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철도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대만 | ||||
중국 | 인도 | 이스라엘 | |||||
동남아시아 (베트남 · 태국) | 중앙아시아 | ||||||
유럽 | |||||||
독일 | 프랑스 | 영국 | 러시아 | ||||
스페인 | 이탈리아 | 스위스 | 오스트리아 | ||||
노르웨이 | 스웨덴 | 덴마크 | 핀란드 | ||||
네덜란드 | 벨기에 | 루마니아 | 헝가리 | ||||
폴란드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아메리카 |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
아르헨티나 | |||||||
아프리카 | |||||||
모로코 | 이집트 |
1. 개요
베트남 타이응우옌 시에 있는 철길이다. 동남아시아의 철길 풍경은 대부분 이렇다. 이 철길은 그나마 관리가 잘된 축에 속한다.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제외한 동남아시아의 철도 인프라는 매우 낙후되어있다.[1] 19세기 후반 및 20세기 중반까지의 식민지 시절 유럽의 열강들이 건설한 뒤 독립 이후 추가적인 건설을 하지 않고, 도로 교통 위주의 정책 때문에 면적 대비 철도 총 길이가 짧고, 전철화율이 매우 낮으며 거의 다 단선이다. 그나마 말레이시아는 현재 전철화가 많이 진행되었기에 협궤라는 게 좀 아쉽다는 점만 빼면 나은 편이다. 태국,인도네시아 등 타 국가들은 전철화가 10%도 안된 상태다.
다른 특징으로는 도심 골목 안으로 열차가 운행된다는 것이다.열차가 다니는 길목에 시장을 열기도 한다. 이런 곳에서 절대 사지 말자. 열차의 먼지와 더불어 열차 내부에 들어가는 각종 기름, 철가루, 승객의 오물이 상품에 튈 확률이 높아 매우 비위생적이다.
2. 궤간
동남아시아의 철도 특징으로는 협궤인 미터 궤간(1,000mm)을 사용한다는 점이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일본과 같은 케이프 궤간(1,067mm)을 사용하며[2], 태국에는 200km 남짓 표준궤 전철화 구간이 있고, 중국 국경 근처 지역에는 표준궤 호환 듀얼게이지 구간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지하철이나 경전철 노선의 경우 대부분 표준궤이다.라오스는 2021년 12월 3일 개통된 윈난성 쿤밍과 비엔티안을 연결하는 중국 라오스 철도가 표준궤로 건설되었기에 사실상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유일하게 표준궤를 메인으로 사용하는 나라가 되었다. 이 철도가 개통되기 전 라오스에는 수도 비엔티안에만 태국과 연결되는 협궤 노선만 있었다.
3. 역사
대체적으로 철도가 놓인 계기는 한국과 똑같다. 태국을 제외한 동남아시아의 철도는 전부 유럽 식민제국들이 부설했다. 대부분 첫 노선은 1880~90년대 열강이 강제적으로 개항한 항구 주변에 부설되었다. 이는 동남아시아의 내륙의 자원 생산지와 항구간 물자 수송을 원활하게 하고, 반란 지역으로 군대가 신속하게 이동하는데 기여했다. 이로 인해 철도는 반란군, 독립군, 아나키스트 단체들의 주요 표적이 되었다.2번의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동남아시아는 식민제국에서 독립했지만, 유럽인들이 남기고 간 철도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었다. 식민제국 통치 시절에 철도는 식민지인들이 부설하게 했지만 철도 주요 기술은 식민지인들에게 절대 공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립직후 동남아시아의 정세는 매우 혼란스러워서 내전이 발발했고 철도를 포함한 인프라가 파괴되었다. 군부&공산주의 독재정권은 도로 인프라 위주로 투자를 하여[3] 아직까지도 철도 인프라 개량을 못하고 있다.
4. 철도 현황
동남아시아의 철도 총길이는 25,751km이다.[4] 이중에서 미얀마의 철도는 40%를 차지하고, 인도네시아의 철도는 23%, 태국의 철도는 17%를 차지한다.중국 국경 지역의 철길을 제외한 모든 철길은 미터 궤간으로 되어있다.
미터 궤간&표준궤 구간을 합친 전철화 구간은 1,413km이다. 이중 대부분이 광역철도나 지하철이다.
5. 여객 수송
- 베트남, 태국: 해당 국가 철도 환경 참조.
- 라오스: 중국 자본으로 건설한 중국 라오스 철도가 있다.
- 말레이시아: 말레이 철도 참조.
- 인도네시아: 중국과의 합작으로 고속철도를 완공하고 2023년 10월에 개통하였다. KCIC 참조.
6. 화물 수송
7. 국가별 철도 환경
7.1. 베트남의 철도 환경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의 철도 환경 문서 참고하십시오.7.2. 태국의 철도 환경
자세한 내용은 태국의 철도 환경 문서 참고하십시오.8. 관련 문서
{{{#!wiki style="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10066 0%, #010066 78%, #cc0000 78%, #cc0000 81%, #fff 81%, #fff 84%, #cc0000 84%, #cc0000 87%, #fff 87%, #fff 90%, #cc0000 90%, #cc0000 93%, #fff 93%, #fff 96%, #cc0000 96%, #cc000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c0000>상징 | 잘루르 그밀랑 · 국가 · 국호 |
역사 | 역사 전반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 믈라카 술탄국 · 영국령 말라야(말레이 연합주 · 말레이 비연합주 · 해협식민지 · 사라왁 왕국 · 북보르네오) · 일본령 말라야 · 말라야 연합 · 말라야 연방 · 말라야 비상사태 ·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 |
정치 | 정치 전반 · 양 디페르투안 아공 · 말레이시아/이념 · 정당들(희망동맹 · 국민전선 · 사라왁 정당연합 · 국민연합) · 푸트라자야 · 분리주의(동말레이시아) · 인종차별 정책(말레이시아 이민국 · 부미푸트라) · 14번째 주 | |
경제 | 경제 · 말레이시아 링깃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 페트로나스 · 페로두아 · 프로톤 · KL118 | |
국방 | 말레이시아군 (말레이시아 해군 · PASKAL · 조호르군) | |
외교 | 외교 전반 · ASEAN · IPEF · 영연방 · 말레이권 · 이슬람 협력기구 · 비자/말레이시아 | |
교통 | 교통 전반 · 말레이시아 항공 · 에어아시아 · 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말레이 철도 · 쿠알라룸푸르 도시철도)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말레이시아 요리 · 말레이시아 영화 · 말레이시아 스포츠(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 이슬람교 · 세계유산 · 말레이시아인(말레이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크리스탕) | |
언어 | 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라틴 문자 | |
사회 | 사회 전반 · SPM · (말라야 대학교 · 푸트라 대학교 · 사바 대학교 · 헬프 대학교) | |
기타 | 말레이 반도 · 보르네오 섬 · 압둘 라작 · 말라야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
[1] 사실 싱가포르는 도시국가라 내부 도시철도망 정비 위주다. 간선철도망은 우드랜즈 역과 말레이시아 JB 센트럴 역 간 운영되는 환승용 인터시티 셔틀열차 뿐이고, 그나마도 싱가포르가 아닌 말레이 철도에서 운영한다. 애초에 국가가 작은 지라 싱가포르 국철 이런게 존재할 리가..[2] 이 덕에 일본이 인니에 중고 철도차량 많이 수출했다.[3] 딱히 철도를 미워했다기보다는 자동차 발명 이후의 교통 발전은 대체로 도로를 우선하는 것이 보통으로, 철도가 처음 개발된 유럽조차도 자동차 시대 이후에는 철도가 주춤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동차로 한창 전환될 시점에 석유 수급 제한으로 철도 우선으로 방향을 굳힌 일본이 특이한 예이다. 초기 인프라 비용이 많이 드는 철도는 자동차 시대에 중진국으로서는 그다지 메리트가 높지 않으며, 때문에 대한민국도 도로 위주의 교통 체계를 추진한 것이다. 사유철도에서 관련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4] 한국 철도 총 연장 길이의 5배 갸량 된다.