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0:52:33

신현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문경선에 있는 같은 이름을 가진 폐역에 대한 내용은 신현역(문경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현역
파일:SeohaeLine_icon.svg
역명 표기
서해선 신현
Sinhyeon
新峴 / 新岘 / [ruby(新峴, ruby=シンヒョン)]
서해선
주소
경기도 시흥시 신현로12번길 지하2-10 (미산동 700-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위탁]
(부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운영 기관
서해선 한국철도공사[위탁]
개업일
서해선 2018년 6월 16일
서해선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서해선
신 현
이 역과 시흥시청역 사이에 하중역(가칭)의 신설이 계획되어 있다.

1. 개요2. 역 정보
2.1. 막차
3. 역 주변 정보4. 연계 교통5. 일평균 이용객6. 승강장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60년대까지도 배가 드나들던 바닷가 마을
신현역은 2018년 6월 16일 서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과거 신현역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문경선의 철도역명이었으나 2008년 폐역된 후 서해선의 신현역이 탄생하게 되었다. 신현역은 지하 2층 규모로 옛 염전 터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학미산 등산로와 체육시설, 신현 자연뜨락 등과 인접하여 여유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1960년대까지도 배가 드나들던 바닷가 마을이며, 학미산은 학(鶴)이 머리를 조아리고 있는 형상 혹은 학의 눈썹처럼 생겼다는 이유로 붙여진 이름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서해선 S20번. 경기도 시흥시 신현로12번길 지하2-10 (미산동 700-1) 소재.

2. 역 정보

파일:신현역_조감도.jpg
조감도
파일:신현역.jpg
출입구 전경
파일:신현역 서해선.jpg
대합실

지하 2층,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출입구 2개와 엘리베이터 4개, 양방향 에스컬레이터 4개가 만들어졌다. 역사 시설(PC 확인 요망)

개통을 앞두고 시흥시청에서 진행한 역명 설문조사에 후보로 나온 역명은 정부 고시 역명인 신현역 하나였다. 이후 시민제안과 선호도 조사를 거쳐 나온 역명안 역시 신현역, 그리고 역명심의위원회에서도 신현역으로 최종 확정하였다.[3] 여담으로 역명 설문조사 한참 전인 2015년 경, 시흥시에서 호조벌역 또는 호조역으로의 명명을 추진하려고 했었다. 이는 역 동쪽으로 드넓게 펼쳐진 곡창지대인 '호조벌(戶曹벌)'에서 따온 것으로, 조선시대 때 개간되어 지금까지 그 모습이 남아있을 만큼 역사가 깊지만 지명인 신현동보다 인지도가 훨씬 낮은 탓에 흐지부지되었고 결국 역명 설문조사 후보에조차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외부 출입구 시공이 다소 희한하게 돼있다. 둘뿐인 외부 출입구 모두 같은 방향을 바라보게 나란히 시공되어 굳이 2개로 만들었어야 하나 싶은 의문이 들게 하며, 역사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작은 계단을 올라갔다가 출입구로 들어가 다시 내려가야하고, 출입구에는 캐노피(지붕)가 설치돼있는데 위 사진에도 나와있듯 정작 더 바깥쪽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가 무방비로 노출되었다. 2022년~2023년 무렵 캐노피를 시공하여 2024년 현재는 캐노피 시공완료된 상태.

역 뒤편에 공영주차장이 현재 무료 개방 되어 있다. 이중주차와 진입로까지 불법주차가 되어 있어 이동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 역과 하행(원시) 방면 다음역인 시흥시청역 사이는 서해선 소사~원시 구간 중 유일한 지상구간이며, 그곳에 하중역(가칭) 건설이 계획되어있다.

2.1. 막차

<rowcolor=white,black> 평일
상행 하행
일산 23:39 원시 00:06
대곡 23:52
<rowcolor=white,black> 토요일·일요일·공휴일
상행 하행
일산 23:25 원시 00:05
대곡 23:51

3. 역 주변 정보

포동성당, 북시흥농협 신현지점, 신현동행정복지센터, 포동생활체육공원, KBS 소래송신소[4] 등이 있다.

4. 연계 교통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신현역(25377) ||
일반시내
직행좌석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신현역(25376) ||
일반시내
직행좌석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신현역.포동입구(25380) ||
일반시내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신현역.포동입구(25381) ||
일반시내
직행좌석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fc31f><bgcolor=#8fc31f> 연도 || 파일:SeohaeLine_icon.svg ||<bgcolor=#8fc31f> 비고 ||
2018년 2,840명 [5]
2019년 3,125명
2020년 2,475명
2021년 2,670명
2022년 2,836명
2023년 3,068명
출처
서해철도㈜ 자료실
  • 포동 小시가지와 포동버스공영차고지 인근의 자연부락, 버스로 약 10분 정도 거리의 미산동과 하중동 일대를 역세권으로 삼는다. 그러나 주거지 발달이 미약하여 연선 인구가 적은 탓에 서해선 시흥시 구간 중 이용객 수가 가장 적다.[6] 미산동은 상권 이용 겸 곧장 신천역으로 향하는 경우도 있고, 하중동은 이 역과 시흥시청역 딱 중간에 위치하여 수요를 같이 갈라 먹고 있다.
  • 포동 小시가지를 제외하면 사방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기 때문에 지금의 수요에서 증가할 여지는 사실상 없다. 그나마 주변 소규모 아파트와 빌라들을 묶어 포동1 재개발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정비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데, 달미역 앞에 있는 안산 메트로타운 푸르지오 힐스테이트와 비슷한 규모의 1700여 세대 아파트 건축을 골자로 한다.
  • 직선거리 약 2km 정도에 시흥 하중지구 개발이 예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했듯 개발지 인근에 하중역(가칭) 건설이 계획돼있으며, 설령 계획이 철회되더라도 개발이 완료될 때쯤이면 수요를 공유하고 있는 시흥시청역에 서울과 곧장 연결되는 신안산선이 다니고 있을 것이므로 굳이 이 역을 이용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6. 승강장

파일:신현역 승강장.jpg
서해선 승강장
파일:05 신현.jpg
역 안내도
신천
시흥시청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신천·소사·김포공항·일산 방면
시흥시청·선부·초지·원시 방면

7. 기타

  • 이 역 주변에 소재한 신현 변전소가 한국전력공사 도림 변전소로부터 교류 3상 154kV를 수전 받아 서해선 전차선로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8. 둘러보기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fc31f> 경의선
서해선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서해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위탁] 서해철도㈜[위탁] [3] 참고로 1989년 시흥시 출범 당시 동 명칭은 신관동이었는데 지역의 전통을 계승하자는 의미에서 '인천부 신현면'이었던 옛 역사를 반영, 1992년에 신현동으로 변경하였다.[4] AM 주파수 711 kHz, 출력 500 kW로 국내 최대급 출력으로 송출되는데 1971년 개소 당시부터 현재까지 국내·대북방송용 또는 예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가 1급 보안시설이다. 이처럼 고출력으로 전파를 송출하다 보니 과거엔 시흥시 전역에 심각한 난시청 현상이 발생했는데 케이블을 달지 않고는 TV를 시청할 수 없을 정도였고, 유선 전화기에선 대북방송이 간간이 들리기도 했다는 주민들의 경험담이 전해진다. 현재도 공중전화 등을 사용할 경우 간간히 방송내용이 수화기에서 나오기도 한다.[5] 개통일인 6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6] 서해선 전체로 넓히면 달미역, 시우역에 이어 3번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