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10:03:47

달성군/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달성군
파일:달성군 CI.svg 달성군 교통체계
<colbgcolor=#33B540> 철도 도시철도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화원(116) · 설화명곡(115)
파일:Daegu2.svg 대구 2호선 문양(216) · 다사(217) · 대실(218)
광역철도 대구산업선(미개통) 서재세천 · 설화명곡 · 달성군청 · 달성산업단지 · 테크노폴리스 · 대구국가산업단지
도로 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현풍IC),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현풍IC, 달성IC, 화원옥포IC)
국도 5번 국도, 20번 국도, 36번 국도
지방도 30번 지방도, 67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현풍공영버스정류장
대구광역시의 교통

1. 개요2. 철도3. 도로4. 버스
4.1. 시내버스4.2. 시외버스
5. 택시

[clearfix]

1. 개요

달성군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2. 철도


다사읍에는 대구도시철도 2호선이 다니고, 화원읍에는 대구도시철도 1호선이 다니고 있다.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군답게, 현재, 모든 읍·면지역에 도시철도·광역전철 계획이 존재한다.

대구산업선다사읍화원읍, 옥포읍, 논공읍,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을 경유할 예정이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연장이 옥포읍, 대구도시철도 6호선가창면, 대구도시철도 2호선 또는 성주경전철하빈면을 경유할 예정이다.
다사읍[1] 대구도시철도 2호선[2]·대구산업선[3]
화원읍 대구도시철도 1호선[4]·대구산업선[5]
현풍읍 대구산업선[6]
유가읍 대구산업선[7]
옥포읍 대구산업선[8],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연장[A]
논공읍 대구산업선[10]
구지면 대구산업선[11]
하빈면 대구도시철도 2호선 성주연장선 또는 성주경전철[12]
가창면 대구도시철도 6호선[13]

2.1. 도시철도

대구권 광역전철 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대경선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style="margin:-5px 0 -10px"
#!wikistyle="display:inline; background:#cc0000; padding:0px 2px; border-radius:6px;"
{{{-1 {{{#fff 건설 확정}}}}}}
1
#!wikistyle="display:inline; background:#999; padding:0px 2px; border-radius:6px;"
{{{-1 {{{#fff 추진 중}}}}}}
2
4호선 대구산업선 5호선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1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2 기본계획 미승인 및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중 혹은 ‘타당성 없음’ 판정
}}}}}}}}}||

다사읍 일대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문양역, 다사역, 대실역 3개 역이 운행을 하고 있으며, 화원읍 일대에도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2016년 연장되어 설화명곡역화원역 2개 역이 지나가고 있다.
도시철도 노선 경유 지역 관내 정차역 개통 일자
파일:Daegu2.svg 대구도시철도 2호선 다사읍 대실역 · 다사역 · 문양역 2005년 10월 18일
파일:Daegu1.svg 대구도시철도 1호선 화원읍 화원역 · 설화명곡역[14] 2016년 9월 8일
옥포읍 2개역 추진[A]

2.2. 일반철도(광역전철)

2.2.1. 대구산업선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최근 대구산업선 사업이 예타대상으로 지정되었는데, 사실 냉정하게 평가하자면 서대구 - 달성군 일대와 더 나아가 왜관쪽을 잇는 국가산단선만으로는 사실 큰 수요나 타당성을 끌어오기 힘들 것이다. 다만 달성 1, 2차 산단과 대구테크노폴리스 등에 있는 화물 운송 수요를 처리할 수 있도록 화물 수요를 만든다던가, 현실적으로 수요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을 위천삼거리까지만 연장해올 수 있다면 고령, 달성군 남부 일대의 수요를 모두 잡아 큰 발전이 있겠지만 예산의 문제로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였으나 2019년 1월에 드디어 예타면제가 확정되었고 조만간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주요 통과 지역은 서대구역(기점)-서재세천역-계명대역(대구 2호선 환승역)-설화명곡역(대구 1호선 환승역)-달성군청역-대구테크노폴리스-대구국가산단역(종점) 등이며, 지역 교통 인프라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경유 지역 정차역(가칭)
다사읍[16] DS02역
화원읍 설화명곡역[17]
현풍읍 DS08역
유가읍 DS08역
옥포읍 DS06역
논공읍 DS06역 · DS07역
구지면 DS09역

2.2.2. 달빛내륙철도

또한 달빛철도도 추진중에 있다.[18]

3. 도로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33b54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3b540>
파일:달성군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colbgcolor=#33b540> <colbgcolor=#ffffff,#191919> 가창동로 · 가창로 · 과학남로 · 과학동로 · 과학마을로 · 과학북로 · 과학서로 · 구지남로 · 구지동로 · 구지서로 · 국가산단남로 · 금강로 · 금포로
논공로 · 논공중앙로
다사로 · 다사역로 · 달성군청로 · 달성2차1로 · 달성2차2로 · 달성2차3로 · 달성2차4로 · 달성2차5로 · 달성2차6로 · 달성2차동1로 · 달성2차동2로 · 달성2차동3로 · 달성2차로 · 달성2차서로 · 달창로 · 대동월포로 · 대실역남로 · 대실역북로 · 돌미로 · 돌미상업로 · 동고령로 · 달구벌대로
매곡로 · 명곡로 · 명천로
본리로 · 비슬로
사문진로 · 상리공단로 · 서재로 · 성산로 · 성암로 · 성천로 · 성화로 · 세천남로 · 세천로 · 세천북로
용산유산로 · 왕선로
창리로 · 창리서로 · 창한로
테크노공원로 · 테크노남로 · 테크노북로 · 테크노순환로 · 테크노폴리스로
하빈남로 · 하빈로 · 현풍동로 · 현풍로 · 현풍서로 · 현풍중앙로 · 화암로 · 화원로
[[틀:대구광역시의 도로|
대구광역시의 다른 도로
]]
}}}}}}}}}

3.1. 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광주대구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관내에 현풍 나들목, 북현풍하이패스 나들목, 달성 나들목, 화원옥포 나들목을 통해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광주대구고속도로 상에 논공휴게소는 광주 방향으로 가는 첫 번째 휴게소이자 대구 방향으로 오는 마지막 휴게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22년 3월 31일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하여 다사읍하빈면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3.2. 일반국도

5번 국도, 26번 국도, 30번 국도가 지나간다.
그 외 테크노폴리스로가 2014년 10월 27일 개통되어 대구테크노폴리스와 월배지구를 직통으로 이어주며, 현풍권에서는 이 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대구 시내로 진입하는 데 가장 빠르다. 논공읍의 중심리인 달성1차산단으로 갈 수 있도록 연결로를 냈다. 화원 쪽부터 해서 달성군의 남쪽 5개 읍면에는 5번 국도가 지나가며, 고령군과는 주로 논공읍 위천삼거리와 박석진교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달성군 관내 도로의 혼잡도도 높아지고 있다. 비슬로의 경우도 과거 왕복 4차로에서 크게 확장되긴 했지만 옥포지구 등 연선 개발에 따라 차량 통행량이 늘어나 속도가 떨어졌고 차천네거리 일대가 테크노폴리스 및 구지면 지역 개발로 인해 새로운 상습정체지역이 되었다. 2010년대 초만 해도 이 지역이 상습정체지역이 될 거라고는 상상도 못 했던 곳. 차천네거리를 동서로 통과하는 국가산단북로와 테크노순환로가 많이 막힌다. 구지면에서 현풍읍이나 테크노폴리스 진입로로 들어갈 경우 차천네거리를 통과할 수밖에 없고, 우회도로는 도로 상태가 좋지 않거나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 도로 구조상의 문제도 있는데, 5번국도 진입 램프와 차천네거리 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기 때문에 구지면 방향에서 온 차들이 5번국도 진입 램프로 바로 좌회전할 수 없고 차천네거리까지 온 뒤 U턴해서 진입하도록 바뀐 것도 정체를 부채질하는데, 1차로가 5번국도 진입을 위해 U턴하는 차들로 인해 흐름이 끊기면서 뒤쪽으로 정체 꼬리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3.3. 지방도

30번 지방도(가창로)와 67번 지방도가 지나가고 905번 지방도(헐티로)[20]와 인접해 있다.

4. 버스

4.1. 시내버스

달성군 4번 권역 경유 시내버스(가창면)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4px" 급행2번 · 급행10번[신설]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14px" 240번 · 304번 · 405번 · 413번 · 449번[폐지]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14px" 가창2번, 수성5번[신설]
농어촌(청도) 0번(청도)
달성군 5번 권역 경유 시내버스(다사읍·하빈면)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4px" 급행1번 · 급행7번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14px" 405번 · 425번 · 509번 · 520번[신설] · 523번 · 524번[25] · 527번 · 564번 · 655번 · 725번[신설]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14px" 달서1번 · 성서1(-1)번 · 성서2번 · 성서3번
[[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2d438; font-size: 14px" 7250번
농어촌(성주·칠곡) 250번(성주·칠곡) · 0번(성주) · 7번(칠곡) · 9번(칠곡) · 20번(칠곡) · 50번(칠곡) · 50-1번(칠곡) · 51번(칠곡)
달성군 6번 권역 경유 시내버스(화원읍·옥포읍·논공읍·현풍읍·유가읍·구지면)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4px" 급행4번 · 급행8번 · 급행8-1번
[[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14px" 600번 · 623번 · 650번 · 651번 · 653번 · 655번
[[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14px" 달성1번 · 달성2번 · 달성3번 · 달성4번 · 달성5번 · 달성6번 · 달성7번
농어촌(고령·의령) 606번(고령) · 의령 신반-대구(의령)

급행버스들도 맹활약하고 있는데 급행8번이 신설되었고, 급행4번은 논공 달성1차산단 일대가 먹여 살린다는 정도로 달성1차산단에서 애용되고 있다.

대구광역시 내의 구/군 중 버스 회사의 차고지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27]

4.2. 시외버스

시외.고속버스터미널로는 현풍읍 소재인 현풍공영버스정류장이 유일하게 있다.

5. 택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대구광역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4,000원(2km)
추가(병산제) 100원(31초/130m)
야간할증 20%
시외할증 30%
모범택시
기본요금 5,500원(3km)
추가(병산제) 200원(26초/113m)
야간할증 20%
시외할증 30%
대구-군위 간 여정에서 팔공산터널, 79번 지방도 이용 시에만 시계외할증 미적용[28]
유로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1] 달성군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2] 대실역, 다사역, 문양역[3] 서재세천역 경유, 2028년 개통 예정[4] 화원역, 설화명곡역[5] 설화명곡역 경유, 2028년 개통 예정[6] 테크노폴리스역 경유, 2028년 개통 예정[7] 테크노폴리스역 경유, 2028년 개통 예정[8] 달성군청역 경유, 2028년 개통 예정[A] 문서에 나오듯 차량기지 이전과 함께 추진중이다.[10] 달성군청역, 달성산단역 경유, 2028년 개통 예정[11] 대구국가산단역 경유, 2028년 개통 예정[12] 경제성 문제로 추진 속도가 가장 느리며 사드배치 보상으로 추진 중[13] 구(중기).대구4호선, 구(초기).대구6호선, 수성남부선 승계 노선[14] 대구산업선과 환승역 예정[A] [16] 달성군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17] 대구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역[18] 달성군내 정차 여부는 미정이다.[19] 테크노폴리스로의 개통 이후 통행량이 더욱 감소했다.[20] 헐티재 각북면 금천리 산 132-6[신설]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설된다.[폐지]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폐지된다.[신설] [신설] [25]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다사읍을 경유하지 않게 되며, 노선 번호가 402번으로 변경된다.[신설] [27] 면허지로 따지면 수성구가 압도적이나 이들 중 절반 가량은 경산시에 차고지를 두고 있으며 실제로 수성구에 차고가 있는 회사는 대일버스, 신진자동차뿐이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주둔하고 있는 회사가 가장 많은 지역은 달성군이다. 정작 달성군 면허 쓰는 대명교통달서구로 간 지 오래[28] 중앙고속도로, 5번국도 이용 시 시계외할증 적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