}

파일:GreatTraineXpress_B.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8860b>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원종역 책임[2] 7호선 맞이방, 인천교통공사와 임대계약[3] 서해선 환승통로, 한국철도공사와 임대계약[4] 사용기간 중 2회 이상 하차태그를 하지 않으면 24시간 동안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없다.[5] 7호선 승무교대의 경우 서울교통공사 기관사끼리는 승무사업소가 입주해 있는 어린이대공원역신풍역에서, 그리고 운영사가 바뀌는 온수역에서 서울교통공사 기관사와 인천교통공사 기관사 간 승무교대가 필수적으로 이뤄진다.[6] 개통일인 10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6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7] 서해선은 개통일인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